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굴 養殖場의 環境衛生 및 統營灣의 汚染에 對한 硏究

        崔渭卿,張東錫,李鐘甲,權在健 釜山水産大學校 1974 釜山水産大學 硏究報告 Vol.14 No.1

        1973年 4月 부터 1974年 3月까지에 걸쳐 우리나라 南海岸 主요 굴 養殖場의 하나인 巨濟灣의 海水와 그 海域에서 養殖하느 굴에 對한 衛生指標細菌의 性狀과 汚染度를 알아 보고 一般 僞生物相을 把渥하고 또한 이 海域의 汚染源이 된다고 豫想되는 統營灣의 海水에 대한 衛生指標細菌의 性狀과 汚染度 그리고 一般 衛生物相을 究明함과 同時에 이들의 季節에 따른 遷移를 알고져 이 硏究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1. 巨濟灣海水는 coliform group MPN의 median value가 <1.8- 8.6이었고, fecal coliorm MPN의 median value는 > 1.8- 5.7이었고, 生菌數는 3-34/ml였는데 汚染度는 여름이 겨울보다 훨씬 높았다. 2. 巨濟灣에서 養殖하고 있는 굴들은 coliform MPN의 median value가 88- 410, 最底<1.8에서 最高 16,000이었고, fecal coliform MPN의 median value가 >1.8- 45, 最底 18에서 最高 490이였으며, 生菌數는 median value가 290- 530, 最底 120에서 最高 36,000이였는데 汚染度는 여름이 겨울보다 훨씬 높았다. 3. 巨濟灣 全 station 海水의 pH는 8.10 前候로서 年中 큰 變化가 없고, 水溫은 1-2月이 最底 7℃, 7-8月이 最高로 26.5℃었고, salinity는 最底 31.54%로 7月이 낮고, 3月이 33.65%로서 가장 높았다. 4. 忠武灣의 汚染度는 coliform group MPN의 median value가 12- 2,200, 最底<1.8에서 最高 70이었고, fecal coliform MON은 median value가 4.5~1,700, 最低 4에서 最高 7,000이였으며, 生菌類의 median value가 23- 480, 最底 2에서 最高 4,200이였으며 여름이 겨울보다 汚染度가 높았다. 5. 潮夕別 汚染度는 底潮時의 coliform group MPN이 最高 1,800, 高潮時가 最高 240이었고, 底潮에서 高潮의 中間에는 最高 820, 高潮에서 底潮의 中間은 最高 1,600이였으며 底潮時가 高潮時보다 汚染度가 높았다. 6. 一般 衛生物은 모두 1,829 菌株를 分離하에 19層으로 同定하였다. 7. Vibrio parahaemolyticus와 Salmonella sp.는 忠武灣에서는 檢出되었으나 巨濟灣에서는 檢出되지 않았다. 8. Station과 station간의 오3染度는 巨濟灣의 경우 큰 差異가 없었는데 忠武灣의 station C-4(客船埠頭)는 他 station에 比해 훨씬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of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and general microflora of the sea water and oysters of Geoje bay located at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ith respect to seasonal variation from April 1973 to March 1974. In addition, the sea water of Chungmu harbour adjacent to the Geoje bay hitherto considered as a contaminating source, was also examined at the same aspect as Geoje bay.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In the sea of Geoje bay, the median value of coliform group MPN showed 1.8 to 8.6 and fecal coliform MPN was 1.8 to 5.7. Total plate counts amounted 3 to 34 per milliliter. The sea was much contaminated in summer than in winter. Oysters from the Geoje bay indicated 88 to 410 of median value in coliform MPN, maximum 16,000 and minimum 1.8 respectively. The fecal coliform MPN showed 18 to 45 in median value, 490 in maximum and 18 in minimum respectively. Total plate counts ranged 290 to 530 in median value, 36,000 in maximum and 120 in minimum respectively. Contamination of oysters was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Throughout the Geoje bay sea, pH variation was almost negligible indicating the constant value of 8.10 with respect to season, however maximum water temperature indicated 26.5℃ during July to August while 7℃ of minimum temperature in January and February. Minimum salinity showed 31.54% in July and maximum was 33.65% in March. In Chungmu harbour coliform group MPN ranged 12 to 2,200 in median value, 70,000 in maximum and 1.8 in minimum. Fecal coliform MPN rested between 4.5 to 1,700 in median value, 4.000 in maximum and 4 in minimum. Total plate counts amounted to 23 to 480 in medi an value, 4,200 in maximum and 2 in minimum. The sea was more contaminated in summer than in winter. At low tide coliform MPN reached its maximum value of 1,800 while high tide had its maximum value of 240, however at the midtide from lowtide to high tide maximum value was 920 and at the midtide from high tide to low tide represented its maximum value of 1,600. Sea at low tide was more contaminated than at high tide. Total number of 1,829 strains of the general microflora were isolated and 19 genera were identified. Vibrio parahaemolyticus and Salmonella sp. Were detected in teh Chungmu harbour but not in the Geoje bay.

