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정부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 탐색

        기영화(Kee, Youngwha)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capital effect of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of local governments. The study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from program managers at 17 community senior centers in the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using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The researchers extracted 179 concepts related to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and the effects were summarized into 19 catego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ipating in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all health by offering emotional support for seniors,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nd encouraging an active life. Moreover, the program can create social capital in several ways by encouraging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boosting volunteer activities, and fostering interaction across generations. The article concludes by arguing that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are indeed worth it as they can be a significant catalyst for social capital creation by encouraging social participation of seniors.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의 노인일자리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17개 노인복지관의 노인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심층면담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지속적 비교분석으로 개방코딩에 의해 노인일자리와 관련된 개념은 179개로 축약되었으며, 일자리사업 결과는 19개의 범주로 탐색되었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은 일의 중단과 소속에 대한 박탈감을 경험하며, 개인의 경제적 여건이나 활동에 대한 갈망과 심리적 위축상황이 맥락적 조건으로 개인의 특성이나 일자리 혹은 노동의 강도 및 참여동기가 중재적 조건이었으며, 일자리사업 담당자의 일자리 중개 및 발굴, 교육과 모니터링이 상호작용전략으로 작용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는 노인들의 심리적 안정과 생활의 만족뿐만 아니라 삶의 활력소로 건강증진 효과를 가져오고,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자원봉사에의 참여 및 다른 세대와의 교류와 관계 만들기를 통한 사회적 자본 증진 효과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들의 사회적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형성 및 통합에 기여함으로써 사회적 자본 생성에 기여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경제 차원의 사회적기업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비교연구

        기영화(Kee, Youngwha)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7 No.3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과 기업의 사회적책임의 개념을 양자가 추구하는 가치와 조직형태 및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경제의 사회적 목적실현과 사회적 가치 추구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실업문제와 일자리 창출의 한계라는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적 이슈는 그 해결책으로 사회적기업을 주목하고 사회적기업법 시행의 10년을 맞아, 현장에서 사회적기업은 정책적 대안으로 일자리를 창출 등의 성과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그 가치 확장을 위한 사회적경제기본법(안)의 시도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런 현실에서 사회적경제가 한국사회에 근거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경제 조직에 대한 분석은 경제적·사회적 이슈에 대한 잠재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과 사회적 책임의 성립요건과 유형의 분류와 함께 사회적경제조직의 다양한 형태들과 비교논의를 통해 장단점을 분석하고 활용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enterpris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to suggest alternatives for better practices and policy consideration from perspective on socioeconomic. It"s analysis focused on organizational and management forms and values toward. Since social enterprise law established in 2007, socioeconomic in Korea concentrated on creating job and increasing income and extending their efforts to propose tentative socioeconomic law. To set effective socioeconomic environment, it needs to be differentiated social enterpris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various forms and practices that is inclusive socioeconomic. This study compare these concepts under socioeconomic to improve social purpose through business and suggested their practice considered to contribute economic justice and decrease inequalit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문화자본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와 지역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기영화 ( Kee Youngwha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地方行政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자본이 커뮤니티웰빙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커뮤니티웰빙의 다차원 모델 접근법에서 사용하는 문화자본 요인을 측정하였다. 지방정부가 주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증대하면서 지역사회가 보유한 역사, 전통, 문화와 생활양식 및 주민들의 가치를 포함한 문화자본이 주민들의 생활만족도와 지역사회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커뮤니티웰빙 요인 가운데 지역사회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드러내는 문화적 자본은 결국 주민들의 지역정체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연구 데이타는 2015년 커뮤니티웰빙 전국조사 자료로 27개 지방자치단체로부터 2723명의 지역주민이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자본은 자신의 지역사회의 소속감과 개인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소득수준과 건강상태는 문화자본에 대한 시군구의 지방자치단체 수준에 따라 다른 영향 요인이 작용하였고, 이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지역사회의 커뮤니티웰빙은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지방정부는 지역사회의 다른 자본들, 사회자본이나 인적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적 자본에 대한 공공서비스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s cultural capital on the level of community well-being. To study this, we measured the factors of cultural capital used in the multidimensional model approach of community well-being. It is difficult to measure cultural capital because it is difficult to handle in public service of local government. However, as local governments have increased their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ir inhabitants, cultural capital, including the history, traditions, culture, lifestyles and values of the residents of the community, has impacted on the residents. Cultural capital, which reveals the identity and uniqueness of the community among various community well-being factors, is a factor affecting the local identity of the residents and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The research problem is through the national survey in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capital had an influence on the sense of belonging and personal life satisfaction of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of the individual were influenced by the level of the local autonomous community in the city and municipal area, and the community well-being of the local residents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Therefore, local governments should build public services for cultural capital in order to improve other communities' capital, social capital or human capital.

