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가곡원류(歌曲源流)』(고태진 필사본)의 특성과 계보

        권순회 ( Kwon Soon-hoi ) 한국고전문학회 2016 古典文學硏究 Vol.50 No.-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가곡원류』 이본 한 종을 소개한다. 1888년(무자년) 12월 1일 한양 반송방(盤松坊)에서 고태진이라는 무반(武班)이 필사한 가집이다. 이에 `고태진 필사본`이라고 하여 여타 『가곡원류』 이본과 구분하기로 한다. 필사본 1책, 총 77장(표지포함) 규모이다. 남창 529수, 여창 189수, 대가(臺歌) 1수, 기타 2수 등 총 721수가 수록되었다. 남녀창 사설 모두 국한문을 혼용해 표기하였다. 표지의 제명은 좌측 상단에 흐릿하게 “醉花弄”이라고 적혀있고 그 이하는 지면(紙面)이 벗겨져 일부 글자가 결락된 상태이다. 뒤쪽 표지안쪽 여백에는 “醉花弄月篇” 이라고 제명이 거듭 적혀 있는데 후대 소장자들이 결락 부분을 보충해서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제명은 다소 생소한데 유사한 사례가 1888년 편집된 『詩歌』(권순회 소장)에서도 확인된다. “취월탐행조”라고 하였다. 10면과 11면 사이에 한 장이 결락된 사실이 발견된다. 사설9수 분량이다. 장정(裝幀) 상태를 보면 결락의 흔적이 전혀 포착되지 않는데 그 원인은 분명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한바탕의 편제를 보면 『가곡원류』계 가집들과 달리 남창 28곡, 여창 19곡과 남녀 병창으로 부르며 한바탕을 마무리하는 대가(臺歌) 1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삭대엽`의 악곡명이 보이지 않는데, 악곡명이 기록된 부분이 결락되었기 때문이다. 남창에서 `농가`, `계락`이 빠져 있고, `얼락`이 `우락`보다 앞에 배치된 사실이 주목된다. `얼락`과 `우락`의 악곡명은 필사한 후 여백에 추록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우락`에 수록된 사설들도 모두 `얼락`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이 부분은 실제로는 `만횡`과 `얼락`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남창에 실제 수록된 악곡수는 27곡인 셈이다. 있어야 할 `농가`, `계락`, `우락` 사설 100여 수가 모두 결락되어 있는 것이다. 『가곡원류』 다른 이본에 비해 100여 수가 적게 수록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終唱臺`에 <태평가>뿐만 아니라 두 작품이 더 실려 있는데 이들은 `대가(臺歌)`로 불린 사실이 없다. 주로 시조창으로 불린 작품들이다. 필사자가 선호하던 작품을 임의로 추록한 것이다. 여창 계면조 `계락`에 수록된 “거년에”(692번)도 유사한 경우이다. 여창에서 한 작품을 두 개의 악곡에 중복 수록한 사례가 2건 발견된다. <장진주> `대(臺)`로 불리는 “空山落木”이 `편삭대엽`, 여창 `두거`로 불리던 “옥우에”(545번)가 `이삭대엽`에 수록되어 있다. 이들 역시 추록된 것들로 저본을 필사하면서 필사자의 취향을 반영한 흔적들이다. 가집의 서지, 악곡 편제 및 사설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곡원류』(고태진 필사본)이 『가곡원류』(연대본), 『가곡원류』(구황실본), 『가곡원류』(박씨본)과 긴밀한 이본 관계라는 사실을 파악했다. 논의 결과 『가곡원류』(고태진 필사본)과 『가곡원류』(박씨본)은 『가곡원류』(연대본)을 저본으로 삼아 재필사한각기 다른 판본이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리고 『가곡원류』(고태진 필사본)에서 『가곡원류』(구황실본)이 파생된 사실을 파악함으로써 그 계보적 맥락을 밝혔다. I introduce a different version of Gagokwonryu housed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The military nobility Go Tae-jin transcribed it in Dec. 1, 1888 at Hanyang, Bansongbang. So, it has been called `Go Tae-jin manuscript` and distinguished from other different version of Gagokwonryu. It is one manuscript and consists of 77 pages(including its cover). The total number is 721, 529 poems of Namchang(sung by men), 189 poems of Yeochang(sung by women), a poem of Daega (臺歌), and two other poems. All Saseol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with Korean. Title on the cover, “Chwihwarong(醉花弄)” is written blurredly in upper left corner, and some words are deleted because paper peeled off below the title. Title, “Chwihwarongwolpyeon(醉花弄月篇),” is written again on the inside margin of the rear cover. It was supplemented by later private lenders. Unfamiliar with this title, similar case was found Siga(housed by Kwon Soon-hoi) edited in 1888, called "Chwiwoltamhaengjo." Omission of the first movement is found between the 10th page and the 11th page, Saseol 9 poems long. Condition of the binding is perfect because original manuscript was transcribed as it was. List of Hanbatang consists of 28 Namchang, 19 Yeochang, one Daega, sung by men and women, different from a kind of Gagokwonryu. There is no `Isakdaeyeop` because the starting part of `Isakdaeyeop` was included at the deleted part. `Nongga,` `Gyerak` are omitted from the part of Namchang, and `Eolrak` is placed ahead of `Woorak.` It is worthy of notice. Name of the music of `Eolrak` and `Woorak` is found to be written on the margin or blank space after work of transcription. However, on a closer view, all Saseol included in `Woorak` conform to `Eolrak.` This part actually consists of `Manhoeng` and `Eolrak.` If so, the number of music included actually in Namchang is 27. 100 Saseol of `Nongga,` `Gyerak,` and `Woorak` were omitted. That`s why it includes less, almost 100 poems. Two works are included successively after Taepyeongga in `Gyeoljongchangdae.` There was no fact that they were sung as `Daega.` They were mostly sung as Sijochang. Transcribers` preferred works were transcribed. It is similar with "Geonyeonae(No. 692)" included in `Gyerak` of Yeochanggyemyeonjo. Two cases that a work was included at two musics are found. “Gongsannakmok(空山落木)” referred to Jangjinju `Dae` is included in `Pyeonsakdaeyeop,` and "Okwooe(No. 545)" referred to Yeochang Dugeo is included in `Isakdaeyeop.` Transcribers` preferred works were transcribed, too. It is clear that Gagokwonryu(manuscript of Go Tae-jin) is closely related to Gagokwonryu(Yeondae ed.), Gagokwonryu(Guhwangsil ed.), and Gagokwonryu(Parkssi ed.) as a different version. Among these works, old version is Gagokwonryu(Yeondae ed.), and it is the original script of manuscript of Go Tae-jin. And it is found that manuscript of Go Tae-jin is that of Gagokwonryu(Guhwangsil ed.) Gagokwonryu(Parkssi ed.) that original text was lost shows a similar aspect with manuscript of Go Tae-jin. Judging from this, genealogical context(Yeondae ed.→manuscript of Go Tae-jin or Parkssi ed.→Guhwangsil ed.) is clearly evident.

