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이 주식시장과 투자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

        김가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최근 행태재무 분야에서는 주식시장에 투자자 심리의 존재를 강조하며, 투자자 심리의 유용성과 영향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저자는 본 연구에 앞서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투자자 심리지수를 정리하고, 신용등급 정보를 활용하여 공개정보와 투자자 심리지수의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Baker and Wurgler(2006)의 방법론을 활용한 다변수 투자자 심리지수와 거래회전율, 개인투자자의 매수-매도 거래량 불균형과 같은 단일변수 투자자 심리지수 중에서 국내 주식시장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심리지수가 무엇인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Baker and Wurgler(2006)의 방법론을 활용한 개별기업의 일별 투자자 심리지수의 유용성이 높음을 제시하였으며(김가람, 류두진, 양희진, 2018), 본 연구에서도 해당 투자자 심리지수를 활용하였다. 다음으로는 개별기업의 신용등급 정보를 활용하여 공개정보에 투자자 심리가 반응하는지, 공개정보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에 투자자 심리의 영향이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류두진, 김가람, 양희진, 2019). 신용등급이 상향변경되면 누적초과투자심리가 양(+)의 반응을, 하향변경되면 음(-)의 반응을 보이며 신용등급 변경정보와 투자자 심리 간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신용등급이 하향변경된 경우에만 변경일 전에 누적초과투자심리가 변경일 주변에 누적초과수익률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주식시장이 신용등급의 하향변경에 대해서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투자자 심리의 영향이 존재하기 때문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이 투자자 심리, 주식수익률, 투자자의 순거래불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평판이 높은 증권사 20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은 주식수익률과 투자자 심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애널리스트 투자의견이 하향변경될 경우, 변경일 전에 투자자 심리가 변경일 주변에 주식수익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Kim, Ryu, and Yang, 2019). 2010년부터 2017년 6월까지 투자의견을 낸 전체 증권사를 대상으로 1)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이 투자자 심리, 주식수익률, 투자자(개인, 기관, 외국인)의 거래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2) 투자자 심리가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대한 주식수익률과 투자자의 거래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사건연구결과,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투자자 심리, 주식수익률, 투자자의 순거래불균형 모두 유의하게 반응하였다. 개인투자자는 상향변경에서, 기관투자자와 주식수익률은 하향변경에서 유의한 반응이 오래 나타나면서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대해 비대칭적인 반응을 보였다. 비대칭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원인에 투자자 심리의 영향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에 투자자 심리의 영향이 존재하였으며, 주식수익률은 하향변경에서, 개인투자자는 상향변경에서 투자자 심리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러한 발견은 애널리스트 투자의견 변경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에 투자자 심리가 함께 영향을 미침을 암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analyst recommendation significantly affect investor sentiment, stock return, and net order imbalance, implying that analysts’ recommendations have an impact on investors. Moreover, this paper suggests changes in analyst recommendation and investor sentiment cause asymmetric responses on stock market. Empirically, cumulative abnormal sentiment and cumulative abnormal return are significantly positive(negative) when analyst recommendation becomes an upgrade (downgrade). The reaction of net order imbalance of individual(institutional) investor is similar to the reaction of investor sentiment(stock return). Foreign investors react in the opposite way to changes in analyst recommendations. As a result of regressions, we find that the investor sentiment and bad news have a combined effect on stock price dynamics.

      • 신라와 발해의 영토 완성과 경계

        김가람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는 고구려 유민의 저항에 의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나․당 전쟁 패배 이후 당은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옮겼으며, 당의 영향력은 요동 일대로 축소되었다. 한편 신라는 당과 군사적인 대립을 피하기 위해 임진강 이북의 영토를 방기하였다. 신라와 당의 영역에 포함되지 못한 대부분의 고구려 고지는 일종의 아나키한 상태에 머무르게 되었다. 7세기 말에 성립한 발해는 고구려 고지를 확보하며 팽창하였으나, 요동 및 서북한 일대로는 진출하지 않았다. 따라서 요동 및 서북한 일대는 아나키한 상태가 유지되었으며, 발해와 신라는 서부 경계에서는 접경하지 않았다. 신라는 8세기 전반에 발해와 당이 대립하는 상황을 활용하여 당으로부터 패강 이남의 영역에 대한 영유권을 보장받았다. 이후 9세기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패강 이남의 영역에 군현을 설치하였으며, 이 지역에 패강진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신라의 발해의 동부 경계에서는 니하를 경계로 양국이 접경하였다. 신라는 경덕왕 때에 탄항관문을 세워 국경을 확정하였다. 발해는 문왕 때에 신라도를 설치하여 신라와 교류하였다. 그러나 9세기 이후로 신라의 동부 경계는 천정군에서 삭정군으로 후퇴하였으며, 말갈의 국경 침범으로 신라는 북방으로부터의 위협을 느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현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676년 시점에 신라가 대동강~원산만 이남의 지역을 모두 차지한 것처럼 표현한 역사지도 및 서술은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신라의 통일 영역 확정 과정에 대한 서술 내용도 수정 및 보완해야 한다. 셋째, 발해의 서남쪽 영역에 요동 및 서북한 일대가 포함된 역사지도는 수정할 필요가 있다.