      • KCI등재

        평생학습동아리참여가 커뮤니티웰빙 인식에 미치는 영향

        기영화(Kee, Young Wha),김남숙(Kim, Nam Sook),권영선(Kwon, Young Su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1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평생학습동아리 참여가 커뮤니티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평생학습의 기대효과를 개인에 국한하지 않고 지역사회 평가로 확장한 것에 의의가 있다. A시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평생학습동아리 참여 여부가 거주 지역의 커뮤니티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커뮤니티웰빙은 지역자본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간주관성 커뮤니티웰빙과 그 지역자본에 만족하는 정도인 주관성 커뮤니티웰빙으로 세분화해서 분석하였다. 방법론적으로 평생학습 참여자의 관찰되지 않는 특성을 배제하고 일반시민과 비교할 수 있도록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도구변수(IV)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평생학습동아리 참여주민은 그렇지 않은 주민보다 주관적 커뮤니티웰빙 점수를 높게 나타났다.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후 학습동아리 참여의 순수 효과가 지역자본에 만족수준을 더 높인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간주관적 커뮤니티웰빙에서는 평생학습동아리 활동 여부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는 평생학습동아리에서 활동하는 주민이 지역사회에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주민 개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무관하게 지역자본의 수준을 간주관적인 평가가 실질적으로 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learning circles on community well-being. Notably, the expected effect of lifelong learning was not limited to individuals but also expanded to the local community. Citizens of city A were survey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learning circles, which was used to evaluate the happiness of the local community.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wo categories: presumed inertia community well-being, which objectively evaluates the level of local capital, and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which measures the how satisfied the community is with the level of local capital. The survey excluded participants with undisclosed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research model with the general public, the validity of the causal relationship increase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nstrumental variable (IV).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ircles activities showed higher subjective measures of community well-being than those who did not. By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learning circles activities, it is apparent that participation in learning circles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with local capital. However, in interpersonal community well-being, learning circles activitie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Research shows that residents who are active in learning circles feel a greater sense of happiness in the local community.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evaluate the level of local capital irrespective of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sidents.

      • KCI등재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학습경험분석

        기영화 ( Kee Youngwha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글로벌 MOOC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가 미치는 고등교육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 참여자들의 K-MOOC 학습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장소에 기반을 둔 전통적 대학교육 패러다임으로부터 장소와 시간의 제한을 벗어난 온라인콘텐츠를 기반으로 대학교육을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접근할 수 있는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모든 이를 위한 고등교육이 가능하도록 강좌를 개방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국제적 환경에서 한국형 온라인강좌의 확대 및 국제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2016년 K-MOOC 플렛폼을 통한 조사에 응답한 2691명의 학습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K-MOOC 학습특성은 누구나 교육 강좌가 접근할 수 있는 시공간적 제약을 초월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통제하는 자율학습행태를 보여주었으며 71.6%가 학사학위이상 소지자인 점은 글로벌MOOC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K-MOOC 학습요구분석은 지적 호기심과 개인적 목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학습과정은 1-2시간으로 스스로 진도를 조절하는 점을 선호하였으며, 시간부족과 학습내용의 난이도 혹은 선수학습요건의 제한으로 학습을 지속하기 어려우며 66%가 중도포기자로 학습동기와 학습결과활용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higher educational paradigm adapted the global MOOC and K-MOOC and to analyze learning experiences and needs of K-MOOC participant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ransformed higher education by university system into a lifelong education paradigm that can be accessed anytime and anywhere based on online contents beyond the place based and time limited from the traditional university education paradig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691 K-MOOC courses'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and needs in response to the survey through the K-MOOC platform in 2016 were analysed. It will b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K-MOOC and extended usage. The results showed that K-MOOC participants showed self-directed learning behaviors in which learners control their own learning and 71.6% of participants have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The needs of K-MOOC participants for improved courses were suggested various. They preferred courses to fulfill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and personal purpose, and the learning process preferred to adjust the progress by oneself by one to two hours length of learning. 66% of participants was droped out and the reasons showed the lack of time, difficulty of learning contents. It is difficult to achieve whole hours in limited time and it suggested policy alternatives to motivate their learning and recognition of K-MOOC learning achievements are needed.

