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經山 鄭元容 『經山北征錄』의 시세계 고찰

        권은지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5

        經山 鄭元容(1783-1873)은 1802년(순조 2)에 과거에 급제하여 1873년(고종 10)에 이르기까지 약 70년간 관직 생활을 하며 중앙의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또한 강원도⋅평안도⋅함경도 등 각 지역의 관찰사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1829년(순조 29) 북관에 재해가 일어나 많은 백성들이 죽거나 다치게 되자 이를 수습하고 민심을 살피기 위해서 새로이 지방관들을 뽑아 보냈는데, 이 때 정원용도 회령부사로 차임되어 그해 8월부터 다음해 12월 까지 약 일 년 남짓 재임하였다. 『經山北征錄』은 이 시기의 저술을 모은 것으로, 본고는 이 저술에 실려 있는 시를 대상으로 그의 시세계를 고찰하였다. 『經山北征錄』 卷 1, 2에 수록된 시들은 기존 연구에서 개괄적으로 작품목록 및 구성이 검토되었지만, 수록된 작품의 실제 규모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고찰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경산북정록』에 수록된 시의 시세계를 살피기에 앞서 『경산북정록』 卷1, 2의 구성을 검토하였다. 卷 1, 2는 목록과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록과 본문의 시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경산북정록』에 수록된 시가 기존 해제에서 언급했던 총 175제 332수 보다 많은 양인 총 219제 380수임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經山北征錄』에 있는 시를 크게 ‘가족에 대한 그리움’, ‘북방지역에 대한 관심’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경산북정록』에는 정원용이 평안도와 강원도 등 다른 시기 지방으로 부임해서 창작했던 작품들을 모아놓은 저술들에 비해 가족을 그리는 시가 다수 수록되어 있어, 가족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다른 저술에는 아내에게 보낸 시가 많은데 비해 『경산북정록』에는 아내뿐 아니라 딸, 아들, 사위, 며느리, 외손자, 동생, 누이에 이르기까지 그 대상이 다양하며 감정 또한 풍부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정원용은 임금의 명을 받아 북방지역을 살피러 온 것으로, 이 지역 백성들의 생활이나 풍속을 면밀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그의 이러한 관심이 자연스럽게 시에 나타나게 되었다. 풍속뿐만이 아니라 이 지역의 역사와 영토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시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는 단순히 관심만 표현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이를 토대로 북방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고 북방관련 정보를 저술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 QFD 기법을 이용한 청소년 BB 크림의 품질개선에 관한 연구

        권은지,김승종,임미혜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6 自然科學 Vol.27 No.-

        In this study, the author gathered basic data on make-up practices of adolescents and requirements for BB creams for adolescents from girls going to high schools in the Gyeongsang province, Korea and analyzed and used the data for quality function deployment. First, as far as ages of the subjects were concerned, most of them were 19 years of age for 65.9%, and those who were 18 years of age accounted for 22.6% and 17 years of age for 11.5%, respectively. When asked how often they wore color makeup, a majority of the subjects answered, ‘Everyday’ (41.2%). When it came to most frequently used color cosmetic products, 79.1% were found to use BB creams among face color cosmetics, 81% were found to use lip tints among lip color cosmetic products, and 73% were found to use eyeliners among eye color cosmetic items. Three cosmetic items which they hoped that schools would allow them to use were BB creams (72.0%), lip tints (68.6%), and eyebrow (51.3%) in order. When asked what made them use color cosmetics, 77.4% responded ‘To have a pretty face. Second, 16 customer attributes (CAs) of adolescent BB creams selected from sourc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ere assessed by cosmetics making experts to extract 12 engineering characteristics (ECs) from the CAs. Correlations between CAs and ECs were scored, and depending on the sum of scores, scores of planned quality and design quality were calculated. The scores were divided into three grades according to the range, and thereby critical customer requirements (CCRs) and critical to quality (CTQ) equivalent to Grade A were generated. Thir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ether items on the market meet planned quality, emotion assessment based on CAs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CCRs like color expression and coverage, which are available for emotion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awareness about BB creams fit to adolescent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consumer-centered development of cosmetics, not for developer-centered one, by generating CCRs and CTQ, which can measure requirements of adolescents, going beyond the scope of a survey. There is a need of subsequent studies in which production of test samples meeting planned quality is entrusted with a cosmetics making company, and the samples are tested by emotion assessment trained adolescents for CA satisfaction and compared with prototypes.

