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명도집설(鳴道集說)』에 나타난 정(程)이의 선불교 비판 연구

        권선향 ( Sun Hyang Kwon ),김원명 ( Won Myong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69 No.-

        본고는 『근사록』 「변이단편」과 『명도집설』을 통해 정이의 선불교 비판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근사록』「변이단편」에서는 정이의 불교비판의 대강을 알 수 있다. 정호는 윤리 사회적인 면에서 불교를 비판하는데 반해 정이는 이론중심으로 불교를 비판하고 있다. 이같은 이론적 비판을 통해 정이는 유학적 체계를 세울 수 있었다. 특히 『명도집설』에서는 정이의 불교비판에 대해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정이는 선불교 비판에 치중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선불교의 위세는 대단하여 유학을 능가하고 있었기 때문에 정이는 선불교 비판을 통해 유학의 세를 회복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정이는 선불교가 위세를 떨치고 있는 세태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서술하고 있다. 또한 선불교의 심성론과 수행론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정이는 유학의 흥기와 이론적 체계의 정초를 위해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례로 그는 불교의 사상을 유학적 개념으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경(敬)의 개념은 이를 대표한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정이는 유학의 수양론을 세울 수 있었다. 따라서 정이의 선불교 비판은 유학적 수양론 방면에서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도집설』에 나타난 정이의 불교비판은 치우친 측면이 있다. 이지순은 그러한 측면을 매우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볼 때 정이의 선불교 비판은 유학적 견지에서 의도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짐작케 한다. his study examines Cheng I(程이)`s criticism on Zen Buddhism drawing upon Jinsailu(『近思錄』) and Mingdaojishuo(『鳴道集說』). The former outlines Cheng I`s critical position on Buddhism. While Cheng Hao(程顥) evaluates Buddhism from ethical and social aspects, Cheng I`s position can be differentiated from its strong theory basis. A sound theoretical basis in his criticism on Buddhism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ructure of his Confucianism theory. In particular, Migdaonjishuo covers Cheng I`s criticism on Buddhism in a great detail.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in Migdaonjishuo, Cheng I focused his critical evaluation on Zen Buddhism (particularly cultivation theory of mind), which overwhelmed Confucianism during his time. This reveals that Cheng(敬) I made significant efforts for the revival of Confucianism. For instance, he attempted to replace important building blocks of Buddhism with basic concepts from Confucianism. In fact, his effort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cultivation theory of mind in Confucianism. Despite Cheng I`s apprent contribution, his criticism on Buddhism is somewhat biased and unbalanc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Lizhichun(李之純) made this point clear in Migdaonjishuo.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국민의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인지도 및 수용도 변화

        권선향,정인식,최미경,채경연,경규항,Kwon, Sun-Hyang,Chung, In-Shick,Choi, Mee-Kyung,Chae, Kyung-Yun,Kyung, Kyu-Hang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3 No.3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일반 국민의 의식을 설문 조사하여 연차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다. 2007년 조사 결과 65.1%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과거 3년(2000-2002년)동안의 평균 66.2%와 큰 차이가 없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 개발의 큰 이익이 식량난 해결일 것이라는 응답은 모든 조사에서 가장 높았지만 2000년 이후 계속해서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 식량난 문제에 대해 기대치가 낮아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약 95% 이상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표시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나 과거 3년의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음은 변함이 없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구입 여부는 주변의 추이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50% 이상으로 나타나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생물학의 기본지식이 매우 미흡한 상태인 것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여전히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은 중시하지만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농약 등의 화학물질 오염이나 기업인의 윤리의식을 들었고 식품을 구입할 때 표시 내용 중 가장 관심 있게 보는 내용은 조사시간 동안 유효기간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으나 과거 3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이나 태도에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수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개인의 인식에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 survey on consumer's awareness and perception toward genetically-modified(GM) foods was conducted on 2110 random samples of Korean consumers. More than 65% of the respondents were exposed to some information related to GM food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greatest benefit of the development of GM foods is remedy of potential food shortages in the future. More than 90% of Korean consumers wanted GM foods to be labeled as such. More than 50% of the respondents would not buy until they know more about GM foods. Only 35.8% of Korean consumers were found to know that food items originating from plants contained genes. Mor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buy herbicide-resistant GM soybean but buy vitamin-enriched GM soybean. Many Korean consumers' decision of acceptance or rejection of GM foods depend not on the basis of biotechnology, but on the basis of the degree of benefit to the consumers. Only 6.4% of Korean consumers responded that GM foods were the greatest threat to the safety of Korean foods. The perception of Korean consumers on GM foods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ast 5 years.