      • KCI우수등재

        2013 봄 ; 성미산 지역공동체 커뮤니티웰빙의 패러다임 모형분석: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기영화 ( Young Wha Kee ),김승현 ( Seung Hyun Kim ),김남숙 ( Nam Sook Kim ) 한국행정학회 2013 韓國行政學報 Vol.47 No.1

        본 연구는 성미산 지역공동체 들여다보기를 통해 지역공동체의 커뮤니티웰빙을 탐색하고자 주민 주도형 도시마을공동체의 대표 사례인 성미산마을을 임의 선정하고 근거이론으로 연구하였다. 자료는 문서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성미산 마을공동체에 3년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7명이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패러다임모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자료는 개방코딩에 의해 78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 범주, 15개의 범주로 통합되었다. Strauss와 Corbin의 패러다임모형에 의한 분석 결과, 인과적 상황은 ``양육환경의 불만``과 ``가치관과 현실의 괴리``였으며, 현상은 ``일상문제해결``과 ``삶의 행복``으로 나타났다. 전후관계는 ``갈등발생``과 ``생활위기직면``이었으며,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재능기부``, ``소통과 교환구조마련``, ``공동체역량강화``, ``느슨한 관계망``으로 드러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중재조건은 개인차원이 아닌 공동차원의 문제접근과 끊임없는 회의와 친목모임 등 ``다양한 활동참여``와 ``주민간의 접촉``으로 드러났고, 결과는 ``마을에 대한 애착``, ``마을에 대한 기대``, ``마을살이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성미산 지역공동체의 커뮤니티 웰빙 연구의 핵심범주는 ``개인과 공동의 웰빙 추구``로 통합되었다. 이들은 공동체 형성과정을 거치면서 개인의 문제가 개인만의 해결책이 아닌 공동의 문제로 외연화 시키고 일상생활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지역공동체로 형성됨을 보이고 있어, 웰빙 추구가 개인의 웰빙 추구를 넘어서 커뮤니티웰빙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ommunity wellbeing through a case study of a self-generated community. We chose the Sungmisan Village case as it has been widely publicized as a successful community building case and collected data through document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of seven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been involved in the Sungmisan community for over three yea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Strauss and Corbin`s approach to grounded theory, using continuous comparison and final results were obtained by applying Strauss and Corbin`s paradigm model. We used open coding to extract 78 conceptions, 27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and found that there was a dynamic interaction of factors in the process of Sungmisan community building. In detail, the cause-and-effect factors were “dissatisfaction with nurturing environment”, “gap between value ideals and reality”; phenomenal factors were “solve daily life problems” and “happiness in life”. Contextual factors were “incidence of conflict” and “confronting livelihood crisis” and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 core situation were “talent donation”, “building a communication and exchange system”, “community empowerment”, and “loose networks”. Terms of arbitration in regards to the core situation showed constant characteristics of approaching problems at the community level rather than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participating in various activities” and “frequent contact with neighbors”. The results were “attachment to village”, “high expectations about village”, “satisfaction with living in the village”. The overarching category of Sungmisan community-building can be summarized as “pursuit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wellbeing”. In sum, Sungmisan community participants were able to extend the search for solutions to individual problems and everyday concerns to a collective process of building a community. This case shows how the pursuit of individual wellbeing can not only enhance individual wellbeing, but also community wellbeing.

      • KCI등재

        광역자치단체의 커뮤니티웰빙 연구

        기영화 ( Youngwha Kee ),정서린 ( Seolynne Jeo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地方行政硏究 Vol.32 No.2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의 커뮤니티웰빙을 조사하고 지역자본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지방자치단체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공급자의 관점에서 행정서비스 전달이라는 한계도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요자로서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는 지역생활만족도와 지역생활환경평가를 조사하고 광역자치단체간 비교하였다. 커뮤니티웰빙의 조사는 다차원적 커뮤니티웰빙 모델에 기반하여 제시된 조사지를 사용한 2015년 전국 커뮤니티웰빙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주를 제외한 광역자치단체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할당 후 무작위추출 하였으며 전문조사원에 의한 PI질문지 방식으로 수집된 2,723명의 자료가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광역자치단체의 커뮤니티웰빙 수준에 대한 지역생활만족도와 지역생활환경평가는 지역자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는 지방정부의 효율적 행정서비스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한정된 지방정부의 재원을 효율적으로 투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munity well-being of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ocal capital.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servi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bu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delivery of administrative services from the supplier's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cal life satisfaction and local living environment evaluation that the local residents perceived as a consumer and compared them among metropolitan municipalities. The survey of community well-being wa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community well-being model and used the national community well-being data for 2015 using the survey paper.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was allocated by gender, age, and region and randomly selected over 19 years old residents except Jeju. 2,723 data collected by the PI questionnaire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regional life satisfaction and regional living environment evaluation for community well-being lev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local capital. These results will provide policies for effective administrative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and provide data for efficient allocation of limited local government resources.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외국인유학생 생활만족도 분석 :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기영화(Kee, Yeunghwa),장지현(Jang, Ji-Hyun)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9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최근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 특히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결합조건을 도출하는 것이다. 둘째 이를 통하여 일정한 유형으로 유학생들을 분류하고 이 분류에 근거하여 의미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중국인 유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있어서의 만족하는 비율은 약 60% 수준이며, 불만을 느끼고 있는 비율이 40% 수준으로서 불만을 가지고 있는 유학생의 비율이 예상보다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개인적 배경을 놓고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해 본 결과 최종 노드 12개가 생겼음을 알 수 있었다. 불만족이 높은 경우에 초점을 두어 볼 때, 우선 한국에 거주기간이 짧고, 한국어 등급이 낮은 여자 유학생이 불만족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한국의 유학생활 정착과정에 있어서 대학당국이 특별한 정책적 관심을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discover the combinations of the variable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especially with regard to Chinese students, to categorize them into some groups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and to put forward policy suggestions for the Korean universities to be a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ir foreign students. In so doing, this paper employs the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approximately 60 per cent of the responding students feel satisfied with their living and study environments and that 12 end nodes are generated, implying that students’ satisfaction level is relatively not higher than expected and also 12 groups of the students can be provided education-rel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 conditions.