      • KCI등재

        鄭元容의 仕宦期 交遊 關係 硏究

        권은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3 No.-

        본 논문은 정원용의 사환기 교유 관계를 고찰하였다. 정원용은 1802년(순조 2)에 과거에 급제하여 1873년(고종 10)에 이르기까지 약 70년간 관직 생활을 하며 많은 사람과 교유를 맺었다. 그에 관한 연구는 여러 편이 나왔음에도 그의 교유 관계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산일록』을 비 롯하여 정원용의 문집인 『경산집』과 『수향편』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사환기 교유 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정원용은 벼슬 초기에는 주로 文翰職에 있으며 이미 문명이 있었던 先進들과 교 유하였다. 순조에게 은혜를 입어 벼슬이 올라 헌종 대에는 당상관으로 당대의 핵심 세력인 풍양 조씨와의 교유가 깊었으며, 철종 대에는 조정의 상신으로 정계의 다양 한 사람들과의 협력을 통해 정권을 이끌었다. 따라서 시기별로 구분하여 교유를 살 펴보는 것이 정원용의 교유의 실상을 살피는데 적합하리라 생각하여 그의 교유 관 계를 벼슬 초기, 헌종 시기, 철종 이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주요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원용은 순조대에 翰林職을 여러 번 맡았고 『弘齋全書』 교정 참여를 통해서 김조순을 비롯하여 그와 친밀한 관계였던 이만수, 남공철, 심상규 등과 교유 관계를 맺을 수 있었다. 정원용은 이들과 교유하며 후학으로서 인정받았고, 이들의 도움으 로 중앙 정계의 요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헌종대에는 조인영과 조만영을 비롯하여 그들과 친분이 있었던 권돈인, 김도희, 박회수 등과 교유하였다. 정원용은 헌종이 친정을 시작하면서 조인영의 도움을 받 아 처음으로 재상직(우의정)에 올라 조인영과 협력하여 국정을 이끌며 친밀하게 교 유하였다. 철종 이후 전부터 교분이 있었던 사람들과 계속해서 모이며 친분을 유지하였고 여기에 김좌근과 조두순도 함께 참여하였다. 정원용의 화수루를 비롯하여 각자의 별장에서 돌아가며 모였다. 정원용은 화수루를 짓고 여기에서 기로회를 가지고 동 갑 모임을 했으며, 다른 정자인 石林亭에서 五八會를 열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만나서 정사를 의논하고 자신들의 관계를 확인하기도 하였는데, 이를 통해 이들의 잦은 모임과 교류가 단순히 친밀감을 나누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목적도 함 께 띄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Jeong Won-yong's companionship during his public servant period. Jeong Won-yo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802 and served as a government office for about 70 years until 1873.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him, we can say that the research on his companionship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examine his companionship during his public servant period, focusing on his writings, 『Kyungsanilok』 , 『Gyeongsan-jip』 and 『Suhyangpyeon』 . Jeong Won-yong was mainly in charge of research job in the early days of public office, and he had ties with famous scholars. He was promoted in favor of King, Sunjo and became Dangsanggwan at King, Heonjong's time and deeply communicated with Poonyang Cho's Family, the core power of the day to lead the government with them.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examine Jeong Won-yong's education by period, so his companionship wa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e public office in King, Sunjo's time, King Heonjong's time, and King, Cheoljong's time. Jeong Won-yong took on several research jobs during King, Sunjo's time,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of 『Hongjejeonseo』 , and established a companionship with Kim Jo-soon and his close friends, Lee Mansoo, Nam Gongcheol, and Shim Sang-gyu. Jeong Won-yong was admitted as a junior scholar by interacting with them. With their help, he established a foothold to advance to a key position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During King, Heonjong’s time, he interacted with Jo In-young and Jo Man-young and their close friends, Kwon Don-in, Kim Do-hee, and Park Hoe-Soo. Jeong Won-yong was promoted to the Chancellor class (Woouijeong) for the first time with the help of Jo Inyoung as King, Heonjong started direct governing and, led state affairs in cooperation with Jo In-young. After King, Cheoljong, Jeong Won-yong continued to gather and maintain acquaintances with people who had been affiliated with him, including Kim Jwa-Geun and Jo Doo-sun. They gathered around in their own villas, including Jeong Won-yong's Hwasuroo, and also held Opalhwoe at Seoklimjeong, another pavilion. Besides, they met to discuss political affairs and identifi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ir frequent meetings and exchanges were not just for sharing intimacy but also for political purposes.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부동에 대한 체험 연구

