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흑룡강원정 서사에 나타난 이역(異域) 인식

        권혁래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7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authors' perception and emotional response to iyeok (異域: an alien land) in the Heilongjiang Expedition. As for 'Russia', General Sin Ryu started to know only a little information, but he heard various information through various routes, he saw and listened to himself, and specifically understood the enemy's residence and reality. In the derived texts such as Chahan-ilgi and Bukjeong-ilgok, Russia is called 'Cha Han' and 'Naseon' and records their appearance, weapons, ship, and aggressiveness. For the "tribal people of the Manchurian side," General Sin Ryu continued to gather information on hūrka and fiyaka on various occas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derived text, the amount of records of the tribal people of Manchuria change is remarkably small, and the contents are limited to the ritual customs and women. Regarding 'belonging to the northern region', the general briefly recorded only the area of the Qing dynasty he had never seen, the place where he had not expressed any special relief for the river and mountain, and the camp site. In the derived texts, there are some rivers that are not identified in actual place names such as Eoje River, Gari River, and Geumcheon River, and there is a recognition of geography that they arrive at Mongolia during the Heilongjiang Expedition. 필자는 이 연구에서 신류 장군의 진중일기 『북정록』과, 이에서 파생된 <차한일기>, 『북정일기』, <배시황전> 등에 나타난 북방 이역(異域)에 대한 서술자들의 인식과 정서적 반응을 대비분석하였다. ‘러시아군 및 지역’에 대해, 신류는 막연한 정보만을 알고 출발하여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어듣고, 또 자신이 직접 보고 들으면서 적의 거주지 및 실체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파생 텍스트에서는 러시아 수군을 차한(車漢), 나선(羅禪)이라 하고, 그들의 외모, 무기, 선박, 괴력 등에 대해서 길게 부연하였다. ‘만주 변방의 부족민’에 대해, 신류는 선단에 오른 뒤 지속적으로 탐문하고 다양한 경로로 정보를 수집하여 기록하였다. 이에 비해 파생 텍스트에는 만주 변경의 부족민들에 대한 기록의 양이 현저하게 적고, 상례(喪禮) 풍속, 여색 등에 관한 것으로 내용이 한정되어 있다. 신류는 자신이 경유한 ‘청의 북방지역 산하’에 대해 노정, 숙영지 등만을 간략히 기록하였다. 파생 텍스트들에는 실제 지명에서 확인되지 않는 강 이름들이 나타나며, 영고탑성을 출발한 이후 ‘몽고’를 경유해 흑룡강으로 간다는 지리인식이 나타난다. 17·18세기 조선에서 일어난 몽고에 대한 관심은 국제정세, 그리고 지도와 지리지, 그리고 숙종 연간에 조선 지식인들이 청에서 받아들인 청과 러시아·몽고 간의 교전에 대한 책이나 중국을 통해 얻은 정보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차한일기>, <북정일록>, <배시황전> 등에 나타난 몽고의 지리 및 인물에 대한 인식과 정보는 거의 다 사실과는 무관한, 허구적 내용일 뿐이다. 전체적으로 신류는 흑룡강원정대장의 관점에서 주도면밀한 태도로 이역을 관찰·견문하고 정보를 분석해 사실 위주로 간략히 기록하였다. 이에 비해 <차한일기>, <북정일록>, <배시황전> 등에서는 여행자로서의 시선, 이역의 허구적 묘사, 인식의 통속화 양상이 서승(書承)된 점이 파악되었다. <배시황전> 류가 『북정록』을 대신해 300년 간 흑룡강원정 서사의 주인 자리를 차지해온 것은 ‘우물 안 개구리’같은 조선지식사의 맹점을 보여준 단적 사례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고전동화로 보는 『춘향전』 : 1990년대 이후 출간된 작품을 대상으로

        권혁래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3 동화와 번역 Vol.6 No.-

        It was studied on the spectrum of children's literature or fairy tales, focusing on how to figure out and make an analysis of the pattern of modem inheritance of "Chunhyang-jeon", the eternal classic of the Korean people. The thesis was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 the children's literature after analyzing the 10 different "Chunhyang-jeon" texts, which have been published for the child. Considering the classical literature in the perspective of the aesthetic origin, it was presented to find out the role of "Chunhyang- jeon" for providing the literature experience to children. The above-mentioned 10 different works have been originated mostly from the complete 84 texts of "the Faithful Chastity of Chunghyang", called In Korean "Yulnye Chunghyang-ga". All of the texts stars with the basic setting to shape out the valuable love which surpasses the social and personal distress over the gap of class and rank. However, each text shows various differences on the methods of story plot, publicity and satire. According to the descriptive extent on how much it is detailed and real, it reveals the serial character and reality. "Chunhyang-jeon" covers the romantic content that wins a beautiful love over the hardship, along with the detailed and prominent social characters. These aspects might be able to influence the children by new reading experiences and educational purposes. Based on the boner understanding of the text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utilize the classic "Chunhyang-jeon" for the childhood readers in consultation with the academic, educational society and publishers.

