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박태원 소설의 자연주의적 기원-‘세태소설’의 기원과 모파상 소설과의 비교 연구

        권철호 구보학회 2014 구보학보 Vol.0 No.11

        본고는 박태원 소설의 기원을 자연주의 사조에서 찾아봄으로써 작가의 작품 세계를 폭 넓게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쓰여졌다. 박태원은 소설 속에서 1930년대 경성의 도시 공간을 형상화하고 있는 동시에 소설 창작 기법에 관심을 기울인 “기교파” 작가라는 점에서 모더니즘 작가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당대 문학장에서 임화는 박태원의 소설을 ‘세태소설’이라고 규정하면서 박태원의 소설이 ‘내면 고백’과 ‘암면 묘사’에 취중한 자연주의 작가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임화는 세태소설이라는 개념은 포스필로프의 ‘사회적 세태소설’이라는 개념에서 차용해왔는데, ‘사회적’이라는 수식어가 삭제된 ‘세태소설’이라는 개념은 실상 ‘자연주의’ 소설을 의미한다. 박태원은 ‘세태소설’이라는 임화의 평가에 반감을 드러내지만, 기실 스스로도 자연주의 사조에 동조하는 듯한 소설관을 표출한 바 있다. 박태원 소설에 등장하는 ‘산책자’나 ‘분신’ 모티프는 모더니즘 소설의 특징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실상 이는 자연주의 작가인 모파상에게서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일찍이 이무영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모파상의 『파리 부르주아의 일요일』이 ‘산책자’라는 공통된 모티프를 다루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두 작가는 신경증을 앓는 ‘산책자’를 작품의 주요 모티프로 삼으로면서도, 상반된 형식으로 인물을 형상화함으로써 각기 다른 시대적 상황을 반영했다. 박태원의 「적멸」에 나타나는 ‘분신’ 모티프 역시 그 기원을 모파상의 <오를라>연작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모파상은 「오를라」 연작에서 고백체, 서간체, 일기체라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신’ 모티프를 다룬 바 있는데, 박태원은 모파상이 연작 형태로 쓴 다양한 서술 기법을 하나의 텍스트에 겹쳐 놓으면서「적멸」을 메타 텍스트 형식으로 구성했다. 박태원은「적멸」의 메타 텍스트 형식을 통해 모파상이 작가의 분열 의식을 형상화했던 ‘분신’ 모티프를 심층적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沈熏의 長篇小說 『織女星』 再考

        권철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im-hoon’s full-length novel Jik-nye-sung which published serially in Joseonjungangilbo. The earlier studies have been mainly researching on his books published by Hansung book co.,ltd.. The Jik-nye-sung was edited and published in book form by Sim-hoon’s older brother, Sim-myungseop after his death. In this process, some part of Jik-nye-sung's purpose for writing got damaged by editor. We can look the author consciousness fully by rereading the Jik-nye-sung published serially in the newspaper Serialized Jik-nye-sung takes the type of engaging narrrative by organizing the story in reverse order unlike the book form. ‘Han-river footbridge’, the space of the novel is described as oppositive space ‘urban/rural’ and shows sacrificed and depraved characters by the urban civilization and the family system using the space. In the 13th part of Jik- nye-sung, <Hell of human> which was eliminated a lot, Sim-hoon described Kyungsung of 1930s as a massive licensed quarters in this part. He sees the process of the colonized city Kyungsung developed abnormally by the Japanese Empire in sociologic point of view. Sim-hoon suggested ‘extended family (Grosshaushalt)’ which is communistic family system in rural communities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urban civilization and the family system in this novel. 本稿는 沈熏이 朝鮮中央日報에 연재한 長篇小說 『織女星』을 分析했다. 대다수의 先行硏究는 漢城圖書株式會社에서 간행한 『織女星』을 대상 텍스트로 삼아서 연구를 진행해왔다. 單行本 『織女星』은 작가 死後에 仲兄인 沈明燮에 의해서 偏輯, 出刊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작품의 고유한 문제의식이 훼손되었다. 新聞連載本 『織女星』은 單行本과 달리 逆順行的 構成을 취함으로써 ‘끌어들이는 서사(engaging narrrative)’의 성격을 취하고 있다. 『織女星』은 작중 공간인 ‘漢江人道橋’를 중심으로 ‘農村/都市’이라는 對立的 空間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封建的 家族制度와 都市文明에 의해 타락하고 희생당하는 인물들을 그려내고 있다. 沈熏은 13章인 <인간 지옥>에서 1930년대 京城을 巨大한 遊廓으로 형상화함으로써, 帝國-資本主義에 의해 植民都市가 畸形的으로 都市化되는 과정을 社會學的인 觀點에서 비판하고 있다. 作家는 都市文明과 封建的인 家族制度의 문제점을 克復하기 위한 代案으로 農村 속에서 共産主義的 家族 形態인 ‘대가정 제도’를 企劃한다.