        권은지,박혜림,왕예리,정현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Currently,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physical symptoms of immobility, but psychological problems caused by immobility are not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over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at could be caused by immobility through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immobility, and find out what significance the immobility experience can give to th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6 nursing students between June 15 and June 30, 2015 via group interview method and intensive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appli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physical inconvenience(uncomfort, pain and numbness) and psychological inconvenience(tedium, depression and loneliness), and that they perceived recognition change(empathy, sense of duty and realization) and lack of nursing resources(lack of manpower and time). Through this, nursing students' recognition about immobility patients was changed. When they become nurses, they can fully understand inconvenience that immobility patients feel, and accordingly they can fulfill good quality of nursing tasks. 현재 부동 때문에 발생하는 신체 증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부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심리적 문제점은 잘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부동 체험을 통하여 부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그들에게 부동 체험이 어떤 의미를 주는지 알아내고자 한다. 자료 수집 방법은 2015년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간호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 방법과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은 부동 체험을 통해 신체적불편(불편감, 고통, 저린감)과 심리적불편(지루함, 우울함, 외로움)을 경험하였으며, 인식변화(공감, 사명감, 깨달음), 간호자원부족(인력부족, 시간부족)에 대하여 인식하였다. 이를 통해 부동환자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인식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이들이 간호사가 되었을 때 부동환자의 불편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간호사로써 양질의 간호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Holding Period and Investor Performance: An Analysis of Account-Level ELW Transactions

        권은지,김우진,최영수 서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0 Seoul Journal of Business Vol.26 No.2

        This paper documents that median holding period in structured products based on market index is less than a day from initial purchase to liquidation even for retail investors. Less than 6% of all series ever traded by retail investors are held until maturity. Based on a unique proprietary dataset that provides the details of all transactions - including account identifier and direction of the trade - in the Korean ELW (equity linked warrant) market between 2009 and 2011, we find that trading performanc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olding period. Specifically, both HFT (high frequency trader) accounts and non-HFT accounts perform worse when either average holding period is long or average end-of-the-day position is larg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olding period and trading performance in the structured product markets may b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ose in equity markets.