      • KCI등재
      • KCI등재

        신발굴 가집 『가사(歌辭)』의 특성

        권순회 ( Kwon Soon-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5 No.-

        이 논문은 고시조 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소규모 가집들도 큰 가집 못지않게 가곡 연행의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신발굴 가집 『歌辭』 의 특성을 분석했다. 『歌辭』 는 가곡 사설 26수와 가사 4편만 수록한 소규모 가집이다. 먼저 서지적 특성을 밝혔다. 표지에 적힌 간기(刊記)와 수록 사설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편찬 시기를 1804년으로 확정했다. 또 필사기를 통해 전문 가창자가 아니라 가곡을 애호하던 인물이 편집했다는 점, 가집도 소설처럼 동호인들 사이에서 필사되며 새로운 가집이 만들어지는 양상을 파악했다. 다음으로 이 가집에 새롭게 등장하는 창곡명인 ‘곱쇠옹이’와 ‘편모리’의 정체를 탐색 했다. ‘곱쇠옹이’ 항목에 수록된 “어제 간밤의도 곱송고려”가 18세기 중반 이후 가집에 거의 예외 없이 ‘소용’ 사설로 올라 있는것을 확인하고 ‘곱쇠옹이’가 바로 ‘소용’을 지칭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어 ‘쇠옹이’ 또는 ‘소용’ 앞에 ‘곱’자를 붙인 이유가 무엇인지를 탐색했다. 먼저 ‘소용’의 이칭(異稱)들에 대해서 살폈다. 여러 이칭들이 쓰이고 있음이 확인되는데 이들은 모두 ‘쇠옹(이)’, ‘소용(이)’의 변형태이다. ‘쇠옹’과 ‘소용’은 표기 형태만 다를 뿐 발음상의 차이는 없다.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을 풀어서 발음했다. ‘ㅚ’의 경우 ‘ㅗ ㅣ[oj]’로 발음된다. 이에 ‘소용’과 ‘쇠옹’도 모두 ‘소ㅣ옹[sojoŋ]’으로 발음했던 것이다. 다만 ‘ㅣ[j]’를 첫음절로 인식했을 경우 ‘쇠옹’으로, 둘째 음절로 인식했을 경우 ‘소용’으로 표기했을 뿐이다. ‘쇠옹이’, ‘소용이’의 경우 ‘쇠옹’, ‘소용’의 끝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형태이다. ‘搔聳’, ‘騷聳’, ‘三雷’ 등 한자 명칭은 높게 내지르고 떠들썩한 음악적 특성에 맞추어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소용’의 창곡명의 유래는 말과 같은 짐승이 넘어져 데굴데굴 구르며 발버둥치는 것을 이르는 ‘쇠옹이 치다’, ‘소용이 치다’에서 유추되었을 가능성, 전통음악에서 높게 부르는 것을 지칭하는 ‘쇠다’, ‘쇤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탐색했으나 논거를 아직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결론은 유보하였다. ‘소용’의 기원에 대해서는 박후웅(朴後雄)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낙시조’로 부르던 “아함 긔 뉘옵신고”를 ‘소용’으로 재편해 부르기 시작하면서 이 곡이 풍류객들 사이에서 유명해진 사실을 확대 해석한 것으로 파악했다. 무엇보다 그 이전에 이미 ‘소용’이라는 창곡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 가운데 ‘곱쇠옹이’ 사설인 “어제밤도 혼자 곱송그려”가 18세기 중반 ‘소용’으로 가장 널리 불렸고 이 노래로부터 ‘소용’이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이 작품을 자세히 보면 “곱송그려”라는 시어가 세 번이나 반복되는데 전에 들어보지 못했던 떠들썩한 악조에 혼자 곱송그리는 화자의 모습이 기묘하게 결합하면서 청중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사람들은 각별한 흥미를 느끼고 이 노래를 다른 ‘소용’ 곡들과 구분해서 특별히 ‘곱쇠옹이’라고 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곱송그려’와 ‘쇠옹이’를 합쳐 ‘곱쇠옹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했던 것이다. 때문에 ‘곱쇠옹이’는 이 노래의 창곡명이자 작품명인 것이다. ‘편모리’는 ‘편삭대엽’의 이칭으로 파악되었다. 『歌詞』(나손본)에서도 용례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 가창 공간에서 종종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가곡 사설 26수는 모두 순 국문으로 표기하고 가곡의 5장 형식에 따라 나누어 수록하였는데 모두 가창을 염두에 둔 것들이다. 또 사설 일부를 변개해 수록한 작품이 적지 않은데, 이들은 모두 가집 고유의 연창의 흔적들이다. 큰 가집과 달리 연창의 흔적을 다듬지 않고 있는 그대로 기록해서 가집으로 엮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asa(歌辭) newly discovered anthology of songs based on my thought that a small anthology of songs out of the picture also has important information about performance of Gagok. Gasa(歌辭), a small anthology of songs, includes 26 Gagok Saseol and 4 Gasa. First, I reveal this bibliography. Compilation period(1804) is determined by the colophon on the cov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ained Saseol in this book. And the things this was edited by a fan of Gagok, not a professional, and the aspect of the birth of new Gajip written among fans like novel are confirmed. Next, I explore the identity of ‘Gopsoeongi’ and ‘Pyeonmori’ which are newly appeared in this Gajip. I find that “Eoje ganbamuido gopsonggoryeo” in ‘Gopsoeongi’ is ‘Soyong’ Saseol without exception after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and reveal the fact that ‘Gopsoeongi’ calls ‘Soyong’. And I explore the reason why the letter, ‘Gop,’ is attached in front of ‘Soeongi’ and ‘Soyong.’ An alternative name of ‘Soyong’ is analyzed. Various names are found to be used, and they are all changes of ‘Soeong(i)’ and ‘Soyong(i).’ ‘Soeong’ and ‘Soyong.’ are just different from writing, not pronunciation. A diphthong in Korean language used in the middle ages was pronounced by disassembling. ‘ㅚ’ was pronounced as ‘ㅗㅣ(oj).’ Because of this, ‘Soeong’ and ‘Soyong.’ were all pronounced as ‘소ㅣ옹[sojoŋ].’ When ‘ㅣ[j]’ was realized as the first syllable, it was written as ‘Soeong,’ if not, as the second syllable, it was written as ‘Soyong.’ ‘i’ out of ‘Soeongi’ and ‘Soyongi’ is combined by a noun derivational suffix.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such as ‘Soyong(搔聳)’, ‘Soyong(騷聳)’, ‘Samnoe(三雷)’ have been given by tumultuous musical characteristics.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such as ‘Soyong(搔聳)’, ‘Soyong(騷聳)’, ‘Samnoe(三雷)’ have been given by tumultuous musical characteristics. The origin of ‘Soeongi’ or ‘Soyong’ has two stories, a struggling figure of a horse and high tone called ‘Soenda,’ is analyzed. However conclusion of the origin of the word, ‘Soeongi,’ is deferred. It has been widely known that Park Huung(朴後雄) is the origin of ‘Soyong.’ However I understand that many people stretched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this song was being famous among artists after reorganization of ‘Aham gui nwiopsingo’ as ‘Soyong.’ Above all, I find that already ‘Soyong’ existed. Among the rest, ‘Gopsoeongi’ Saseol, “Eoje bamdo honja gopsonggeuryeo”, was widely sung as ‘Soyong’ in the middle of 18thcentury, and I find ‘Soyong’ is originated from this song. I also examine that three times ‘Gopsonggeuryeo’ in this song combines tumultuous movements with figure of flinching speakers weirdly, it appealed to their audiences. For this, being interested in that one, they especially distinguished ‘Soyong’ songs from ‘Gopsoeongi.’ ‘Gopsoeongi’ was given by combination of ‘Gopsonggeuryeo’ and ‘Soeongi.’ Therefore ‘Gopsoeongi’ is the name of Changgok and the work.