      • KCI등재

        심훈의 농촌소설과 동아시아 촌치운동(村治運動)

        권철호 한국근대문학회 201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 No.2

        본 논문은 1930년대 초반 동북아시아 지식인들과 심훈의 사상적 공유 맥락을 통해 심훈의 농촌소설을 살펴본다. 1920년대 후반 농촌경제의 파탄은 당대 동북아시아 지식인들에게 서구적 근대화의 문제점이 드러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일본의 무로후세 코신은 농촌을 서구 물질문명에서 벗어나 대안적 정치체를 실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했다. 무로후세는 량수밍의 ‘촌치운동’에서 감화를 받고 사상적 교류를 했다. 심훈은 량수밍과 무로후세 코신의 저작들을 탐독했고 이 과정에서 『영원의 미소』, 『직녀성』, 『상록수』와 같은 일련의 농촌소설을 발표한다. 그는 이 작품들에서 무로후세와 량수밍 등의 사상과 이접하는 지점들을 보여준다. 그러나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은 농촌 자치 운동을 제국으로 포섭하였고, 이는 『상록수』에서 박동혁의 ‘농우회’와 강기춘의 ‘농촌진흥회’의 갈등으로 나타난다. 심훈은 제국의 국가장치로의 포획을 거부하지만 그렇다고 현실에서 유리된 낙관적 전망도 거부한다. 『상록수』의 서사적 파탄은 파시즘 체제에 들어서는 동북아시아의 국제적 역학 관계 속에 놓인 심훈의 고민을 드러낸다. This paper looks at Sim-hun's rural novels by paying attention to the ideological sharing context of the intellectuals and Sim-hun in Northeast Asia in the early 1930s. In the late 1920s, intellectuals in Northeast Asia took the collapse of the rural economy as a matter of Western modern times. Japan's Murobuse Kōshin recognized the countryside as a place to realize alternative politics against Western material civilization. Murobuse was inspired by Liang Shu-ming's "Rural self-governing Movement(chon-chi movement)" in China and had ideological exchanges with him. Shim-hun devoured the works of Liang Shu-ming and Murobuse Kōshin, and in the process, he wrote a series of rural novels such as Yung-won-eui-m-iso, Jik-nye-sung(Nova) and Sang-rok-su(evergreen). He shows points of ideological exchange between Murobuse and Liang Shu-ming in these works. However, the local movement that Shim Hoon planned was involved in the policy of promoting rural areas of the Japanese Empire. However, the rural self-governing movement that Shimhun planned was involved in the policy of the agrarian promotion movement of the Japanese Empire. This is illustrated by the conflict between Park, Dong-hyuk's "rural Friendship Society(Nong-U-hwe)" and Kang, Ki-choon's "Rural Promotion Movement((Nongchonjinheunghwe)" in Sang-rok-su. Shim refuses to be included as a national device for the Japanese Empire, but also refuses to have an optimistic outlook that has no real possibility. The conclusion of the "Sang-rok-su" reveals Shim's agony amid the international dynamics of Northeast Asia, which enters the fascist system.