      • KCI등재

        심하전투 서사의 문학지리학적 고찰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 중심으로-

        권혁래,신춘호,김재웅,이석현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In 1619 March, Chosun·Ming coalition forces and Nuruhachi’s army battled in Simha, Liaoning, China. 8,000 men of 13,000 Chosun army died and 5,000 became prisoners in this battle. We call this, Simha Battle. Choecheok-jeon, Gangro-jeon, Kim Youngchul-jeon were created by setting in this battle. We adopted methodology of Literary Geography as a method, and considered the narratives and meanings of the above works by directly related to space background. First, we examined a process and space of the war by analyzing Chaekjung-ilrok, which Lee Min-hwan who involved in the war left. Second, we explored the way to the scene of Simha Battle and the Puchal plain, the battle field. Based on this, we made the corresponding area that had been remained as historical and imaginary space to a map. This is the map of literature of Simha Battle. We planned to reproduce the atmosphere of literature birthplace, adding landscape photo, GPS coordinates, and the way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text to the map. In the main subject, we separate the journey of Simha Battle into four parts, identify and correct current local term and migration course through text analyzing and field investigation. We also catch the air of space background by moving through the journey of Simha Battle, and consider how this background combined with narratives of Kim Youngchul-jeon, Choecheok-jeon, and Gangro-jeon. This paper will be the example that newly re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narrative through geography study about 17c historical novel. 한국에서는 심하전투, 중국에서는 ‘사르후 전투[薩爾滸之戰]’라 부르는 1619년의 전투에 종사관으로 참전한 이민환은 전투의 전후사를 진중일기 『책중일록』에 기록하였다. 이민환은 환인현의 지리를 잘 모르는 데다 강 이름을 물어 볼 사람도 없어 이곳 육도하(六度河) 상류의 ‘깊은 물’을 심하라고 불렀다. 조선군들은 이곳 심하에서 후금군들과 소규모 전투를 벌였고, 富察 평야에서 8천 명이 전사하고 5천 명이 포로가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플롯과 배경으로 하여 조위한은 1621년 <최척전>을, 권칙은 1630년 <강로전>을, 김응원은 1659년 <김영철전>의 원작을 창작하였다. 이 작품들에 대한 문학연구는 주로 작가론, 이본 및 서지적 연구, 작품의 서사적 분석과 주제적 의미 파악, 작품의 공간에 대한 연구 등의 방향에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 팀은 ‘텍스트’를 넘어 문학작품을 공간 중심으로 사고하고 시각적 재현 위주로 탐구하는 문학지리학의 방법론을 연구방법으로 채택, 위 작품들의 서사와 의미를 공간 배경과 직접적으로 연관하여 고찰했다. 또한 서사문학, 역사지리학, 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법론을 융합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심하전투 문학지도(the map of literature of Simha Battle)’를 제작하고, 경관 사진과 GPS 좌표 활용, 텍스트 분석 및 해석 방식을 겸하여 문학 탄생현장의 분위기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2장 ‘심하전투의 문학지도와 경관, 서사’에서는 심하전투의 노정을 전체 공간과 노정, 압록강 도강, 조명 연합군의 합류, 전투의 현장, 포로길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문학 텍스트 및 현장 답사를 통하여 현 지명과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책중일록』에 기록된 지명이 현재 어느 지역인지 비정하였다. 둘째, 심하전투 노정을 따라 이동하면서 공간 배경의 분위기를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 배경이 <김영철전>, <최척전>, <강로전>의 서사와 어떻게 결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 팀은 심하전투 서사의 현장을 수차례 답사하며 강홍립의 조선군의 노정을 파악하고 富察 평야의 전투 현장에 접근했다. 그리고 강홍립이 출전했던 시기에 맞춰 2014년 3월 말 우모령을 넘어 심하전투의 현장을 답사한 결과, 조선군이 주둔하고 전투하였던 釜山과 富察 평야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었고,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또 강홍립과 5천 조선병사들이 포로의 신분으로 넘어갔던 嘉哈嶺 고개를 넘으며 『책중일록』 및 소설 속에 기록된 내용을 대비하여 서술하였다. 이러한 현장 답사를 통하여 파악한 정보와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공간과 상상의 공간으로 남아 있던 해당지역 및 정보를 지도로 표현하였다. 또한 역사지리학 및 영상기록 콘텐츠의 시각, 문학 연구의 방법을 결합하여 공간과 노정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서사와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문학지리학적 연구를 통해서 공간과 서사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한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대동아권동화총서’에 나타난 제국의 시각과 아시아 전래동화총서의 면모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18 열상고전연구 Vol.61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1942~1944년에 일본 増進堂 출판사에서 간행된 ‘대동아권동화총서(大東亞圈童話叢書)’(전6권)를 아시아 아동문학 연구의 관점에서 조망하였다. 이 동화총서는 1941년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이른바 ‘대동아공영권’으로 편입한 인도네시아, 중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인도, 베트남의 6개 지역의 옛이야기들을 일본의 아동문학 작가들이 일본 아동들을 위해 선별․개작한 전래동화집이다. 간행주체는 일본소국민문화협회이다. 간행인은 일본의 아동들이 6개국의 동화를 읽고 그 나라들의 생활, 역사, 자연과 지리에 친근감을 느끼고 장차 그 나라에 진출했으면 하는 바람을 드러내었다. 작가들은 자신의 경험, 지식, 취향, 시각에 따라 각 지역에서 의미있게 여긴 고전에서 옛이야기를 선택하여 ‘동화 풍’으로 스토리텔링하여 각 나라 사람들의 생활과 역사, 문화를 표현하였다. ‘대동아권동화총서’는 특정 정치상황에서 정치와 문학 간의 역학 관계를 고찰할 수 있는 연구사례이다. 또한, 1940년대 제국 일본의 문화역량과 한계가 발현된 ’아시아동화총서’로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해당 국가의 근대 설화․동화 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evaluated the meaning of The Great East Asian Fairy Tales Collection (6 volumes) published in Osaka, Japan from 1942 to 1944,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fairy tales collection is based on the folktales of the six East Asian countries of Indonesia, China, Malaysia, the Philippines, India, and Vietnam which were incorporated into the so-called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e publishing organization is Nihon Shoukokumin Bunka Kyoukai [the Japan Small Civil Cultural Association]. This association has planned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for the purpose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Interestingly, the authors sincerely investigated the literature and oral literature data in their own way, carefully selected old stories and adapted them to fairy tales. Because of this, the collection has the aspect of an Asian fairy tales collection. This collection will be a case study that ca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in a particular political situation.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as the Asian fairy tales collection of the 1940s, which is a cultural scale and capacity of the Imperial Japan.

