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1

        이 논문에서 필자는 지리학과 문학 연구 분야에서 진행되어 온 문학지리학의 연구방법론 및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학문적 개념으로는 1990년대 초부터 지리학자들이 해외의 연구성과를 도입하며 문학지리학을 소개하고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국문학계에서 2000년대 중반 이후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리학 연구자들의 문학지리학 연구는 지리학의 논리 위에서 문학을 활용하여 지리학 연구의 외연을 넓혀 왔다. 이은숙과 김진영, 심승희 등은 실증주의적 접근, 인본주의적 접근, 구조주의적 접근을 통해 문학작품에 표현된 장소 경험을 연구하였다. 현재 문학작품 소스 발굴 및 작품 이해가 제한된 상태에서 문학지리학 연구 전망은 밝지 않다. 이 점에서 이은숙이 공동연구 방식을 통해 문학작품에서 도시공간, 이민공간, 여가공간을 주목하고, 장소 마케팅, 여가, 문화적 정체성, 문학공간의 DB화 등의 주제를 연구해온 것은 연구의 다양성 및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국문학계에서 조동일은 지방문학사, 또는 지역문학 연구의 개념으로 문학지리학 연구를 시도하였다. 김태준은 ‘문학지리’, ‘심상공간’이라는 용어를 쓰면서 방향성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연구는 ‘문학기행 에세이’, ‘지역문화 연구’ 성격을 지닌다. 동국대 현대문학 연구자들은 『근대 한국의 문학지리학』을 공동집필하면서 ‘표상’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며 지리학자들과는 별개의 인식과 방법을 가지고 문학 공간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이승수는 연행노정 및 중국 배경 소설을 연구하면서 인문지리학적 관점과 서사지리 개념을 사용하면서 훈고학적 고증과 현지답사를 통한 문학의 공간을 연구하였다. 권혁래는 전란을 소재로 한 조선후기 중국 배경 역사소설을 연구하면서 문학공간을 실증적으로 고증하고, 문학작품에 그려진 공간(장소)와 서사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문학에 그려진 노정․공간이 왜곡된 것이나 장소 형상화에 깃든 작가의식을 스토리텔링의 방식으로 해명․고찰하였다. 탁원정, 이강엽, 조재현, 신태수, 김수연 등은 고소설 작품에서 공간의 특성, 공간과 갈등의 관계를 주목하면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해석하는 적실한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다양한 고소설 작품의 공간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모델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한다. 문학에서는 문학지리학에 대한 좀 더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방문학사’, ‘지역문화 연구’ 개념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심상지리’, ‘표상’, ‘서사지리’, ‘문학지도’, ‘스토리텔링’ 등의 개념을 발전시키고, 지리학계에서 진행해온 ‘장소와 장소성, 경관, 인문지리’ 논의를 수용하여 공간, 장소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지리학과 문학 연구자들은 각자의 영역에서 심화시켜 온 연구성과를 공유하며, 상이한 개념과 용어 문제, 문학공간의 활용 방법에 대해 토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overall research findings on literary geography, and to further discuss the issues and challenges found during the course of the review. The academic terminology associated with literary geography first came to the fore in the early 1990’s when geographers introduced overseas research findings. Literary geography has been studied in earnest in the Korean literature community since the mid-2000‘s. The studies on literary geography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f the underlying logic of geography within literature. To be more specific, Eunsook Lee, Jinyeong Kim, and Seunghui Sim took empirical, humanistic, and structural approaches, respectively, to study the experiences of a place expressed in literary work. Under the currently restricted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excavation of literary sources, as well as the processes required to understand literary works, the outlook of the research on literary geography is not promising. However, using a collaborative research approach, Lee’s study described how places can be urban spaces, immigration spaces, or leisure spaces. Lee’s research on the database of literary space, cultural identity, leisure, and place marketing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literary geography research at this point in time. Dongil Cho tried to study literary geograph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local or regional literature. Taejun Kim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regional culture and the wiring of literature tour by using the terminology “the imagery space” and “the literary geography”. Modern literature researchers from Dongguk University used the concept of represent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literary spaces when they co-wrote “Korea’s Modern Literary Geography” in order to express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research methods compared to those of geographers. Seungsu Lee proposed a research method for literary spaces by using exegetically historical research and field surveys, adopting the concept of an epical space from anthropology. Hyeokrae Kwon empirically studied the historical evidence of spaces found in a novel, while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s and their accounts, and the storytelling style of the spaces. In literary studies, a more systematic and logical approach is needed for literary geography. It is not sufficient to use terminology such as “the history of local literature” and “the study of regional literature”. More in-depth approaches to spaces and places should be introduced by further developing the concepts of imagery space, representation, epic geography, literature map, and storytelling, while considering discussions of place and sense of place, landscape, and human geography.

