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라북도의 수달 분포현황 및 서식지

        김강수 전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멸종위기에 처한 천연기념물 제330호인 수달의 서식분포를 2003년 3월부터 2006년까지 1차조사,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2차 반복조사를 전라북도 도내의 강, 호소, 하천, 저수지, 해안, 도서를 대상으로 분포조사 및 서식지환경조사를 비교·분석하여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식지 환경 및 개체수 조사 강·하천, 호소·하천, 저수지, 해안, 도서를 유역별로 나누어 서식지환경을 파악하고, 서식개체수를 유역별로 강·하천유역 21개소, 호소·하천 11개소, 저수지 8개소, 해안 8개소, 도서 16개소 등 총 64개소 중 36개소 조사구역에서 확인하였으며, 강·수계별은 섬진강수계 요천 평균 2.5마리, 호·수계별은 용담호수계 천천 평균 4.3마리, 저수지는 상관저수지 평균 2,0마리, 해안은 격포항 평균 0,5마리, 도서지역은 고군산군도에 위치하고 있는 십이동파도에서 평균 1.8마리가 최대를 보였다. 유역별 중 호·수계별에 위치하고 있는 천천이 평균 4.3마리로 도내 최대서식지로 확인된 결과, 이곳은어류자원 및 도처에 은신처가 많으며 인간의 간섭이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2. 유역별 수달 서식지에 관한 비교 분석 수달 서식지환경에 따른 강·하천, 호·하천, 저수지, 해안, 도서유역별로 그래프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나타난 결과 호·수계별로 있는 하천이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강·수계별 하천이 다음으로 나타났고 도서, 저수지, 해안 순 이었으며 최대서식지인 호·수계별은 하천과 호를 넘나들며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됐으며 안전한 은식처 제공과 먹이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냈다. The distribution of threatened otter designated as the natural mo- nument 330 as studide in 03/2006(1st research) and from 04/2007 to 10/2007(2nd research) at the rivers, lakes, reservoirs, coasts and islands in Jeonbuk province. I examined at 21 rivers and reservoirs, 11 lakes and marshes, 8 small lakes, 8 coasts and 16 islands for habitat environment and population. out of 64 points, I found out the habitat environment of otters at 36 points. The average number of otters was 2.5 at Sumjin river, 4.3 at Yongdam river(Chunchun), Sangwan lake, 0.5 at Gyukpo port. The average number of otters in the island, Gogunsan island, was 1.8. The most 4.3 was found at Yongdam river(Chunchun) when conpared with other distributed rages points. More otters were discovered at lkes and small lakes. Rivers had fewer otters than lakes, and islands, reservoires, coasts in descendin order.

      • 증강현실을 위한 모델 기반 카메라 추적 : 상호작용형 모델링과 민감성 분석

        김강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Augmented Reality (AR) is computer vision and graphics technology that provides users with intuitive information seamlessly and effectively by overlapping 3-dimensional virtual objects in real space. This technology enables humans to generate additional virtual spaces in real space and to feel reality in mixed virtual and real environment. Thus, space and time limitations can be removed, and the range of human activities is expanded as well. Recently, AR is becoming a sensation because of its capabilities on mobile devices (e.g. smart phone). To generate AR environment, reliable camera tracking for robust registration of virtual objects and effective authoring or modeling method need to be guaranteed. These techniques are active research issues in the field of AR. Camera tracking is the process of camera pose estimation that obtains the translation and orientation matrix of the camera us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us, accuracy of camera pose is very important for seamless registration of virtual objects to real spaces. This thesis explores a number of significant works related with AR and several camera pose estimation methods as a preliminary. In particular, there are three main issues focused on in this thesis: camera tracking method using two visual cues (features and edges) for AR, interactive modeling for model-based (edge-based) camera tracking, and analysis of tracking accuracy in terms of model error. These issues are written in detail in technical point of view. In general, feature- and edge-based camera tracking is more robust and flexible against different environments because each visual cue is complementary to estimate camera pose. For edge-based camera tracking, pre-defined CAD model is needed, and this model can be created efficiently by interactive modeling. In other words, interactive modeling enhances the efficiency of the camera tracking using two visual cues due to its capability of intuitive 3D target object modeling for edge-based tracking. Therefore, camera tracking using two visual cues is reinforced with interactive modeling in the aspect of usability. In spite of its efficiency, there is error sensitivity between the created model and camera tracking. In the thesis, the variation of the tracking error is calculated and analyzed. A general tendency of the tracking error according to the model error is provid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rrors using Cramer-Rao lower bound. To summarize, the thesis discusses approaches to implement AR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e.g. camera tracking using visual cues with interactive modeling, and analyzes the efficiency by visualizing the sensitivity of the errors.