      • KCI등재

        베트남 고전산문 및 베트남 제재의 한국 고전산문 연구현황 검토

        권혁래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1980년 이후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베트남 고전산문의 연구현황 및 베트남 관련 한국 고전산문에 대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그동안 한국에서 진행되어 온 베트남 고전산문 연구의 성과는 베트남 고전산문의 번역, 베트남 구비설화 및 비교문학, 한문 및 쯔놈으로 기록된 베트남 고전산문 등의 분야로 나눠 고찰하였다. 또한 베트남 관련 한국 고전산문에 대한 연구사 검토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와 우호정신을 어떻게 되살릴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방향 및 과제에 대해서는, 서사적 완성도 높은 베트남 옛이야기의 우선적 번역, 베트남문학의 전통과 정신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고전산문을 활용한 양국의 문화소통 등을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베트남 양국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방면에서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Vietnamese classical prose and Korean classical prose related to Vietnam that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since 1980, and to seek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e Vietnamese classical prose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in Korea were divided into such areas as translation of the Vietnamese classical prose, Vietnamese folktales and comparative folktales, and the Vietnamese classical prose recorded in Chinese and Tsunom. It also talked about how to reviv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Vietnam through a review of Korean classics related to Vietnam. Thre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First, to use Vietnam’s classical prose as a material for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Vietnamese culture in Korean society, second, to discuss in-depth what is the excellent literary tradition and spirit contained in Vietnamese literature, third, in Vietnam classical prose and Korean classical prose related to Vietnam, to find the two countries' historical ties and friendly relations, and representative characters and stories, and utilize the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sian content planning. This will enabl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various ways, including understanding each other's culture and communicating with the civil society.