      • KCI등재

        초등학생 인성측정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관계성을 중심으로

        권선향(Kwon Sun Hyang),신현우(Shin Hyun Woo),이현정(Lee Hyun Jung),홍세희(Hong Se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을 ‘관계’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이를 핵심요인으로 삼아 초등학생의 인성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월 20일부터 2월 4일까지 예비문항 개발 및 대상학교를 섭외하였으며 본 검사는 2월 7일부터 2월 12일까지 개학 이후 시행하였으며 2월 18일까지 추가검사를 시행하였다. 서울의 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한 결과 264명의 표본을 수집할 수 있었다. 최초 , 문헌 연구와 선행연구, 내용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3개의 요인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나(자신)와의 관계성, 부모와의 관계성, 또래와의 관계성 등 총 3요인구조가 확인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또한 3요인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의의와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measurement tool that examines person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relationship . This study consider concept of relationship as a key factor to measure th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264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initial, literature research, prior research, and review by content experts were able to make up of three factor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total of three factor structures, including relationships with oneself, parents, and peer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showed the three factor structures were also suitable.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관계성에 근거한 불교의 인성교육적 의미 - 지혜와 자비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권선향(Kwon, Sun-Hyang),신창호(Shin, Chang-H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본고는 불교의 인성교육을 관계성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특히, 불교의 불성을 인성으로 환언하여 관계성으로 정의하고, 지혜와 자비의 원리를 명상과 육바라밀의 수행으로 승화하여 관계성과 연관하여 탐구하였다. 불교에서 지혜와 자비는 깨달음을 추구하기 위한 수행 방법의 두 축이다. 깨달음은 연기법에 대한 자각이자 관계성이고 대승불교의 불성론에서 본다면 인간의 본성도 불성에 해당한다. 이 상황에서 지혜는 나와 남이 서로 관계 지어져 있음을 깨닫는 일이다. 이런 깨달음은 나를 아끼는 마음이자 남을 사랑하는 자비로 드러나므로 지혜와 자비는 관계성의 두 측면이자 하나로 융합되는 불교교육의 핵심개념이 된다. 즉 불교에서 교육은 지혜를 통해 관계성을 자각하고 자비로써 올바른 관계를 회복하는 방향을 지향한다. 지혜는 명상을 통해 자신을 자각하며 나와 자신의 관계성 회복을 돕고, 자비는 자비심을 통한 이타행의 실천으로 나와 남의 관계성 회복을 도모한다. 관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대 사회에 불교의 이론과 실천은 인성교육에 대한 다양한 함의와 시사점을 지닌다. 관계성 회복을 현대적으로 응용하는 측면에서 볼 때, 지혜를 통한 관계성의 자각은 불교적 명상이 효과적 방법이 될 수 있고, 자각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도 올바르게 세우는 기초가 될 수 있다. 나와 남이 서로 밀접한 관계임을 자각할 때 그것은 자비심으로 드러나고, 자비심이 육바라밀이라는 자비행으로 실천된다면 이는 자연스럽게 관계성의 회복으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불교의 지혜와 자비, 명상과 육바라밀 수행은 현대 인성교육의 주요한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In Buddhism, wisdom and compassion are the two pillars of seeking enlightenment. Enlightenmentinvolvestheperceptionofpratītyasamutpāda (緣起法), which is relationships . In Mahayana, character is regarded as the nature of Buddha (佛性); human nature has already achieved such enlightenment. This research defines character as relationships and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isdom, compassion, and relationships. Wisdom involves the realization that oneself and others are related. This realization creates compassion through loving others with a love for oneself. Therefore, wisdom and compassion are two aspects of relationships. It is clear that relationships are a key concept in Buddhist education, which aims to recover desirable relationships through wisdom and compassion. Therefore, Buddhist education can be called character education. Buddhist meditation can be a very effective method for recognizing ones own relationship with oneself through wisdom. Such awareness also allows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realization that one and others are closely related comes out of compassion. If compassion is practiced by sat-paramita (六波羅密), it can naturally lead to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While the study of educational effects and the application of meditation is very active, the study of sat-paramita is not yet complete.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on how sat-paramita can be applied to educational practices.