      • 로드셀을 장치한 버섯 병재배용 배지 수분조절 방법

        정종천,이찬중,문지원,신평균,권재건,김혁주 한국버섯학회 2014 버섯 Vol.18 No.2

        본 시험은 버섯 병재배용 배지혼합기를 사용하여 배지를 제조할 때 수분조절을 위해 물 공급하는 양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매일 반복 작업하는 배지의 수분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실시하였다. 버섯 병재배 시 배지를 제조(배지재료를 혼합하고 물을 공급하여 수분함량을 조절하는 작업과정)하여 입병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배지의 수분함량을 매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배지 혼합기 하부에 로드셀을 장치하여 병당 입병량과 입병수로 계산한 무게에 도달했을 때 물 주입이 자동적으로 끝나도록 하는 장치를 고안하였다. 또한 배지재료별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혼합기에 투입하는 재료들로부터 건조중량을 계산해 배지제조시 목표로 하는 수분함량에 도달하는 배지의 총 무게를 산출하는 엑셀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이때 로드셀의 혼합기 무게 표시부에 일정한 입병수와 목표 수분함량에 따른 배지의 총 무게를 입력하고 물을 공급하기 시작하여 혼합배지가 입력해 둔 무게에 도달하면 물 공급이 자동으로 끊기게 된다. 따라서 배지의 수분함량을 67%로 조절하여 1,100ml 병당 700 g씩 매일 1만병을 입병하는 농가의 경우, 로드셀이 장치된 혼합기의 무게를 영점으로 잡은 후 7,000 kg으로 설정한 후 배지재료들을 넣고 물을 공급하기 시작해서 혼합기의 전체무게가 7,000 kg에 도달하면 물 공급이 자동으로 끊어진다. 배지 수분함량이 67%로 조절되어 1,100ml 병당 700 g씩 입병이 되었다면 배지의 건조무게는 231g으로 가비중이 0.21(g/ml)이고 수분은 469ml로서 병내 3상조건은 고상 21, 액상, 43, 기상 36으로 계산이 된다. 이 경우에 로드셀을 장치한 배지혼합기에 배지재료를 매일 같은 비율과 양을 넣고 물을 공급하면 항상 혼합배지의 총 무게가 일정하게 됨으로써 입병량과 수분함량, 병내 3상조건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균 배양기간, 버섯 발생 및 생육기간이 일정하여 균일한 품질과 수량 등 안정생산이 기대된다.

      • KCI등재

        로드셀을 장치한 버섯 병재배용 배지의 수분조절 방법

        정종천,이찬중,문지원,권재건,김혁주 한국버섯학회 2015 한국버섯학회지 Vol.13 No.3

        This report is the result of devising a method for utilizing the device of the load cell to maintain a constant watercontent of the medium every day to prepare a cultural substrates with the mixer for growing mushrooms bottle cultivation. A loadcell was device under the medium mixer. It is developed when the device reaches the weight calculated as amount of substratebottled and number of the bottle, it is automatically terminated by water injection. In addition,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each medium and the total weight of the medium reaches the target moisture content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programCheong et al. (2015). Enter the total weight of the medium on the display unit of the load cell, when starting the water supply toreach the weight-based mixing media, the water supply is stopped. This method can improve the convenience by reducing theuser's trouble in repeated work medium prepared by automating water supply. The suitable moisture content of the mixedmedium for some kind of mushroom can be improved by the composition accuracy. And mycelial culture period, primordialperiod, mushroom growing period is maintained even of the medium can be produced stab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a stable management of the mushroom farm according to mushroom quality and quantity stable throughout the year.