      • 조선 전기 유교식 효행의 정착 과정 연구

        김가람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조선 전기 유교식 효행의 변화 과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교 국가를 지향하며 건국한 조선은 사회 질서 확립과 유교적 가치관의 내재화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효행을 활용하였다. 가정 내 위계 질서를 확립하던 孝를 국가 내 위계 질서를 확립하는 忠으로 전환하여 사회 질서를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그렇지만 그 과정은 쉽지 않았다. 가장 어려운 점은 고려까지 이어진 불교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아울러 유교도 형이상학적인 담론을 갖고 있어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은 효와 효의 실천인 효행을 기반으로 유교적 질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효행은 일상에서의 부모에 대한 봉양과 유교식 상장례를 두 축으로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효행을 ‘유교식 효행’으로 보고, 각 시기별 유교식 효행과 그 변화를 통하여 조선 사회에 유교식 효행이 정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이 유교의 핵심 이론인 효를 실제로 구현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글은 고려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크게 세 측면에서 유교식 효행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나는 국가의 효행 정책으로, 유교식 효행을 정착하기 위한 국가의 유교 경전 활용과 유교식 상장례 기틀 마련, 포상 정책 등을 주로 다루었다. 다른 하나는 여러 기록에 등장하는 효행 사례들을 중심으로 시기별 효행의 특징과 유교식 효행의 변화에 접근하였다. 마지막 하나는 효행의 가치가 절대화되며 나타난 결과들을 유교식 不孝 및 非孝의 출현이라는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조선 전기 효와 효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유교식 효행’의 수립 및 변화이다. ‘유교식 효행’은 살아 있는 부모에 대한 봉양과 죽은 부모를 위한 유교식 의례로 구성된다. 여기서 유교식 상장례의 실천은 원칙적으로 『朱子家禮』의 실천을 의미하였지만, 16세기 전반까지 일부 사람만이 이를 실천하였다. 그 의례가 대단히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았으므로 내용 그대로 실천하기 어려웠고, 이 과정에는 경제 활동을 전혀 할 수 없으므로 부유한 이들만이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대신 삼년상, 묘지 조성, 제사처럼 『孝經』 「喪親章」에서 언급하는 정도의 유교식 의례는 널리 확산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유교식 효행’은 시간이 지나면서 또 다른 효행을 포함하였다. 바로 斷指와 割股 같은 비유교적 성격의 ‘신체 훼손’ 효행이다. 난이도는 상당하지만 별다른 준비 없이 실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적 성격을 가졌다. 그렇지만 신체 훼손은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과 같은 유교 이론과 대치되었으므로 세종은 ‘유교식 효행’ 모형에 ‘신체 훼손’을 포함하지 않았다. 대신 유교를 배우지 않은 일반 백성들을 위한 보조 효행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효행의 가치가 절대화되면서 사대부 가운데 ‘유교식 효행’과 신체 훼손을 병행하는 사례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세종이 수립한 ‘유교식 효행’에 변형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였다. 둘째는 효와 효행의 강화 및 그에 따른 부작용 발생이다. 윤리서 보급 및 포상 정책 등을 통한 효와 효행의 보급은 효와 효행의 가치를 절대화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다른 가치를 약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세종 대 秦元達처럼 전염병이 유행하는 가운데도 전염병에 걸려 죽은 어머니의 시체 수습을 효행자의 건강보다 우선시한 것이 좋은 예이다. 즉 효와 효행의 가치가 절대화되면서 자식의 의무는 강조되는 반면 부모의 조건은 축소하였다. 자식은 유교식 효행을 완성하기 위하여 부모의 생사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효행을 실천하였고, 이 과정에서 벼슬 포기나 廬墓와 같이 자신의 삶을 일정 부분 포기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더 나아가 李深源의 아버지 李徫처럼 효행을 위하여 자식을 불효자로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 셋째는 효와 효행에 따른 유교식 의례에 대한 인식 변화이다. 15세기 전반 태종과 세종이 유교식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가묘와 신주 등의 설립을 정책화하였을 때, 그 호응도는 높지 않았다. 그러므로 15세기 내내 왕들은 가묘와 신주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는데, 그 결과 16세기 초 가묘와 신주는 절대적 가치를 획득하며 신성화되었다. 그런데 15세기를 거치며 유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 사대부들이 의례의 번독함을 지적하기에 이르렀다. 즉 15세기에 유교식 의례를 확산하기 위하여 국가가 지속적으로 사대부에게 의례 실천을 강조하였던 것과 달리 16세기에는 사대부에 속하는 사림들이 유교식 의례의 철저한 실천을 요구하였던 것이다. 넷째는 효와 효행에 관한 인식 변화이다. 효와 불효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존재이므로, 효가 존재하는 곳에는 불효도 존재한다. 그리고 이 사이에는 효와 불효 모두에 속하지 않는 비효가 위치한다. 그런데 조선 사회가 효와 효행의 가치를 절대화하며 ‘유교식 효행’을 강조하면서 효와 비효, 불효의 범위 및 해당 행위에도 변화가 발생하였다. 비효를 불효로 인식하거나, 효에서 비효를 분리하기 시작하였다. 고려만 하더라도 가족 내 불화, 가묘·신주 수립, 상장례 엄수 등은 효와 불효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비효였다. 그렇지만 조선에서 ‘유교식 효행’을 강조하면서 이심원과 같은 가족 내 불화와 가묘·신주의 미수립, 상장례의 미실천 등은 불효가 되었다. 반대로 유교 이론과 대치하며 효에서 탈락하며 비효가 되었던 ‘신체 훼손’ 효행은 효를 강조하는 기조 덕분에 다시 효에 포함되었다. 아울러 문소전 제사처럼 先祖를 위하는 행위라고 하더라도 禮를 벗어나는 행위는 효에서 탈락하여 非孝가 되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유교식 효행의 철저한 준수는 효의 범위를 축소하고, 이전의 비효를 포함하며 불효의 범위를 확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과정에서 비효는 효의 방향으로 위치를 옮겨갔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효와 효행의 활용이다. 조선은 정권 교체나 전염병의 유행과 같이 정치적·사회적으로 혼란이 발생하였을 때 포상 정책이나 윤리서 보급 등의 효와 효행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유교의 忠孝 이론을 중심으로 사회 질서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혼란기에는 효를 적극적으로 내세우며 사회 질서가 흔들림 없이 작동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이러한 점들을 볼 때 효와 효행은 단일한 모습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시기에 따라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때로 유교식 효행의 모습을 완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하였지만, 때로 조선의 현실에 맞게 변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15세기부터 16세기 초반에 걸쳐 조선 사회에 정착한 ‘유교식 효행’은 ‘조선의 현실을 반영한 유교식 효행’이었으며, 조선 사회를 작동하는 강력한 규범으로 작동하였다고 할 수 있다. 