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 인식 및 이해수준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과 실제이해의 차이

        권수현(Kwon Su-hyun),박선미(Park Seon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3 육아지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 인식과 실제 이해를 살펴보고 자기 인식과 실제 이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유치원 교사 302명이며, Kim, Lee, Kwon과 Park(2011)의 유아교사 음악적 개념 실제 이해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를 살펴본 결과, 경력이 4년 이상 8년 미만이고, 교육정도가 대학원 이상이며, 음악관련 현직교육을 수 강한 경험이 있고,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었고, 음악을 매우 즐기고, 악기교육을 4년 이상 받 은 경험이 있는 경우 자신이 음악적 개념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둘째, 유치 원 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정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경 력이 8년 이상이고, 교육정도가 대학원 이상이며, 근무기관이 국․공립 유치원이고, 음악관련 현직교육 을 수강한 경험이 있으며, 양성과정에서 음악관련 수업을 들었고, 악기교육을 4년 이상 받은 경험이 있 는 경우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가 높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자기인식 과 실제이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아는 것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self-perception and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concepts according to six variables and to compare their self-perception with their actual understan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2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measurement developed by Kim, Lee, Kwon & Park(2011). The results show, first, in terms of the teachers’ self-perception of the musical concepts related to the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types of kindergarten.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longer teaching career (4-8 years), higher educational level (graduate school or above), took music education related course(s) during pre-service education years, had taken music-related course(s) through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he more enjoyed music,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Also, the teachers who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over 4 years) had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musical concepts. Second, in terms of the teachers’ content knowledge of the musical concepts depending on the variab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or the level of enjoying music. In other words, in general, the teachers who had longer teaching career (over 8 years), higher educational level (graduate school or above), worked in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took music education course(s) during pre-service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nd had more learning experiences in musical instrument (over 4 years) showed higher understanding level about the musical concepts. Third,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knowledge in the musical concep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their actual knowledge.;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perceived knowledge and actual knowledge of musical concep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최정아(Choi Jeong Ah),권수현(Kwon Su Hyun),유주연(Ryu Joo-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와 음악교수 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201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Svengalis(1978)가 개발하고 Philips(2002)가 수정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 Kim, Lee, Kwon과 Park(2011)이 개발한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 실제이해 측정 도구’, Riggs와 Enochs(1990)가 개발하고 방은영, 박찬옥(2005)이 수정한 ‘음악교수 효능감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 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 음악교수 효능 감은 대체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효능감 전체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음악교수 능력에 대한 신념은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더 큰 영향력을 미쳤고,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음악적 개념에 대한 실제이해만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1)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2)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among them.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Gyeongnam,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Concept in Music Scale (SCIM), the scale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nd Music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MTEB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ere about the average, besides their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averag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f-concept in music and the actual level of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Among the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belief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self-concept in music had more influence on 'the beliefs of music teaching ability' and actual understanding of musical content knowledge was the only influential factor on 'the expectation of the resul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권수현(Kwon Su Hy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1 육아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고,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4년제와 3년제 유아교육과 졸업예정인 예비유아교사 4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 사용된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는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의 하위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난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이며, 낙관성, 충동통제력, 자기효능감, 정서조절력, 원인분석력, 적극적 도전성의 순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교직 예상 기간, 멘토 수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 변인에 있어서 연령이 높을수록, 교직 예상 기간이 길수록, 멘토의 수가 많을수록 회복 탄력성 전체 혹은 하위요인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4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didates were students of university and a 3 year course college. The research tool that was utilized is called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2003). In RQT, resilience include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emotion regulation, impulse control, optimism, causal analysis, empathy, self-efficacy and reaching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optimism, impulse control, self-efficacy, emotion regulation, causal analysis, and reaching out in the order mentioned. Second, all of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number of mentor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subordinate factors. In other words, teachers who are older, longer estimated teaching career, and the higher number of mentor career display higher resilience or subordinate factors.

      • KCI등재

        Rasch 모형을 통한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권수현 ( Su Hyun Kwon ),이승연 ( Seung Yeo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rating scale to assess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using the Rasch model and then of verifying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irst,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a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began wit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ur focus group interviews (consisting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teaching experiences, and resilience levels), and specialist conferences, and culminated in developing the first draft (106 items) and the second draft (76 items) of the scale. The scale consisted of two main factors and seven sub-factors: internal factor (psycholog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 (personal environmental, relational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Next, the third draft of the scale was completed through a pilot study of 95 kindergarten teachers. Then, using the data collection of 437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third draft of the scale and based on the item analysis results using Andrich’s Rating Scale Model and infit-outfit MNSQ, the final 47 items were settled to assess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 developed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was tested to verify its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and validity (content and criterion-related). In terms of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was revealed to be acceptably high (Cronbach’s alpha=.94), and a significant association (r=.85) between test and retest scores was found. In terms of validity, four specialists (professors and researchers) reviewed the scale and confirmed its cont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r=.78, p<.01) and the Resilience Quotient Test (r=.54, p<.01). Through these validation measures, the Kindergarten Teacher Resilience Scale (KTRS) was proven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to assess resilience in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유치원 교사 회복탄력성 척도(KTRS)’를 개발하고, 개발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 시안 개발 절차를 거쳐 1차 시안, 2차 시안을 개발하고, 유치원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실시하여 55개 문항의 3차 시안을 완성하였다. 최종문항의 선정을 위해 실시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공·사립 유치원 교사 437명을 표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3차 시안을 배부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평정척도 범주 적절성 분석(Rating Scale Model: RSM)과 문항 적합도 분석(infit-outfit MNSQ)을 실시하여 47개 문항의 최종 척도를 확정하였다. 둘째,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종 척도의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Cronbach’sa)는 .94로 나타났으며, 재검사 신뢰도(r)는 .85로 나타나 본 척도가 안정적이고 일관성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회복탄력성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 전공 교수 및 연구자로 구성된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가 있음이 검증되었고, ‘심리적 안녕감 척도(PWS)’와 일반인 대상으로 개발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QT)’를 외적 준거로 한 준거타당도에서 상관계수가 각각 .78(p<.01), .54(p<.01)로 나타나 타당한 척도임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고찰