      • KCI등재

        일제하 『흥부전』의 전래동화화 작업에 대한 고찰

        권혁래 ( Hyeok Rae Kwon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adaptation process of Heungbu-jeon conducted within the category of ``modern inheritance of classic novels.`` Two issues are addressed in the paper. Mainly, the review traces the process of how Heungbu-jeon was changed into a fairy tale. In addition, the author compares aspects of transformation in its subject and meaning are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lbu and Heungbu(1) included in the Chosun Fairy Tales(1924) was shortened and modified from the original printed version, Heungbu-jeon composed of 25 chapters. Moreover, it has succeeded to the Heungbu-jeon written in Japanese since 1910, and consolidated its base as the main axis of passing fairy tales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is characterized that in the rewritten version the original was condensed and described in the center of the incident of splitting a gourd into two. When characters were configured, the greedy, cruel and negative personality of Nolbu and the ``congenial and kind`` personality of Heungbu were newly brought in relief. Nolbu and Heungbu(2) included in the Joseon Jeollae Donghwajip(1924)is an idiomatic work, showing characteristics of a folk tale. The writer, Park Yeong-man only highlighted the swallow and a gourd while he omitted all the other incidents. Nolbu and Heungbu`s destinies were determined by their attitude to the swallow. Here, virtue and vice between Nolbu and Heungbu were distinguished; with the incident one became happy but the other unhappy. Nolbu and Heungbu(2) never gave Nolbu an opportunity to become a new man and only focused on punishing him. In addition, the story concluded with Nolbu`s death, which is an interesting structure. This is the uniqueness of Nolbu and Heungbu(2).

      • KCI등재

        근대 한국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고찰

        권혁래(Kwon, Hyeok-Rae)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동화’, ‘고래동화’, ‘옛이야기’ 등으로도 호칭되는 ‘전래동화(傳來童話)’는 고전서사 중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선정․재화된 근대 서사문학텍스트를 일컫는 용어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근대 시기 출판된 한국전래동화집의 출판과 문예적 성격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론에서는 첫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출판과정, 둘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문예적 성격, 셋째, 인물과 주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째, 근대 전래동화집의 출판과정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가 1917년에 출판한 新日本敎育昔噺, 다나카 우메키치(田中梅吉)가 1924년 출판한 [조선동화집], 나카무라 료헤이(中村亮平)가 1926년 출판한 [조선동화집]은 일본어로 출판된 동화집이다. 한국 전래동화집의 시작은 이들 일본인 연구자들이 주도하였다. 이를 이어 사범학교 교사이자 한글 연구자인 심의린(沈宜麟)이 한글교육의 일환으로 1926년 [조선동화대집]을 출간하였고, 동화작가 박영만(朴永晩)은 1940년 조선전래동화집을 출간하였다. 둘째, 근대 시기에 출판된 다섯 편의 전래동화집을 대상으로 문예적 성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카기 도시오는 한국과 일본의 동화가 유사하면서도 차이나는 지점이 있음을 흥미롭게 여겨 작품을 선정하였고, 재미있는 소담을 많이 수록하여 삶의 지혜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다나카 우메키치는 교훈적인 내용의 동화를 주로 선집, 재화하였다. 조선동화집은 우리 전래동화 형성과 전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것으로 파악된다. 나카무라 료헤이는 일본어로 된 선행 작품집들을 편집하여 일종의 전래동화 교합본을 출판하였는데, 작품 구성과 문예적 성격은 안이한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심의린은 조선동화대집에 어린이를 주인공으로 하여 지혜와 꾀를 강조한 작품들을 많이 선집하였다. 박영만은 자신이 현지 채록한 설화를 제재로 하여 다양한 캐릭터와 주제, 지역성을 표현하였고, 문장 표현과구성 면에서 세련된 동화의 면모를 보여주었다. 셋째, 근대 전래동화집에서 공통되며 주목되는 인물상은 바보, 의좋은형제, 욕심 많은 형과 착한 동생, 탐욕스런 중 형상 등이다. 꾀 많은 아이, 외쪽이, 효자, 혹부리 영감, 나무꾼, 흥부와 놀부, 트릭스터 형상도 자주 등장하였다. 대표적 동물상은 호랑이, 토끼이며, 이외에도 거북이, 여우, 두꺼비, 사슴, 까투리, 원숭이, 개 등이 있다. 대표적 ‘신격’은 ‘도깨비’이며, 그 다음으로 용왕, 선녀, 신선이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주제를 고찰한 결과, 일본인 편자들은 형제 우애, 효성, 정직, 근면을 좀 더 많이 주제로 내세웠고, 한국인 편자들은 같은 주제를 그리면서도 지혜와 꾀, 분별력, 재치, 용기를 좀 더 많이 내세웠다. Fairy tales is a modern narrative literature selected and rewritten for children in classical narrative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ublishing and literary character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published in modern times. I wrote, first, the process of publishing moder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second, the literary character of moder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nd themes. Takagi Toshio(高木敏雄), Tanaka Umekichi(田中梅吉) and Nakamura Ryohei(中村亮平) published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ritten by Japanese in 1917, 1924, and 1926. The beginning of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as led by these Japanese researchers. In 1926 and 1940, Shimg Yi Lin and Park Yong Man published the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written by Korean. The characteristic figures in Korean fairy tales collections is the idiot, the good brother, the greedy brother, the good brother etc. A lot of children, outsiders, scorpions, hornbills, woodcutters, heungbu, nolbu, and trickster appeared frequently. The characteristic animals are tigers, rabbits, and turtles, foxes, toads, deer, fours, monkeys, and dogs. The representative ‘Goddess’ is ‘Dokkaebi(a goblin)’, followed by The Sea God, a nymph, a benevolent wizard living in the mountai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mes, the Japanese editors have put more emphasis on brotherly love, filial piety, honesty, and diligence, and Korean editors have made more wisdom, trickery, discernment, wit and courage while drawing the same subject.

