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모형검증

        권재환(Jae-Hwan Kw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10

        본 연구는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중고등학교급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연구모형에 제시된 5개의 경로[(충동성→대인관계기술), (충동성→게임중독), (공격성→대인관계기술), (공격성→게임중독), (대인관계기술→게임중독)]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변인인 충동성과 공격성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키는 유발요인 역할을 하며, 대인관계기술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요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급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의 높고 낮음이 게임중독에 인과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따라서 매개효과도 입증되지 않은 반면, 고등학생들은 대인관계기술이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게임중독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하여 대인관계기술을 증진해주는 개입방안은 고등학생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verify a related model between among Impulsivity, Aggression, Gam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ggression was selected as prerequisite variables. And Interpersonal Skills was selected as a mediated variable. Which affected Game Addictio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th coefficients of (Impulsivity→Interpersonal Skills), (Impulsivity→Game Addiction), (Aggression→Skills), (Aggression→Game Addiction), (Interpersonal Skills→Game Addiction) were all significant. Second, it was proved that Impulsivity and Aggression played as inducting factors to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and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played as inhibiting factors which leads to decrease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Third, the mediator effect of perceived Interpersonal Skills in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ity, Aggression and Game Addiction was significant. Fourth, divided in school levels by and the result which analyz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skills did not affect in game addiction. So there was not also a mediating effect. The high student the interpersonal skills which listens influences in game addiction. And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s was. Therefore for the prevention and a treatment of game addiction the method to raise a interpersonal skills will be effective in the high students.

      • KCI등재후보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권재환 ( Jae Hwan Kwon ),박희현 ( Hui Hyun Par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0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미만의 아동을 대상으로 상담하고 있는 아동상담자 188명이었다.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검사는 Rosenberg(1965)의 척도를 윤유경(1996)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개발하고 윤혜정(1993)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측정도구는 Jayaratne과 Chess(1981)에 의해서 개발된 도구로써 윤부성(2000)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상담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상담자에 대해 슈퍼바이저, 동료상담원, 가족, 친구와 같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 도전에 대한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슈퍼바이저와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역할갈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슈퍼바이저의 지지가 높을수록 역할모호성에 대한 스트레스가 낮아졌으며, 동료상담원과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업무과다에 대한 스트레스를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ounselor`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8 counselors who are counseling with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regress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revealed that child counselor`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 When the child counselors have higher self-esteem, the degree of all sub-factors of job stress is lower. When the counselor have higher social support such as support of supervisor, fellow, family and friend, the degree of job challenge stress is lower. When child counselors have higher support of supervisor and family, the degree of stress due to role conflict is lower. When the counselor have higher support from supervisor, the degree of stress of role ambiguousness is lower. The child counselors, who have higher support of fellow and family, showed a lower degree of stress regardless of excessive work load.

      • KCI등재

        학업적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업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권재환(Jae Hwan Kwon),강지혜(Ji Hye Kang)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This study established a relationship model between academic gri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attempted to verify whether academic emotion regul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students at a 4-year university located in J Provinc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academic grit, the higher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higher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as a result of model verification that set academic grit as a predictor variabl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n outcome variable, academic grit did not direct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bu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as completely It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guidance that can lead to academic grit that can lead to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re necessary. 본 연구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적 정서조절 및 학업성취도 간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학업적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인과적 관계에서 학업적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재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SEM)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그릿이 높을수록 학업적 정서조절과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정서조절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적 그릿을 예언변인으로, 학업적 정서조절을 매개변인으로, 학업성취도를 결과변인으로 설정한 모형검증 결과, 학업적 그릿이 학업성취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학업적 정서조절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해서는 학업적 그릿이 학업적 정서조절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적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심리적ㆍ환경적 요인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

        권재환(Kwon Jae-Hwan)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6 사회연구 Vol.- No.11