      • KCI등재후보

        ‘時調三章’의 새로운 이해

        權純會(Kwon Soon-Hoi)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0 No.-

        본고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이해하던 ‘時調三章’에 대해 전연적인 재검토를 수행하고, 그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그리고 시조창의 편가적 특성을 지칭하는 개념어로 ‘時調三章’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그 동안 ‘時調三章’의 문헌 기록에 대해 아무런 의심 없이 당연히 時調 한 수의 초ㆍ중ㆍ종장으로 이해하였다. 여기에는 시조창은 삼장 형식으로 부른다는 고정 관념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문헌에서 발견되는 용례를 재검토한 결과 ‘시조삼장’은 각기 다른 악곡의 시조 세수를 연달아 부르는 것으로, 언제나 가곡 한바탕, 가사와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시조삼장’이 歌曲의 篇歌에 대응되는 시조창 나름의 악곡 체계를 지칭하는 것이라는 사실도 파악할 수 있었다. ‘시조삼장’은 19세기 시조창의 악곡 분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연창 환경에 따라 이 가운데 일부를 생략하기도 하고, 파생곡으로 대체하기도 하지만,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세 수를 연이어 부르는 것을 ‘시조삼장’이라 하며, 이는 19세기 이래 시조의 중요한 연창 관행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시조창의 악곡 분화의 핵심적 방향은 ’평시조’, ‘지름시조’, ‘사설시조’ 삼장을 연이어 부르는 편가적 특성을 갖추는 것이었다. ‘시조삼장’은 이러한 편가적 특성을 요약적으로 설명해주는 핵심적 개념어이자, 시조창의 전개 양상을 파악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reexamined the word "Sjlo-samjang(時調三章)" and gave a new meaning of it. In addition. I proposed the new concept of "Sio-ssmeng" which meant the characteristic of a Pyon'ga (篇歌) in Sio-chang (時調唱). For a long time. "Sijo-samjang" was regarded as a word which indicated the three sections of a Silo. It was because of the fixed idea that a Silo was always composed of a form separated by three parts. Unlike the fixed idea. I found the fact that "Sijo-samjang" meant singing successively three different Silos which adapted three different music by reexamining the actual uses of the word in the texts of the days. Thus. I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Sijo-samjang" was the word indicating a specific music system of a Silo-chang(singing a Sijo) corresponding to a Pyon'ga of a Gagok(歌曲). "Silo-samjang" seemed to be molded up while the music of Silo-chang developed. Usually. a successive singing of the three different Sijos, such as Pyong-sijo(평시조), Chirum-sijo(지름시조), and Sasol-sijo(사설시조), was called "Sijo-samjang". However, some of the three could be omitted, and some of it could be substituted by a derived song. This kind of a usual and a derived form seemed to be settled as an important custom of singing a Sijo after the 19 century. The main point of the development of music in Sijo-chang was having the characteristic of compilation, which meant singing Pyong-sijo, Chirum-sijo and Sasol-sijo successively. "Sijo-samjang" was the concept which explained this kind of characteristic and was one of the key word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Sijo-chang.

