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시마 나기사 <신주쿠 도둑 일기>에 드러난 대화로서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권수연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오시마 나기사(大島渚, Oshima Nagisa)의 <신주쿠 도둑 일기 新宿泥棒日記, Diary of a Shinjuku Thief>(1968)에 드러나는 혼합적 양식을 연구의 단초로 삼았다. 이 영화는 극영화, 다큐멘터리, 상황극과 같이 여러 영화 양식이 혼합되어 있으며, 문학, 연극, 노래,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예술 매체가 흡수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신주쿠 도둑 일기>를 동시대 담론을 흡수한 일종의 ‘대화’로서 조망하고자 한다. 이 대화는 영화 안과 밖의 요소 간의 상호 관계이며, 이어 살펴볼 주체 간의 대화이자, 사회 현실과 영화적 재연 사이를 오가는 행위를 뜻한다. 이에 대해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가 정의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기반을 두어, 주체 간의 수평적 관계인 대화(dialogue)와 이전 혹은 동시대의 텍스트와 이루는 수직적 관계인 양가성(ambivalence)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따라서 본고는 상호텍스트성 방법론을 통해 영화에 드러나는 대화적 관계 이면에서 1968년 일본 사회를 향한 저항적 기제를 발견하고 이를 탐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문학 이론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상호텍스트성은 기호학의 발달 이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의미 체계 간의 상호 관계를 살필 수 있는 개념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본고는 텍스트와 영화를 중심으로, <신주쿠 도둑 일기>와 장 주네(Jean Genet)의 문학 작품 『도둑 일기 Journal du Voleur』(1949)와의 관계에서 논의를 시작한다. 이 소설은 영화의 원작은 아니지만, 내밀한 대화적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이야기의 발화 주체를 중심으로 문학과 영화 속 서술자의 위상을 살피고, 영화에 문학 작품이 인용되면서 야기되는 소격효과를 면밀히 분석한다. 이어서 『도둑 일기』와의 결합을 통해 두 이야기의 공존 관계에서 발생하는 의미의 변형을 추적하여, 영화에서 벌어지는 도둑질이 사회를 부정하기 위한 저항 행위로 변화되는 맥락을 살핀다. 다음으로 영화의 안과 밖에서 형성하는 대화적 관계를 분석한다. 1960년대부터 거리를 무대로 삼아 활동한 일본 전위 퍼포먼스 그룹인 제로지겐(ゼロ次元)과 하이 레드 센터(High Red Center), 그리고 영화에 등장하는 언더그라운드 극단인 카라 주로(唐十郎)와 상황극장(状況劇場)를 중점으로 상호 관계를 살핌으로써, 그들이 수행한 의도적인 위반으로서의 예술 행위를 고찰한다. 나아가 실제 인물로 등장하는 배우들과 당대 활발하게 활동하던 연출가, 예술가, 연극인이 교차하며 형성하는 대화적 관계를 살피고 그들의 주체적인 목소리를 영화가 흡수한 방식을 상세히 분석한다. 이를 통해, 그들이 왜 대화를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며 이 대화가 발생한 토대에 주목한다. 이는 사회와 텍스트의 관계를 내포하는 양가성을 바탕으로 연구의 범주를 확장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화가 제작된 1968년 일본 사회를 향해 저항하고자 했던 도시 신주쿠를 중심으로 당대 현실이 영화에 흡수되어있는 양식을 정치·문화·사회적 맥락과 함께 살핀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동시대 혁명의 움직임을 포착한 오프닝 시퀀스와 엔딩에 삽입된 신주쿠 투석 사건이 영화적 재연으로 전위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연구의 단초로 삼았던 이 영화의 혼합적 양식이 일본 사회를 향한 저항의 목소리를 흡수하기 위한 선택이었음을 파악한다. 결론에 이르러, <신주쿠 도둑 일기>를 통해 발견한 역사와 미학의 관계 이면에서 정치적 담론을 형성하는 수행적 언어로서의 영화의 위상을 조망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an examination of the multiplicity of genres in Nagisa Oshima’s film <Diary of a Shinjuku Thief>(1968). The film contains elements from diverse film genres such as drama, documentary, and theater of situation, while absorbing art forms such as literature, theater, songs, and performance. Considering these features, this study explores the dialogue in <Diary of a Shinjuku Thief> as containing contemporary discourse. The discourse involves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elements within and outside the film, dialogue between the subject and addressee, and oscillation between reality and reenactment. Accordingly, the study uses Julia Kristeva’s “intertextuality” as a basis to study the following two axes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1) dialogue, meaning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addressee, and (2) ambivalence, meaning the film’s vertical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or earlier texts. Using this intertextuality method, this study explores the resistance mechanism in Japanese society in 1968, which is inherent in the dialogic relationship. The notion of intertextuality has primarily been applied to literary theory and emerged from the need to explore a work’s relation to semantic expansion after the development of semiotics. Thus, this study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 and film, and then examines the dialogic relationship between <Diary of a Shinjuku Thief> and Jean Genet’s novel 『The Thief’s Journal』(1949). Consequently, the study explores the status of the narrator in literature and film, focuses on the narrative subject telling the story, and analyzes the alienation effect caused by the literary work being quoted in the film. Next, it traces the