효와 비효, 불효의 범위 변화는 이를 잘 보여주는데, 16세기 전반 효의 범위가 축소되고, 불효의 범위가 확장되는 과정은 효/비효/불효가 효/불효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비효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지만, 비효의 불효화와 효의 비효 분리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비효의 존재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효 아니면 모두 불효가 되는 사회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효는 그 가치가 절대화되며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중종 대에는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효행 포상을 받았다는 이유로 처벌을 받지 않는 경우도 생겼다. 아울러 불효에 대한 처벌도 강해져서 정치적 숙적을 제거하거나 가족 또는 향촌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하여 불효죄를 이용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즉 조선에서 효를 강조한 결과 점차적으로 사람들의 행위는 효와 불효로만 판단하였고, 이는 효와 불효의 영향력 강화로 이어졌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Confucian filial behavio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Joseon, which was founded with the aim of a Confucian state, actively utilized filial piety to establish social order and internalize Confucian values.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 social order by converting the filial piety that had established a hierarchical order within the family into a hierarchical order within the country. However, the process was not easy. The most difficult thing is that it did not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Buddhism that continued until Goryeo. In addition, Confucianism had a metaphysical discourse, so it was not easy to understand. In this situation, Joseon attempted to establish a Confucian order based on filial piety, which is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Here, filial piety is based on the service of parents in daily life and Confucian listed cases, and in this paper, this filial piety is regarded as 'Confucian filial piety', a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nfucian filial piety in Joseon society through changes. This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Joseon's actual realization of filial piety, the core theory of Confucianism.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d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in three aspects over time from Goryeo to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One is the state's filial piety policy, which mainly deals with the state's use of Confucian scriptures to establish Confucian filial piety,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for Confucian listing, and reward policies. The other approached the characteristics of filial piety by period and the changes in Confucian filial behavior, focusing on the cases of filial piety appearing in various records. The last one was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absoluteization of the value of filial pie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mergence of Confucian filial piety. In summary, the following five conclusions can be made on filial piety and filial behavio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first is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Confucian filial piety'. Confucian filial piety consists of support for living parents and Confucian rituals for dead parents. Here, the practice of Confucian-style funeral in principle meant the practice, but only some people practiced it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6th century. Because the ritual was very complex and difficult, it was difficult to practice as it was, and in this process, only wealthy people were able to do economic activities at all. However, this 'Confucian filial piety' included another filial piety over time. It is the filial piety of 'body damage'. Instead, it was recognized as an auxiliary filial piety for the general people who did not learn Confucianism. However, as the value of filial piety became absolute, the number of cases of "Confucian filial piety" and physical damage among the noblemen increased, which meant that the "Confucian filial piety" established by King Sejong had been transformed. The second is the reinforcement of filial piety and filial behavior and the occurrence of side effects. The spread of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through ethics books and reward policies resulted in absolutely weakening the values of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while relatively weakening other values. A good example is that even in the midst of the epidemic like Sejong the Great, the recovery of the dead body of a mother who died of the epidemic was prioritized over the health of a filial son. In other words, as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became absolute, the duty of children was emphasized, while the conditions of parents were reduced. In order to complete the Confucian filial piety, children continued to practice filial piety regardless of their parents' life or death, and in this process, they