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우 후지모토의 건축공간에 나타난 숲의 은유와 모호성 표현 방법

        기혁승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any architects were inspired from nature, using natural elements in architectural design recently.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architects is Sou fujimoto, who stressed that his designs are in a weak architecture. It’s a architectural form which features users-focused, inclusiveness and uncertainty. In order to show the style of the weak architecture, Sou fujimoto designs with the motif of mountains, forests and caverns, especially the use of forests. He believes that the architecture is a diversified place which is similar with the forest.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Sou fujimoto is to form the complex and various architecture through a large amount of simple geometrical shapes. Although it seems like the random pile of mass, the size of the user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ccurately calculate. The architecture regards users as the center and then derives multiple spaces. Through the study of Sou fujimoto’s works and interviews, it is easy to learn his design ideas and processes, and extract the words and sentences regarding forests. Four features of his architectures can be concluded in this paper: ambiguity in territorial boundaries, ambiguity in function, ambiguity in relationship and ambiguity in 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his works, the methods to make the ambiguity in territorial boundaries are the variation and gradation of the density and the decomposition of the boundaries. The methods to make the ambiguity in function are functional affordance and combining functions. The method to make the ambiguity in relationship is mainly reflected on the variation of the architecture mass, in which makes the angle rotation of the architectures and realizes the relationship diversification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position and size. Finally, the method to make the ambiguity in form is to establish the architectural spaces without fixed form which is similar with the forests by using the fractal theory in nature. This project is mainly used the ambiguity in territorial boundaries and relationship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inhabitation, such as the plane simplification, the functional immobilization and the territorial enclosing. The forest-like architectures can be built through the two ambiguities. The variation of the space density breaks the inherent boundary, and all kinds of void spaces form courtyards in the living. The variation of the light density makes the public and private space of the residences to be distinguished without any obvious boundaries. The space caused by the variation of the mass position will be regarded as the outer-space such as the balcony. And the variation of the mass size results in the multiple combination of the space. This research discusses breaking the inherent ideas of modern architectures through these space ambiguities to achieve more varied, comprehensive and interconnected in residential designs. 최근에 "자연스러운 건축"이 이슈가 되어 많은 건축가 들이 자연에 계시를 받아서 자연요소를 차용하여 건축 디자인을 진행한다. 일본 건축가 소우 후지모토(Sou Fujimoto, 1971-)는 그중에 하나이다. 후지모토가 저서에서 자신의 건축은 '약한 건축'으로 설명하고 '약한 건축'은 사용자중심으로 포용적이고 불확정성이 있는 건축철학이다. 이런 건축철학을 구현하기 위해서 후지모토가 자연 중 구름, 산, 동굴 등으로 모티브를 차용하고 디자인한다. 그 중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은 숲의 차용이다. 그 원인은 후지모토의 생각에는 건축도 숲과 같은 다원적인 장소이다. 후지모토의 건축 특성을 중합하면 단순한 기하형태 쌓는 방식으로 복잡하고 다양한 외관을 만들어낸다. 보기에 마치 난잡하게 쌓는 매스는 사용자의 스케일과 그 안에 일어나는 행위를 고려하여 정밀한 계산을 한다. 그리고 사용자 중심으로 하나의 공간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 후지모토의 저서 및 인터뷰를 통해서 그의 디자인 사상 및 특성을 이해하고 그 작품 중에 숲을 묘사하는 단어를 추출하여 그의 숲과 같은 건축의 특징은 경계의 모호성, 기능의 모호성, 관계의 모호성, 그리고 형태의 모호성으로 귀납할 수 있다. 그의 건축 작품을 분석하면 경계의 모호성을 나타난 방식은 밀도의 변화와 경계의 분해가 있고, 기능의 모호성을 나타난 방식은 기능 지원성과 기능의 약화하는 방식이 있다. 관계의 모호하는 방식은 매스의 변화에 나타나고 매스의 각도변화, 위상변화, 크기변화 등으로 관계의 다양성을 구현된다. 마지막에 형태의 모호성은 자연 속에 프랙탈적 방식으로 숲과 같은 고정적 형태가 없는 건축을 구현한다. 본 프로젝트 주로 경계의 모호성과 관계의 모호성을 통해 현대주거에서 평면의 획일성, 프로그램의 고정성, 그리고 영역의 폐쇄성 문제를 해결하고 숲과 같은 건축을 만들려고 한다. 공간 밀도의 변화는 고유의 경계를 깨뜨려 다양한 보이드 공간을 창출하여 각양각색의 정원을 만들어 내고 빛의 밀도의 변환은 주거에서 공적과 사적공간을 구분하지만 명확한 경계를 그리지 않는다. 매스의 변화로 구성한 사이의 공간은 주택의 테라스 등 외부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스의 크기의 변화는 공간의 조합을 다양하게 만들었다. 본 연구는 이런 공간의 모호성을 탐구하고 고유의 주택의 양식을 깨뜨려서 더욱 다양하고, 포용적이고, 관계성 있는 건축을 디자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