      • KCI등재

        『영화초(詠和抄)』 수록 여창가곡의 특성

        권순회 ( Soon Hoi Kw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본고는 최근에 발굴 소개된 『영화초(詠和抄)』에 수록된 여창가곡 한바탕에 대한 고찰을 통해 20세기 초 여창가곡의 향방을 탐색하였다. 『영화초』 여창가곡 한바탕의 창곡 특성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 여창가곡에 새롭게 등장한 ‘환계락’까지 빠짐없이 구비하였다. 20세기 초가집 『시가요곡』, 『해동가보』(전북대본), 오늘날 전창(傳唱)되는 여창가곡과도 창곡 목록이 완벽하게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영화초』가 20세기 초 창곡 분화가 일단락 된 직후 여창가곡 한바탕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가집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영화초』는 수많은 여창 사설 가운데 창곡별로 1-5수 내외만 선별해서 48수로 한바탕을 편집하였다. 창곡 당 수십 수씩 도합 수백 수의 사설을 수록한 사설목록집이 아니다. 실제 가창의 현장에서 활용할 목적으로 당대에 널리 불리던 대표곡만을 선별해서 편집한 연창용 가집이다. 이는 비단 『영화초』만의 특성이 아니다. 『해동가보』(전북대본)나 『시가요곡』에서도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20세기 초 여창 가집의 전형적 특질이라고할 수 있다. 20세기 초는 여창가곡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무엇보다 한바탕의 창곡 분화가 완료되어 오늘날까지 그대로 이어진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여창에 대한 음악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여창가곡은 음악적 세련을 더해가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환계락’은 바로 그러한 산물이다. ‘환계락’을 끝으로 여창가곡의 창곡 분화는 일단락된다. 이로써 20세기 초에 여창가 곡은 오늘날과 같은 15곡의 한바탕 체계를 완비한다. 창곡 분화가 일단락되며 나타난 여창가곡의 중요한 변화는 바로 대표사설군의 확립이다. 창곡당 1-5수, 대략 50수 내외로 한바탕이 고정된다. 이들은 오늘날까지 여창가곡의 핵심을 이루는 대표사설들이다. 이후 연창 환경과 가집의 용도에 따라 대표사설이 일부 확대되는 양상도 확인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늘날 70수 내외의 여창 사설이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대표사설은 19세기 이래 관습적으로 여창 사설로 굳어진 작품을 중심으로 짜여졌다. 박효관이 다양한 연창 실험을 통해 여창에 새롭게 추가했던 사설들은 거의 포함되지 않았다. 수많은 연창 과정을 통해 오랫동안 여창으로 가다듬어 온 사설 가운데서도 여창가곡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을 중심으로 한바탕이 고정되어나갔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Yeonghwacho』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considering yeochanggagok hanbatang in 『Yeonghwacho』.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It includes ‘Hwangyerak(還界樂)’ newly discovere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act that perfectly coincided with yeochanggagok, 『Sigayogok(詩歌謠曲)』, 『Haedonggabo(海東歌譜)』(housed in Jeonbuk Univ.) is found. Through this, we can find that 『Yeonghwacho』 has the aspect of yeochanggagok hanbatang in the early 20th century. 『Yeonghwacho』 revises 48 collecting 1 to 5 by tune in various yeochang lyrics. It is script widely sung in actual stage to song actually, which typical feature of yeochanggajip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arly 20th century is significant junction of yeochanggagok. First of all, division of tunes of hanbatang is complete and it remains. Because of increase of singing yeochang in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yeochanggagok is going to go to classy. Hwangyerak is the fruit of its situation. Division of tunes of hanbatang is complete by Hwangyerak. Yeochanggagok completed the structure of hanbatang of 15 songs. Significant change is establishment of representative lyrics group.Hanbatang includes about 50 songs per 1 to 5 in tune. These are representative lyrics organizing point of yeochanggagok. Various process pass down yeochanggagok hanbatang organized with about 70 songs. Representative lyrics, from the 19th century, customarily organized by works that is concreted as yeochang lyrics. Lyrics added by Park, Hyogwan is rarely included. Representative hanbatang is anchored focused on works that are ultimate in aesthetic of yeochang.

      • KCI등재

        단독 여창 가집의 형성 과정

        권순회 ( Soon Hoi Kwon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7 No.-

        이 논문에서는 새로 발굴된 『여창가요록』 양승민본과 『여창가요록』 동양문 고본, 그리고 『가곡원류』 국악원본 여창의 비교·분석을 통해 단독 여창 가집의 형성 과정을 새롭게 밝혔다. 이로써 우리는 19세기 여창 가곡의 전개 양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되었다. 1853년에 필사된 『여창가요록』 양승민본은 157수가 수록된 최초의 단독 여창 가집이다. 양승민본은 연행 현장에서 이미 여창 사설로 고정된 레퍼토리를 수용한 바탕 위에서 남창 사설을 대폭 수용하고 거기에 편자 주변 인물들의 작품을 일부 추가하는 방향으로 편집되었다. 1870년에 편집된 동양문고본은 원고본인 양승민본의 근간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편자 주변 인물들의 작품을 추가하며 일부 악곡의 사설을 조정한 후 여기에 연음표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재편집된 가집이다. 『가곡원류』 여창의 편집 과정도 『여창가요록』 동양문고본과 크게 다르지 않다. 동양문고본을 저본으로 편자 혹은 주변 인물들이 창작한 작품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편집되었는데 그 가운데 특히 안민영의 작품이 두드러진다. 한바탕의 큰 틀은 그대로 두고 다양한 연창 실험을 통해 좀 더 여창가곡의 특성에 적합한 사설을 부분적으로 보완해 나가는 방향으로 재편집이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단독 여창 가집의 형성과 지속적인 재편집 과정이 동일 집단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들은 바로 박효관과 그 주변 인물들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박효관은 양승민본 편집 당시 가곡 연행의 가장 중심에 있었고 누구보다도 여창의 가치와 효용을 잘 알고 있던 인물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속적인 재편집 과정을 통해 단독 여창 가집의 완성도를 높여 나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formation process of separate yeochanggajip(女唱歌集), a anthology of Gagok songs by a female, through analysing newly found Yang Seung-min version of Yeochanggayorok(女唱歌謠錄), that of The Toyo Bunko (東洋文庫, The Oriental Library in Tokyo) version, and yeochang of Gagokwonryu(歌曲源流), version of Gugakwon(國樂院, National Gugak center). With this as a momentum, we can view an aspect of progress of 19th century yeochanggagok tridimensionally. Yang Seung-min version of Yeochanggayorok transcribed in 1853 is the first separate yeochanggajip, which includes 157 songs. It had an editorial policy; swingeing acceptance of namchangsaseol ― saseol means words to a song, that is to say lyric ― based on acceptance of repertory that is fixed as yeochangsaseol, and editing in a portion of works of people around editor. The Toyo Bunko version edited in 1870 is reedited in the manner of keeping Yang`s basis and editing in a portion of works of people around editor to assign yeonumpyo(連音標) after modifying saseol of some parts of melodies. Edition process of Gagokwonryu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is. It is edited along editing in a portion of works of people around editor based on The Toyo Bunko version as the original script and Ahn Min-young`s work is remarkable among the works. Re-edition was performed as follows: hanbatang, a large frame, leaves it at that, and it is supplemented by adding saseol more apt for characteristic of yeochanggagok. I figure out the facts that these formations of separate yeochanggajip and perennial re-edition are performed by coating group, and they are exactly Park Hyo-gwan and his colleagues around him. He, in those days of edition of Yang Seungmin`s version, was the person who was at the center of a song performance and forgot more about its value and utility than a person ever knew. This being so, he could improve completeness of yeochanggajip through continuous re-edition.