      • KCI등재후보

        낙서 장만의 심하전투 관련 차자(箚子) 연구

        권혁래 ( Kwon Hyeok-rae ) 연민학회 2020 연민학지 Vol.34 No.-

        이 논문에서는 낙서(洛西) 장만(張晩, 1566-1629)의 심하전투 관련 차자(箚子)에 기술된 현실인식 및 주장에 대해 고찰했다. 「논관북민막겸진기무차(論北關民瘼兼陳機務箚)」는 장만이 광해군 즉위년(1608) 8월 16일에 올린, 장편의 ‘함경도 개혁’ 보고서이다. 장만은 함경도 백성들이 겪는 병폐에 대해 따지고 헤아려 개혁책을 찾고, 누르하치로 인한 군사적 위험에 대해 고하고 대비책을 제시했다. 「진기무인청정선수역차(陳機務因請停繕修役箚)」에서는 조정은 후금이 조선을 선공해 도성 깊숙이까지 쳐들어오지 못한다는 점을 백성들에게 알리고 잘못된 소문이 퍼지지 않도록 조처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임금에게 궁궐 공사를 중지해줄 것을 진달했다. 「부체찰사왕관서시진계차(副體察使往關西時陳戒箚)」에서는 심하전투를 앞두고 명 경략 양호와 조선 도원수 강홍립 군중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외교전략을 제시했다. 「논호서답송사의잉진소회차(論胡書答送事宜仍陳所懷箚)」는 심하전투 직후, 누르하치가 보내온 서신에 대한 답서를 준비하라는 광해군의 하문에 대해 장만이올린 차자이다. 장만은 명에 대해서는 ‘사대책’을 제시하고, 후금에 대해서는 ‘미봉책’을, 조선이 취해야 할 정책으로는 ‘자강책’을 제시했다. 장만은 건의·청원·진정 내용의 차자를 통해 광해군과 의미 있는 공적 의사소통을 하는 한편 격정적인 소회와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군주와 정서적 소통을 꾀하였다. 광해군은 장만의 청원을 대부분 수용해 국방을 강화하도록 조처했다. 다만 심하전투 당시 후금과의 군사적 충돌을 피하려 했으며, 포로가 된 강홍립 및 조선장병을 옹호한 점은 장만과 뜻을 달리했다. 궁전 토목공사를 중지해야 한다는 장만의 진달은 한 번도 수용되지 않았다. Nakseo (洛西) Jang Man (張晩, 1566-1629) is a civil servant and general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overcoming the national struggle across three generations: King Seonjo, Gwanghaegun, and Injo. In this paper, attention was paid to the Sentences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 related to Simha Battle (1619), and the reality perceptions and claims described in the work were examined. 「論北關民瘼兼陳機務箚」 is a long-term report titled ‘Hamkyung-do Reform’ written on August 16, 1608. Jang Man was appointed as an observer of Hamgyeong-do and reported to the king about the lives and military issues of the people of Hamgyeong-do. 「陳機務因請停繕修役箚」 is a report that contains the awareness of the situation just before Simha Battle and the defense against the Qing Dynasty. 「論胡書答送事宜仍陳所懷箚」 is a report written by Jang Man after being defeated by Simha War and instructed by Gwanghaegun to prepare an answer to the letter sent by Nurhachi (奴爾哈齊). Through Jang Man's the Sentences of Presenting a Memorials to the King related to Simha Battle, Gwanghaegun is a monarch who tried to read, hear and communicate various reports, reforms and petitions of Jang Man.