      • KCI등재

        이효석 일본어 단편소설 「土用竹」 연구

        권철호 구보학회 2016 구보학보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ast the author's inside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by introducing Lee, Hyo-seok's unknown novel 土用竹 written in Japanese. In existing research, Lee, Hyo-seok's ‘Japanese writing’ was in gray zone regarding the problem of cooperation toward Japa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fine that he is in the side of cooperation or resistance. However 土用竹 which was published on 詩原 in August of the year 1940 brings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of evaluation on Lee, Hyo-seok who was considered as a 'de-ideological estheticist’ so far. This novel shows the situation of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unning into the rise of fascism by handling the Suyangdonguhoe affair which was happened in 1937. The narrator in the novel, ‘Ju, Min-ju’ makes an effort to rescue his father ‘Ju, Seok’ when he was put in a detention center because the Suyangdonguhoe affair. Lee, Hyo-seok shows a complexion of ideology censorship done to intellectuals of Chosun and their response by setting the character ‘Ju-seok’ modeled after Ahn, Chang-ho. This novel reveal fabrication of discourse on 'Nae-sun-il-che’ by showing the existence of order of rank under the word ‘People’ of Japan through a complex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kano’ and ‘Kim Yoo-sin’ who went to Keijo Imperial University with ‘Ju, Min-ju’. Lee, Hyo-seok used universal culture code and old story to express the will of intellectuals of Chosun who want to keep their prlnciple under the rising of fascism toward Japanese literary circle and readers. 본 논문은 이효석의 미발굴 일본어 소설 「土用竹」을 소개함으로써 일제말기 작가의 내면을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사에서 이효석의 ‘일본어 글쓰기’는 대일협력 문제의 회색 지대에 서 있어 ‘협력/저항’ 중 어느 위치에도 규정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940년 8월 『詩原』에 발표된 「土用竹」은 ‘탈이데올로기적 유미주의자’로 이해되어 왔던 그간의 평가를 되짚어 볼 수 있게 해준다. 이 소설은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을 다룸으로써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파시즘의 맹폭이 불어닥치는 상황을 보여준다. 소설 속 초점화자인 ‘주민주’는 아버지 ‘주석’이 동우회 사건으로 구치소에 갇히자 아버지를 구원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효석은 안창호를 ‘주석’의 모델로 설정함으로써 조선지식인들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사상 검열의 양상과 그들의 대응양상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일제에 의해 동일하게 ‘국민’으로 호명된 ‘다카노’와 ‘김유신’의 위계를 드러냄으로써 내선일체 담론의 허구성을 드러낸다. 이효석은 파시즘의 맹폭 속에서도 지조를 지키려는 조선 지식인의 의지를 일본 문단과 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동북아시아의 보편적 문화코드들과 고사(古事) 등을 활용한다.