      •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배지의 수분감소 조사결과

        정종천,이찬중,문지원,권재건 한국버섯학회 2014 버섯 Vol.18 No.2

        본 시험은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배지의 수분이 감소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재배현장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버섯 종류별로 알맞은 수분함량은 배지의 입병량(가비중)에 따라서 다르다. 즉 느타리 병재배에서 배지의 건조중량(g)을 병의 부피(ml)로 나눈 값이 0.18일 때 배지의 수분함량은 68~70%, 큰느타리용 입병 배지의 가비중이 0.21일 때 배지 수분함량은 65~68%, 팽이버섯용 입병 배지의 가비중이 0.23일 때 배지 수분함량은 62~63% 정도라고 하였다(정 등, 2004). 이것은 살균후 배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각 재배 농장에서 살균 전 수분조절 직후의 배지를 시료로 수집하여 운반하는 경우 변질되기 때문에 살균이 끝난 병을 가져와서 배지의 특성 조사를 해왔다. 따라서 살균 과정에서 배지의 수분은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알아야 살균전에 배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때 적용할 수 있다. 버섯 병재배에서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버섯 등 버섯의 종류에 따라 배지재료의 종류 및 조성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알맞은 병내 배지의 3상(고상, 액상, 기상) 조건은 버섯종류 및 배지조성에 따라 다르다. 고상은 배지의 건조중량(g)을 병의 부피(ml)로 나눈 값에 대한 백분율(%)이며, 액상은 입병한 배지무게에서 건조중량을 뺀 값을 병의 부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고, 기상은 [100-고상-입상]의 계산 값이다. 따라서 병내에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지재료의 종류 및 조성비율에 따라 다르게 입병되는, 배지의 건조무게와 수분함량은 부(-)의 상관을 갖게 된다. 배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배지 시료 일정량을 취하여 무게를 달고 80°C에서 24~48시간(시료 양에 따라 차이) 건조한 후 무게를 달아서 [(건조전무게-건조후무게)÷건조전무게×100]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입병된 배지의 건조중량은 [(입병 배지무게-빈병무게)×(100-배지수분함량)÷100]로 계산한다. 본 시험에서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병당 배지의 수분 감소량은 평균 17.4±4.9 ml로 10~22 ml의 범위이었으며, 감소율로 계산하면 평균 2.1±0.6%로 1.3~2.9%의 범위이었다. 살균후 배지의 수분함량 변화는 배지의 고상, 액상, 공극(기상), 살균기의 용량, 살균온도, 살균시간, 배기의 정도, 계절 등 많은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농장별로 배지조성이나 계절 및 살균방법, 살균기의 크기 등에 따라서 각각 배지의 수분감소량을 조사하여 배지제조시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충주 지역 설사 환아의 Rotavirus G Serotype 분포에 관한 연구

        재건,재봉,강신영,Sim, Jae-Geon,Kwon, Jae-Bong,Kang, Shien-Young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3 No.1

        목 적: 설사 환아에서 rotavirus 장염의 빈도는 매우 높으며 rotavirs에 대한 예방 접종이 실용화되었으나 국내 rotavirus 혈청형 분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는 매우 드물고, 혈청형의 정확한 분포비율도 아직까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Rotavirus 설사 환아의 G 혈청형 분포를 RT-PCR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설사를 주소로 내원 또는 입원한 소아 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사 시작 후 3일 이내의 대변을 채취하여 영하 $20^{\circ}C$의 냉동고에 보존하였다. EIA(TestPack Rotavirus, Abbott Laboratories)법으로 rotavirus 양성인 검체를 선별하였으며, 양성 반응을 보인 검체를 대상으로하여 RT-PCR을 이용하여 rotavirus G serotype을 결정하였다. 결 과: 총 202 검체 중에서 rotavirus 양성은 95례였으며, 이 중 serotype 판정이 가능했던 것은 50례이었다. G serotype 1이 5례(10%), 2 (G2)가 5례(10%), 3 (G3)가 14례(28%), 4 (G4)가 13례(26%), 9(G9)이 10례(20%)였으며, G1과 G9이 함께 있는 것과, G2과 G9이 함께 있는 것, G4와 G9이 함께 있는 경우가 각 1례씩 있었다. G8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국내에 기존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G9이 상당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일 많다고 알려진 G1보다 G3, G4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등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에 발표되었던 자료와는 많은 상이점을 보인다. 이는 지역적인 요인 및 시기 상의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으나, 보다 정확한 역학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epidemiologic data of rotavirus serotypes for the application of polyvalent rotavirus vaccines. Epidemiological studies of rotavirus serotypes in Korea have been reported only in limited areas with small number of cases. Authors tri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rotavirus G serotypes in ChungJu area with RT-PCR. Method: Stoo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202 children with acute diarrheal symptoms, who admitted to or visited Kon-Kuk University Hospital in ChungJu from June 1998 to May 1999. Samples were screened for rotavirus with EIA method (TestPack Rotavirus, Abbott Laboratories) and rotavirus G Serotypes were determined by RT-PCR. Results: Rotavirus was positive in 46.6%. The incidence of G serotypes was as follows; G1 10%, G2 10%, G3 28%, G4 26%, and G9 20%. There were three cases of multiple serotypes; G1 with G9, G2 with G9, and G4 with G9. Serotype of G8 was not found. Conclusion: The proportion of G serotypes in ChungJu is much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Serotype of G9 was found which had not been reported in Korean children till now. Long term plans for the investigation of rotavirus serotypes must be needed in wide area.