transition of meaning as the film meets 『The Thief’s Journal』 and then examines the context of thieving in the film as an act of social resistance. Further, the dialogic relationship formed within and outside the film is analyzed. That is, this film absorbs the discourse on Japanese avant-garde performance groups (e.g., Zero Dimension and Hi-Red Center) from the 1960s as well as underground theater troupes that appeared in the film (Juro Kara and the Situation Theater). It examines the dialogue as a willful violation of Japanese society. By highlighting the dialogue among contemporary artists, including the scenario writer, artists, and theater troupe, it examines the alienation effect caused by the narrative subject of the dialogue in the film. Next, the analysis expand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the film, because the background of the dialogue, which reflects the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the text, is also considered. Finally, based on the political,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reality of Shinjuku, where the resistance movement persisted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in 1968, is absorbed into the film. The film reveals, through reenactments with sound and text, the contemporary social movements around the world in 1968, which were intercut with an actual scene from the Shinjuku riot. This study shows that this reenactment reflects the multiplicity of genres since the film depicts the resistance mechanism against Japanese society. In conclusion, this thesis indicates that <Diary of a Shinjuku Thief> is not just a film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because of its fragmented structure, but it also functions as a performative language to create political discourse and seeks new possibilit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aesthetics.

      • Functional analysis of putative thioredoxin peroxidase, PRX1 of candida albicans

        권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Candida albicans, the most frequent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is usually encountered with ex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especially when phgocytosed by macrophages or neutrophils of the host immune system. This is expected to be equipped with various antioxidant molecules to cope with potentially destructive ROS. Despite the necessity of antioxidants, their presence has not been well studied in C. albicans. In this study, a putative thioredoxin peroxidase named CaPRX1 was evaluated its molecular characteristics, biochemical properties, and probable biological roles in scavenging ROS. CaPRX1 was highly expressed in stationary phase in yeast cells and the protein level was increased 2 folds in amount in hyphal cells. CaPRX1 deletion mutant was constructed and tested to define functions of the gene.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CaPRX1 is an antioxidant enzyme, involved in the cell defense system against oxidative stress, but it may function differently from its counterpar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cPRX1. Detailed molecular mechanisms of CaPRX1 in cell remain to be studied. 이형병원성 곰팡이인 캔디다 알비칸스는 면역능력이 저하된 면역저하증 환자에 생명을 위협하는 전신감염을 야기하는 기회 감염성 병원체로, thiol-specific antioxidant (TSA1) 이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효소로 그 기능이 밝혀졌다. CaTSA1와 유사한 다른 항산화 효소가 더 존재하는지 알기 위해 Candida Genome Database를 찾아본 결과, PRX1 유전자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캔디다 알비칸스의 CaPRX1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고자 CaPRX1 결실 돌연변이종을 만들었다. CaPRX1 결실 돌연변이종은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성장이 야생형 균주에 미치지 못하였다. CaPrx1단백질은 비환원 조건에서 산화형과 환원형으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aPRX1은 호모형의 경우 stationary phase에서, 균사체형에서는 hyphae phase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단백질의 발현은 균사체에서 더 많았다. 또한 외부에서 과산화수소를 처리해주었을 때 야생형 균주에서 CaPrx1단백질의 환원형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활성 산소 특이적인 형광염료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CaPRX1 결실 돌연변이종이 야생형 균주에 비해 세포 내에 활성 산소를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CaPRX1은 캔디다 알비칸스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되는 유전자임을 알 수 있다.

