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중요농업유산 정책의 실행과 향후 과제

        권봉관,정명철 국립무형유산원 2018 무형유산 Vol.- No.4

        이 연구는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와 관련 연구의 지속적인 확장을 도모하기 위한 시론 차원에서 농업유산의 발굴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속을 위한 필수적인요건 가운데 하나인 농업유산 발굴 과정을 면밀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과제와 대안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국가중요농업유산의 도입과 실행 과정에서 작성된 각종 자료집을 분석하였다. 그과정에서 농업유산 도입에 기여한 학술단체의 활동과 중앙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유산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한편, 실제 지자체의 농업유산 발굴 과정과 그 결과를 좀 더 정밀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도 단위광역 지자체와 국가 전문연구기관인 농촌진흥청에서 농업유산을 발굴했던 과정과 결과를 함께 다루었다. 연구결과, 농업유산의 발굴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위한 농업유산의 발굴은 농림수산식품부의 제도 도입에 따라 시군 단위 지자체(제주도의 경우만예외)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지정 신청서를 작성하는 이른바 상향식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초기 농업유산 발굴 과정에서 다양한 성격의 농업유산이 발굴·신청되었지만, 농업유산이라는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뒷받침되지 못해 단순 경관이나 작물, 또는 무형유산 중심의 발굴과 보고가 잇달았다. 셋째,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 도입 초기부터 발굴과 관련된 전문성을 담보할만한 여건이 조성되지 못해조사 분량이 극히 적거나 현지조사 내지 현장조사가 충분하게 실행되지 못했다. 이처럼 미성숙한 여건 속에서 발굴 내용이 불충실한 상황은 시일이 지날수록 점차 개선되었지만, 대부분의 농업유산 발굴 과정이 초기 지자체의 기초조사 내용에 일정부분 의지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농업유산의 지속적 발굴을 위한 몇 가지 과제를 남기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에 의한 상향식 발굴과 농업유산 지정 신청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지자체가 주도하는 농업유산 발굴의 한계를 인정하고 그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라도 농업유산을 연구할 수 있는 전문가집단을 반드시 구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했다. 아울러 전문가집단을 활용한 장기간의 현장조사는 농업유산 시스템의 조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다시금 피력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excav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in order to continuously expand the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and relatedresearch.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identifying agricultural heritage, which is one of theessential requirements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wascarefully and critically examined. Based on this, we looked at future tasks and alternatives.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we analyzed the various materials created during the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In the process,the activities of academic organizations that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agriculturalheritage and the awareness of the agriculture heritage of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and Rural Affairs(MAFRA) were confirme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rocess and resultsof the actual exploitation on agricultural heritages conducted by the local governments moreprecisely. It also inquired into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uncovering of the agriculturalheritage in metropolitan municipalities and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important facts were confirmed in the processof excav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First, the identification of agricultural heritage forthe designation of the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was carried out by the localgovernments, city or county unit in accordance with establishment of MAFRA’s new system inagricultural heritage. Consecontely, it has implemented so-called ‘bottom-up method’ throughfilling in the specified form. Secondly, in the early process of excavation on agricultural heritage, various agriculturalheritages were sought. However, it had not been supported with clear understanding of theconcept of agriculture heritage. Accordingly, there was limited approach to excavation andreporting centered on scenery, crops or intangible culture. Thirdly, it has been placed in difficult conditions to secure the expertise related to theexcavation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agricultural system. It brought about scarce andinsufficient survey data. In this immature situation, the unfavorable contents of the excavationgradually improved as the time passed, but it still remains an issue that most of the agriculturalheritage excavation process fully relies on local governments in the early level of survey.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cavation processthrough bottom-up method by local governments and applying for the designation ofagricultural heritage. Especially, in order to acknowledge the limit of locating the agriculturalheritage led by the municipality and to relieve the burd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specialist group to study the agri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survey long-termon site by expert groups in order to illuminate th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 KCI등재