        이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환경적 요인과 대인관계기술의 관계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변인으로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충동성, 자아존중감, 공격성), 가정의 심리적 환경특성(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및 통제), 학교의 심리적 환경특성(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과 매개변인으로서 대인관계기술이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층화표집을 통하여 선정한 G광역시와 C도 소재 32개 중·고등학교의 재학생 2,197명이었다.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모형에 제시된 15개의 경로 중 12개의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의 경로는 다음과 같다. (충동성→대인관계기술), (충동성→게임중독), (자아존중감→대인관계기술), (공격성→대인관계기술), (공격성→게임중독),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대인관계기술),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게임중독),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대인관계기술),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게임중독),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게임중독), (부모의 감독 및 통제→게임중독), (대인관계기술→게임중독)이다. 나머지 3개의 경로인 (자아존중감→게임중독),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대인관계기술), (부모의 감독 및 통제→대인관계기술)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수정모형에서는 제외되었다. 수정모형을 통하여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충동성, 공격성,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및 통제,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증가시키는 유발요인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대인관계기술,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가 청소년의 게임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는 억제요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행변인들과 게임중독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충동성, 자아존중감, 공격성,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 게임에 대한 친구의 긍정적 태도 요인들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후속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to verify a related model between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affected adolescents" internet game addiction. 7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elected as prerequisite variables. Those are as follows: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impulsivity, self-esteem, aggression), family"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and school"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And their interpersonal skills were selected as a mediated variable. The subjects were 2,19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32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and C. province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12 paths of 15 paths were proved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ubjects" game addiction. 12 paths are as follows: (impulsivity→interpersonal skills), (impulsivity→game addiction), (self-esteem→interpersonal skills), (aggression→interpersonal skills), (aggression→game addiction),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interpersonal skills),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game addiction),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interpersonal skills),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game addiction), (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game addiction),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gam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skills→game addiction). Three paths such as (self-esteem→game addiction), (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interpersonal skills),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interpersonal skills) were proved not affecting significantly. Therefore, they were excluded in the Correction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of inter-variable relations through Correc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impulsivity, aggression, parents" laissez-faire parenting,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and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variables played as inducting factors to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Second, interpersonal skills, and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played as inhibiting factors which leads to decrease their game addiction tendencies. Third, interpersonal skill mediated the effects of impulsivity, self-esteem, aggression, teachers" negative attitudes to the game and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on game addiction tendencie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교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권재환 ( Kwon Jae Hwan ),정구헌 ( Chung Gu H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교조직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충성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자발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가치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설문의 대상은 서울지역 중등학교교사 60명으로 한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타당성분석과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개별적 배려, 비전 제시, 지적 자극을 독립변수로 학교조직의 몰입을 종속변수로 실시한 회귀분석의 결과 첫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중 개별적 배려와 비전 제시는 충성심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적 자극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중 개별적 배려와 비전 제시는 자발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적 자극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중 개별적 배려와 비전 제시는 가치 수용에 영향을 미치지만 지적 자극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a school principal wi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set and the surveys were performed accordingly. First,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give positive effect on loyalty. Second,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give positive effects on autonomy. Third,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ill give positive effects on value acceptance. The targets for the surveys were set to 60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On the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feasi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As a result of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sub-factors with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ith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dependent variable, first, amo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variables,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have an influencd on teacher`s loyalty not intellectual stimulation. Seco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influenced spontaneity, not intellectual stimulation. Lastly,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spirational motivation influenced value acceptance, not intellectual stimulation.

      • KCI등재
      • 메두사 : 일반화된 멀티미디어 자료처리 시스템

        권재환(Jae-Hwan Kwon),김경수(Kyeong-Soo Kim),박성훈(Sung-Hun Park),박재호(Jae-Ho Park),강교철(Kyo-Chul Kang)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A

        최근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서 하이퍼미디어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정보의 검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여러 분야에 걸쳐서 응용 프로그램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정형화된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 모형이 부족한 관계로 대개의 경우 비효율적이며 주먹구구식인 방법을 통해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작성해왔다. 따라서 아래의 논문에서는 ER(Entity-Relation)[2] 모형과 스키마(Schema)를 사용해서 보다 정형화되고 일반화된 멀티미디어 자료처리 시스템의 한 모형인 PMM(POSTECH Multimedia Model)과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식물검색 프로그램인 메두사 2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모형을 통해서 보다 체계적이고도 정형화된 멀티미디어/하이퍼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기통제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권재환(Kwon, Jaehwan),이성주(Lee, Sung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지역 4개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2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기통제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이 중요한 요인이며, 부모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 간의 위계구조를 고려한 교육활동과 생활지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evance among parents perceived rearing attitude, self?control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as gathered through self?reported expression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362 college students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ositive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control. Second, the more positive parents rearing attitude was,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control was,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Fourth, there was partly mediated effect of self?control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s and school adjustment. This result suggests the importance of self?control in promoting the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