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階級·階層帰属意識研究の展開

        권아람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日本硏究 Vol.0 No.82

        Since the 1950s, Japan has seen a rise in empirical research on class and status identification. Since the 1950s most investigations into class and status identification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objective status and socioeconomic factors. A histo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on class and status identification in Japan can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Japanese society. In this review, I offer an analysis of the research on class and status identification that took place in post-war Japan. I break down the results of the studies into four major findings: 1) The percentage of people that identify as “working class” has always been high in Japan, regardless of objective status; 2) in the 1970s, there was a weak relationship between “middle class” identification and objective status; 3) the causes of status identification have changed over time, and the effect of objective status has strengthened since the 1980s; and 4) certain factors affect subjective identification, such as objective status, class mobility, reference groups, and demographics .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evident that the mechanisms involved in class and status identification are determined and changed by socioeconomic factors. Moreover,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atus identification, especially in contemporary Japan, are complex. Finally, I note certain limitations on attempts to research class and status identification and offer ways to strengthen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기술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한 전산회계 교육의 수용에 관한 연구

        권아람,김형국 한국회계정보학회 2012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2 No.4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some factors to enhance the learners’ intention for Computerized Accounting Education by analyzing students’ psychological states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lso, I suggest some measures to increase study achievement by proving that learning intention is one of factors which encourage learning. I have chosen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Computerized Accounting class for the survey. I analyzed variable things from the students such as subjective norms, self-effectivenes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useful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I, thenceforth, have studied what factors have affected to the study achievement. As the results, subjective norms have indicated significant effect to perceived useful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Self-effectivenes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have revealed an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while perceived usefulness has made quite an impa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inally the behavioral intention has got influence on the study achievement. This study has verified what psychological theory variables which ar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ffected to the learning intention and study achievement.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이용해 전산회계 교육을 받는 학습자의 심리상태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학습 의도를 높이는 요인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학습 의도가 학습 성과를 높이는 선행요인임을 검증하여 학습 의도와 더불어 학습 성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분석대상을 전산회계 수업을 받는 4년제 대학교 학생들로 선정하여 전산회계 교육과 관련한 학생들의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 인지된 행동통제와 지각된 유용성, 행동 의도 및 학습 성과 변수를 측정하고 변수들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규범은 지각된 유용성과 행동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행동통제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은 행동 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행동 의도는 학습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과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한 심리적 이론 변수가 전산회계 수업을 받는 학생의 학습 의도와 학습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수업대화에 나타난 변명하기 양상 분석 연구 -고등학교 온라인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권아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This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xcuse-making by analyzing the excuse-making practiced in online Korean language art classes. The types of excuse-making strategies were as follows. First, as a passive response to the failure to perform a task, 'give-up excuses' were used to avoid responsibili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Prescriptions(P) and Event(E). Second, as an active response to the failure to perform a task, a 'deception excuse' was used to avoid responsibili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Prescriptions(P) and Identity(I). Third, to buy time as a response to the failure to submit a task, responsibility was avoided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Identity(I) and Event(E) by attributing the cau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eyond their control.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cuse-making can be seen as an egotistical interaction method that fails to consider social relationships, and requires educational treatment. Second, excuse-making can be regarded as a dynamic interactive phenomenon, and classroom participants need to integrate and reconstruct this process into reflection and learning opportunities rather than unconditional acceptance of excuses or punitive discipline. 본고는 온라인 <국어> 수업에 나타난 변명하기 전략 실천의 양상과 그에 대한 참여자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업대화에 나타난 학습자들의 변명 유형으로는 첫째, 과제의 규준과 상황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 단념하기’, 둘째, 과제의 규준과 자신의 정체성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기만적 변명하기’, 셋째,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외부 환경에 원인을 돌림으로써 학습자의 ‘정체성과 과제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하기가 나타났다. 교사는 전반적으로 변명하기 행위를 수용하고 학습자의 주장을 신뢰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동료 학습자는 침묵하거나 적극적으로 교사-학습자 상호작용에 개입하여 진위를 추궁하기도 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은 첫째, 변명하기는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업성취에 대한 부담감을 반영하는 부적응적 행동이며,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지 못한 자기중심적 상호작용 방식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변명하기는 학습자가 자기 자신은 물론 교사와 동료 학습자를 청중으로 두고 실천하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이며, 변명 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청중의 역할이 중요하며 변명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나 징벌적 훈육보다는 교실 참여자가 함께 이를 성찰과 학습의 기회로 통합하고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재현된 자율성에 관한 소고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중심으로-

        권아람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메타버스의 기술적·유형적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제시되었으나 보다 본질적인 정의를 도출하는 인식론적 관점의 연구 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나타난 현상들을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통해 살펴보며 예술의 자율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체지향존재론의 이론적 틀에 입각해 메타버스와 사용자가 관계하는 양상에 대한분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사변적 실제론이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하고자 주장한 평평한 존재론과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주체가 가지는 비위계성이 맞닿는 지점을 서술한다. 객체지향존재론은 인간중심주의적인 이원론적 사고를 기피하고 인간과 비인간을 동등한 존재자인 ‘객체’로 간주한다. 그리고 객체와 성질의관계로 이루어진 네 겹 객체를 통해 세계를 파악하는 틀을 제시한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메타버스는 정의에 닿을 수 없는 ‘실재 객체’이며 또 다른 ‘실재 객체’인 사용자가 로블록스, 제페토, NFT와 같은 ‘감각 객체’ 에서 ‘즐거움’, ‘흥미로움’과 같은 ‘감각 성질’을 겪음으로써 미적 경험이 이루어지고 예술로서 자율성을 얻게된다. 즉,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플랫폼 서비스와 아바타를 이용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감각적성질들은 메타버스라는 실재 객체를 이해하기 위한 단서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유물론적 작품과달리 메타버스는 사용자가 접속하거나 개입하지 않아도 네트워크에 상시 존재하며 하나의 생태계로 증식하며 존재한다. 플랫폼 알고리즘에 의해 NFT 작품이 창작자의 의도와 손을 떠나 자율적으로 존재하듯이 메타버스 내의 감각 객체들은 다른 비인간 객체 및 성질들과 혼성 관계하며 미적 경험을 일으킬 존재로서 지속된다. 결론적으로 하먼의 이론에 있어서 감상자는 메타버스의 감각 객체인 플랫폼에 능동적인 개입자로 접촉하고 이때 발생하는 긴장 관계로 인해 미적 경험을 얻게 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은 성립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