      • 심훈 소설에 나타나는 음악적 기법 연구

        권철호 ( Kwon¸ Cheol-ho ) 심훈선생기념사업회 2023 심훈학보 Vol.1 No.0

        본고는 심훈 소설에 나타나는 음악적 기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훈은 시인, 소설가뿐만 아니라 영화 연출가 등으로 활동한 종합 예술가로 평가 받아왔지만, 연구자들은 작가의 중요한 예술적 원형인 ‘음악’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심훈은 본격적인 예술 활동을 시작하기 전부터 ‘음악’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그의 처녀작인 「찬미가에 싸인 원혼」에서도 나타난다. 심훈은 이 작품에서 3.1운동 경험을 제시하기 위해 같은 곡조에 다른 가사를 붙이는 ‘콘트라팍타’라는 번안곡 작사 기법을 활용한다. 작가는 콘트라팍타 기법으로 번안된 노래를 작품에 삽입하여 소설 표면에 나타나지 않은 또 다른 노래 가사를 독자에게 상기시키고, 이를 통해 당대 검열을 우회한다. 영화소설 『탈춤』과 시나리오 『먼동이 틀 때』에서는 특정 멜로디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라이트모티프’ 기법으로 독자의 정조를 환기한다. 대표작 『상록수』는 둘 이상의 선율을 결합시키는 ‘콘트라푼크트’ 악곡 구성을 소설에 도입하고 있으며, <애향가>와 <일하러 가세>라는 노래가 각각 박동혁과 채영신의 ‘라이트모티프’로 사용된다. 또, ‘콘트라팍타’ 기법을 활용해 주제 의식을 전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musical techniques in Shimhoon’s novels. Shimhoon has been evaluated as a comprehensive artist who worked in poetry, novels, and movies, but his important artistic origin, ‘music’,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himhoon had a continuous interest in ‘music’ even before he started his full-fledged artistic activities, and this is also shown in his debut short story, The Consolation of Suffered Spirit In The Hymn. In this work, Shimhoon uses a technique called ‘contrapacta’, a kind of adoptation song, to present his 3.1 Movement experience. The writer uses the melody that uses the contrapacta technique to remind the reader of another lyrics that do not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novel and uses this technique to avoid censorship at the time. The contrapacta technique also appears in the movie novel T'alch'um and the scenario When the sun rises. In addition, Shimhoon uses a specific melody as a ‘leitmotif’ in his novels and reminds the reader of a specific emotion through it. Shimhoon’s well-used musical technique is his representative work Evergreen. Park Dong-hyuk and Chae Young-shin in Evergreen use the songs ‘Love song for hometown’ and ‘Go to Work’ as leitmotifs and convey their theme consciousness through them.