often gave up their lives to some extent. Furthermore, there were cases in which a child was made an unfaithful son for filial piety, just like Lee's father. The third is the change in perception of Confucian rituals according to filial piety and filial behavior. In the first half of the 15th century, when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made a polic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onfucianism, the response was not high. Therefore, throughout the 15th century, the king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cemeteries and new shares, and as a result, cemeteries and new shares were sanctified in the early 16th century by acquiring absolute value. However, through the 15th century, the noblemen'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deepened to point out the transparency of rituals. In other words, in order to spread Confucian rituals in the 15th century, the state continued to emphasize the practice of rituals to the noblemen, but in the 16th century, the noblemen who belonged to the noblemen demanded thorough practice of Confucian rituals. The fourth is the change in perception of filial piety and filial behavior. Since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are the same as the front and back of the coin, filial piety also exists where filial piety exists. And between them, there is a filial piety that does not belong to both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However, as Joseon society emphasized "Confucian filial piety" by absoluteizing the value of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changes occurred in the scope of filial piety, filial piety, and the corresponding behavior. The ineffectiveness was recognized as ineffective, or the ineffectiveness began to be separated from the filial piety. Even considering it, discord within the family, establishment of family graves and new shares, and strict practices of funeral were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that did not belong to anywhere else. However, as Joseon emphasized "Confucian filial piety," discord within the family like Lee Shim-won, the failure to establish Gamyo and Shinju, and the failure to practice Sangsangrye became ineffective. On the contrary, the "body damage" filial piety, which was eliminated from filial piety and became ineffective in confrontation with Confucian theory, was included in filial piety again thanks to the keynote emphasizing filial piety. As a result, thorough compliance with Confucian filial piety resulted in reducing the scope of filial piety, including previous ineffectiveness, and expanding the scope of ineffectiveness. In this process, the filial piety moved in the direction of filial piety. Finally, it is the use of the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of the state. Joseon actively utilized policies related to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such as reward policies and distribution of ethics documents, in the event of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such as regime change or epidemic. In addition to establishing a social order centered on Confucianism's theory of filial piety, he actively promoted filial piety during the period of confusion and induced the social order to work without wavering. From these points, it can be seen that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are not fixed in a single form, but have changed over time. This was sometimes done in the form of completing the appearance of Confucian filial piety, but sometimes it changed to suit the reality of Jose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nfucian filial piety, which settled in Joseon society from the 15th to the early 16th century, was a Confucian filial piety reflecting the reality of Joseon, and served as a strong norm for operating Joseon society. Although the ineffectiveness did not completely disappear, the existence of the ineffectiveness was inevitably reduced in a situation where the ineffectiveness and the separation of filial piety were taking place at the same time. This heralded a society where filial piety or both were ineffective. In fact, filial piety exerted influence on society as a whole as its value became absolute, and even though it committed a crime, there were cases in which it was not punished for receiving a reward for filial piety. In addition, the punishment for infidelity was strengthened, 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 crime of infidelity was used to remove political enemies or to secure leadership in families or hometowns.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emphasizing filial piety in Joseon, people's actions were gradually judged only as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which led to strengthening the influence of filial piety and filial piety.