      • KCI등재

        鄭允容의 『北路紀略』 硏究

        권은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5 No.-

        Jeong Yun-yong is well known as the author of 『字類註釋』, bu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other than that. This paper examine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Jeong Yoon-yong's 『北路紀略』. And based on this, we examine narrativ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北路紀略』. 『北路紀略』 was written by Jeong Yun-yong in the Hamgyeong-do region between 1829 and 1830, and has been mentioned several times as important northern data.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for more than 40 years since one research result came out. This paper felt a sense of problem here and first examin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北路紀略』. Narrative characteristics revealed here were consider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1) raise awareness of the Hamgyeong-do region 2) use a variety of data to express one's opinion 3) a record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North Hamgyong Province. 『北路紀略』 compared to other northern-related writings, the amount and content are abundant,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valuable among northern-related wri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鄭允容(1792-1865)은 『字類註釋』의 작자로 많이 알려져 있으며, 여러 저술을 남겼음에도 『자류주석』 외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정윤용의 여러 저술 가운데 『北路紀略』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과 내용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북로기략』의 서술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北路紀略』은 정윤용이 그의 사촌 형인 정원용을 따라 1829-1830년 함경도 지방으로 갔을 때 이곳을 돌아보고 지은 저술이다. 그동안 『북로기략』은 북방 관련 풍부한 자료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 차례 중요한 북방 관련 자료로 언급되는 등 그 중요성은 일찍부터 지적되어왔다. 그러나 한 차례의 연구 성과가 나온 이후로 40여 년간 이에 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이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북로기략』 연구에 관한 기초작업으로 우선 『북로기략』의 구성과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북로기략』의 서술적 특성을 1) 함경도 지역에 대한 인식 提高 2)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자신의 견해 표출 3) 北方의 변화된 實狀 기록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북로기략』에는 백두산 지변의 지형, 大澤의 원류, 백두산 정계비를 비롯하여 함경도 지방의 전반적인 정보, 豐沛之鄕으로서의 함경도의 위상을 보여주는 태조와 선대들의 사적과 유적, 북방 지역 주변 민족에 대한 내용, 임진왜란 때 함경도 지역의 의병 활동, 이 지역의 특성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북로기략』은 다른 북방 관련 저술과 비교하면 그 양과 내용이 풍부하여 조선 후기 북방 관련 저술 가운데에서도 그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鄭元容의 기록정신과 著述

        권은지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6 No.-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ecord spirit of Gyeong-san(經山) Jeong Won-yong(鄭元容, 1783-1873), who was a bureaucrat and intellectual in the 19th century, and to present and consider Jeong Won-yong's writings based on this. Although much has been said about Jeong Won-yong's recording spirit in previous studies, no detailed consideration has been given to the background. In addition, research on the overall size and status of Jeong Won-yong's writings is insufficient. Feeling a problem consciousness in this regard, this paper considered the background of Jeong Won-yong's recording spirit and the overall status of his writings. Chapter two Looked at the background of Jeong Won-yong's record spirit in two aspects: family learning and his experience as a bureaucrat. Under the influence of family learning, he considered records important and looked at various literature. In addition, he participated in various central government-led compilation projects during his official career, and led state affairs as prime minister several times since the enthronement of King Heonjong. Based on these experiences, he compiled writings related to national battlefields and systems needed to manage state affairs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These are the basis of his record spirit. Chapter 3 considered the vast writings of Jeong Won-yong. Presented the remaining writings of Jeong Won-yong in a table. Among them, <Gyeongsanbukjeongnok(經山北征錄)>, <Hwanggakjangju(黃閣章奏)> which had errors in the existing explanation, were reviewed and modified. And divided Jeong Won-yong's writings into four categories and looked at them simplicity. 본 논문은 19세기 관료 문인이자 지식인이었던 經山 鄭元容(1783-1873)의 기록정신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원용의 저술을 제시하고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정원용의 기록정신에 대해 많이 언급하였지만, 그 배경에 대해서는 자세한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정원용이 남긴 저술의 전체 규모와 현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정원용의 기록정신의 배경과 저술의 전체 현황을 고찰하였다. 먼저 2장에서 정원용의 기록정신의 배경을 가학, 관료로서의 경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원용은 서울에 대대로 세거한 동래 정씨의 박학과 문헌학에 기초한 학풍과 아버지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아 어려서부터 기록을 중시하며 다양한 문헌을 접하였다. 또한, 그는 70여 년간 벼슬을 하며 국가에서 주도하는 다양한 편찬 사업에 참여하였고, 헌종 즉위 이후 여러 차례 삼정승을 지내며 조정의 중심에서 국정을 이끌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철종 즉위 이후 국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국가의 전장, 제도와 관련된 저술을 편찬하였다. 3장에서 정원용의 저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정원용의 현전 저술은 모두 21종으로 이들을 표를 통해 시기별로 제시하고, 소장 현황을 밝혔다. 그리고 이 가운데 기존의 해제나 설명에 오류가 있었던 <經山北征錄>, <黃閣章奏>를 검토하여 이를 다시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원용의 저술을 관료로서의 자의식을 중심에 두고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느냐에 따라 ①관료로서의 삶을 기록한 저술 ②실제 정무 과정 및 관련 문서를 모은 저술 ③실무 관련 典章ㆍ制度를 상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한 저술 ④복합적 성격의 저술로 분류하고 간략히 고찰하였다.

