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미디어 라이브 퍼포먼스의 상호매체성과 메타성 연구 -케이티 미첼의 <노란 벽지>를 중심으로-

        권아람 ( Kwon Ah Ra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본고는 장르 융합 작품에서 발견되는 매체 미학적 가치를 살펴보기 위해 케이티 미첼(Katie Mitchell)의 멀티미디어 라이브 퍼포먼스(Multimedia Live Performance)-< 노란 벽지(the Yellow Wallpaper) > (2013)-를 중심으로 상호매체성(Intermediality)과 메타성(Meta-Property)에 관해 논의하였다. 상호매체성은 두 가지 이상의 예술형식을 혼용하거나 두 장르가 특정 관계에 놓이는 것을 의미하며, 메타성은 형식의 재귀적 구조와 자기반영성을 토대로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표현 양상을 의미한다. 연극과 영화의 형식이 결합된 <노란 벽지>에서는 영화 프로덕션 기술진이 무대에 등장하여 연극을 실시간 영화로 변환시킨다. 이 과정에서 무대 위로 노출된 기술 인터페이스는 연극과 영화를 혼합하는 매개로 작용하며, 연극의 고유한 현장성과 영화의 재현성을 동시에 성취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술 매체를 활용하여 연극의 정체성을 탐구한 20세기 매체 연극과 유사하지만 <노란 벽지>가 서사 구성과 실험성을 동시에 유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발견된다. 따라서 <노란 벽지>는 연극과 영화의 상호매체적 관계를 근거로 새로운 장르 영역을 생성한다. 더불어 연극과 영화가 공생관계로써 서로를 재매개하는 상황은 장르의 재귀적 성찰로 이어진다. 기술진의 출연으로 인해 관객의 시점이 연출자의 시점으로 도치되며 <노란 벽지>는 현실로 의미 확장을 꾀하는 메타적 성격을 드러내는 것이다. 결국 미디어에 대한 본질적 이해가 장르 융합의 새로운 미학적 형식을 생성할 뿐 아니라 관람자의 지각 방식에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예술적 가치를 확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Intermediality’ and ‘Meta-property’ of converging mediums in art, specifically in regards to Katie Mitchell’s work, < the Yellow Wallpaper >(2013). ‘Intermediality’ refers to the adjoining or converging of two or more art forms and ‘Meta-properties’ refers to the expressive method or composition of mirroring or reflecting upon oneself in such exploration. With < the Yellow Wallpaper >, the film crew appear on a theater stage and transforms the play into a movie in realtime. The exposed film crew and their equipment act as the interface for these two art forms fulfilling the liveness of theater and the reproducibility of film making together. Such work is reminiscent of 20th century media theater. However, < the Yellow Wallpaper > differs from such early work since it achieves both experimentation and narrative at the same time. It even goes so far as to create a new genre of intermediality relationships between film and theater. This almost symbiotic relationship of the two genres as remediation results in the recursive reflection and mirroring of the two mediums. The introduction of the film crew in the actual work seeks to imbue the role of producer into the spectators thereby introducing a meta-realism to the work.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each medium in turn creates a new aesthetic of intermediality as well as a new cognitive approach by the spectators for an expansive appreciation of the art form.

      • KCI등재

        디지털 매체 예술에서 스크린 활용의 미학적 고찰

        권아람 ( Kwon Ahra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현대의 이미지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무한하게 재생산되며 가상 생태계에 생존한다. 기존의 디지털 예술이 생산-전달-수용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면 네트워크 공간을 지지체로 삼는 영상 데이터와 이의 전파는 순환 관계로 이루어지며 보다 복잡한 연결망으로 얽혀 있다. 이 연구는 이렇게 다변화하는 영상예술의 흐름 속에서 전통적인 매체 특정성으로 디지털 예술을 분석하는 데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새로운 준거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스크린을 기준으로 기술 발전과 함께 나타나는 영상예술의 변화들을 해부적 관점에서 살펴보며 미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변화한 매체 개념을 짚어보며 가상과 현실을 교차 매개하는 스크린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동시대 영상작가들의 작품을 근거로 스크린 내부와 외부의 표현 양상들을 해부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문에서는 네트워크의 다중 사용자로 인해 디지털 이미지가 민주화됨에 따라 포스트-미디어 시대 매체의 개념이 물리적 형식에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화해가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스크린 내부에서 이미지의 생산 방식은 실제 촬영된 영상에서 발견된 이미지를 재활용하는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법으로 나타나며, 스크린 외부에서는 물리적 공간 내 프로젝션을 건축적으로 배치하고 영상 서사를 실험했던 비디오 설치의 흔적들이 다시 무형의 네트워크 공간으로 플랫폼의 전환을 시도하는 양상이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매체 특정성의 종언 아래 스크린은 네트워크를 통한 이미지의 분배, 그리고 물리적 틀로서 건축적 양식에 안팎으로 관계하고 있음을 고찰했다. 따라서 스크린이 사물로서 가지는 매체 형식과 그 배경 현상에 근거해 동시대 영상예술의 지형도를 파악하고 미적 탐구가 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하고자 했다. The contemporary image is reproduced infinitely by multiple users based on the network and survives in the virtual ecosystem. If the existing digital art i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delivery-acceptance, the image data based on the network space are formed in a circular relationship and are entangled in a more complex network. In this text, I recognize that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Digital Media Art with the specificity of traditional media in this diversified flow of Contemporary Art, and insist on the need for a new aesthetic. The research method is to look at the changed media concept, set the screen that cross-mediates virtual and reality as the analysis target, and analyze the expression aspects inside and outside the screen from an anatomical point of view based on the works of contemporary video artists. Accordingly, in this article, as digital images are democratized due to multiple users of the network, the concept of media in the Post-Medium era is changing from a physical format to a data format. Inside the scree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image appears in a variety of techniques, from actual filmed footage to Found Footage that recycles found image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the traces of video installations where projections in the physical space were architecturally arranged and video narratives were experimented with, outside the screen, were again attempting to transform the platform into an intangible network space. In conclusion, under the end of media specificity, it was considered that the screen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images through the network and to the architectural style as a physical frame inside and out. Therefore, based on the medium format of the screen as an object and its background phenomenon, it was attempted to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opographical map of Digital Media Art in contemporary and to explore its new aesthetics.