      • Rotavirus 및 Adenovirus에 의한 급성 장염에 관한 비교 연구

        재봉,재건,Kwon, Jae Bong,Sim, Jae Geo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7 No.1

        목 적 : Rotavirus와 adenovirus는 영유아에서 급성장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인데 한국에서 adenovirus에 관한 연구 논문이 적어 저자들은 최근에 발생한 adenovirus와 rotavirus 장염의 분포를 조사하여 향후 질병 예방 및 발생 정보에 도움을 얻고자 연구 분석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에서 1999년 6월까지 대상으로 건국의대 부속병원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 또는 통원 치료를 한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아 143명중 rotavirus 양성은 53명으로 37%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1999년 1월에서 3월 사이의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2세 이하에서 가장 많이 발생함을 보였고 2~4세 사이에서도 16%의 양성률을 보였으며 9월에 전체 24례중 6례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2개월에서 2세 사이에 많은 발생을 보였다. Adenovirus와 rotavirus에 동시 검출된 경우는 7명(5%)이였다. 결 론 : Rotavirus 장염은 1월부터 3월에 가장 많은 발생 빈도를 보여서 겨울 및 초봄에 유행시기를 보였으며 adenovirus는 9월에 가장 많이 검출 되었다. Rotavirus와 adenovirus의 발생의 중간 나이 분포는 각각 1세 4개월, 1세 3개월의 분포를 보였다. Purpose : Acute diarrhea in one of the most important diseases in children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Most of acute diarrhea is induced by viruses. Rotavirus and adenovirus are leading causes of severe gastroenteritis amo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worldwide. Studies for adenovirus gastroenteritis in Korea are limited. We studied the prevalence of rotavirus and adenovirus gastroenteritis from March 1998 to June 1999 in Chungju area. Methods :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43 children with acute diarrhea. Specimens were tested for group A rotavirus antigen and for adenovirus type 40 and 41 by using available commercial kits. Results : Among 143 samples, 37% were positive for rotavirus and 16% were positive for adenovirus. Rotavirus was most prevalent from January to March, 1999 and adenovirus was prevalent during September 1999. The greatest number of rotavirus infections occurred under 24 months of age, followed by 2~4 years of age. Adenovirus was most common in 2~24 months of age. Conclusion : Rotavirus was most prevalent in winter and early spring. In our study, rotavirus was prevalent in early spring and adenovirus was in autumn.