      • KCI등재
      • KCI등재

        <조완벽전>과 <최척전>에 그려진 민간인 포로 형상과 해양체험

        권혁래 ( Kwon Hyeok-r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이 논문에서 필자는 포로실기 <趙完璧傳>에 기록된 임진왜란 민간인 포로조완벽의 항해와 해양체험을 분석하고, 이와 연관하여 조위한의 소설 <최척전>의 포로서사 및 문학공간 설정이 <조완벽전>과 어떻게 상관있는지에 대해 상론하였다. 이수광은 항해노정 중, 조완벽을 무역선원의 형상으로 묘사하고, 항해 도중겪은 특이한 일들을 주로 기술하였다. 이수광은 항해노정 중 일본 사츠마주, 중국 광동성, 베트남 흥옌, 필리핀[呂宋], 류큐(琉球) 등의 주요 지명과 원양항해기법을 비중 있게 기록하였다. 남양견문에서 해류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거세게흐르는 것에 대해 “서쪽 바다의 수위가 높고 동쪽이 낮아 그렇다(海水西高東下)”고 한 인식은 독특하다. ‘游龍’ 이야기는 ‘용오름 현상’에 대한 것으로, 당시 뱃사람들이 토네이도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보여준다. 조위한은 조완벽, 이수광 등과 동시대의 인물로서, <조완벽전>을 읽고 <최척전>을 구상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조위한은 <조완벽전>에서 민간인포로라는 주인공 형상, 나가사키·바다·무역선·베트남항구라는 문학공간, 민간인 포로의 고국귀환이라는 주제 등의 면에서 제재를 얻고 상상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조위한은 옥영의 ‘베트남행’을 그리면서 항해노정이나 해양체험에 대해서는 거의 기술하지 않고, 베트남 항구에서의 극적인 부부상봉 장면과 선한 일본인 주인 형상을 강화함으로써 ‘민간인 포로의 고국 귀환’이라는 주제를 실현하였다. In this paper, I analyzed Jo Wanbyuk's life-story of the kidnapping of Japan in 1597, and discussed in detail how the narrative and literary space of Jo Wihan's novel Choi Cheok-jeon is related to Lee Sugwang’s Jo Wanbyuk-jeon. Lee Sugwang portrays Jo Wihan in the form of a commercial sailor, and describes mainly the unique things he experienced during his sailing. Lee Sugwang recorded the names of Satsuma, Kwangdung and Heung-yen Viet Nam among the sailing voyages. He said that the western sea was high and the east was low, so the waters flowed from west to east. It also recorded the perception that sailors had about tornadoes. Jo Wihan read Jo Wanbyuk-jeon and got material in terms of the hero named 'kidnapped person', a literary space called the 'Nagasaki-sea-trading ship-port of Viet Nam', and themes of 'the return of kidnapped ones'. And he created his novel Choi Cheok-jeon with his imagination.

      • KCI등재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권혁래(Kwon Hyeok-Rae) 국어국문학회 2010 국어국문학 Vol.- No.154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Deungju in Shandong, China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is paper, the meaning of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is discussed by analyzing descriptions of Deungju in various literary works, including poems based on travel logs at the end of Gorye dynasty, Jocheon Voyage Log by Hong Ik-han, and Gim Yeong-cheol Jeon. Deungju was depicted as a stop over connecting the land and the sea route in the course of travel to and from China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A lodging house at Deungju Station and Bongrae station, Bongraegak, and Bojeongsa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shown in the envoy travel literature. Gwon Geon and Jeong Mong-ju used the place as material for their literary works. A 30day literary log was recorded in the Jocheon Voyage Log by Hong Ik-han(1625). He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landscape and traditions of Deungju and the places visited by the envoys as they successfully performed their mission were also included. Deungju in Gim Yeong-cheol Jeon was described as a city where love, happiness and the pain of separation between Gim Yeong-cheol and Lady Jeon were shared. It is expected that the depictions of Deungju in Korean literary works could serve as a significant historical record, and strengthen the ties between China and Korea.