      • KCI등재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재현된 자율성에 관한 소고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중심으로-

        권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메타버스의 기술적·유형적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제시되었으나 보다 본질적인 정의를 도출하는 인식론적 관점의 연구 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나타난 현상들을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통해 살펴보며 예술의 자율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체지향존재론의 이론적 틀에 입각해 메타버스와 사용자가 관계하는 양상에 대한분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사변적 실제론이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하고자 주장한 평평한 존재론과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주체가 가지는 비위계성이 맞닿는 지점을 서술한다. 객체지향존재론은 인간중심주의적인 이원론적 사고를 기피하고 인간과 비인간을 동등한 존재자인 ‘객체’로 간주한다. 그리고 객체와 성질의관계로 이루어진 네 겹 객체를 통해 세계를 파악하는 틀을 제시한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메타버스는 정의에 닿을 수 없는 ‘실재 객체’이며 또 다른 ‘실재 객체’인 사용자가 로블록스, 제페토, NFT와 같은 ‘감각 객체’ 에서 ‘즐거움’, ‘흥미로움’과 같은 ‘감각 성질’을 겪음으로써 미적 경험이 이루어지고 예술로서 자율성을 얻게된다. 즉,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플랫폼 서비스와 아바타를 이용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감각적성질들은 메타버스라는 실재 객체를 이해하기 위한 단서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유물론적 작품과달리 메타버스는 사용자가 접속하거나 개입하지 않아도 네트워크에 상시 존재하며 하나의 생태계로 증식하며 존재한다. 플랫폼 알고리즘에 의해 NFT 작품이 창작자의 의도와 손을 떠나 자율적으로 존재하듯이 메타버스 내의 감각 객체들은 다른 비인간 객체 및 성질들과 혼성 관계하며 미적 경험을 일으킬 존재로서 지속된다. 결론적으로 하먼의 이론에 있어서 감상자는 메타버스의 감각 객체인 플랫폼에 능동적인 개입자로 접촉하고 이때 발생하는 긴장 관계로 인해 미적 경험을 얻게 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은 성립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수업대화에 나타난 변명하기 양상 분석 연구 -고등학교 온라인 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권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This study discusse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xcuse-making by analyzing the excuse-making practiced in online Korean language art classes. The types of excuse-making strategies were as follows. First, as a passive response to the failure to perform a task, 'give-up excuses' were used to avoid responsibili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Prescriptions(P) and Event(E). Second, as an active response to the failure to perform a task, a 'deception excuse' was used to avoid responsibility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Prescriptions(P) and Identity(I). Third, to buy time as a response to the failure to submit a task, responsibility was avoided by weakening the connection between Identity(I) and Event(E) by attributing the caus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beyond their control.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cuse-making can be seen as an egotistical interaction method that fails to consider social relationships, and requires educational treatment. Second, excuse-making can be regarded as a dynamic interactive phenomenon, and classroom participants need to integrate and reconstruct this process into reflection and learning opportunities rather than unconditional acceptance of excuses or punitive discipline. 본고는 온라인 <국어> 수업에 나타난 변명하기 전략 실천의 양상과 그에 대한 참여자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수업대화에 나타난 학습자들의 변명 유형으로는 첫째, 과제의 규준과 상황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 단념하기’, 둘째, 과제의 규준과 자신의 정체성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기만적 변명하기’, 셋째,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외부 환경에 원인을 돌림으로써 학습자의 ‘정체성과 과제 간 연결의 약화’를 통해 책임을 회피하는 변명하기가 나타났다. 교사는 전반적으로 변명하기 행위를 수용하고 학습자의 주장을 신뢰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동료 학습자는 침묵하거나 적극적으로 교사-학습자 상호작용에 개입하여 진위를 추궁하기도 하였다. 이 사례를 통해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은 첫째, 변명하기는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업성취에 대한 부담감을 반영하는 부적응적 행동이며,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지 못한 자기중심적 상호작용 방식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변명하기는 학습자가 자기 자신은 물론 교사와 동료 학습자를 청중으로 두고 실천하는 역동적인 상호작용이며, 변명 주체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청중의 역할이 중요하며 변명에 대한 무조건적인 수용이나 징벌적 훈육보다는 교실 참여자가 함께 이를 성찰과 학습의 기회로 통합하고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