      • KCI등재

        논문 : 『만세전』과 초기 염상섭의 아나키즘적 정치미학

        권철호 ( Cheol Ho K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2 No.-

        본고는 염상섭의 초기 문학에서 나타나는 아나키즘적 정치미학의 특질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만세전』을 재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22년 염상섭이 『신생활』에 「묘지」를 연재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신생활』의 필자들과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염상섭과 『신생활』의 관계는 ``신생활 필화사건’에 대한 염상섭의 반응을 통해 나타난다. 그는 『동명』의 대표로 『신생활』 필화사건에 대응하기 위한 회의에 참석하는 동시에 『동명』지를 통해 일제 당국을 비판하는 논설을 다수 발표한다. 이는 염상섭이 『신생활』과 이념적 지향성을 공유했기 때문이었다. 「개성과 예술」에 나타난 염상섭의 자연주의 선언은 일본의 생철학자인 가네코 우마지[金子馬治]의 자연주의 개념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가네코 우마지는 자연주의를 ``암면묘사’를 특징으로 하는 세기말 문예라고 해석한다. 그는 예술과 ``생활/ 생명’이 하나라는 일원론적 관점을 취하면서, 진정한 예술은 ``개성의 유일한 특수성(個性のオリジナルなユニヅク)’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염상섭이 예술이란 “생명(生命)의 발로(發露)인 독이적(獨異的) 개성(個性)”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과 상통한다. 그러나 염상섭은 가네코 우마지의 자연주의 개념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개성’이라는 개념에 막스 슈티르너(Max Stirner)의 ‘반역자’라는 개념을 접합하여, 개성의 자각을 사회의 억압기제에 대한 ‘반역’으로 변형시키면서 정치 미학적 색채를 가미한다. 『만세전』은 1920년대 초반 염상섭의 시대 의식이 반영된 작품이다. 『만세전』은 3·1 운동이 촉발된 계기를 탐색한 소설로, 당대 조선 사회를 ‘공동묘지’로 그려내고 있다. 여기서 ‘공동묘지’는 단순히 허무주의적인 폐허의 공간이 아니라, 새 생명이 시작될 수 있는 전환점을 의미한다. 3·1 운동은 작품의 서사 외적 사건이지만, 새 생명의 탄생을 위해 죽는 아내의 죽음과 병치되면서 구시대와 단절하고 새 시대를 여는 분기점으로 암시된다. 주인공 이인화는 냉소적 이성의 소유자로 지성과 행동이 분열되어 있는 인물이다. 그는 동경에서 경성으로 여행하는 동안 제국 일본의 다양한 억압기제를 확인하고, ‘자기 반역’을 통한 주체 재정립의 필요성을 깨닫는다. 이인화는 정자에게 보내는 편지 속에서 세계사적 전환기에 반역자로 거듭나야 함을 역설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esthetic of anarchism` reflected on the early part of the Yeom Sang-Seop`s field of literature and to re-read ``The Mansejeon`` which is one of the his early works. The reason that ``Myoji`` written by Yeom Sang-Seop could be serialized on ``Sinsanghwal`` in 1922 is he had network with the writers of ``Sinsanghwal``. The relations of Yeom Sang-Seop and Sinsanghwal were showed well through the reaction of Yeom Sang-Seop about the case of a serious slip of the pen Yeom Sang-Seop attended the meeting dealing with the case of a serious slip of the pen as a representative of the ``Dongmyung`` and also published many papers against the government on the ``Dongmyung``. It is because he shared the ideological intention called as anarchism with ``Sinsanghwal``. When we examine the ``personality and art`` regarded as the Yeom Sang-Seop`s announcement of Naturalism, it is found the likeness to the Idea of Ganeko Umagi who is one of the Japanese philosopher of life. Ganeko Umagi has understood the trend of Naturalism literature as the characteristics of fin-de-siecle mood like description of dark side. He defined the naturalism of France as the narrow Naturalism literature, meanwhile, included the Northern Europe writers into the Naturalism literature in a broad sense. He had a monistic view that Art equal to ``the living / life`` and emphasized that the true Art is the expression of the only specialty of the personality. It is analogous with the opinion of Yeom Sang-Seop that the true art is the expression of the “originailty of unique ego” at the ``personality and art``. However Yeom Sang-Seop transformed ``the personality`` into ``the rebel`` against the social suppression mechanism by combining the concept of ``the personality`` and the concept of ``the rebel`` of Max Stirner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concept of Naturalism of Ganeko Umagi The Mansejeon is the work reflected Yeom Sang-Seop`s consciousness of the times in the early of 1920s. Mansejeon is the novel which explored the trigger for ``the 1919[Samil] Independence Movement`` and described ``Chosun`` of the day as a ``cemetery``. However the ``cemetery`` is not only the nihilistic ruined place but also represent the turning point which The New-age can be started at. Although ``the 1919[Samil] Independence Movement`` wasn`t embodied in his work, it was implied as the turning point opening the New-age divorced from the Old-aged juxtaposed with the wife dying for giving a new birth. Yi-In-Hwa having the cynical reason is the character whose intelligence and action are splitted. He knows that he is bound but he doesn`t know what makes him bound. However he had confirmed various suppression mechanism of the Empire of Japan while he traveled from Tokyo to Kyung-sung and took himself to pieces as a colonist by self-treason. After Yi-In-Hwa had realized the situation of Chosun in those days is not different from cemeteries, he recognized that he should betray the social system of the day through ``destruction and creation`` which are the mottos of anarchism. Yi-In-Hwa who had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life and personality`` through the death of his wife emphasized that he should become a traitor who is the main agent of the global turning point in the letter to Jung-ja. However Yeom Sang-Seop failed to describe traitor type of characters after Mansejeon, that is because the experiment of ``reconstitution of the main agent`` was disappointed by the social movement in Chosun moving to Marxism-Leninism after the 1919[Samil] Independence Movement.