      • KCI등재

        문학 : <구운몽>의 현재적 소통과 다시쓰기 출판물

        권혁래 ( Hyeok Rae Kwon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1990년대 이래 시리즈·전집 형태의 대중출판물로 간행된 <구운몽>은 모두 28종인데, 이를 대상 독자층의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보면, 아동용 16종, 성인용 9종, 청소년용 3종 순이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출판물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아동층을 대상으로 한 출판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필자가 제시한 <구운몽>의 다시쓰기 출판물에 대한 비평의 기준은 ①어휘 및 문장 표현의 난이도 조절, ②서사의 디테일한 점들을 재현하는 문제, ③주제 구현의 충실성 문제, ④작품 해설 및 정보의 문제, ⑤그림의 문제 등이다. 이를 바탕으로 8종의 <구운몽> 다시쓰기 출판물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의 주요 장면들을 대비하면서 각 출판물의 다시쓰기 작업이 거둔 성과와 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Since 1990, there have been 28 different versions of Guwunmong, rewritten as a type of Korean classic collection. In terms of readers by age, 16 were for children, 9 were for adults and 3 were for adolescents. Although versions for adolescents have recently emerged, books for children are the most numerous. The criteria for analysis of rewritten publications of Guwunmong presented by various authors include ①adjustment of the level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②the method of reproduction of the details of the epic, ③faithful reproduction of the subject, ④issue of the explanation and information of the work, and ⑤issue of pictures, based on which nine different written publications of Guwunmong was analyzed in concrete. In conclusion, by comparing the main scenes of Guwunmong, each rewritten publication was evaluated in terms of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장편군담소설 <허인전>의 서지와 서사적 특징

        권혁래 ( Hyeok-rae Kwon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3

        <허인전>은 한글박물관 소장 한글필사본 소설로, 명나라 무종 정덕제를 배경으로 한 장편 군담소설이다. 상하권 2권 2책이며, 상권 83장, 하권73장에 각 면마다 행과 글자 수는 일정하지 않다. 현 한글박물관 소장본 필사는 20세기 초에 이뤄진 것인데, 원작은 20세기 이전, 19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장편 군담소설 유형에 속하며, 주된 내용은 명나라 정덕제 무종이 양자로 들인 류경복이 역모를 일으켜 황위를 찬탈한 뒤, 충신 허운의 아들 허인이 그에 맞서 싸워, 무종의 아들 홍이 황위를 되찾고 평화를 되찾는다는 이야기다. 허인은 거듭된 전쟁에서 신이한 작전을 사용하여 승리하였고, 숙종이 새로운 황제로 옹립된다. 류경복의 동생 경회가 반역을 일으키지만, 다시 허인이 류경회를 몰아내고 태평성세를 이룬다. <허인전>의 주요 인물은 명 황제 무종 및 숙종, 충신 허인, 역신 류경복이다. 명 무종과 숙종은 불명(不明)한 황제로 성격화되었다. 허인은 불굴의 충신으로, 류경복은 흉포한 역신으로 성격화되었다. <허인전>은 충신과 역신 간에 전면적 전쟁이 여덟 차례나 반복적으로 펼쳐진다. 여기에 인물의 출생·성장담, 남녀 주인공의 결연담, 사냥담, 자객 퇴치담 등이 자세하게 묘사되면서 장편화되었다. <허인전>은 『삼국지연의』의 인물, 서사, 장소성 등을 수용하여 명 무종 연간의 의사역사적 소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소설화하였다. 특히 촉한 장군 ‘강유’의 환생으로서 허인의 형상을 설정하여 성격화하고, 강유와 그 스승 제갈량이 펼쳤던 다양한 진법과 병법을 차용한 군담의 양상은 흥미롭다. <허인전>은 『삼국지연의』의 열독과 감회를 통해 새로운 성격의 군담 소설이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점에서 <허인전>의 개성과 문학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Heo-in jeon is a Korean manuscript novel by the Hangul Museum. The novel consists of two volumes. The first volume is 166 pages, and the second volume is 146 pages. This manuscript of novel was copi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original seems to have been created in the 19th century. Heo-in jeon was featured as a full-fledged gangster with rebel Ryu Kyung-bok and loyalist Heo In, centering on the Ming Emperor Mujong and Sukjong. The main characters of Heo-in jeon are the Ming Emperor Mujong and Sukjong, loyalist Heo In, and rebel Ryu Kyung-bok. Heo-in jeon has eight times the war stories between the loyalist and the shrine. And as the story of the birth and growth of the characters, the love story of the male and female characters, and the hunting story were added, the novel became a feature-length novel. Heo-in jeon has embraced the characters, narratives, and place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nd made characters, narratives, and subject consciousness fiction in various ways. Especially, it is interesting to set the shape of the main character as a reincarnation of 'Jiang Wei(姜維)'.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