      • 도시 통합에 따른 창원시 가로체계의 개선에 관한 연구

        김가람 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0년 7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창원, 마산, 진해 (구)시의 행정구역이 통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각 도시 간 도시공간구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각 지역의 가로망체계를 연결하여 하나의 도시처럼 통합시키기 위해서 각 지역 간 연결 가로망체계의 개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각 지역별 가로체계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시로서 도시 간 연결성 강화를 위한 가로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통합적 도시 관리를 위해 도시 내 도시를 지탱시키고 유지하는 것은 가로체계이며, 이 가로체계는 토지이용계획의 용도지역을 구획하는 큰 선이므로, 도시공간구조 상에서 가장 중요하며 가로체계를 기준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대상지가 되는 창원, 마산, 진해의 1970년부터 2020년까지 가로체계의 변천과정을 시계열 적으로 살펴보았고, 각 지역 경계부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세 지역의 가로체계를 살펴본 후 개선방안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지역의 가로체계의 발전은 시대별로 진행되었으며, 창원지역과 마산지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여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창원지역과 마산지역, 마산지역과 진해지역의 연결은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둘째, 통합 창원시 가로체계 중 메인도로를 선정해야 할 것이며, 이 메인도로는 기존의 세 지역의 메인도로를 기준으로 하여 메인도로를 지정해야 할 것이다. 창원지역을 기준으로 마산지역과 진해지역으로 접근하는 도로는 무리 없이 연결될 것으로 보이나, 마산지역과 진해지역의 연결 가로는 존재하지 않아 향후 연결 가로를 개설하고, 지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 창원시 이전 세 지역의 경계부분의 가로를 살펴본 결과 광로, 대로를 중심으로 한 큰 가로보다는 중로, 소로를 중심으로 한 접근가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 접근가로, 즉, 생활 가로는 한 도시 지역 내 접근성을 강화시키고 연결도를 증가시켜 도시의 경계가 완만해 지도록 통합 이전 세 지역의 경계부를 완화시켜야 한다. 세 개의 도시가 통합으로 인해 이 도시는 도시간의 경계가 충돌되고 도시계획의 불합리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도시가 되면서 다핵구조화 되어 도시의 중심성이 사라지게 된다. 도시간의 경계가 완만해 지도록 경계를 허물어야 하고, 도시 계획의 타당성과 선례연구 등을 통하여 불합리성을 가지지 않도록 타당하고 합리적인 계획을 해야 할 것 이다.

      • 세계식량위기와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신흥안보로서의 식량안보 관점에서

        김가람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세계식량위기 상황에서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의 대응관리 역할이 신흥안보 위기 발생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글로벌 거버넌스와 신흥안보 개념을 원용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고, 세 개의 세계식량위기 사례들에 적용하였다. 먼저 세계식량위기 상황들이 어떤 배경에 기인하여 발생했는지 신흥안보로서의 식량안보 관점에서 창발의 과정을 살펴본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세계식량위기 사례는 경제안보, 이상기후에 따른 세계식량위기 사례는 기후안보,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세계식량위기는 보건안보 위기에 기인하여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금융위기 및 이상기후에 따른 세계식량위기 상황에서는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가 적절히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국가정권 교체를 비롯하여 미중 패권경쟁, 아랍의 봄 발생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이는 또 다시 X-이벤트와 더불어 인간, 사회, 에너지, 경제, 보건, 사이버안보 등의 새로운 신흥안보 위기를 추동하였다. 반면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세계식량위기 상황에서는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가 앞선 경험들을 통해 역량을 갖춤으로써 해소하는 과정 중에 있었으나 예기치 못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다시 난항을 겪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의 역할이 신흥안보 위기 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양한 동인 및 이슈들이 연계되어 식량문제가 발생하였고, 서로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세계식량위기로 비화된 것이다. 따라서 세계식량위기 상황에서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식량문제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대응관리 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대처와 지속적인 대응관리 노력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을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해당 주제에 대한 논의의 현황과 한계를 살펴보고, 제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 및 개념으로 신흥안보와 식량안보 및 식량위기, 신자유주의적 제도주의와 글로벌 거버넌스,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4에서는 이전 장의 논의를 종합하여, 이들을 응용한 연구모델을 제안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연구모델을 세계식량위기 사례들에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제6장 결론에서는 사례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 수필을 통한 한국어 읽기·쓰기 통합교수-학습 모형 연구