      • KCI등재

        소아에서의 급성 신성신부전의 임상적 고찰

        권은지,정지미,정우영,Kwon, Eun-Ji,Jung, Ji-Mi,Chung, Woo-Yeu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목적 : 소아 연령에서 입원 당시 혹은 다른 질환으로 입원하여 치료를 받던 중에 발생한 신성 급성 신부전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 그리고 예후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부산백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한 환자 중 신성 급성 신부전으로 진단된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기준은 혈청 크레아티닌치가 1.2 mg/dL 이상이거나 기저치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경우로 하였다. 핍뇨는 소변량이 0.5 mL/kg/hr 이하이며 무뇨는 <50 mL/day로 정의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성별 비는 2.2:1로 남아에게 많았으며 연령별 분포는 신생아 7명, 2개월-2세 10명, 3-6세 12명, 7-12세 21명, 13-16세 9명이었다. 신부전의 진단까지 평균 기간은 3.1${\pm}$2.8일이었다. 소변량에 따른 분류는 핍뇨군 21명, 비핍뇨군 36명 및 무뇨군 2명이었다. 원인 질환별 분류에서는 원발성 신질환군 30명, 감염군 14명, 종양군 9명 및 기타군 6명이였다. 연령별 분류에서는 신생아는 감염군, 2개월-2세는 신질환과 감염군과 3세 이상에서는 신질환군이 많았다. 계절별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에 용혈성 요독증후군의 발생이 많았다. 투석치료는 4명에서 복막투석을 시행하였다. 호전까지의 평균기간은 10.0${\pm}$6.7일이었다. 경과 중 18명이 사망하였는데 비핍뇨군의 사망률이 낮았다. 연령별로는 신생아가 원인별로는 종양군의 사망률이 각각 높았다. 결론 : 소아에서의 신성 급성 신부전은 조기진단과 기저질환의 적절한 관리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적인 신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성인에 비해 양호한 임상적 경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progression and prognosis of acute intrinsic renal failure in neonates and children with a diagnosis of acute renal failure or other diseases on admission. Methods: This research is based on a retrospective analysis conducted on 59 patients(male: female=2.2:1) diagnosed with acute intrinsic renal failure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6 at Busan Paik Hospital. The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of acute renal failure used was serum creatinine <1.2 mg/dL, oliguria with urine output$\leq$0.5 mL/kg/hr and anuria with urine output <50 mL per day. Results: Among those placed under investigation, 7 patients were neonates, 10 patients were 2 months-2 years old, 12 patients were 3-6 years old, 21 patients were 7-12 years old and 9 patients were 13-16 years old. It took 3.1${\pm}$2.8 days on average until the diagnosis was made. The urine output distribution was 21 persons for the oliguria group, and 36 persons for the non-oliguria group, and 2 persons for the anuria group. For the underlying causes, 30 persons were classified in the primary renal disease group, 14 persons in the infection group, 9 persons in the malignancy group, and 6 persons were categorized in another group. As for age distribution, the infected group was predominantly neonates, whereas the dominant age ranges for the primary renal disease and infection categories were 2 months to 2 years old. Also, the primary renal disease was dominant among older children, aged 3 and up. No difference was detected according to seasonal prevalence. However, there was a high morbidity rate among hemolytic uremic syndrome diagnosed in the summer. Peritoneal dialysis was used to treat 4 patients. It took 10.0${\pm}$6.7 days until the patients improved. 18 patients died. The non-oliguria group's mortality rate was lower than other groups. There was a high mortality rate in the neonates and malignancy group. Conclusion: Acute renal failure in childhood seems to take a better clinical course than in adulthood when there is a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of underlying diseases.

