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근골격계 자각통증이 자세 교정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

        권순범 한서대학교 건강증진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근골격계 자각통증에 자세 교정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추천 의향 영향을 확인하여 그 관계를 규명함으로서, 추후 근골격계 건강증진을 위한 자세 교정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충남 서산시에 H대학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9일부터 10월 16일까지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에게 본 연구에 대한 목적 및 활용을 설명 후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재학생 315명 중 ‘무응답’, ‘모름’ 등의 응답이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재학생 305명(남학생: 95명, 여학생: 210명)을 최종 설문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학습 참여 특성, 생활 속 자세 습관 특성, 생활 속 자세로 인한 통증 경험 여부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자세 교정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추천 의향은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하위 요인에 대한 문한 간 신뢰도는 Cronbach's α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생활 속 자세 습관 통증 경험이 자세 교정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추천 의향에 미치는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근골격계 자각통증을 경험한 대학생들이 통증을 경험하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자세 교정프로그램의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이 높게 나왔으나, 자세 교정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에게 근골격계 질환의 전문적인 교육과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며,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자세 교정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검증 할 수 있는 연구 방안을 제안 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is to explore a survey study on the need to participate in postural correction programs by the college students with a history of musculoskeletal pain.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of June 19. 2015 thru October19, 2015.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5 healthy students (Male:95, Female:210), data was analyzed using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musculoskeletal pain episode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participants without musculoskeletal pain complaints. Participates with back pain, shoulder pain, and neck pain were recommended for posture correction program. The presence of musculoskeletal pain or no pain,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need for a posture correction program. Therefore this requires students to receive professional training and positive attitud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the study can be confirmed with efficient posture correction program development .

      • 대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가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순범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가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체적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게임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둘째,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서울, 경기, 기타 지역에 소재한 총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총 250명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체계, 게임몰입, 자기개념명확성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22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무응답 질문지 21부를 제외, 게임을 이용하지 않는 22명의 질문지를 제외, 총 177명의 질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는 게임몰입과 그 하위요인인 학업태도저하, 심리적 몰입 및 집착, 부정적 정서경험, 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동활성화체계와 게임몰입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행동억제체계와 게임몰입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가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게임몰입과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게임몰입 관련 변인들의 기제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n game commitment of university students. It also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 -concept clarity on the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n game commitment. The research questions rais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tudent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n game involvement? Secon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effects of behavioral activa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on game involvement? To collect data, questionnaires on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game involvement, and self-concept clarity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250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six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other regions. Among 220 collected sets of questionnaires, a total of 177 sets were analyzed after eliminating 22 sets for non-involvement in games and 21 sets for incomplete and erroneous responses.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behavior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 inhibition system were found to affect game participation and its subscales including lowered academic attitude, psychological commitment and obsession,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maladaptive behavior. Second, the self-concept clarity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ation system and game commitment. Third, the self-concept clar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havior inhibition system and the game commit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isclosed the mechanism of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game addiction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behavior activation system and the behavior control system on the game invol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examining the effect of the self-concept clarity on the effects of game involvement. keyword :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game flow, game addiction, self-concept clarity

      • 대형선박엔진 크랭크축 가공용 선반에 관한 연구

        권순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Multi-tasking machine has been developed which enables the turning of a workpiece using normal spindle and the turning of a tool using ring spindle of a pin turning device in one facility. This facility is used for crank shaft machining of large marine engines and the design technology of advanced foreign company was applied. The crank shaft weighs 100 tons or more, 10 meters or more in length, and 3.5 meters or more in diameter, which is large and heavy, so a high precision and high rigidity spindle is required. Pin turning devices for machining the eccentric portion, and steady rests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are required. The pin turning device is a unique device of a retractable ring structure with rotating spindle and is localized using FEM structure analysis and TMSA for high rigidity. This pin turning device requires two with tool rest when installing two crankshaft lathes, but a “Twin lathe” that can be installed with only one was studied. This model can reduce installation cost and installation time.