      • KCI등재

        김천택(金天澤)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문헌 특성과 편찬 맥락

        권순회 ( Kwon Soon-hoi ) 한국시가학회 2017 韓國 詩歌硏究 Vol.43 No.-

        본고에서는 원본 공개를 계기로 김천택 편 『청구영언(靑丘永言)』의 서지 및 편제의 특성을 고찰하고 편찬 맥락을 탐색하였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필사본 1책, 총 70장(140면) 분량이다. 크기는 세로×가로 26.5×17.5cm이다. 표지는 결락되었지만 서발문을 통해 제명(題名)이 ‘靑丘永言’임이 파악된다. 1면 오른쪽 하단의 흐릿한 방형(方形)의 주인(朱印)은 “南坡居士”의 전서체(篆書體)로 판독되었다. 『청구영언』이 김천택의 자찬(自撰) 원고본(原稿本)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필체가 행초체(行草體)로 일관한 것으로 미루어 편집 후에 정서(正書)하고 자신의 장서인을 날인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김천택 자신이 직접 정서 했는지, 아니면 한글 서체에 능한 지인에게 부탁한 것인지의 여부는 현재로서는 판단을 유보할 수밖에 없다. 김천택 편 『청구영언』은 최초의 가집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정연한 편제를 갖추고 있다. 당대에 가곡 연행의 중심을 차지한 삭대엽곡을 중심에 놓고, 상대적으로 고조(古調)로 인식되던 중대엽곡들을 그 앞에 배치하였다. 뒤에는 이들과는 감성이 다른 낙시조, <장진주사>, <맹상군가>. 만횡청류를 두어 가곡의 흐름과 당대적 관심을 빠짐없이 담아냈다. 이 가운데 이삭대엽은 당대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던 악곡이다. 580수의 약 67.4%에 해당하는 391수를 이삭대엽에 수록하였다. 이는 다시 유명씨와 무명씨로 층위를 구분하였다. 유명씨 작품들은 작가의 신분에 따라 ‘사대부’, ‘임금’, ‘여항가객’, ‘기녀’로 나누고, 각 항목 안에서는 시대순으로 배치하였다. 무명씨에 수록된 104수는 당대 연행 공간에서 작가명을 잃고 널리 불리던 노랫말을 모아 놓은 것이다. 1728년 음력 5월 16일 『청구영언』이 완성되기까지 김천택은 10년이 훌쩍 넘은 기간 가곡 노랫말을 수집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주요 수집 대상은 소규모로 묶여 유통되던 가집이나 가첩(歌帖)들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연행 공간에서 1~2수씩 구전되던 작품들도 상당수 수습하였다. 이들을 통합하기 위해 그는 악곡이라는 객관적 지표를 근간으로 작가와 주제 분류를 중첩해서 배치하는 새로운 형태의 가집을 고안했던 것이다. 이는 김천택이 누구보다 악곡에 정통하면서도 문학적 소양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다. 이삭대엽 무명씨는 이러한 김천택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는 여항가객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104수를 선별했을 뿐만 아니라 주제 분류까지 단행하였다. 54개 항목의 주제 분류는 정합성을 온전하게 갖추지는 않았지만 ‘강호’, ‘연군’ 등 고시조의 전통적 주제를 수용하면서도 ‘처세’, ‘관계’ 등 당대인들의 현실적 관심사에 방점을 두고 있다. 당대인들의 가곡 노랫말의 관심의 층위를 여실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만횡청류는 당시 시정 공간에서 불리던 노래들로, 김천택이 논란을 무릅쓰고 116수를 『청구영언』에 수렴하면서 가곡화의 단초가 마련되었다. 만횡청류에 대한 논란은 18세기 중엽까지도 여전했던 것으로 확인된다. 하지만 논란의 와중에도 점차 가곡 연행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았고 18세기 후반에는 다수의 파생곡까지 등장한다. 그 동안 원본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학계에서는 1948년 조선진서간행회(朝鮮珍書刊行會)에서 간행한 활자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며 ‘진본 『청구영언』’, 약칭으로 ‘청진’이 이 공식적인 학술 용어로 쓰였다. 이제 원본이 공개되었다. 이를 계기로 ‘진본 『청구영언』’이 아닌 ‘김천택 편 『청구영언』’이 공식적인 학술 용어로 쓰이길 기대한다. In this paper, in the context of the release of the original edition, we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graphy and composition of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and explore the context of the compilation. Cheongguyeongeon is a manuscript, measuring 26.5×17.5cm(length×width) in size, comprising a total of 140 pages. Although the cover is missing, the original title of the anthology was found to be “靑丘永言” in the introduction and epilogue(seobalmun). The red square on the bottom right of the first page was read with the jeonseo font(篆書體), written by “Nampageosa(南坡居士)”. It has been suggested that Gim Cheontaek compiled Cheongguyeongeon himself. It is clear that the sentences were written attractively and during one period, since the handwriting is consistent with the haengcho font(行草體). Having completed the editing, it is widely believed that Gim Cheontaek wrote and imprinted his ownership stamp. It is not easy to judge, however, whether or not the charged subject is Gim Cheontaek himself, or whether he asked a neighbor capable of writing Korean fonts. Cheongguyeongeon may be the first anthology, but it is as perfect as later anthologies. He centered on Sakdaeyeopgok and placed Jungdaeyeopgok at the forefront. Sakdaeyeopgok was at the center of the Gagok directing at the time, and Jungdaeyeopgok was recognized as a relatively old style. Later, Naksijo, < Jangjinjusa >, < Maengsanggunga >, and Manhoengcheongnyu,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works, were published in order to bring out Gagok's flow and contemporary interest. Among these, Isakdaeyeop was perhaps the favorite music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e number 391, which corresponds to about 67.4% of the 580 words, is included here. Isakdaeyeop distinguished between yumyeongssi(identified person) and mumyeongssi(unidentified person). According to their status, writers divided their works into the works of Sadaebu(nobility), the king, the Yeoang singer, and Gineyeo. They were then placed in chronological order. Mumyeongssi is a collection of lyrics that is widely circulated in the contemporary space but whose artist’s name has been lost. Gim Cheontaek selected and contained 104 of these and divided them into 54 topics. Until the completion of the Cheongguyeongeon in the lunar calendar on May 16, 1728, it has been confirmed that Gim Cheontaek was constantly travelling to collect the Gagok lyrics. The main object of the yumyeongssi collection was anthology or poetry circulated in small scale. Works spoken by one or two performers on stage were also collected. To unify these various works, Cheontaek devised a new form of anthology. This form overlapped the artist and subject category through the objective index song. This was possible because Gim Cheontaek was literate and also well versed in music. Isakdaeyeop mumyeongssi is an example of this aspect of Gim Cheontaek’s work. Based on his experience as a Yeoang singer, he selected and classified the 104 works by topic, which were popular in the performing arts. Fifty-four topics were not fully integrated in the classification. It is interesting to clearly show, however, the level of interest of the contemporaries' Gagok lyrics. Gim Cheontaek accepted traditional topics such as “gangho(affection for the beauties of nature)” and “yeongunaffection for their king)”, while also selecting works based on realistic interests of contemporary people such as “cheose(worldly wisdom)” and “gwangy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for Manhoengcheongnyu, the style performed in the market place at the time, Gim Cheontaek controversially recorded 116 numbers in Cheongguyeongeon. As a result, this publication is considered as establishing the beginning of the Gagok. The controversy surrounding Manhoengcheongnyu remained an issue into the mid-18th century. In the latter part of the 18th century, however, many versions appeared and were firmly established as an axis of the Gagok performance. This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Gim Cheontaek’s efforts in compiling Cheongguyeongeon in spite of the controversy surrounding him. In the meantime, in the absence of the original edition, academic research has been completely dependent on the printed book published by the 1948 Joseon Jinseo Ganhaenghoe(Joseon Treasured Volume Publishing House). Furthermore, the “Jinbon” Cheongguyeongeon, abbreviated to “cheongjin” was previously used in official academic circles. The original has now been released; as a result, I hope that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will be widely used as an official academic reference, rather than the “Jinbon” Cheongguyeongeon.