      • KCI등재

        특집 2: 신진연구자 2014 계급(문학)을 다시 읽는다 : 심훈의 장편소설에 나타나는 "사랑의 공동체" - 무로후세 코신[室伏高信]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권철호 ( Cheol Ho K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심훈의 장편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모티프를 분석하고, 작가의 참고(reference) 서지를 살펴봄으로써 심훈의 사상적 지향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훈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이분법적인 문학사에서 애매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기때문에 연구자들로부터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심훈은 브나로드 운동에 공명한 ‘계몽주의자’나 ‘나로드니키주의자’로 이해되어 왔지만, 이러한 통념은 그의 문학 세계를 이해하는데 장애가 된다. 탈춤 에서부터 동방의 애인 , 불사조 , 그리고 영원의 미소 , 직녀성 , 상록수 로 이어지는 그의 장편소설은 남녀 주인공의 연애 갈등에 계급·사회적 문제를 교직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구조를 통해 ‘사랑’이라는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인 심훈의 장편소설은 ‘낭만주의’에 ‘사회주의’ 혹은 ‘反자본주의’를 교차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심훈은 사회 문제를 통속적인 방식으로 그려낸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심훈이 카프 진영의 작가인 한설야 등과 논쟁한 사실을 살펴보면, 그의 예술관은 마르크시즘에 근거한 ‘유물사관적 변증법’과 거리를 두고 있다. 심훈은 남녀 간의 연애 문제를 통해 당대의 사회 문제를 묘파할 것을 주장한다. 이는 카프 내에서 발의되었던 김기진의 대중소설론의 문제의식을 선취한 것으로, 실제로 심훈은 「결혼의 예술화」를 통해 자유연애이라는 남녀 간의 ‘사랑’ 문제를 다룬 바 있다. 그는 남녀 간의 결혼이 자본주의의 사적 소유 원리에 기반하고 있음을 문제 삼고, 소유가 아닌 창조의 원리에 근거해 결혼이 예술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실 이러한 심훈의 주장은 일본의 비평가 무로후세 코신[室伏高信]의 「藝術として結婚」을 번역하면서 수용하게 된 것이다. 심훈의 유품으로 남겨진 장서 목록을 살펴보면 무로후세의 저서가 다수확인되는데, 이를 통해 두 사람의 사상적 영향 관계를 추측할 수 있다. 친조파(親朝派) 지식인이었던 무로후세 코신은 『文明の沒落』, 『靈の王國』 등을 통해서 자신의 독특한 사상을 개진했다. 그는 독일의 발터 라테나우(Walther Rathenau)의 철학을 수용하면서 자본주의와 마르크시즘, 양자를 모두 비판하는 태도를 취한다. 그는 마르크시즘 역시 자본주의와 마찬가지로 ‘도시문명’에 근거한 기계적이고 합리주의적인 사고방식으로 당대 사회를 진단하기 때문에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진정한 대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직관’과 ‘사랑’ 그리고 ‘희생’을 통해서만 자본주의의 모순이 극복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무로후세는 자본주의의 ‘도시문명’이 ‘농촌문화’의 붕괴시킨다고 주장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농촌 중심의 ‘자치촌(自治村)’ 운동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그는 마르크스가 주장한 도시 공장 노동자에 의한 혁명이 아니라, 농촌 공동체의 회복을 통해 당대사회의 문제가 극복 가능할 것이라고 보았다. 심훈의 사상적 지향성과 행보는 무로후세의 사상과 공통점을 보여준다. 심훈의 영원의 미소 는 ‘도시문명’과 ‘농촌문화’를 대비시킨 작품이다. 도시의 인텔리 계층이었던 김수영, 서병식, 최계숙은 사회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생계를 위해 생활전선에 뛰어든다. 그러나 이들은 경성이라는 ‘도시문명’의 공간 속에서 패배감에 빠지고, 인간성을 상실한 채 ‘물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김수영은 고향의 모습을 통해 당대 조선의 농촌 현실을 직시하고, 농촌이 근대 자본주의의 메커니즘에 의해 수탈당하고 있음을 깨닫고 귀향을 결심한다. 심훈은 최계숙을 둘러싸고 농촌을 상징하는 김수영과 도시를 상징하는 조병호의 애정 갈등을 내세워 도시와 농촌의 착취와 피착취 양상을 구체화한다. 또한 작가는 김수영과 최계숙이 인간성을 회복하고 결혼하는 과정을 그려냄으로써 농촌 속에서 ‘도시문명’을 극복한 ‘사랑의 공동체’를 농촌에서 구현해야 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ologic directivity of Sim Hoon by analysing the repeated motif shown on the his full-length novels and by searching his bibliography. Sim Hoon hasn’t been judged right by the researchers since he had taken an equivocal attitude on the dichotomous literary history such as nationalism and socialism. Sim Hoon has been considered as a illuminist or Narodnichestvost sympathizing the v-narod movement but such a common idea can be impediment to understand his literature world. His full-length novels from Talchum to Dongbanguiaein, Bulsajo, and Yeongwonuimiso, Jiknyeoseong, Sangroksu are composed of the story which overlaps a position.social problem on the main characters’ love conflict. He has been considered that he expresses the social problem