      • KCI등재

        관계성의 측면에서 본 유학과 불교의 인성 개념-『논어』와 『대승기신론』을 중심으로-

        권선향 ( Kwon Sun-hyang ),지준호 ( Chi Chun-h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인성교육을 논하기 전 인성의 개념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에도 그렇지 못한 것이 현 실정이다. 인성교육을 담당하는 현장의 교사들은 물론이고, 인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어야 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인성 개념에 관한 합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선행적 연구들은 인성과 인성교육을 덕목과 역량 중심으로 정의하고, 이를 토대로 개념을 일반화한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덕목 중심의 인성교육은 통일적이고 체계적인 흐름으로 전개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지닌다. 이에 본고에서는 원론적인 측면에서 유학과 불교의 측면에서 인성을 어떻게 개념화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 정의가 인성교육에 줄 수 있는 함의점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유학을 대표하는 공자는 仁이라는 개념을 통해 인간다움을 정의하고 있다. 仁은 인간다움을 말하며, 사람사이의 관계성을 뜻한다. 또한, 仁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결국 인성이라는 것은 사람 간의 관계성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본질은 사랑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논어』에서는 仁을 근본으로 하여 효도·우애·우정·신뢰·공경·용기·관용·정의 등의 덕목 내용과 이것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다. 즉, 효도·우애·우정·신뢰·공경 등은 관계성에 따라 표출되는 仁의 서로 다른 형태이며, 용기·관용·정의 등은 그 근본인 仁이 있으면 저절로 나타나는 내용적 덕목들이다. 불교에서의 연기법은 ``이것이 있음으로 해서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으므로 해서 이것이 있다``라고 하는 관계성에 관한 명제이다. 따라서 연기법은 나와 모든 존재의 관계성을 논의의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관계성은 유학과 마찬가지로 사랑이 본질이다. 불교적 맥락에서의 사랑인 자비는 관계성의 자각에서 필연적으로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의 관계성에 대한 깨달음의 가능성은 佛性으로 이어지며, 불성은 불교적 맥락에서의 인성으로 볼 수 있다. 『대승기신론』에 등장하는 如來藏은 불성과 그 맥락이 같다. 『논어』를 중심으로 하는 공자의 仁 개념과 『기신론』에서 진여문과 생멸문 두 측면에서 논한 如來藏, 三細, 六? 등의 심식론은 인성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Although a popular belief emphasizes the importance and needs for character education, there is no consensus on what constitutes good character. This is because both teachers as well as schola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definition of character. A mainstream view on character defines character education with respect to virtues and competence. However, virtue-oriented discussion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fail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unified theoretical framework.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oncept of character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to character education in practice. In Confucianism, character is defined with respect to the concept of ``ren(仁)``, which means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and love. According to ``ren``, the intrinsic nature of character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among people, and it is based on love. In addition, the Analects discusses the relationship of the fundamental virtues such as xiao(孝), friendship, companionship, trust, honor, courage, generosity, and justice drawing upon ``ren``. Pratityasamutpada(緣起法) in Buddhism is the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other beings. Like with Confucianism this relationship is based with love and compassion-the love in Buddhism is coming from the realization of the relationship. This realization can be the nature of Buddha-humainty in Buddhism. Especially discussions about mind and psychological aspect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gives many implications in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에서 찾아본 교육적 특징 : 아함경과 신화엄경론을 중심으로