      • KCI등재

        커뮤니티 웰빙의 다면적 주관적 인식 및 객관적 조건과 비교

        기영화 ( Young Wha Kee ),서인석 ( In Seok Seo ),남채봉 ( Chae Bong Nam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地方行政硏究 Vol.28 No.4

        본 논문은 서울시 다섯 개 자치구(강남, 구로, 동대문, 마포, 중구-종로)를 대상으로, 주관적 인식(주관적 웰빙)과 객관적 조건(객관적 웰빙)을 비교, 자치구별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검토한다. 또한 주관적 웰빙을 두 가지 측면(개인적 만족도, 지역 수준 평가도)으로 분리, 양자를 비교하였다. 개인 만족도는 나에 대한 인식("I-ness")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 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여, 지역 수준 평가도는 집합체 수준에서 누리고 있다는 정도이며, 우리(지역 사회) 중심("We-ness") 인식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조사결과, 구로 및 동대문에서 개인 만족도가 지역 수준 평가도보다 높은 경우가 많았으며, 강남의 경우는 정반대 성향을 보이는 바, 개인 만족도에 비해서 지역 수준 평가도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또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은 객관적 웰빙(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웰빙(주관적 인식: 개인 만족도와 지역 수준 평가도)의 불일치라고 할 수 있다. 향후 객관적 조건을 좀 더 엄밀하게 파악할 수 있은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조건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커뮤니티 웰빙 연구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a) analyze two-faceted perceptions of community wellbeing, specifically personal satisfaction and local evaluation, and then b) connect this analysis to the objective conditions of local communities. This exploration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and objective community wellbeing Data are collected from about 1000 residents across six municipalities in Seoul: Kangnam, Guro, Mapo, Dongdaemun, Junggu-Jongro.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in Guro and Dongdaemun, person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local evaluation, while the opposite tendency was observed in Kangnam, where local evaluation was higher than personal satisfaction. Other findings include a substantial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community wellbeing and objective community wellbeing. Further study is need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ions and contribute to a more sophisticated theorization of community wellbeing research.

      • KCI등재

        Major Issues in the Concept of Social Value

        Kee, Youngwha(기영화)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0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사회적 가치의 개념의 중요한 속성을 연구하는 그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가치는 오늘날 큰 관심을 받는 연구 주제임이 드러났고 사회적 가치의 연구주제는 다섯 개의 그룹으로 나타났다. 다섯 가지 주제를 포괄하는 키워드는 커뮤니티와 시스템이었고, 공공영역과 민간기업 영역 모두에서 사회적 가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커뮤니티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다양한 문제들이 사회적 가치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커뮤니티 관련 기관에서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커뮤니티는 구성원끼리 서로 배려와 공동체 의식을 보여 주면서도 같은 통일감을 가질 수 있는 공간이다. 사회적 가치의 문제는 기회의 불균형이나 결과의 불균형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불균형을 바로 잡고 계급 간 격차를 줄이는 데 있어 중요한 이념적 문제이다. 사회적 가치의 문제에 접근 할 때, 정책 입안자들은 커뮤니티가 그것의 핵심 요소라는 것을 인식하고 향후 커뮤니티의 속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social value, using textual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topic of social value, which is currently receiv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today, breaks into five topic groups. These topic groups are described with the keywords community and system. In attempts to solve the social value problem, whether in the public or the private sector, problems must be approached in a way that incorporates community perspectives; this entails that problems relating to social value must be solved with community-related institutions. A community is a space where its members give each other mutual consideration and provide a sense of community and a sense of unity. The social value problem is an important ideological issue, arising in the need to correct imbalances and reduce the gap between classes at times when social problems, such as imbalances of opportunity or of outcomes, arise. The community is a key element in the social value problem, so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various methods to strengthen th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