on the conventional way because ‘romanticism’ and ‘socialism’ or ‘anti-capitalism’ are intersected on his novels which are consistently focused on the issue, “Love”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It is shown that Sim Hoon‘s art value is far from the materialistic dialectic based on Marxism, looking into the fact that he argued with Han Seolya and other wirters of KAPF side. Sim Hoon insists that the social problem of his time should be surmounted by love conflict between man and woman. it means that he preempted the theory of public-novel proposed by Kim gijin in the KAPF, Sim Hoon actually dealt with the problem of free love through the marriage made into an art. He made an issue of the problem which marriage of between man and woman is based in the principal of the Private ownership of the capitalism and insist that marriaged should be made into an art based in the principal of creativity not based in ownership. In fact, his insistence has been made when he translated 「藝術として結婚」of Murohuse Kousin[室伏高信] who is a Japanese critic. Ideological relation of dynamics between Sim Hoon and Murohuse can be speculated with several Murohuse’s writings which have been left as Sim Hoon’s relics Murohuse Kousin who is a the sympathizers of Chosun intellectual has revealed his unique idea by writing 文明の沒落, .の王國. He accepted philosophy of Walther Rathenau who is German and criticized both of Capitalism and Marxism. He insist that Marxism can’t be a real alternative surmounting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because Marism also diagnoses the society of his time in the same way of mechanical and reasonable thinking method based on ‘the city civilization’. He expresses that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can be surmounted by only ‘intuition’, ‘love’ and ‘sacrifice’. He also insisted that ‘the city civilization’ of Capitalism brings down ‘the rural culture’ and emphasized the 208 necessary of local autonomy movement from the rural communities to surmount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He believed the social problem of his time can be surmounted by regaining of rural community not by the revolutions of the factory workers in cities which was insisted by Marxism. The ideologic directivity and move of Sim Hoon have in common with the idea of Murohuse. Sim Hoon’s Yeongwonuimiso is a literary work which shows the contrast of ‘the city civilization’ and ‘the rural culture’. Kim Suyeong, Seo Byeongsik, Choi Gyesuk who once were the intelligence class in the city started earning a living after the social movement ended in failure. But they were overwhelmed by a sense of defeat in the space of ‘the city civilization’ called Gyengsung and shows the goods tendency with loss of humanity. Kim Suyeong faced up to the reality of the rural community of the day through his hometown and decided to go back to the hometown after realized that the rural community is exploited by the mechanism of modern capitalism. Sim Hoon gives shape to the appearance of exploitating and exploited class in the city and rural communities through the love conflict between Kim Suyeong symbolized the rural communities and Jo Byeongsik symbolized the city around Choi Gyesuk. He also shows ‘love-commune’ which overcomes ‘city civilization’ should be realized in rural communities by describing the progress of the Kim Suyeong and Choi Gyesuk’s marriage after recovering hum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