        한지윤(Han, Ji Yoon),권선향(Kwon, Sun Hyang),나상원(Na, Sang Won),신창호(Shin, Chang H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불교의 양대 축으로 인식되는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수행 양식을 통해 교육적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는 소승불교의 개인적 지혜를 통한 깨달음과 해탈, 그리 고 대승불교의 타자를 배려하는 자비와 그 사회적 관계 차원의 수행을 교육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소승불교로 상징되는 원시불교는 개인적 해탈이 목적이므로, 이를 위한 지혜의 증득이 수행의 중심 내용이 되고, 그 깨달음을 향한 각성이 수행 방법의 핵심으로 자리한다. 이를 교육으로 환언하면, 개인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교육 목적의 측면에서 개인적 해탈은 개인의 온전한 성장이고,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지혜의 증득은 지혜의 터득이며,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각성은 자기 학습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수련 양식과 상통한다. 또한 대승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넘어 사회적 해탈을 목적으로 하므로, 사회적 관계를 통해 속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일을 주요 지향점으로 하고, 그 과정에서 대자자비의 체득을 핵심 내용으로 하며, 그것을 원만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게송을 통해 전달한다. 이를 교육 으로 환언하면, 공동체교육의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다. 교육 목적의 측면에서 사회적 해탈은 개인을 포함하는 공동체의 완전한 발전을 지향하고, 교육내용의 측면에서 자비의 체득은 상호 주고받는 대자대비의 실천을 통해 사회적 관계 형성이라는 자성의 터득이며, 교육방법의 측면에서 게송은 모든 사람이 쉽게 알고 함께 할 수 있는 수행 덕목의 대중화를 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in the modes of practice of what are thought to be the two pillars of Buddhism, namely Hinayana Buddhism and Mahayana Buddhism. Educational aspects of the reaching the state of enlightenment and nirvana through personal wisdom, as emphasized in Hinayana Buddhism, and the practicing of compassion toward others in one s social relationships, as emphasized in Mahayana Buddhism, are explicated. The main purpose of the practice in early Buddhism as represented by Hinayana Buddhism is to acquire wisdom through awakening to the state of enlightenment, for the aim of the early Buddhism is to reach the state of nirvana. Such a process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individual education. The reaching the state of nirvana as the aim of the practice is equal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s the aim of individual education; the acquiring the wisdom is equal to grasping wisdom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awakening is equal to self-learning or -training that leads to enlightenment as the educational method. The main purpose of the practice in Mahayana Buddhism is to try to become free of restraints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by acquiring the great mercy and great pity through gatha, for the aim is to go beyond personal nirvana and to reach social nirvana. Such a process is virtually the same as the process of community education; the reaching social nirvana is equal to the full development of community which includes individual as the educational aim; The acquiring compassion is equal to grasping the self-nature which is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practicing the great mercy and great pity, an interactional process, as the educational content; the gatha is equal to popularization of virtues that everyone can know easily and perform together.