      • KCI등재

        미국 클레어몬트대학도서관 맥코믹 컬렉션 소장 『청구악장(靑邱樂章)』의 특성

        권순회 ( Kwon Soon-hoi ) 한국시가학회 2018 韓國 詩歌硏究 Vol.44 No.-

        본고의 목표는 미국 클레어몬트대학(Claremont Colleges)도서관 맥코믹 컬렉션(Mc Cormick Korean Collection)에 소장되어 있는 가집 『靑邱樂章』을 소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맥코믹 컬렉션은 20세기 초에 동아시아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했던 프레더릭 맥코믹(Frederick McCormick, 1870~1951)이 수집한 한국고문헌 컬렉션으로 총128종 808책으로 규모이다. 애초에 제임스 스카스 게일(James Scarth Gale, 1863~1937)이 소장했던 것을 입수한 것이다. 이 가운데 『청구악장』은 게일이 1900년 이전에 수집했던 것으로 곳곳에 친필 메모가 남아 있다. 3장에서는 『청구악장』의 서지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청구악장』은 필사본 1책, 총 116장(표지 제외) 규모이다. 시조 984수와 십이가사 10편, 잡가 7편이 수록되어 있다. 다음과 같이 성격이 다른 가집 3종이 합철되어 있다. A : 25장 50면, 시조 226수, 십이가사 1편 B : 52장 104면, 시조 400수, 십이가사 9편, 잡가 7편 C : 39장 78면, 남창가곡 한바탕 358수 이들이 합철된 이유는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지질이나 필체, 수록 작품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 가집은 애초에 『청구악장』이라는 제명으로 ‘C’만이 존재했었고 소장자가 1896~1898년 무렵에 새로 수집한 ‘A’와 ‘B’를 합철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4장에서는 『청구악장』(C)의 악곡 편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청구악장』(C)에는 남창가곡 한바탕이 수록되어 있다. 중거, 평거, 두거 등 19세기 중반 무렵에 파생된 악곡명이 보이지 않지만 해당 노랫말이 제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창의 수요가 많지 않았던 중대엽 과 달리 삭대엽 이하에서는 연창의 실질에 맞게 악곡들을 배치하였다. 5장에서는 신출 작품의 특성을 분석하여 『청구악장』(C)의 성격을 파악하였다. 『청구악장』(C)의 신출 작품은 총 13수이다. 이 가운데 1수를 제외하면 모두 중거, 평거, 두거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다. 작자를 고증한 결과 박효관(2수), 임의직(3수), 이정신(3수)으로 파악되었다. 임의직과 이정신은 박효관 주변에서 활동하던 가객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동일한 양상이 『지음』(건)의 신출 작품에서도 포착된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 『청구악장』(C)의 성격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청구악장』(C)은 『지음』(건)과 같이 박효관과 그 주변 인물들에 의해서 편집된 가집이다. 안민영 작품이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박효관이그와 관계를 맺기 이전에 편집된 것이 분명하다. 『지음』(건)과 같이 『가곡원류』 편집의 저본으로 활용된 가집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and characterize an anthology Cheongguakjang, a collection in the McCormick Korean Collection at the Claremont Colleges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The McCormick Collection is a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808 books in total of 128 kinds) collected by Frederick McCormick (1870~1951), who was a journalist in East Asia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was obtained through James Scarth Gale (1863~ 1937), who had been working as a missionary collecting Korean literature at the end of old Joseon Dynasty. Among these, Cheongguakjang was collected by Gale before 1900, and his handwritten notes remained everywhere. In Chapter 3, we have identifie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eongguakjang. Cheongguakjang is one manuscript, 116 sheets(excluding cover). There are 984 Sijo works, Sibigasa 10 works, and Japga 7 works. There are three types of Gajip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follows. A : Total 25 sheets and 50 pages : Sijo 226 works, Sibigasa 1 works B : Total 52 sheets and 104 pages : Sijo 400 works, Sibigasa 9 works, Japga 7 works C : Total 39 sheets and 78 pages 78 : Nanchang Gagok Hanbatang 358 works The reason why these Gajips are combined is not clearly understood. How ev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per, the handwriting, and the co llection, Gajip was originally known as Cheongguakjang(C) in the first place, and the colleagues combined Cheongguakjang(A) and Cheongguakjang(B) ne wly collected from 1896 to 1898 . In Chapter 4,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composition of Cheongguakjang(C). Cheongguakjang(C) contains Nanchang Gagok Hanbata ng. Although the song names derived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suc h as 'Joonggeo', 'Pyeonggeo', and 'Doogeo' were not fou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yrics were in place. Unlike the Joongdaeyeop section, which did not have a lot of demand for chanting, Sakdaeyeop chose songs in accordance wit h the essence of chanting. In Chapter 5, characteristics of Cheongguakjang(C) are understood by analyzing features of new works. Cheongguakjang(C) has 13 new works. All but one of them were concentrated on 'Joonggeo', 'Pyeonggeo', and 'Doogeo'.