      • FRP복합체로 보강된 목재 보 및 보-기둥 접합부의 구조성능

        김강수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목조 건축물의 합리적 유지관리를 위하여 목재 자체의 강성 확보를 위한 연구와 응력이 집중되는 접합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내용은 Fiber Reinforced Polymer(이하, FRP)를 목재 부재에 보강하여, 휨 거동하는 보 실험과 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각 부재에 맞는 보강재 및 보강공법 제안을 위한 부착 실험 및 재료 실험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휨 압축응력에 영향을 받는 보 실험체 총 13개에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Bar(이하, CFRP Bar)를 표면 매입하는 공법을 적용하여 보강형태, 보강재의 수와 직경에 관한 구조적 성능검토를 통하여 목재 자체의 강성확보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강재 및 공법의 검증을 위하여 표면매입된 CFRP Bar와 목재간의 부착성능 검토를 수행한 후, 표면매입하는 적정의 두께와 접착제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재료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휨 압축거동에 관한 유한요소 해석(MIDAS FEA) 결과값을 실험 결과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둘째, 응력이 집중되는 목조 접합부에 보강하여 구조적 성능검토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보강재는 탄소강, 복합보강재(탄소강 + FRP)및 FRP의 3 종류 보강재로 총 56개의 인장시편을 제작하여 반복된 실험을 통하여 적정의 보강재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은 보강재의 두께와 보강재 종류에 따른 변수로 내력 성능검토, 강성평가 및 연성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표면 매입된 CFRP Bar와 목재간의 부착강도 τb는 피복두께가 30 mm 까지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목재에 매입하는 CFRP Bar의 피복두께는 30 mm로 충분한 성능을 갖는다고 판단된다. 2) FRP Bar와 목재를 접착하는 접착제는 합성제 에폭시가 EFR-200 (에폭시 폴리아미드계)가 가장 안정적인 높은 값을 나타났고, 가장 적절한 접착제로 판단된다. 3) CFRP Bar로 표면 매입된 U형 실험체는 무보강 실험체보다 최대 3.89배 높은 최대강도를 나타냈다. 이것으로부터, CFRP Bar로 목재에 표면 매입공법은 강성확보에 유효한 공법이라고 사료된다. 4) CFRP Bar로 표면 매입된 보의 실험값과 유한요소 해석 결과 값 비교에서 최대강도는 20 % 내외의 유사한 결과 결과가 도출되었지만 변형률 관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유한요소 해석에서 목재의 초기 연성적 성질을 고려하지 못한 결과라고 추측된다. 5) 보강된 접합부의 반복하중 거동 실험에서 무보강 실험체 보다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최대 233 % 최대하중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개발된 공법은 내력향상에 유효한 공법이라고 판단된다. 6) 목재 접합부의 복합 보강재는 연성능력에서는 탄소강의 두께에 영향을 받고, 강성평가에서는 GFRP의 두께에 영향을 받는 결과로부터 적절한 설계를 한다면 구조용 복합보강재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논문의 구성은 제 1장 연구의 일반사항을 서술하는 서론부분, 제 2장 기존 연구동향과 제안하는 공법의 고찰, 제 3장 CFRP Bar로 보강된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연구, 제 4장 보강된 목조 접합부의 반복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제 5장 결론으로 구성하였다.

      • 現行 高等學校 國史 敎科書의 有形文化財 分析

        김강수 檀國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ch are collected in Korean History Textbook of High School. The aims of this study are, by doing so, if the problems are found, to search for the remedies and to suggest the new way in re-editing the textbook next time.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attaining the above-mentioned goals is summaried as the followings : First, total illustrations amount to 260 as shown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types. Second, among the 260 illustrations, the cultural assets are 204, and nation appointed ones are 95, say, the cultural assets illustrated 55, the cultural assets described 40. Third, when the cultural assets, are written as an illustration, the size, the rate and the reduced size of the real object must be indicated. Fourth, the cultural assets which are inscribed repeatedly should be avoided. Even though they should not be inscribed in the main contents, by recording and utilizing those which are of greatly historical and artistic value, we should promote the attitude which is serviceable to the pride about the national culture and the creation of the new culture. Finally, as the illustrated cultural assets, are printed in white and black collor, the learner's need for study decreases. Therefore both the consideration in printing skill and the improving ways of paper qualities should be considered.