      •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의 운행자책임

        권순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The civil liability of a driver on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law Kwon Soon Bum Dept. of Law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It is extremely difficult to find definite proof of the origin of an automobile accident. This is because automobile accidents are mostly caused by complex factors including the driver''s and third parties'' faults, structural defects in the car, traffic conditions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the state of the road. In addition, as it is not easy to judge how the perpetrator and injured party share the responsibility, the degree of social criticism against the person who caused the automobile accid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at of other criminals. For this reason, in legal action for damages as a result of an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of the losses of the victim, rather than punishment for the offender, is the core issue in the legal proceedings. Thus, in 1963,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law was established and promulgated as a new legal system ensuring speedy and fair compensation.When automobile accidents occur, there are three legal problems to be considered - civil compensation for losses of the victim, criminal punishment for the offender and administrative withdrawal of the driver''s license. In this thesis, the writer would like to address civil compensation for loss of the victim. This thesis will begin with an analysis of court decisions and theori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law. Secondly, it will review the basis of the compensation, such as who should indemnify for losses, in what circumstances the offender should compensate the victim and to what extent the victim should be compensated. Finally, it will provide recommendations for the amendment of the law. A summary of this analysis of civil compensation of automobile accidents is set out below.The priority in an investigation into an automobile accident is to identify who should indemnify the victim for his injuries. However, there are many occasions in which the driver is not the owner of the automobile and it is important to judge whether the automobile owner who was not driving should bear any responsibility for the damag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often it is more favorable for victims to be compensated by an automobile owner who has more resources than the driver. Finally, the scope of the person who should indemnify for damages is a main point to be considered. The criteria for judgment should include all circumstances, for example, who usually has charge of the car and the keys, how the driver came to be d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r and the automobile owner, whether the driver intended to return the automobile to its owner, the distance of the journey, whether the owner has benefited from the driver running his automobile, etc. Secondly, in order for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law to apply, the damage should result from an accident caused by driving an automobile. As such, it is important to define what driving an automobile means. An accident which occurs while an automobile is moving is without a doubt an automobile accident, however whether an accident caused when parking or getting out of a car is an automobile accident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of the accident. In the 1999 amendment to the law, the notion of driving was enlarged to include 'use or care of an automobile' (from simple 'use of an automobile'). As a result of this amendment, it became an issue to define what the meaning of use and care of au automobile is. Recently the Prime Court rendered a decision that an accident involving a motorcycle, which had been unused for 10 days, and one which occurred whilst