        권수현(Kwon Su Hy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유아교사가 가진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향상 방안을 밝히고자 하였다. 유아교사 회복탄력성은 교직 수행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내적요인과 외적보호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써, 개인적?전문적 만족을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 보호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적요인은 회복탄력적인 개인적 특성을 의미하고 외적 보호요인은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으로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내적요인으로는 심리적 요인, 행동적 요인, 전문성 요인, 사회적 능력 요인이 있으며, 외적보호요인은 가족이나 친구 관계와 같은 개인적 환경요인과 동료교사, 기관장, 학생과의 관계적 환경요인, 행정이나 정책적인 지원을 포함하는 조직적 환경요인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복합적인 능력이므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측면, 기관적 측면, 국가적 측면에서의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최근 학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복합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교사의 회복탄력성 개념을 정의하였으며, 유아교사 회복탄력성을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구분되는 교사로서의 회복탄력성 관련요인, 즉 교사로서의 효능감, 목표의식, 소명감, 교수 능력 등 내적요인과 동료 및 기관장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조직문화 등 외적 보호요인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교사 회복탄력성과 각 구성요인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This literature review is intended to define the concept and the component factors of resilienc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nd to present ways to improve their resili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is the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it means a capability to maintain personal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Internal factors describ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represent factors which preserve and reinforce teachers’ resilience. Internal factors include psychological, behavioral,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include personal environmental, relational environment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Thus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is a complex ability. Various efforts by personal, institutional, and national dimensions are essential to improve the 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fining the concept of teacher resilience, reflecting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currently presented in the literature. It lays the foundation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including 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ce as a teacher, which is distinguished from resilience of the general public. These are internal factors such as efficacy, the sense of purpose, the sense of calling, and teaching skill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such as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the director of the center, parents of children,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in-depth stud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the compounding factors.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과 목적합리성

        권수현(Kwon Su-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7

        근대 계몽 정신의 총아로서 합리성과 객관성을 지향하는 과학적 인식은 흔히 자연주의적 입장에서 이해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자연주의적 이해를 비판하고 과학적 인식의 성격이 오히려 언어적 행위와 비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행위Handlung’ 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올바르게 규명될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이를 위해 과학적 인식이란 ‘행위의 업적물’이라는 관점이 과학적 인식의 규범적 성격에 대한 지적과 더불어 주장되며 과학적 인식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비판은 행위를 근간으로 한 ‘문화’의 관점에서 방법론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강조된다. 즉 문화란 총체적인 삶의 형태로서 정형화된 행위들과 그 양식을 바탕으로 한 '삶의 실천Lebenspraxis’과 ‘제도Institutionen’들로 이루어진다고 이해할 때, 과학적 인식은 삶을 영위하는 행위의 틀이라는 문화와 유기적 연관 속에 있으며, 결국 이러한 문화의 지평 속에서 과학적 인식이 가지는 도구성과 합목적성의 의미를 ‘의미합리적sinnrational’인 차원에서 반성하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지평의 보편성 획득과 문화상대주의의 극복을 위해서 ‘해석학적’ 노력이 요청된다.

      • KCI등재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교과의 문제기반학습(PBL) 적용 효과

        권수현(Kwon Su 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유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교과 수업에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하고,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개정누리과정 이해 및 실천력을 갖춘 유아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수법으로 문제기반학습(PBL)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2학기에 본 교과목을 이수한 M전문대학 유아교육학과 2학년 59명이며,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하고, 학습자가 9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작성한 자기평가지, 자기성찰저널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2006)이 제시한 자료 분석방법과 Mills(1999)가 제시한 자료 해석 방법에 근거해 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자는 개정누리과정의 핵심 요소인 유아와 놀이에 초점을 두고, 놀이에 필요한 물리적 지원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둘째, 문제기반학습(PBL)을 통해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성, 도전성, 소통과 협력의 학습역량이 증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제기반학습(PBL)이 개정누리과정 실천력을 갖춘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의미있는 교수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th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for Young Children course and examined its effects, thereby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BL as a teaching method to trai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participants were 59 secon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M College. After applying PBL during the semester, the learners collected twice in September and December, self-assessments, introspective journ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data analysis method presented by Bogdan and Biklen (2006) and the data interpretation method presented by Mills (1999). First, the learners tried to find a method of physical support necessary for play, focusing on young children and play—key element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Second, PBL improved learning competencies such as problem-solving skills, self-directedness, initia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PBL is likely to be used as a significant teaching method in trai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executive ability to practice the Revised Nuri Curriculum.

      • KCI등재

        난소의 원발성 악성혼합 뮬러리안종양

        권수현(Su Hyun Kwon),남동윤(Dong Yoon Nam),김태헌(Tae Heon Kim),윤정환(Jung Hwan Yoon),조치흠(Chi Heum Cho),차순도(Soon Do Cha)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3

        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 (MMMT) of the ovary is very rare neoplasm consisting of both a sarcomatous and carcinomatous component and represent is fewer than 1% of all ovarian malignancies. Characteristically, ovarian MMMTs follow an aggressive clinical course, and long-term survival is unusual. Almost all MMMTs are found in postmenopausal women, often with low parity and usually in an advanced stage. Stage has been recognized as the singl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s. However, a major improvement in prognosis for this rare malignancy has not yet been achieved.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primary 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 of the ovary and report our experienc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