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writer, it was identified as Park Hyo-gwan(2 works), Yim Eui-jik(3 works), and Lee Jeong-shin(3 works). Yim Eui-jik and Lee Jeong-shin are presumed to be singer who worked around Park Hyo-gwan. However, the same aspect is also found in Jium(Geon)'s new work. This aspect clearly reveals the character of Cheongguakjang(C). Cheonggua kjang(C) is Gajip, like Jium(Geon), edited by Park Hyo-gwan and the people around him. It is clear that Park Hyo-gwan has been edited before his relations hip with An Min-young, as An Min-young does not appear. It was identified as Gajip, which was used as the basis of Gagokwonryu editing, like Jium(Geon).

      • KCI등재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 『시가전(詩歌典)』의 특성과 계보

        권순회 ( Soon Hoi Kwon ) 한국시가학회 2010 韓國 詩歌硏究 Vol.29 No.-

        본고는 신발굴 가집인 『詩歌曲』을 학계에 소개하고 주요 특성과 계보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시가곡』은 시조 사설 419수, 가사 3수가 수록된 가곡 가집이다. 필사본 1冊 楮紙에 총 67장으로 구성되었다. 편찬자, 혹은 편찬 집단을 알려주는 단서는 찾을 수 없다. 편찬 연대는 1816~1819년 전후로 파악된다. 사설은 줄글 형식으로 배열하되 가곡의 형식에 따라 章을 구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체 작가 정보를 수록하지 않고 악곡별 배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시가곡』의 수록 가곡은 19세기 전반 가곡 연행의 특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우조와 계면조에 따라 창곡을 배열한 점, 여창의 존재를 분명히 한 점, `두거`, `반엽` 등 19세기 전반에 파생된 창곡의 존재 등이 그것이다. 특히 『시가곡』은 `두거`가 독립된 창곡으로 확실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문헌이다. 아울러 `솔낭이`, `산락(散落)`, `긴농` 등 다른 가집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창곡명이 등장한다는 점도 흥미롭다. 이처럼 『시가곡』은 19세기 전반 파생곡을 온전하게 수렴하고 있는 가집이다. 『흥비부』와 더불어 19세기 전반에서 『가곡원류』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가곡 연행의 특성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4장에서는 『시가곡』이 『歌譜』(국립중앙도서관소장)의 善本이라는 계보학적 사실을 밝혔다. 『가보』는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의 특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우조와 계면조의 분류에서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다른 가집에서 볼 수 없는 생소한 창곡명이 등장하여 연구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내던 가집이다. 대교를 통해 두 가집이 이본 관계이고 그 가운데 『시가곡』이 선본이라는 사실과 창곡명 표기에 다소간의 혼란이 있을 뿐 『가보』 또한 정연한 체제를 갖추고 있는 가집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In this thesis, I introduce Sigagok(詩歌曲) to the academic world for the first time and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Sigagok is the gagok anthology which includes 419 sijo and 3 gasa. It is 1 manuscript book and is composed of total 67 pages. We could not find any clue about the compiler or compilation group. We can just figure out that the compilation period is around 1816~1819. Lyrics are arranged in narrative form and are divided by 5 chapters form. And also, it has no information about writers a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tunes. The gagoks in Sigagok get all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performance in the beginning of 19C. Those are the tunes arrangement according to u-jo and gyemyen-jo, the recognizing woman`s song and the tune like `dugeo(頭擧)` and `banyeop(半葉)` in the beginning of 19C. Particularly, Sigagok is the oldest document that `dugeo` is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tune. And it is the interesting thing that `salnangi`, `sanrak(散落)` and `ginnong` were discovered. Those are not found in other anthology. For such a reason, Sigagok is an anthology that includes the most of tunes in the beginning of 19C. Sigagok and Heungbibu(興比賦) clearl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performance from the beginning of 19C to the period of Gagokwonryu (歌典源流). In chapter 4, I discovered that Sigagok is the best version of Cabo (歌譜,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abo includes the most of gagok`s characteristics in the beginning of 19C. However Gabo lacks consistency of the notes` classification and includes the unfamiliar name of tunes. I found that Sigagok is the best version. Gabo is a different version of Sigagok and also an anthology which is in good order except the confusion of tune name`s marking.