moving a bed installed in an ambulance, come under the definition of automobile accident. Considering these decisions of the Prime Court, the notion of driving may be extended. However, if the meaning of driving becomes excessively enlarged, it may cause excessive burdens for those that cause accidents. Moderate extension of the concept of driving is necessary so that offender and injured party can receive equalprotection under law.Thirdly, if a person wishes to call the injured party to account under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law, he should be a third party. Under article 3 of the automobile liability security law, only a third party is entitled to claim compensation from an injured party under this Act, whilst the offender - the person concerned with the accident - is not protected by this Act. Today more than one person often owns a car. Where one of the joint owners was a passenger in the car, it is an issue whether he may be considered as a third party. This problem will be judged according to how the driver came to be driving, who is considered to drive in a strict sen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er and the automobile owner. <국문요약>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의 운행자책임 자동차사고에 대한 손해배상문제는 행위자에 대한 응징보다는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의 문제가 법적 처리의 중점에 놓이는 특성을 갖는다. 특히 자동차사고의 경우 일반불법행위와 달리 가해자의 책임문제보다는 피해자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공평 · 타당하고 신속한 배상을 할 것인가가 더 중요한 법률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하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의 운행자책임의 발생요건에 대한 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운행자책임의 주체 문제와 관련하여 판례는 이원설의 입장에서 운행지배의 개념을 간접지배 내지 지배가능성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여 운행자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자배법의 입법목적인 피해자 보호에 더욱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유형별 운행자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판례의 원칙적인 입장은 평소 차량과 열쇠의 관리상태, 자동차보유자와 운전자의 관계 등의 운행과 관련된 객관적이고 외형적인 여러 사정을 사회통념에 따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이를 판단하여야 한다는 것인데, 다양한 교통사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공평·타당한 입장에서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기본적으로 타당하다고 하겠다. 그런데 일부 판례에서는 자동차보유자와 교통사고 사이에 장소적·시간적으로 상당한 간격이 있는 경우에까지 자동차보유자에게 운행자책임을 묻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보유자 역시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인과관계의 범위를 부당하게 확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그 운행으로 인하여 사상한 때’라는 요건과 관련하여 무엇보다 자배법상 운행의 개념이 변화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1999년 개정된 자배법은 기존에 학설상 논란이 되었던 ‘당해장치’라는 용어를 삭제하는 대신 ‘자동차의 용법’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였고, 자동차를 ‘사용’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용 또는 관리’라는 개념으로 확장하였는데, 이로 인해 앞으로의 운행의 개념에 대한 논쟁은 자동차의 용법에 따라 사용 또는 관리하는 것이란 어떠한 상태를 말하는가를 해석하는 문제에 초점이 맞추어 질 것이라 생각된다. 자배법상의 운행개념의 변화와 관련된 최근의 2개의 대법원판결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현재로서는 판례상 운행의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고 단정할 만한 단계는 아니지만 자배법상 운행 개념의 개정을 고려하여 볼 때 운행의 개념은 앞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의 손해배상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피해자가 타인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가 ''타인''에게만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있어, 운행자는 당해 자동차의 운행 중에 발생한 사고로 인하여 타인으로서 보호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타인성이 문제되는 구체적인 유형으로 공동운행자, 공동운전자, 피용자, 친족, 호의동승자가 피해자가 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피해자에게 타인성이 인정되는 가의 문제는 결국 사고 당시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체적인 운행지배의 정도 및 태양 등을 비교 · 교량하여 가해자의 운행지배 및 운행이익이 피해자의 그것보다 주도적이거나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자배법 제3조는 피해자가 승객인 경우와 승객 이외의 자인 경우로 나누어 그 면책요건을 달하고 있는데, 특히 자배법 제3조 단서 제2호는 무과실책임을 단순한 호의동승자에까지 관철하게 하여 과실 없는 운행자의 일방적 희생만을 요구하는 것이 되므로 입법론적으로 유상의 승객에 한하여 운행자에게 무과실책임을 지우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 개인화 관점에서 본 중년여성의 주거공간과 자녀의 주거독립