        김가람 배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Integrated Korean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Learning Model through Essay KIM GA RA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Moun-Kwon Jung) For second-language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are crucial elements of language skills in improving effectiv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Nevertheless, much concern is being voiced that various goals of providing reading materials or conducting creative writing activities have not been properly implemented in the class. Thus, this study aimed at proposing the integrated Instruction-learning model, which enhances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skills by writing an essay. The study conducted as follows; first, needs survey was conducted on second-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used as basic data. In the previous study review, it ensured the validity of the study by examining the flow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ia literature and the researches on different genres or skills, and by identifying any issues. On chapter II, it tried to prove the efficient value by contemplating to examine the principles of the integrated language teaching in order to obtain the correl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Chapter III examines the principles of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and it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by writing an essay in Korean education. Furthermore, it analysed the activity on writing an essay, currently being used in the class, and the criteria in selecting an applicable work were developed individually for learners. Chapter IV is the significant part of the study, which proposed the Instruction-learning model to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learners in order that this model c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Integrated reading-writing classes immediately. The criteria for selecting an applicable work planned by this study primarily considered the learners’ desired goals of the achievement, language standards, and their needs and interest. It additionally focused on the works that are written in a modern language with an appropriate length for class hours and culturally accepted. Last but not least, it thoroughly reviewed the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whether it is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books called “It’s Okay” and “Waterfall and Fountain” were selected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learners respectively in order to meet these criteria. The integrated instruction-learning model for academic purposes was concretely organised to help learners to understand the cultural elements including appropriate vocabulary and expressions, and deeper meaning in the books. Moreover, it wa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books by applying interesting sources. Furthermore, this study did not only focus on theory but gave greater expectation and significance in actively and immediately implementing the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model by writing an essay in the class. Keyword : Integrated Korean education,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Use of Korean literary work, Educational model by writing an essay. 외국인 학습자에게 읽기・쓰기 영역은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매우 주요한 기능이다. 그럼에도 수업 현장에서는 다양한 읽기 자료의 제공이나 창의적인 쓰기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염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수필을 활용하여 중・고급 학습자의 읽기・쓰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문 목적의 통합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전 연구로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검토에서는 문학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흐름과 현재까지의 장르별, 기능별 연구 상황을 살피고, 문제 제기를 함으로써 이 연구의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교육과 문학교육의 상관성을 얻기 위해 언어 통합 교육의 원리를 고찰하여 그 효용적 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수필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의 효용성을 밝혔다. 다음으로 사전조사와 현재 수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필 작품을 분석하여 학습자 숙달도에 적합한 작품 선정 기준을 마련하였다. Ⅳ장은 이 연구의 핵심 부분으로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제 읽기・쓰기 통합 수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교수-학습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마련한 작품 선정 기준은 먼저 학습자를 중심으로, 언어 수준, 흥미도 등을 고려하였으며, 텍스트 자체로서는 현대어로 쓰인 작품, 수업 시수에 적절한 길이, 문화 수용 양상 등에 관심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할 수 있는 작품, 읽기・쓰기 통합 기능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살폈다. 이러한 기준에 적합한 작품으로 중급 학습자를 위한「괜찮아」와 고급 학습자 대상「폭포와 분수」를 선정하였다. 학문 목적 읽기・쓰기 통합 교수-학습 수업 모형은 해당 수필의 이해를 위한 어휘, 표현 학습에서부터 작품 속에 내제된 의미와 문화적 요소를 살펴볼 수 있도록 상세하게 구성하였으며, 흥미로운 매체를 활용하여 텍스트 내용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는 이론 중심이 아닌 실제 교실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수업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수필을 통한 읽기・쓰기 통합 교육이 더 활성화 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와 함께 이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주요어 ; 한국어 통합교육, 읽기·쓰기 통합교육, 한국문학작품 활용, 수필을 활용한 수업 모형

      •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일과 삶의 균형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김가람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인지적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직장인 34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을 배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4와 SPSS macro PROCESS3를 이용하여 기술분석, 단순상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은 상관이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 고위험사용자군은 일반사용자군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일과 삶의 균형, 적응적 인지정서 조절전략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스마트폰 중독과 일과 삶의 균형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스마트폰 중독 고위험군은 일반사용자군보다 일과 삶의 균형을 더 나쁘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전략과는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과 삶의 균형과 부적응적 인지정서 조절전략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일과 삶의 균형과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차후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접근을 할 때에는 환경과 개인적 요인을 함께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 하였다. 주요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기술하였다.