      • Edward Albee 부조리극에 나타난 '소외적 인간상'의 인물 형상화에 관한 연구 : <The Zoo Story> 실제 공연을 통해

        김강수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간은 자기 자신에 관한 물음, 즉 “나는 누구인가?”, “나 자신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라는 물음을 바로 인간 자신에게 물어왔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으로 인한 정신세계의 방향감각 상실은 인간 상황의 허무감을 일으켰고 오랜 세월 동안 확립해 놓은 사상체계의 부정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무의미한 인간상황을 묘사해 줄 새로운 극 형식으로 부조리극이 등장하게 되었다. 부조리극은 황당하게도 당황하는 인간의 모습, 서로 이해되지 않는 대화, 과장된 모습 등 인간의 모습을 과장하여 인간의 실존적인 면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런 것들은 인간의 삶 자체에 변화를 가져와 인간의 삶을 스스로 소외되고 고립되게 만든 것이다. 이러한 인간이 처한 상황의 현상 속에 바로 본 연구가 주제로 삼고 있는 ‘소외’의 현상이 들어있다. ‘소외’라는 말은 인간의 활동이 미치는 모든 영역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이 미치는 모든 영역, 나아가서 인간의 의식이 도달할 수 없는 영역에까지도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대 산업사회에서의 소외는 개인이 타인, 사회 또는 자신에게서 단절된 상황 혹은 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결핍상태를 일컫는다. 오늘날 현대 연극은 여러 연극 장르가 함께 공존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특히 부조리극과 사실주의극의 공존을 들 수 있다. 부조리극이 가지고 있는 작품소재와 극작기법들, 예를 들어 극의 구성, 등장인물, 시간, 공간, 언어 등은 사실주의가 가지고 한계와 진부함을 뛰어넘어 현재의 극예술에서 연출법이나 배우의 연기에 있어서 커다란 영향을 주는 동시에 끊임없이 연구되고 변화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이 부조리극의 연기 양식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 본인의 개인적인 시각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재까지 발전되어온 시대별 연극사 중에서 사실주의 이후에 등장하여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부조리극 중 에드워드 올비의 <동물원 이야기>를 선택하였다. 본고는 <동물원 이야기>의 ‘소외적 인간상’의 인물형상화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기 전공자로서 배우가 ‘제리’ 역을 형상화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연구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고는 기본적으로 작품 분석과 주인공인 제리의 성격과 감정과 행동양식을 분석하고 이를 어떻게 표현해 낼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특히 역할구축 과정 단계에서 구체적 장면을 선택하여 음성(대사), 동작, 제스처, 정서, 리듬과 템포 등을 설명할 것이다. 인물 형상화에 따른 무대 형상화 작업은 각 요소들의 변화에 따른 인물 형상화의 변화됨을 관찰하여 가장 효과적인 것을 선택할 것이다. <동물원 이야기>를 분석해 본 결과 ‘소외적 인간상’인 제리의 성격은 매우 다양한 형태와 과정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이를 토대로 제리의 인물형상화에 관한 연구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첫째, 소외는 현실에 대한 적응력 부족, 열등감, 무력감, 정신적인 나약함 등에서 온다. 둘째, 제리와 피터는 어디에서나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정형화된 인물이다. 그래서 부조리극의 여러 등장인물들처럼 뚜렷한 개성을 찾아보기 힘들고, 그들 행동의 구체적인 동기나 의미를 알기 어렵다. 셋째, 부조리극에서의 언어는 의사소통의 시간을 보내기 위한 말장난이나 수다, 무의미한 지껄임, 신체언어로 이루어진 대사가 많다. 넷째, 인물형상화 과정에서 ‘소외’가 제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황에 맞게 심리와 신체적 변화를 잘 드러내야 한다. 훈련된 배우는 스스로 이성, 감성, 신체를 혼합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익히게 되며 작가가 제시한 인물을 자신만의 관점과 분석을 통해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자신만의 인물로 재창조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연기자가 인물을 구축하고 역할의 실질적인 행동을 발견하기까지의 과정을 문서화하여 이론으로 정립함으로써 배우 수업을 하는 학생들과 지도자들에게 모형을 제시하여 연기 교육과 연기 예술의 전문화에 보탬이 되길 소망한다. Human beings have been asked themselves the question “who am I? where do I come from and where am I going to?” which asks about themselves. The loss of a sense of direction in the world of spirit, which is caused by two world wars, brings a sense of futility and denial of ideological system confirmed in the past. To describe meaningless human condition like this, theater of the absurd appears as a new type of play. Preposterously the theater of the absurd tries to express existential features of human beings by showing human in confusion, incomprehensible conversation and exaggerated appearance. These are somethings that cause the change in the life itself and make the human beings alienated and isolated for himself. Human conditions like this contain "alienation", the theme of this study. The term "alienation" covers the area reached by human consciousness and furthermore the area beyond human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area reached by the human activities. The alienation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is called the condition isolated from other people, society and himself or the condition lacking communication caused by isolation. Today modern play is characterized by coexistence of various genres, especially coexistence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and realism. Passing the limit and cliche of realism, subject matters and playwriting techniques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for example construction of the play, characters, time, space and language, have a strong influence on dramatic interpretation and actor's acting in the modern dramatic art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being studied and changed. Nevertheless I think actors lack definite understandings on the acting style of the theater of the absurd. So this study selected Edward Albee's <The Zoo Story> in the theaters of the absurd which appear after realism and receives wide attention now, among chronicles of playwriting developed from the ancient Greece. This study is on the configuration of character for 'alienated human fe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and propose concrete methodology which the actor as a major in acting need to configurate the character 'Jerry'. So this study basical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playwriting and a hero Jerry's personality, feelings and behavior patterns and then how to express these. Especially by selecting the specific scene, language(speech), motion, gesture, emotion, rhythm and tempo will be explained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role. Configuration of the stage following the configuration of character will be chosen as the most effective one after looking into the change of the configuration of character.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Zoo Story>, Jerry's characters as an alienated human feature are displayed in very various forms and processes. According to these facts, in this thesis, the configurations of Jerry's characters are explained as followings. First, alienation comes from the lack of maladjustment to reality, a sense of inferiority, a feeling of helplessness and mental frailty. Second, Jerry and Peter are standardized characters easily found around us. So it is difficult to find distinct personality easily found in characters of other theaters of the absurd and also to find concrete motivation and meaning of their behaviors. Third, many languages in the theaters of the absurd are composed of a play on words, meaningless talkativeness, chattering and body language in order to spend time of communication. Fourth, the effects of 'alienation' to Jerry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of character have to express his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suitably according to his situation. Well-trained actor acquires the ability of mixing and controlling rationality, sensibility and body for himself and he re-create the character made by playwright as specific and active character by his own viewpoint and analysis. Therefore this thesis contains the process from constructing character to finding the practical behavior of the role in writing and set them as a theory so that it can show models to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actor class and to be a help to the playing education and specialization of playing art.