      • KCI등재

        인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김유리(Yuree Kim),김현철(Hyun-Chul Kim),박진옥(Jin-Ok Park),권선향(Sun-Hyang Kwon),김누리(Nu-Ri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는 기존 인성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인성교육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성교육에 대한 관점은 교육 목적과 방법을 설정하는 데 있어 기준이 되므로 이에 관한 충분한 고찰 없이는 앞서 제기된 교육현장의 혼란이 되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진흥법」 및 선행연구와 현행 국내 인성교육 정책들의 인성교육 관점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현장 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현직교원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인성교육은 사람에 대한 ‘사회적 기대ㆍ가치’를 전제하고 해당 사회가 요구하는 인성의 요소를 교육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ㆍ지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었다. 인성교육의 비전으로 미래 지향적 역량을 갖춘 민주시민을 육성하고자 하였으나 인간의 본연지성(本然之性)으로서의 인성은 보편적이고 본질적인 인간성으로 시간적・공간적으로 구분될 수 없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목표라고 보기 어렵다. 기존 인성교육이 가지고 있는 인간계발의 관점을 현장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는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한 결과, 현장에서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인성교육 방법론에 대한 요구가 대부분이고 인성 개념 정립과 같은 비가시적이지만 필수적인 측면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인성이란 외부적인 것으로 가르쳐서 계발될 성질의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성적을 매기듯 인성을 평가하게 되고 결국 현장교육의 실패를 반복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성이란 내재적인 것으로 스스로 발현되고 드러날 수 있도록 이를 방해하고 왜곡하는 문제들을 제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관점의 변화를 제기한다. 앞으로 인성교육은 지금까지의 계몽주의적 인간계발의 관점에서 벗어나 본래적 교육을 위한 인간개발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예고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extant literature on character education. This is because the viewpoint of character education is the standard for set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methods, so that the confusion in schools, which has previously been raised, can be repeated without sufficient consideration. Therefore, the perspectives of character education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Delphi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from 30 teacher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haracter educ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has been operated as a subject(knowledge)-based curriculum to teach the elements of character required by the society, presupposing 'social expectation and value' for people. Most of the demands in schools are on concrete and visible character education methodology. However, the concept of character is not recognized as an essential aspect because it is invisibl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change in perspective that character is as an intrinsic attribute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eliminate the problems that disturb and distort character to be manifested and revealed by oneself. In the future, character education is expected to shift away from the viewpoint of human improvement based on enlightenment to a new paradigm of human development for original education, namely recovering character as human nature.

      • 콩 가공업체의 두부,콩나물 제품화 사례 및 전략

        서정문 ( Jung Moon Seo ),민진규 ( Jin Gyu Min ),권선향 ( Sun Hyang Kwon ),신상진 ( Sang Jin Shin ),강창수 ( Chang Su Kang ),손상수 ( Sang Su Son ),여익현 ( Ik Hyun Yeo ) 한국콩연구회 2013 韓國콩硏究會誌 Vol.29 No.1

        Tofu and soybean sprouts are principle food consumed in Korea, and recent demand for them has increased because of renewed interest in functional foods. From 2006 to 2011, tofu sales have increased from 342.4 billion won to 498.9 billion won, and packaged tofu sales is estimated to be occupied more than 65% of that sales, Also soybean sprout market size as packaged product is increasing. The increase of packaged tofu and sproul sales may be caused by many factors related to economic growth, social change, and rapid advancement of food processing industries. This paper review the case of commercialized tofu and sprout using domestic soybeans. Packaged tofu and sprout production companies prefer using domestic soybean, and Consumers are recognized as high quality of tofu and sprout made from domestic soybeans.

      • KCI등재

        양치교실 운영여부에 따른 학부모의 자녀에 대한 칫솔질 지도 상태

        류혜겸 ( Hae-gyum Ryu ),성미경 ( Mi-gyung Seong ),나미 ( Mi-hyang Na ),권선화 ( Sun-hwa Kwon ),김성애 ( Sung-ae Kim ),진미영 ( Mi-young Jin ),황세현 ( Se-hyun Hwang ),성혜진 ( Hye-jin Seong ) 한국치위생학회(구 한국치위생교육학회) 2016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6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ents`` toothbrushing guidance on the children by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790 parents of first, four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J elementary school in Changwon from June 1 to 30, 2013. J elementary school did not have toothbrushing roo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3 items), toothbrushing room operation (3 items), and toothbrushing (7 item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Results: Parents of high school diploma demanded the establishment of toothbrushing room (p<0.05) and parents having undergraduate course tended to want the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p<0.05) and children``s dental health care (p<0.05). Parents within forties tended to have higher concern for their children``s toothbrushing (p<0.05) and toothbrushing room operation (p<0.05). They tried to have much interest in their dental health checkup and toothbrushing frequency. Conclusion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oothbrushing room is very important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toothbrushing guidance by parents will enhance children``s dental health knowledge and maintain lifelong dental healthcare for the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