      •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김가람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로,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외모만족도, 외모관리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외모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 17일부터 9월 21일까지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부산에 소재한 전문대학 여대생 21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조사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으로 SPSS 21.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Chronbach's α,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Duncan test,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외모관리 관심분야에서 차이가 있었으며‘미용성형’을 선택한 집단이 외모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외모만족의 경우 외모관리비용과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선택 이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헤어만족은 외모관리 관심분야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외모관리비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외모관리비용이‘20만원 이상’집단이 외모관리행동을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부관리행동의 경우 외모관리 관심분야에서, 메이크업관리행동은 외모관리비용, 체형관리행동은 외모관리비용과 외모관리 정보습득경로, 미용성형행동은 월평균 용돈과 외모관리비용, 외모관리 관심분야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외모만족도와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외모지향, 신체만족과 헤어만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 경험이 높아지고, 외모평가와 피부만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 경험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만족도가 낮을수록 미용성형행동에 관심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여대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외모만족도 및 외모관리행동 연구의 확장성을 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Depending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Ga-Ram Kim Major in Beauty Design Department of Lifestyle Design Graduate School of Ar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s study analyzed the appearanc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features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o this e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10 female students in two-year colleges in Busan from Sep. 17 to 21, 2018. 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hronbach'sα,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Duncan test and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ackage.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below.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ppearanc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features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revealed a difference in the interest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respondents selecting ‘cosmetic surgery’ showed the highest appearance satisfacti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he sub-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category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s to why students selected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and their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Hair satisfaction showed a difference in the interest for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depending on the general features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a difference was identified in the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The respondents spending ‘over 200,000 KRW’ per month on average for appearance management performe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mos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the interest for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case of the skin care behaviors,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in case of the makeup management,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the route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ppearance management in case of the body shape management, monthly average pocket money,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and the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case of the cosmetic surgery. As for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the higher the orientation for appearance and satisfaction on body shape and hair were, the more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creased. The higher the appearance evaluation and skin satisfaction were, the more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decreased. This study identified that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s related to flight services performed a variety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the appearance satisfaction was, the more cosmetic surgery was performed, which is the same determination as in previous research. It is estimated that such results were a general trend in our society and might be caused by the expanding awareness of cosmetic surgery,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ies and influences from mass media. Accordingly,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emphasize the necessity of strict personal and social awareness and judgment f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 미용소비경험에 따른 미용소비인식,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의 차이