      • 간호사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권수연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평균수명의 연장과 길어지는 노년기를 볼 때, 청년기에서 부터 노년기의 성공적인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성공적 노화를 대비하기 위한 준비 기간이 이미 청ㆍ장ㆍ중년기부터 시작을 해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성공적 노화는 오늘날 세계적인 공통 관심 사항이며 노년기뿐 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에게도 노년기의 성공적인 삶의 질을 이루기 위한 노력은 성인단계의 모든 이들에게 당면한 중요한 과제이다. 중년을 거쳐 노년에 이르는 것은 삶을 영위하는 사람에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인데, 간호사는 사회적으로 노인문제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관찰 할 수 있는 직업이면서. 노인의 건강문제, 노인의 돌봄 문제, 노인의 경제적인 문제 등을 환자를 통해서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함께 고민하면서 자신의 성공적 노후 생활에 대한 고민을 다른 직업에 비해서 많이 하게 되는 직업이다. 또한 보건복지부 의료면허 인력 중 교대근무와 격무로 타 면허직종에 비해 열악한 업무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임금수준은 상대적으로 저조하며 잦은 이직을 직면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간호사의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서 간호사의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에 관해 선행연구를 통해 요인을 선정하고 연구를 진행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C 대학교 부속병원의 수술실내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공적 노화 인식을 일상의 안녕, 목표 지향적 삶, 사회적 지지로 구분하고, 노후 준비는 정서적, 경제성, 신체적으로 구분하였다. 성공적 노화 인식과 노후 준비의 각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실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주요 가설 검증 결과 및 연구를 통해 나타난 함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 노화 인식 중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노후에 대한 정서적 준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경제성 준비, 신체적 노후 준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 대상자의 82%가 40세 미만이어서 성공적인 노화에 대해 인식을 하고 있을지라도 경제적으로 노후를 준비 하는 데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설문에 응했던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본 결과 조금씩 저축이나 연금으로 노후 경제성 준비를 하고 있지만 그것으로는 충분한 대비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고, 자녀교육이나 집값을 감당하기에 집중하고 있어 여유가 생길 때 시작하겠다는 답변이 있었다. 끝으로 신체적 노후 준비도 설문에 응했던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해 본 결과 대체적으로 건강하여 신체적 준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며, 노후 생활은 먼 미래의 일이라고 답변했다. 여유가 없다는 답변이 여러 번 반복되는 것으로 보아 간호사의 3교대 근무 여건과 격무로 인해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질만한 여유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셋째, 성공적인 노화 인식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인식 결과를 보인 것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길어지는 노년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대비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성공적인 노화 인식이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이직이 잦은 간호사의 노후 준비가 초기성인부터 준비 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활용성을 찾을 수 있다.

      •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권수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Gyubang crafts refer to women's daily necessities craft such as Jumoni (pouches), Bojagi (wrapping cloths), and other accessories made by women in the Joseon Dynasty era, who were not able to freely go outside. Among these crafts, embroidery handicrafts had the practicality of women's handicrafts as well as decorative features. In addition, they were also a vehicle for the thoughts and wishes of women who had spent most of their time inside gyubang.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trie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rom their own unique culture. Korea also has had an increasing interest in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and many agencies or institutions have kept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However, most of the products are reproduced goods made in China with low quality and low price, which led to a damage of their reput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mbroidery handicrafts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rom a modern and practical viewpoint. Through the second-hand study of books and museum collection books as well as the first-hand study of relics in museums, 429 pieces of handicraft embroidery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ir colors, patterns, embroidery methods, and decoration techniqu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The types of embroidery handicraft items included jumoni (pouches used for carrying small objects), bojagi (clothes used for wrapping or covering objects), and other accessories used for sewing or for other purposes. Most of the handicrafts were jumoni (44.52%), followed by bojagi (16.78%) and other accessories (38.70%). Jumoni seemed to be used a lot because there were no pockets attached o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until a vest is introduced. Since people carry it with them all the time, various kinds of lucky symbols were embroidered on jumoni. The study of patterns used in embroidery handicrafts showed plant patterns (20.37%) and animal and plant patterns (17.59%) had been greatly used. Flower patterns or flower and butterfly pattern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because flowers and