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

        황원순,김감래,Hwang, Won-Soon,Kim, Kam-Rae 한국측량학회 2007 한국측량학회지 Vol.25 No.6

        As the availability of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with high resolution is expanded, a lot of concern are in the production and update of digital map.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 of updating the digital map at the scale of 1/1,000 using images from Aerial Digital Camera. Geometric correction was completed using GPS surveying data. For digital mapping,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was utilized to digitize buildings and roads.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was evaluated using GPS surveying data and the relative positional accuracy was evaluated using the digital map produced by analytical mapping.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was as follows: RMSE in X and Y were ${\pm}0.172m\;and\;{\pm}0.127m$, and average distance error was 0.208m. The relative positional accuracy was as follows: RMSE in X and Y were ${\pm}0.238m\;and\;{\pm}0.281m$, and average distance error was 0.337m. Accuracies of updating digital map using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were within allowable error established by NGII. Consequently,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the national basic map and the GIS of local government. 국내에 고해상도 지도제작용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의 도입 및 공급이 현실화됨에 따라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제작 및 갱신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푸쉬부룸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기존의 1/1,000 수치지도의 갱신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PS측량성과를 이용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수치도화를 위해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였다. 수치도화는 건물 및 도로를 묘사하였고, GPS측량성과를 이용하여 절대위치정확도 평가와 해석도화에 의해 제작된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상대위치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절대위치정확도 평가결과, RMSE가 X, Y축으로 각각 ${\pm}0.172m,\;{\pm}0.127m$, 평균거리오차는 0.208m, 상대위치정확도 평가결과, RMSE가 X, Y축으로 각각 ${\pm}0.238m,\;{\pm}0.281m$, 평균거리오차는 0.337m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갱신방법은 국토지리정보원 규정의 허용오차 이내였으므로, 향후 국가기본도 제작은 물론 지자체의 GIS사업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항공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건물레이어 갱신

        황원순(Hwang Won Soon),김감래(Kim Kam R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4

        최근 국내의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의 도입 및 공급이 현실화됨에 따라 정사영상 및 수치지도를 포함한 지리정보제작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디지털사진의 정사영상을 제작하여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PS측량성과를 이용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항공 Lidar DEM을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하였으며, GPS측량성과를 이용하여 절대위치정확도평가, 수치지도의 건물레이어에 대해서는 1/1,000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상대위치정확도평가를 수행하였다. 정사영상에 대한 정확도 평가결과, RMSE가 X, Y방향으로 각각 ±0.076m, ±0.294m가 발생하였으며, 수치지도에 대한 정확도 평가결과, RMSE가 X, Y방향으로 각각 ±0.250m, ±0.210m이 발생하였으므로, 항공디지털사진의 정사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건물레이어 갱신결과는 국토지리정보원 규정의 허용오차 이내였으므로, 향후 기본지리정보 구축은 물론 지자체의 GIS사업 및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As the availability of images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with high resolution is expanded, a lot of concern are shown about the production of orthoimage and digital map.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 of updating digital map using orthoimage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Images were georectified using GPS surveying data. For the generation of orthoimage, Lidar DEM was used.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of orthoimage was evaluated using GPS surveying data. And that of the building layer of digital map was estimated using the existed digital map at the scale of 1:1,000. The absolute positional accuracy of orthoimage was as followed: RMSE in X and Y were ±0.076 m and ±0.294 m. The RMSE of the building layer were ±0.250 m and ±0.210 m in X and Y directions, respectively. The RMSE of the digital map using orthoimage from Aerial Digital Camera image fell within allowableerror range established by NGII. Consequently, updating digital map using orthoimage from Aerial Digital Cameraimag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the framework data and the GIS of local governm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적정보 기반의 측량성과 데이터 세트 설계

        이태범(Lee Tae Bum),김감래(Kim Kam Rae)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2 No.2

        최근 지적정보는 풍부한 전산 인프라를 통하여 매우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지적정보는 현재 공시되는 공적장부와 지적측량성과, 지적기록물로 분류할 수 있다. 지적관련 기록물은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지적측량결과도, 면적측정부, 측량성과도 등은 영구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는 공시되는 자료만을 포함하고 있어, 지적측량성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적정보 중 지적관리 및 지적측량에 사용빈도가 높은 지적측량성과와 지적 기록물에 대하여 지적측량성과 데이터 세트로 설정하고, 현재 공시되는 지적공부의 정보와 연계할 수 있는 지적측량성과 데이터 세트 구축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Recently cadastral data has been being very rapidly developed by an abundant of computational infrastructure, Korean cadastral data can be classified into official book, cadastral surveying result and cadastral recording announced officially, Archives related with cadastre such as cadastral surveying result map, planimetry book and surveying result map so on should be stored permanently according to the Public Archives Management. As the Korean Land Information System should include data announced officially, it needs to establish a database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In this paper,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nd cadastral archives used most frequently in cadastral management and cadastral surveying are set up as a data set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and an establishment approach of a data set of cadastral surveying results connected with data of cadastral books is studi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위성영상과 디지털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도의 통계적 검정

        이장우(Lee Jang Woo),고정석(Ko Jeong Seok),김감래(Kim Kam Rae)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2 No.1

        토지피복도는 국가국토개발, 지역개발계획, 각종 정책수립, 환경 및 방재업무 등에 활용도가 높으므로 과거부터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항공디지털카메라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토지피복정보는 급변하는 지표면의 상태변화를 갱신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과 2007년 수집된 SPOT-5 위성영상과 디지털카메라 영상으로부터 토지이용에 대한 육안판독분류를 각각 행하고 토지피복분류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토지피복도를 작성하는데 디지털카메라 영상은 정책결정의 정확한 의사결정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igh applicability of the Land Cover/Land Use on national land planning, regional development plan, policy development,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services has encouraged the study on the Land Cover/Land Use Map. The land cover information, which is obtained from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hange update in rapidly changing the state of earth surfaces.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creen-digitized classification on land use from SPOT-5 image and airborne digital camera image, which were collected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and then statistically certificated land cover classification. The digital camera image could serve as useful corrective data for decision making of setting a policy to produce land cover m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