      • KCI등재

        한국⋅베트남 선악형제담의 양상과 문화소통방안 고찰

        권혁래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is study examined whether Vietnam’s old literature could contribute to Koreans’ understanding of and respect for Vietnamese culture, emotions, and values. About 150,000 Vietnamese immigrants live in Korea currently.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materials, values, and cultural codes of the representative sibling conflict stories of Korea and Vietnam,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al nature of Vietnamese culture in Korean society. It also proposes a method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Korean society. In sibling conflict stories, the older brother characters are the ones who have failed to control their greed. Brothers and sisters in Korean and Vietnamese literature represent poor and powerless people. Their poverty is due to the older sibling’s greed.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climate of Vietnam can be made easier if this context is explained before reading or practicing old Vietnamese stories in Korea. Many Korean and Vietnamese folk tales share similar themes, characters, and compositions. If we can understand both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countries in the long tradi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ir representative culture, and als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erms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Koreans can live with the 150,000 Vietnamese immigrants living in our society. It will help Korean understand Vietnamese culture.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대표적 선악형제담(善惡兄弟譚)의 제재, 가치관과 문화 코드 등을 비교⋅고찰하여 한국-베트남 간 문화소통방안을 모색 하였다. <별나무 이야기>, <금 구덩이, 은 구덩이> 등의 베트남 선악형제담에서 형들은 장자라는 권위를 이용하여 부모의 유산을 독점하고 동생을 빈털터리로 쫓아낸다. ‘형’들은 품성 면에서 ‘욕심 다스리기’에 실패한 사람들이며, 사회계급 면에서는 탐욕스러운 기득권층을 상징한다. <흥부와 놀부>, <금방망이 은방망이> 등 한국 선악형제담에서도 형들의 성격과 탐욕으로 인한 갈등은 베트남 이야기 와 거의 동일하다. 베트남과 한국의 선악형제담에서 동생들은 가난하고 힘없는 백성을 대표한다. 동생들의 가난은 형들의 탐욕에 기인한다. 베트남 선악형제담 에서 형들은 탐욕의 대가로 ‘죽음’이라는 결말을 맞는다. 한국의 선악형제담에서 형의 죽음으로 끝나는 결말은 소수이고, 형제간 ‘화해 및 용서’의 결말방식이 주 요하게 나타난다. 베트남 선악형제담에 등장하는 까마귀⋅봉황새⋅원숭이⋅물고기 등의 동물 캐 릭터, 부처 등의 신격 캐릭터, 별나무⋅황금감나무⋅빈랑 등의 식물, 산과 바다, 섬 등의 지리적 표상, ‘황금’ 선호사상은 베트남의 문화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독서⋅토론, 강연⋅강의⋅학습의 방식을 통해 베트남 옛이야기를 이해하고, 한 국-베트남 양국의 문화와 사고방식에 대해 토의, 비교분석할 수 있다면 흥미로울 것이다.

      • KCI등재

        화계(花溪) 박영만(朴英晩)의 작가활동과 임시정부 하 광복군활동에 대한 고찰 - 박영만의 자필 「독립운동기」 및 광복군 소설을 중심으로

        권혁래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6 No.-

        이 논문은 『조선전래동화집』의 작가이자 중경 임시정부 시절 광복군 중령으로 활동하였던 박영만의 작가적 생애와 공적을 고찰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필자는 박영만이 국가보훈처에 제 출한 친필원고 「독립운동기」(공적서) 및 「공적 재심청구 건의서」, 가족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 로, 박영만의 중국 망명 이전의 작가활동, 임시정부 하 광복군활동 및 해방 뒤 작가활동 등을 고찰함으로써 박영만의 생애 및 활동을 전체적으로 조명하였다. 화계 박영만은 1930년대 초부터 1940년까지 주목받는 동화작가로서, 우리나라 전래동화 수집 및 형성에 큰 공헌을 하였다. 1940년부터 해방 직전까지는 중국으로 망명하여 임시정부 하에서 광복군 중령으로서 군공(軍功)을 세웠으며, 해방 이후 1960년대 말까지는 드라마 작 가 및 소설가로서 활동하였다. 후반기 집필 활동의 중심은 논 픽션 형식의 광복군 소설의 집 필을 통하여 광복운동의 실상을 조명하고, 애국지사들의 삶의 의미를 형상화한 것에 있었다. 박영만의 작가활동 경력 중에서 가장 기억될 만하고 빛나는 부분은 1940년『조선전래동화집』을 출간한 것과 1943년 광복군 군가 <압록강행진곡>을 작사했다는 점이다. 특히, 『조선전 래동화집』은 가장 한국적이며 문학적 가치가 높은 근대 옛이야기집으로 평가될 것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writer's life and achievements of Park Young-man, who was a writer of The Korean Fairy Tale Collection in 1940 and served as Lt. Lieutenant Colonel dur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Chongqing. Based on Park Young-man's Independence Movement Record and family interviews, I examined his life and activities by dividing his life and activities into pre-1940 writers, 1940-1945 Liberation Army activities, and post-1945 writers. Park Young-man, a fairy tale writer who attracted attention from the early 1930s to 1940, contributed to the collection and formation of Korean fairy tales. From 1940 until shortly before liberation, he fled to China and established a number of military forces as colonel of Liberation Army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expanded his specialty as a drama writer and novelist from the end of the liberation until the late 1960s. Since 1945, he has written historical novels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Movement and shape the struggles of independent soldiers. The most memorable and shining part of Park Young-man's writing career is that he published The Korean Fairy Tale Collection in 1940, and Korean Independence Army's lyricist "Yalu River(鴨綠江) March" in 194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