      • KCI등재

        18세기 가집(歌集) 편찬(編纂)과 무명씨(無名氏)

        권순회 ( Kwon Soon-ho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본고의 목적은 18세기 가집의 無名氏의 특성을 고찰하여 有名氏 중심으로 파악했던 가집 편찬의 구도를 재점검하는 데 있다. ‘無名氏’는 작자명이 유실된 노랫말을 모아 놓은 二數大葉의 항목으로 18세기에 편찬된 가집에만 등장한다. 무명씨는 『靑丘永言』(김천택 편)에 처음 등장한다. 金天澤은 『청구영언』 편찬 과정에서 무명씨 항목을 설정하고 당대 가곡 연행 공간에서 작가명을 잃고 널리 불리던 노랫말 104수를 54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는데, 이는 이후 가집 편찬에서 무명씨 편집의 典範 역할을 하였다. 18세기 중후반 『청구영언』(김천택 편)의 영향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무명씨는 가집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된다. 『靑丘永言』(박순호본)은 『청구영언』(김천택 편) 무명씨를 충실하게 계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청구영언』(김천택 편) → 『詩調』(존경각본) → 『靑丘永言』(장서각본) → 『歌調別覽』’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파악되는데, 이 흐름은 다시 『靑丘永言』(장서각본) → 『永言』 (이근배본) → 『靑丘永言』(홍씨본)’으로 분화되는 양상도 확인되었다. 이들은 『청구영언』(김천택 편) 무명씨 가운데 65수 내외를 수렴한 바탕위에 새로운 작품을 추가한 유형이다. 이외에 『海東風雅』와 『東歌選』은 18세기 말 무명씨의 과도기적 편집 형태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된다. 이상에서 파악한 무명씨의 계보적 맥락은 『청구영언』(김천택 편)』과 『海東歌謠』를 중심으로 18세기 가집 편찬의 흐름을 구도화 했던 기존의 이해와는 전혀 다른 결과이다. 19세기 초 가집이 전면적인 악곡 체제로 전환되면서 무명씨 항목도 점자 자취를 감춘다. 『靑丘永言』(가람본)처럼 『청구영언』(김천택 편) 무명씨를 전폭적으로 수용한 경우도 있지만 악곡과 잘 부합하는 당대의 노래 위주로 무명씨 수록 작품이 선별되면서 옛 노래들이 퇴조하고, 『청구영언』(김천택 편)의 영향력은 현저하게 약화된다. 유명씨와 무명씨의 경계가 흐려지는 양상도 나타난다. 이런 가운데 오히려 무명씨 작품수는 증가하는데, 작가 표기를 생략하며 악곡에 따라 노랫말을 수록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악곡적 좌표가 정해지지 않은 노랫말들을 일시적으로 무명씨 항목에 포함했기 때문이다. 주제 분류와 같은 고정된 체계는 더 이상 무명씨 작품 배열의 중요한 고려 사항이 아니었다. 가창에서 노랫말 기억에 용이한 연상의 원리 등이 일부 적용되었을 뿐이다. 이 시기에 편집된 무명씨 대부분이 주제 층위와 계열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다만 『詩餘』(김씨본) 무명씨 일부 대목에서 『청구영언』(장서각본), 『가조별람』과의 연관이 포착될 뿐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composition of the anthology compilation which was identified as the center of yumyeongssi(identified person) by searching the genealogy of mumyeongssi(unidentified person) of 18th century anthology. Mumyeongssi is an item of Isakdaeyeop which is a collection of words whose author was lost. It appeared only in the anthology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which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of songwriting. The basic framework of mumyeongssi was appeared in 『Cheongguyeongeon』(compiled by Gim Cheontaek). Gim Cheontaek selected and categorized the widely searched lyrics and recorded them in the mumyeongssi section. It was a song that was widely called losing the name of the artist. 104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54 themes. This framework is used as it is in anthology compilation. The mumyeongssi of the anthology of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shows various variations according to anthology while the influence of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continues. 『Cheongguyeongeon』(Bak Sunho) proved to have faithfully succeeded 『Cheongguyeongeon』(compiled by Gim Cheontaek) mumyeongssi. In addition, the flow from 『Cheongguyeongeon』(compiled by Gim Cheontaek) → 『Sijo』 (Jongyeonggak) → 『Cheongguyeongeon』(Jangseogak) → 『Gajobyeollam』 are figured out, also 『Cheongguyeongeon』(Jangseogak) → 『Yeongeon』(Lee Guenbae) → 『Cheongguyeongeon』(Hongssi) was also differentiated. These are the types of new works arranged on the basis of 65 mumyeongssi of 『Cheongguyeongeon』(compiled by Gim Cheontaek). In addition, 『Haedongpunga』 and 『Donggaseon』 are noted as examples of the transitional editing form of mumyeongssi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e genealogical context of mumyeongssi identified abov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flow of the 18th century anthology compilation centered on the 『Cheongguyeongeon』(compiled by Gim Cheontaek) and 『Haedongpunga』.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mumyeongssi items gradually disappeared as anthology became a full-scale music system. 『Cheongguyeongeon』(compiled by Gim Cheontaek) mumyeongssi, like Cheongguyeongeon』 (Garam), has been fully accepted. However, the songs of the time, which are in harmony with the music, were selected by the mumyeongssi and the old songs were refused. And the influence of 『Cheongguyeongeon』 (compiled by Gim Cheontaek) is markedly weakened. The boundary between yumyeongssi and mumyeongssi parts appears blurred. In the meantime, the number of mumyeongssi works increases because it contains mumyeongssi, which is a song that has a lot of musical coordinates. Thus, a fixed system such as subject classification was no longer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arrangement of mumyeongssi works. It is only that the reminiscence principle which is easy to memorize the words is applied. This is why most of the edited mumyeongssi at this time are not clearly visible on the topic level and affiliation. However, in some parts of 『Siyeo』(Gimssi) mumyeongssi only the association with 『Cheongguyeongeon』(Jangseogak), 『Gajobyeollam』 is capt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