      • KCI등재

        經山 鄭元容의 文學論 고찰

        권은지 동양고전학회 2018 東洋古典硏究 Vol.0 No.72

        經山 鄭元容(1783-1873)은 1802년(순조 2)에 과거에 급제하여 약 70여 년간 관직생활을 역임하였다. 정원용은 뛰어난 행정능력으로 세도정치기의 상황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으며, 뛰어난 문장으로 당대의 여러 문인들에게 인정을 받았다. 정원용은 당대 정치와 학술 그리고 문예 방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방대한 저술들을 남겼지만, 그에 대한 연구 성과는 소략한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원용의 문학 전반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써 먼저 그의 文學論이 어떠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정원용이 지니고 있었던 文學論을 고찰한 결과, 크게 세 가지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정원용은 모방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었다. 정원용은 문장을 지을 때 다른 사람의 작품과 구절을 모방하는 태도에 대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자신의 역량을 헤아리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古人을 따르려고 하는 태도에 반대하고 자신의 뜻을 드러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이유원은 정원용의 문장에 대해서 평가하며 자신만의 색채로 일가를 이루었다고 하였고, 정원용은 김조순의 시에 대해서 언급하며 그가 다른 사람의 작품과 구절을 베끼지 않고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원용이 문장을 지을 때 모방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원용은 시를 지을 때에 眞意를 추구하였다. 정원용은 荳溪 朴宗薰(1773-1841)에게 준 서찰에서 ‘공교롭기를 구하다가 도리어 眞意에 해가 되어서는 안 된다[謂不可求工而反害眞意也]’라고 하였는데, 이를 통해 정원용이 시를 수식하는 데에 뜻을 두고 이에 힘쓰기 보다는 情에서 발한 바를 꾸미지 않고 자연스럽게 시에 드러내는 것을 중시했음을 알 수 있다. 정원용은 시를 지을 때 다른 사람의 것을 베끼지 않고 자신의 뜻을 펼치고자 하였고, 또 뜻에서 발한 것을 억지로 꾸미고자 애쓰지 않았다. 다른 사람의 것을 모방하고자 한다면 자신의 뜻을 담아내기보다는 겉을 꾸미는 데에 그치게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가 모방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또 眞意를 추구했던 것은 서로 긴밀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원용은 기록을 중시하였다. 그는 지방관으로 부임할 당시 일어났던 사건들과 公文을 기록하고 부임지에서 지었던 詩文을 편찬하였으며, 우리나라 제도에 참고가 되는 典章制度를 집성한 책을 저술하고, 평생을 일기로 기록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200여 편에 달하는 많은 저술들을 남겼다. 이러한 정원용의 기록정신은 그의 관직생활과 연관이 깊다고 할 수 있다. 정원용은 평생을 관직에 있었던 사람으로 자신의 경험이 나라를 경륜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목적에서 기록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행위를 통해서 자신 또한 훗날 도움을 받고자 하였기에 방대한 기록물들을 남기게 된 것으로 보인다. Gyeong-san(經山) Jeong Won-yong(鄭元容, 1783~1873)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802(純祖 2), and he has been in office for about 70 years. Jeong Won-yong with excellent administrative ability, he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Sedo politics, and was recognized by many writers for his outstanding writings. Nevertheless, his research results are small. This paper studyed his literary theories as a preliminary to look at Jeong Won-yong's literature in general After examining the features of Jeong Won-yong, there were three main aspects. First, Jeong Won-yong had a negative view of imitation. In particular, he stressed that he should oppose the attitude of unconditionally following Go-in(古人) without considering his capabilities and express his intention. Second, Jeong Won-yong pursued Jin-ui(眞意) when he wrote a poem. He thought rather than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decorate a poem, it is important that emotion is exposed to the poem in a natural way. And he tried to unfold his individuality in the poem without copying others. Because if he imitate someone else when he write a poem, it is hard to express his thinking. His negative view of imitation and he pursued Jin-ui(眞意) are closely related. Lastly, Jeong Won-yong considered records important. Jeong Won-yong's record spirit is deeply related to his government service life. Jeong Won-yong who had been in government service all his life, hoped his experience would help manage the country. That's why he thought records were very important. And through this recording behavior, he wanted to get help later on. So it seems that he left a vast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