      • 버섯 병재배 배지재료로 카사바줄기칩의 활용 효과

        정종천,이찬중,문지원,김세경,권재건,서장선 한국버섯학회 2013 버섯 Vol.17 No.2

        버섯 소규모 병재배에서는 배지재료로서 톱밥, 미강 등 국내 부존자원을 활용하였으나 대규모로 전환되면서 국내의 부산물자원 만으로는 배지재료의 안정적인 대량 공급이 어려워서 콘코브, 비트 펄프, 면실피, 면실박 등 다양한 재료들로 수입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주요 수입국인 중국에서도 버섯 재배면적이 급증하면서 중국산 수입재료의 가격이 3~5년 사이에 2배 이상 올라서 수입국의 다변화는 물론 새로운 자원을 찾아야 하게 되었다. 2011년에 베트남 출장시에 카사바 부산물인 지 상부의 줄기는 땔감이나 울타리용 이외에는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음을 알고 이화학성 분석용 시료 를 확보하였으며 버섯 병재배용 재료로 국내로 보내주기를 요청하였다. 카사바줄기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열대지방 재배작물인 카사바의 뿌리를 수확할 때 산 출되는 부산물로서, 이 식물은 수확기에 도달하면 잎과 잎자루는 떨어지고 지상부에 줄기만 남는다. 카사바는 1년생 열대성 작물로서 줄기는 2~4 m까지 자라며 재배기간이 10개월 정도이고 베트남에 서는 주로 2~3월경에 뿌리를 수확을 한다. 베트남의 카사바 재배면적은 50만ha 정도이고 카사바줄 기는 ha당 10톤(건조) 정도로서 땔감 등으로 약 40%를 활용한다고 한다. 그 나머지 중에서 5%를 수집한다면 약 15만톤의 수입이 가능하다. 카사바줄기로 국내 수집량이 제한적인 톱밥류와 수입재료인 콘코브, 비트펄프, 면실피 등을 대체 하여 이들이 주로 대량으로 소요되고 있는 팽이버섯과 큰느타리 병재배에 활용이 가능한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큰느타리용 배지 조성은 [미송톱밥 60, 미강 20, 밀기울 10, 비트펄프 10]를 대조구로 하고 [카사바줄기 60, 미강 20, 밀기울 10, 비트펄프 10]를 시험구로 하였다. 카사바 줄기는 총탄소(T-C) 함량이 47.2%, 총질소(T-N) 1.16%로서 C/N율은 41:1 정도이다. 버 섯 배지재료의 영양성분 등 질소함량을 참고하여 카사바줄기는 미송톱밥, 포플러톱밥, 비트펄프, 콘 코브, 면실피 등을 대체하는 쪽으로 활용하고 비트펄프, 케이폭박, 면실박 등의 영양원첨가제 양을 줄이는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카사바줄기의 양이온 함량은 P2O5 0.05%, K2O 0.36%, CaO 0.13%, MgO 0.05%, ClO2 0.03%, Na 156 ppm, Fe 30 ppm, Mn 38 ppm, Cu 5.8 ppm 정도 이었으 며 As(비소), Cd(카드뮴), Cr(크롬), Pb(납) 등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큰느타리 병재배용 배지재료들의 조성비율에 따라 제조된 대조구의 배지는 pH 5.7, 탄소함량 47.7%, 질소함량 1.44%, C/N율이 33:1이었다. 대조구의 ‘미송톱밥 60’ 부분을 ‘카사바줄기분쇄물 60’ 으로 바꾼 시험구의 배지는 pH 6.1, 탄소함량 46.6%, 질소함량 1.65%, C/N율이 28:1이었다. 카사 바줄기를 활용한 큰느타리 병재배용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은 850ml병당 96g으로 대조구의 104g에 비하여 92%로 적었다. 그러나 병내 가비중(건조무게/부피)은 시험구가 0.17로 대조구의 0.23에 비하 여 74%정도에 불과하였음을 감안할 때 생물효과는 시험구의 0.68과 대조구의 0.53으로 시험구에서 28%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병내 배지의 충진량을 좀더 높이고 수분함량을 조절함으로 서 자실체 수량을 좀더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큰느타리 버섯발생 및 생육 시에 카사바줄기를 활용한 배지에서는 버섯발생량이 적어 솎기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었으며, 갓 모양이 일정하고 대가 곧고 길게 자라는 경향이었다. 카사바 주요 생산국인 베트남에서 카사바줄기를 병재배용 배지재료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여 낮은 가격에 수입한다면 국내에서 공급량이 부족한 톱밥과 고가에 수입하고 있는 콘코브, 비트펄프, 면실피 등의 대체와 더불어 이들 재료의 가격인하 유도 효과도 기대한다.