        김가람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소비경험에 따른 미용소비인식,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여 올바르고 긍정적인 미용소비인식을 가지도록 하고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미용소비경험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미용업에 필요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에 거주하며 미용소비경험이 있는 남녀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 연령은 20세 이상∼30세 미만, 최종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 결혼 상태는 미혼, 평균 월 소득은 300만원 이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표본의 미용소비경험은 가장 많이 소비하는 종목은 헤어, 월평균 미용 관련 샵 방문 횟수는 1∼2회, 월평균 미용 관련 샵 방문에 소비하는 비용은 3만원 미만, 미용 소비를 위해 방문하는 샵의 형태는 개인샵, 미용 소비를 위해 방문하는 샵을 선택한 이유는 시술자의 능력(기술), 월평균 미용 관련 제품 구매 횟수는 1∼2회, 월평균 미용 관련 제품구매에 소비하는 비용은 3만원 미만, 미용 소비를 위해 제품구매 시 선택한 이유는 품질 및 기능, 미용 관련 제품을 주로 어디에서 구매하는지는 인터넷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미용소비인식, 자아존중감 외모만족도의 요인을 알아 본 결과 미용소비인식은 감정적 소비, 상황적 소비 2가지 요인으로, 자아존중감은 부정적자아, 긍정적자아, 타인관계 3가지 요인으로, 외모만족도는 자신에 의한 만족도, 타인에 의한 만족도, 외모개선욕구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미용소비경험에 따른 미용소비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감정적 소비와 상황적 소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미용소비경험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정적 자아와 긍정적자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미용소비경험에 따른 외모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신에 의한 만족도, 타인에 의한 만족도, 외모개선욕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서비스 요금을 지불할 때 그에 합당한 금액이라는 것을 제공자는 설명력 있는 대화로 충분히 인지시켜주어야 하며, 대중이 원하는 소비와 감각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그에 맞는 광고를 제작하여 홍보하고, 인테리어·휴식공간·음향·직원의 패션·표정 등 분위기에 꾸준히 신경 써서 트렌드의 흐름과 소비자의 새로운 욕구를 빠르게 인식하고 개선하여 긍정적인 소비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미용샵 방문을 늘리기 위해서는 제공자와 소비자가 우호적 관계와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며,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방문을 위한 마케팅을 구성하고 소비자들이 흥미로운 소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독특한 이벤트를 제작하여 홍보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을 이용한 마케팅을 통해 새로운 트렌드를 빠르게 보여주고 꾸준히 업데이트한다. 가상으로 헤어, 메이크업 등을 자신의 얼굴에 직접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집에서도 편하게 신제품과 트렌드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하며, 구매까지 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편하고 간단한 절차로 이루어지게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며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대상이 서울 지역으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더욱더 높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 범위를 확대하여 연구하면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용소비인식 요인으로 감정적 소비, 상황적 소비 요인으로만 나누어져 한정적이기 때문에 좀 더 다양한 요인이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미용업의 마케팅과 서비스 제공에 본 연구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in beauty consumption awareness, self-respect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eauty consumption experience, to have correct and positive beauty consumption awareness, and to identify what effective beauty consumption experience is to increase self-respect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to present new marketing strategies necessary for the beauty industry. To this end, 416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r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variance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were found to be female in gender, age over 20 and under 30 years, final education at university/graduation, unmarried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of 3 million won or more. Second, the most popular items for beauty consumption are hair, hair, and beauty shop visits on a monthly basis, and the cost of visiting a beauty salon on a monthly basis is less than 30,000 won, and the reason why the shop visited for beauty consumption is because the person's ability (technology) and the person's monthly purchase of beauty products is 1 to 2 times, and the reason why the person spends less than 30,000 won on beauty products on average. Third, after finding out the factors of beauty consumption awareness and self-respectability, beauty consumption awareness was classified as two factors: emotional consumption and situational consumption; self-esteem as three factors: negative self-esteem, positive self-esteem; and personal satisfaction as three factors: satisfaction by others; and desire to improve appearance.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beauty consumption by the experience of beauty consum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nsumption and contextual consumption. Fifth, the difference in self-respect caused by the experience of beauty consum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gative self and positive self. Sixth, the results of recognizing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beauty consump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by oneself, satisfaction level by others, and desire to improve appear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vider should fully recognise the reasonable amount of consumers' service charges in a descriptive conversation, identify what consumption and sensations the public wants, produce and promote advertisements accordingly, and keep a steady focus on the mood such as interior, rest space, sound, and fashion and expression of employees, so that consumers can quickly recognize and improve the trend flow and consumer desire to consume positive experiences.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visits to beauty shops, providers and consumers must have a friendly and lasting relationship and meet the needs of consumers. It also organizes marketing for ongoing visits and produces and promotes a variety of unique events so that consumers can have an interesting consumption experience. Finally, through online marketing, new trends are quickly shown and updated steadily. By creating a program that can simulate hair and makeup on one's face in a virtual way, the company can comfortably accept new products and trends at home, and establish a system that consists of convenient and simple procedures that can directly lead to purchase. It also enables consumers to meet their preferences and meet expectations through various programs. However,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in the Seoul area, it is too much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so in the future research, expanding the area to secure even greater objectivity is likely to bring about more meaningful results. Moreover, research should be organized so that more diverse factors can emerge as beauty consumption recognition factors are limited by dividing them into emotional consumption and situational consumption factors, and this research should be useful in marketing and service provision of beauty care.

      • 대중가요(K-Pop)를 활용한 한국어 연음 현상 발음 교육 방안 연구

        김가람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education strategies of liaison using K-Pop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is paper, based on Bruner’s theory of discovery learning, aims to present a classroom strategy of effectively teaching a Korean pronunciation phenomenon called liaison to Chinese students. It proposes a strategy of utilizing Korean pop music (K-pop) as a way to achieve such a goal. Chapter 1 states the purpose and the need of research on the subject of this paper and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strategies that utilize K-pop to teach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phenomenon to Chinese students. My research on the subject has revealed that K-pop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inspiring many foreign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t has also shown a tremendous potential of K-pop as a key instru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hapter 2 examines Bruner’s theory of discovery learning, which compri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hesis. Although such theory of Bruner’s is not yet being actively used in the second language education, it has been approved of its effectiveness in other fields of education because of its emphasis on encouraging students’ inquisitiveness, creativity, problem solving skills, and other thinking powers. This is why my research has chosen to incorporate Bruner’s theory into the field of educating Korean pronunciation. Chapter 3 discusses the liaison phenomenon in Korean language and some common errors from which Chinese students often suffer. Next, it has selected some K-pop songs that are deemed to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phenomenon. The selection process reflects the result of survey on students’ preference. The songs that meet both the course objective of teaching liaison phenomenon and students’ preference are “Eyes, Nose, Lips” by Taeyang and “A Midsummer Night’s Sweetness” by San E and Raina. Chapter 4 lays out the classroom plan of utilizing K-Pop in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phenomenon.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plan is based on the steps of class procedure proposed in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a particularly effective pedagogical strategy i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by utilizing the worldwide popularity of K-pop. It has also shown a real potential of utilizing Bruner’s discovery learning theory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I hope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to actual classroom experience helps Chinese students to improve their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