        권순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개인화가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보편적인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의 개인화 담론은 청년세대와 같은 특정 세대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 관점에서 중년여성이 주거공간에 부여하는 의미와 그들이 경험하는 비혼자녀의 주거독립을 살펴봄으로써 중년여성에 대한 발달적 이해를 돕고 개인화 담론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 중년여성에게 주거공간이 갖는 의미에서는 개인화된 사회에서 드러나는 중년여성의 욕구와 정체성을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 60대 중년여성 13명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접 자료는 주제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제분석법을 통해 도출된 중년여성의 주거공간 의미는 사적인 공간, 돌봄의 공간,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공간이었다. 사적인 공간에서는 중년여성에게 주거공간이 우리 가족이 아닌 타인에게 배타적인 공간이라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각방의 사용을 통해 자립적 개인을 위한 욕구와 부모로서의 정체성이 충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돌봄의 공간에서는 돌봄대상에 따라 공간의 점유형태가 달라져서 손자녀를 돌볼 때는 주거공간을 자녀, 손자녀와 공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지만, 부모를 돌볼 때는 부모의 공간 사용에 대해 배타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서 배우자를 돌볼 때는 외부로부터 고립되어 자립적 개인에 대한 욕구가 억압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공간에서는 주거공간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가 부모자녀관계를 유지하는 방편이 되는 한편, 부모로서의 정체성과 자립적 개인을 위한 욕구가 경합한 결과가 주거공간을 자신의 노후를 위한 경제적 자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표출되었다. 중년여성이 주거공간에 대해 갖는 의미는 다양한 지점에서 개인의 욕구와 정체성이 충돌하고 있으며, 현저성 위계에 따라 사회구조의 변화가 반영되는 수준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화의 양상이 한 개인에게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비혼자녀의 주거독립 경험에서는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비혼자녀의 주거독립을 자녀의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최근 5년 이내에 비혼자녀의 주거독립을 경험한 50, 60대 중년여성 4명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현장텍스트를 연구텍스트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중년여성이 경험한 비혼자녀 주거독립의 본질은 자녀로부터의 소외에 대한 불안과 자녀 결혼을 통한 불안 해소에 대한 기대였다. 중년여성은 비혼자녀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불안을 느끼고 있었는데, 그러한 불안의 기저에는 자녀로부터 소외당하는 자기 자신에 대한 불안이 자리 잡고 있었다. 중년여성은 자신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자녀 집에 찾아가려고 하지만 자녀가 이를 회피하면서 중년여성의 불안은 해소되지 못하고 더욱 가중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년여성이 자녀의 결혼을 바라는 이유는 결혼이라는 전통적 규범을 통해 부모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재확인하고 자녀로부터 소외당하는 자신에 대한 불안이 해소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화된 사회에 적응하는 방식이 세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그로 인해 긴장과 갈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lthough individualization is a universal experience that spans multiple generations, existing discourses on individualization tend to be biased towards the youth popul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and their children’s residential independence from the individualization perspective and second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al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 and to expand the horizons of individualization discourse.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separate but interrelated studies for these purposes. First,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attempted to examine the needs and identities of middle-aged women in the context of individualized societ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3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and analyzed the interview data using thematic analysis.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as derived from thematic analysis was the space of privacy, of care, and of economic value. In the home as a private space, it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dentity as a mother remained strong, and through the use of each room, there was a conflict between the desire to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and the identity as a parent. In the home as a space of care, the occupancy of the home varied depending on whom is cared. When the participants cared for grandchildren, they recognized the home as a space shared with children and grandchildren, but when they cared for old parents, they expressed a desire to occupy the home exclusively for families and they did not consider old parents as their immediate family. In addition, when there was a spouse who needed care in the home, the participants felt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desire to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was suppressed. In the home as a space of economic value, the economic value of home was a means of maintain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while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identity as a parent and the desire to be an independent individual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using home as an asset for their old age. The meaning of home for middle-aged women shows that individual needs and identities are colliding at various points, a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to which social structure changes are reflected according to salience hierarc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terns of individualization can appear in various ways, even for an individual. Second, in a study on m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residential independence of never-married children, th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was examined, centered on the home as residence of never-married children. I conducted interviews with four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had experienced residential independence of never-married children within the past five years, and a variety of field texts were used as research texts. The essence of reconstruc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to narratives was the anxiety about alienation from their child and the expectation of resolving the anxiety through the marriage of their child. The participants felt anxiety about their never-married children, and at the bottom of such anxiety lays the anxiety about themselves being alienated from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tried to visit their children’s homes to relieve their anxiety, but as their child avoided this, the anxiety was not resolved but aggravated. In this context, the reason why the participants wanted their children to marry was that they aspired to restore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 through the ev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generations in how they adapt to the individualized society and how these differences lead to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generations.