      • 병재배 느타리 수확후배지의 느타리버섯 배지에 알맞은 재활용 수준

        정종천,이찬중,문지원,권재건 한국버섯학회 2015 버섯 Vol.19 No.1

        버섯은 자연 생태계에서 유기물을 무기물로 분해하면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분해자로서 역할을 하는 점에서 친환경적으로 매우 유익하다. 또한 버섯균은 섬유소 분해능이 뛰어나 일반세균이나 효모균이 분해하기 어려운 리그닌복합체도 포도당 등 단당형태로 분해함으로써 토양미생물의 증식을 조장하기도 한다. 국내에서 버섯재배는 병재배법이 본격적으로 보급된 1990년대 이후 팽이버섯, 큰느타리, 느타리 등이 연중 20만톤 정도 생산되고 있다. 버섯 병재배 배지재료로는 톱밥류와 콘코브, 비트펄프, 면실피, 미강, 밀기울, 건비지, 패화석분 말, 혼합사료 등이 쓰이고 있다. 본 시험은 팽이버섯, 큰느타리, 느타리의 병재배 수확후 배지를 느타리 병재배 용 배지제조에 2차 배지재료로서 재활용하고자 하였다. 팽이버섯, 큰느타리, 느타리 병재배 후 탈병한 배지를 각각 바로 운반하여 느타리 532배지에 첨가시험을 수행한 결과, 팽이버섯과 큰느타리 수확후배지를 첨가한 배 지에서 느타리 품종 춘추2호와 만추리는 모두 자실체 수량이 무첨가구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느 타리 병재배 수확후배지는 기본배지에 대하여 50%까지 대체하여도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10%~30% 첨가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증수되었다. 여기에 제시한 시험 결과는 느타리버섯 병재배 농가에서 배 지비용 절감과 안정적인 버섯 수량의 증수를 통한 소득 증대가 기대된다. 유의할 사항은 균배양 및 버섯의 발 생, 생육 등 과정에 잡균의 피해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재배한 수확후배지를 사용해야 하고, 탈병작업 후 바 로 그 날의 느타리 병재배용 배지제조에 재활용함으로서 변질되지 않은 수확후배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배지의 수분감소 조사결과

        정종천,이찬중,문지원,권재건 한국버섯학회 2014 버섯 Vol.18 No.2

        본 시험은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균시 배지의 수분이 감소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재배현장에 활 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버섯 종류별로 알맞은 수분함량은 배지의 입병량(가비중)에 따라서 다르다. 즉 느타리 병재배에서 배지의 건조중량(g)을 병의 부피(ml)로 나눈 값이 0.18일 때 배지의 수분함 량은 68~70%, 큰느타리용 입병 배지의 가비중이 0.21일 때 배지 수분함량은 65~68%, 팽이버섯용 입병 배지의 가비중이 0.23일 때 배지 수분함량은 62~63% 정도라고 하였다(정 등, 2004). 이것은 살균후 배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각 재배 농장에서 살균 전 수분조절 직후의 배지를 시료로 수집하여 운반하는 경우 변질되기 때문에 살균이 끝난 병을 가져와서 배지의 특성 조사를 해왔다. 따라서 살균 과정에서 배지의 수분은 얼마나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알아야 살균전에 배지의 수분함량을 조절할 때 적용할 수 있다. 버섯 병재배에서 느타리, 큰느타리, 팽이버섯 등 버섯의 종류에 따라 배지재료의 종류 및 조성비율이 다르기 때문에 알맞은 병내 배지의 3상(고 상, 액상, 기상) 조건은 버섯종류 및 배지조성에 따라 다르다. 고상은 배지의 건조중량(g)을 병의 부피(ml)로 나눈 값에 대한 백분율(%)이며, 액상은 입병한 배지무게에서 건조중량을 뺀 값을 병의 부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고, 기상은 [100-고상-입상]의 계산 값이다. 따라서 병내에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지재료의 종류 및 조성비율에 따라 다르게 입병되는, 배지의 건조무 게와 수분함량은 부(-)의 상관을 갖게 된다. 배지의 수분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배지 시료 일정 량을 취하여 무게를 달고 80°C에서 24~48시간(시료 양에 따라 차이) 건조한 후 무게를 달아서 [(건조전무게-건조후무게)÷건조전무게×100]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입병된 배지의 건조중량은 [(입 병 배지무게-빈병무게)×(100-배지수분함량)÷100]로 계산한다. 본 시험에서 버섯 병재배용 배지 살 균시 병당 배지의 수분 감소량은 평균 17.4±4.9 ml로 10~22 ml의 범위이었으며, 감소율로 계산하 면 평균 2.1±0.6%로 1.3~2.9%의 범위이었다. 살균후 배지의 수분함량 변화는 배지의 고상, 액상, 공극(기상), 살균기의 용량, 살균온도, 살균시간, 배기의 정도, 계절 등 많은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각 농장별로 배지조성이나 계절 및 살균방법, 살균기의 크기 등에 따라서 각각 배 지의 수분감소량을 조사하여 배지제조시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