butterflies may be the easily observable outside view from the gyubang area. In addition, compound types using two or three patterns together (30.55%)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an individual pattern used alone (30.55%). It can be inferred that women tried to express various symbols at a timeby using several patterns together rather than using only one pattern. The study of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s showed that pictorial types (56.67%) werethe most frequently used and dense types (42.16%) and sparse types(1.17%) were followed. In the pictorial type, Shibjangsaeng (the ten traditional symbols of longevity), flowers, orbutterfli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while the dense type was mostly used in small items such as thimbles. The sparse type was rarely used. The study of materials used for embroidery showed that dahn(73.43%) was us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silk (15.03%), cotton (5.59%), wool (4.9%), Sa (0.70%), and linen (0.35%). Dahn, thick silk fabric, seemed to be suitable for embroidery. Linen, sparse fabric, was rarely used although it was frequently used for bojagi. The study of stitches used in the relics of embroidery handicrafts showed that satin stitch (69.90%)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outline stitch (44.21%), French nut stitch (29.40%), satin and running stitch (25.69%), long and short stitch (25.46%), double leaf stitch (19.91%), and so on. Satin stitch seemed to be used a lot because it is easyto learn and to express various things. Most of the embroidery handicrafts showed that more than one stitches were used. For both practical and decorative purposes, women's handicraft was attached with strings (32.48%), string and maedeup (Korean knots) and tassel (18.98%), string and tassel (12.04%). In addition to those, it was decorated with buttons, goebul (an embroidered pouch), pepper made of fabric, and so on. Key words: embroideredhandicrafts, Jumoni, Bojagi, other accessories 규방공예는 바깥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던 조선시대의 부녀자들이 규방이라는 공간 안에서 생활에 필요한 주머니, 보자기, 기타 침선소품 등을 만들던 작업이었다. 이 중 자수 규방공예품은 규방공예품이 실용적인면 뿐만 아니라 장식성을 더하여 규방안에서 지내던 부녀자들의 생각과 염원을 표출하여 주는 도구이기도 하였다. 현대에 와서 많은 나라들이 각자의 고유문화를 내세운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문화상품 개발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많은 기관에서 문화상품 개발을 꾸준하게 진행해 왔으나 재현품이 주류를 이루고 대다수의 상품들이 중국에서 저렴한 가격에 낮은질로 제작되면서 이미지가 안좋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많은 고유문화 중에서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종류를 분류하고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박물관 도록 및 서적을 통한 간접고찰방법과 박물관 유물을 통한 직접고찰방법을 병행하여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 429점을 중심으로 색상, 문양, 소재, 자수기법, 장식기법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전통장식기법인 자수법을 이용한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한국의 전통 규방자수공예소품에는 물건을 담는 용도의 주머니류, 물건을 싸거나 덮는 용도의 보자기류, 담거나 싸고, 덮는 용도가 아닌 바느질에 필요한 도구나 그 이외의 것인 기타 소품의 유형이 있다. 여기서 분석한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나타난 유형별 출현율을 보면 주머니류(44.52%), 보자기류(16.78%), 기타 소품류(38.70%)로 주머니류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우리의 의복인 한복에는 조끼가 들어오기 전까지 주머니가 없어 실생활에서 불편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대다수가 사용한 주머니가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몸에 항상 지니고 다니는 주머니류에는 다양한 상징적인 길상문양을 화려하게 자수 놓았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의 색상별 출현율을 보면 홍색(53.85%), 백색(12.35%), 청색(10.02%), 황색(6.76%)의 순으로 나타났다. 홍색의 비율이 많은 이유는 붉은색이 귀신을 물리친다는 벽사의 의미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 자수로 사용된 문양의 출현율을 보면 식물문(20.37%)과 식물문+동물문(17.59%)을 가장 많이 사용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꽃이나 꽃과 나비를 자수한 규방공예품이 가장 많았다. 이는 규방안에서 가장 쉽게 관찰할수 바깥풍경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가지의 문양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30.55%)보다 2∼3개의 문양을 함께 사용한 복합형의 비중(69.45%)이 월등하게 높았다. 이것은 단독문양보다 여러 종류의 문양을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상징성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문양의 배치구도에 따른 출현율은 회화형(56.67%), 충진형(42.16%), 산점형(1.17%)으로 회화형의 비중이 월등하게 높았다. 회화형에는 십장생도나 꽃과 나비가 많았고 충진형은 골무같은 작은 소품에 많이 사용되었고 산점형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자수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 소재는 단(73.43%)이며 명주(15.03%), 면(5.59%), 모(4.9%), 사(0.70%), 삼베(0.35%)의 순으로 두께감이 있는 단의 견직물이 자수에 적합했고 삼베같이 성근 직물은 실용성을 강조한 이불보 같은 보자기에 많이 사용되었으나 장식성을 지닌 규방소품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자수 공예품 유물 중에는 평수기법(69.90%)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음수기법(44.21%), 씨앗수기법(29.40%), 평수+징금수기법(25.69%), 자련수기법(25.46%), 가름수기법(19.91%) 등의 순서인데 뛰어난 솜씨가 없어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평수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고 대부분의 자수가 한가지 기법만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기법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 규방자수공예소품에는 여미거나 옷에 부착하기 위한 실용성과 장식성을 위해 끈(32.48%), 끈+매듭+술(18.98%), 끈+술(12.04%)등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외 단추, 괴불, 고추 등의 장식을 매달은 경우도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