      • 우리나라 헤어커트에 사용되는 커트용어 비교 분석

        권순범 한성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현재 미용교육현장과 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헤어커트 용어 중 Vidal Sassoon, Toni&Guy, Pivot Point, Zone&Section등 4개의 브랜드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를 통계분석한 후 그중 가장 대표적인 커트 용어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STEAM기반 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권순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STEAM기반 융합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융합학습과 STEAM에 관한 내용을 분석한 후 융합학습 프로그램의 모형을 적용하여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콘텐츠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t-검정을 적용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STEAM기반 융합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정신보건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권순범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역정신보건서비스의 구체적인 전략과 프로그램이 없는 서부지역의 실정에 비추어 지역사회내 정신보건관련 기관간 연계할 수 있는 새로운 정신보건사업의 모델개발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적절한 서비스 연계의 부재로 인해 정신장애인에 대한 지역사회의 보호가 미비한 것은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큰 문제라고 할 수 있으므로 지역의 각 기관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를 적절히 연계한다면 새로운 정신보건센터를 만드는 예산의 낭비 없이, 효과적인 지역사회 정신보건 사업을 시행할 수 있으며, 정신보건서비스의 전달체계가 원할하고 효과적인 적절한 서비스의 제공으로 나타나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 본 논문은 크게 세가지로 구성하였다. 쳇째, 지역정신보건서비스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이론적 배경이 되는 지역정신보건의 개념과 지역정신보건서비스의 전달체계 및 지역사회조직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정신보건서비스의 현황을 살피고 분석을 통해 각 기관별 서비스 상호연계가 가능한지 알아보고, 서부지역의 문제점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셋째, 서부지역 정신보건서비스의 개선방안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정신보건서비스 협의체”(각 기관의 실무자가 모인)를 구성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여 정신장애인의 개별적 특성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며, 협의회가 주관하여 각 기관의 개별적 특성에 부합하도록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간호사, 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결과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며 연계 기관 사례관리자들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대상자의 조건에 부합되는 전문적이고 다학제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회적 통합을 앞당길 수 있다. 둘째,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기관간 연계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 및 기관의 특성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취업 전 직업탐색 프로그램이나 보호작업장을 거친 장애인들에게 점진적으로 일시취업, 임시취업, 지원고용 등 여러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역적인 조정작업이 가능해 질 것이다. 셋째, 자원봉사자, 전문자원봉사자 및 전문가에 대한 통합 교육이 이루어짐으로 서비스의 전문성과 과도한 업무의 단축으로 인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신재활치료 프로그램과 양질의 서비스 연구개발을 병행함으로 정신질환의 예방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권익옹호 뿐만 아니라 실무자 및 자원봉사자의 자긍심도 부각될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d the necessity to develop a new model for a mental health that have connected with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considering the absence of specific strategy or program for local mental health service in west region of Korea. One of the big barriers to an efficient providing of service is insufficiency of local protection of the mentally handicapped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connection of services. Therefore, If diversified services in each institution in a certain area are connected appropriately, an effective local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a waste of budget in building a new mental health center. Moreover, the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will provide smooth, effective and optimal services so that it can expedite the social integration in servicing the mentally handicapped. This article is composed of three parts. First, the concept of community mental health, the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that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o construct a local mental health service network were reviewed. Second, the status of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western part of Seoul was reviewed. Then, it was analyzed that services of each institution can be connected, and problems of this area were sought to be identified. Third, a model for improving mental health service in the western part of Seoul was suggested. This model is comprised of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such as the "Mental Health Service Association". (an association of workers in charge of the institutions in the area) It provides service to the mentally handicapp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by shar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population. Moreover, it educates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mental health nurses and volunteers according to the each institution's characteristic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the closer cooperation with the case managers can expedite the social integration by providing professional and multidisciplinary services in each institution through a network. Second, the service though the connection of the institution can make various types of services, and specialized services. For example, a regional coordination of the institutions can be made so that the institutions can share responsibilities such as job search programs, casual employment, temporary employment, and subsidized employment. Third, an integrated education for voluntary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volunteers, and professionals will reduce over workload and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workers, which will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Operation of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good services at the same time will lead to efficient mental health prevention, better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mentally handicapped and heightened self-esteem of the workers and volunteers caring those mentally handicap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