      •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지역사회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 남원지역을 중심으로

        김강수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의 다양한 산업구조와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각종 산업재해, 교통사고, 레져 및 스포츠 활동 등으로 인한 추락사고 등이 발생하여 척수손상을 입는 척수장애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손상 후 영구적인 신체적 장애 및 사회적인 제약을 받는다는 점에서 척수장애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에게까지 심리적 고통 및 경제적인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척수장애인이 갖고 있는 자립생활에 대한 신체적, 이동적, 사회적, 심리적, 지역사회자원 활용욕구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자립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신체적 특성, 사회 · 심리적 특성, 일상생활의 자립정도 및 자립생활에 대한 지역사회자원 활용욕구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도구로 활용하였다. 조사연구를 위해 남원지역의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및 장애인복지관을 방문하여 활동이 가능한 척수장애인 30명과 거동이 불가능한 척수장애인 1명 등, 총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 중 남성이 24명, 여성이 7명으로 남성의 비율은 77.4%이며, 여성의 비율은 22.6%로 남성이 척수장애를 많이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수장애를 입은 연령층은 21세이상 50세까지에서 87.1%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남성이 여성보다 활동량이 많기 때문으로 보이며, 척수장애가 활동기의 청장년에게 빈발하기때문에 장애인 자신의 정신적 고통과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다른 장애보다 커다란 문제가 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근거한 지역사회자원 활용욕구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척수장애인이 현재의 장애상태를 수용하고, 극복하여 자기의 삶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일반사회의 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립생활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자원활용에 대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조사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은 21세에서 50세까지가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고졸이상, 종교는 기독교가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보다는 기혼이, 같이 살고있는 동거인은 부모보다는 배우자가 많았고, 월수입으로는 5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전 직업은 농업이 가장 많았다. 둘째, 신체 · 심리적 특성에서 장애원인은 교통사고가 주를 차지하였고, 장애정도는 하지마비가 많았으며, 장애등급은 모두 중증장애 등급인 1급과 2급이었다. 이를 통하여 척수손상을 입으면 심각한 장애후유증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장애를 입은 기간은 1년에서 10년사이가 주를 이루었으며, 재활장소로는 종합병원이 가장 많았다. 장애 후 나타난 변화부분 중 가장 큰 문제로는 환경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부분을 들었고, 현재 느끼는 감정은 현실을 인정하고 있다는 응답이었으며, 삶에 대한 태도변화는 매사에 적극적이다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응답한 척수장애인 대부분이 자립생활 실천을 위한 심리적 준비가 되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사회적 특성에서 장애 후 외출여부와 관련하여 척수장애인 대부분이 1~5년 사이에 외출한 경험이 있으며, 외출동기로는 물건구입과 공공시설 방문 등을 위해서였고, 외출시 마음상태는 담담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외출장소로는 공공시설(행정기관)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출시 불편했던 점으로는 편의시설의 미비와 신변처리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들을 위해서 편의시설의 확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외출 후 변화로는 자신감의 형성이 가장 많았다. 자신감이 없어서 외출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으나, 외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외출한다고 대부분 응답하여 자립생활을 위한 실천단계로 사회적응훈련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여가활용부분에서는 독서·음악감상·TV시청·영화감상 등 정적인 여가활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친구를 만나거나 여행하는 등 동적인 여가활용도 많았다. 재활정보 입수경로는 장애인동료·장애인단체회원이 주를 이루었으나 동사무소나 정부기관의 공무원, 신문·방송 등 대중매체의 영향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립도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에서 자립평균이 높게 나온 것은 조사대상자들의 자립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실천의지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 실천을 위해서는 당사자에게 자립생활실천만 강조하기보다는 자립생활 이념의 홍보 및 교육의 선행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미 척수장애인은 자립생활을 자연스럽게 실천해오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자립생활 운동가, 장애인 관련 전문가와 가족 등의 척수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자원활용 특성에서 장애인복지관 이용여부에 대한 부분에서는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했다는 척수장애인이 84%나 되었고, 이들은 복지관을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으로 이용하였으며, 주로 이용한 서비스는 의료재활, 사회재활, 직업재활, 교육재활 등으로 나타나 통합적인 재활차원에서 복지관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환경에 처한 다른 척수장애인에게 복지관을 안내하겠다는 척수장애인이 대부분이어서 장애인복지관이 척수장애인의 성공적인 자립생활 실천을 위한 남원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자원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지역사회자원 활용욕구 특성에서 지역사회자원으로 예시한 장애인복지관, 의료기관, 지역보건소, 문화센터, 종교 및 사회단체, 사회복지담당요원,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문화 및 체육시설, 장애인 관련단체 등은 대표적인 지역사회의 자원으로 척수장애인 개인별 처해진 환경과 상황에 따라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실천하기 위한 지역사회자원 활용방안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의료사회사업 현장 및 지역사회자원 연계차원에서도 활용하는데 도움될 수 있다. 척수장애인의 자립생활 실천에 있어 지역사회자원의 활용은 이들의 심리적, 사회적 안정과 사회인으로서 자기선택과 결정을 위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기에 이들의 자립생활 실천에 앞서, 척수장애인이 장애의 충격을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극복하고, 재활에 적극 참여하여 가정으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사회적 인식 및 지역사회의 여건이 성숙되어져야 할 것이다. 즉,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척수장애인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수용적이고, 전반적으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사회적 환경이 조성되어, 척수장애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용이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척수장애인의 상황에 맞는 사회적 프로그램, 자립생활 프로그램의 연구와 경제적 자립을 위한 정책적 지원, 다양한 자원 등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 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가용 가능한 공공기관, 민간기관, 사회복지관련기관, 학교, 종교 및 시민단체, 자원봉사자 등 지역사회 자원의 네트웍 구축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