        유네스코 등재 이후 조선족 농악무의 변화양상 고찰

        권봉관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9

        이 연구는 중국 조선족에 의해 전승된 농악무와 한국의 농악을 비교하여 농악무 연행의 변화양상과 그 현재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무대공연을 목적으로 창작되어 전승해온 농악무가 최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이후 ‘원생태 농악무’의 출현 또는 “전통으로의 회귀”라고 일컬어지는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의 변화가 중국 내 농악무의 지역성 혹은 원형에 기반한 것인지, 아니면 한국의 농악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입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인지를 분석하는 것은 향후 농악무의 변화 양상을 판단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자료를 참조하는 한편, 최근 중국 농악무의 연행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제3회 중국조선족농악무대회’ 동영상 자료를 적극 이용했다. 비교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중국과 한국이라는 시공간의 차이를 극복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한 동영상 자료의 분석은 농악무의 변화양상을 확인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선행연구에서 이미 확인했던 것처럼 중국 내 농악무에는 많은 변화가 수반되고 있었으며, 가장 극적인 변화는 사라진 농악반주가 재등장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농악반주의 재등장은 농악무의 연행구조까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과 춤 이외에 농기와 잡색 등 다른 전통적인 요소가 농악무에 도입되고 있었다. 농기의 일반화와 한국식 상모의 도입은 농악무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던 부분으로, 농악무가 유네스크 등재 이후 상당한 변화를 겪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었다. 이상의 변화를 토대로 농악무의 전통적인 요소들이 어디서 오고 있느냐를 판단하는 것은 향후 농악무의 변화 방향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였다. 농악무 연행에 수반된 이와 같은 변화가 중국 내 농악무의 지역성과 원형에 기반한 것인지, 아니면 한국 농악의 콘텐츠를 수입한 것인지는 현재까지 분명하게 단언할 수 없지만,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다면 전자와 후자의 방식이 모두 차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디아스포라로서 한국이라는 모국의 문화가 모두 조선족의 문화로 차용될 수 있다는 특성과 함께 농악무가 전승된 지역성과 다층적 원형의 문제를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서, 향후 이 두 갈래 방향에서 농악무의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ing patterns of Nongakmu and their current meaning by the comparing of the Nongak of Korea and Nongakmu of China. It is because of the Nongakmu which has been handed down and created for the purpose of stage performance showed the change pattern called “the return of the tradition” or the appearance of the “natural Nongakmu” after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ed. Analyzing whether these changes are based on the locality or prototype of the Nongakmu in china, or whether it is changing the direction by means of importing contents from Korea will help to judge the change pattern of future Nongakmu. For research, we refer to the previous research data and actively used the video to confirm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Nongakmu. In the comparative study of Nongak and Nongakmu, it was difficult to overcome the differences of time and space between China and Korea. The analysis of video data was used appropriately to confirm the change pattern of Nongakmu pract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as already confirmed in previous research,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Nongakmu in China, and the most dramatic change is the reappearance of the disappeared music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appearance of music performance was affecting the performance structure of Nongakmu. Also, other traditional elements such as Maeulgi(Korean traditiong village flag) and Japsaek are being introduced to Nongakmu. Based on these changes, judging from wher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Nongakmu are coming was an important clue to the future direction of Nongakmu. It is unclear at this time whether the changes that company the performance of Nongakmu are based on the locality and archetype of Nongakmu in China or the import of contents of Korean Nongak. Howev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oth methods seem to be borrowed. These result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jok as a Korean diaspora, which can be borrowed all Korean culture as a their own, and also reflects the problems of Locality and multi-layered archetypes inherited from Nongakmu. The change in Nongakmu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se two directions.

      • KCI등재

        ‘내향적 정교화’(Involution)의 두 얼굴-현 시대 한국의 농악과 중국의 농악무-

        권봉관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4

        This article was written to mak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Nongak and Nongakmu(Farmers’ dance of China’s Korean ethnic group). It is because some nations which owns common cultural heritage were conflict to make their own list as the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perty lately. But their claims were only based on nationalism, there was no scientific research and understanding. Therefore, this study is not only focused on transmission but also current state of the nongak and nongakmu. In this process, the notion of "involution" is utilized to compare nongak and nongakmu. As a result of study, It is clear that nongak and nongakmu had transformed as a process of involution in the different country. Nongak has been creating the context continually based on the region and archetype. Also, nongakmu has been appropriating the text to make new text based on nationalism. These differences of the involution is caused by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of korea and china. And through these difference, we can know they each have go their separate ways. 이 글은 한국과 중국 조선족의 여러 무형문화유산 가운데서 농악과 농악무를 대상으로 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최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놓고 공통의 문화유산을 소유한 국가들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나, 정작 문화유산의 소유권을 둘러싼 갈등에는 국가주의 혹은 민족주의에 근간한 서로의 당위성만을 주장할 뿐 학술적 연구와 이해는 결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교 과정에서는 농악과 농악무가 어떤 전승과정을 겪어왔고, 그 결과 현재의 모습은 어떠한가를 문화론적으로 살펴봤다. 이 과정에서 ‘내향적 정교화’(Involution)라는 개념을 활용했다. 이 개념은 ‘기존에 확립된 문화현상이 새로운 환경 혹은 문화적 충격 속에서 전승의 지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텍스트와 콘텍스트 또는 그 의미가 지속적으로 변용되는 과정이자 결과’을 지시한다. 연구 결과, 농악과 농악무는 분명하게 다른 내향적 정교화의 과정을 겪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악의 경우에는 ‘지역성’과 ‘원형성’을 바탕으로 전승맥락(Context)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었으며, 농악무는 ‘민족성’을 바탕으로 한 작품(Text)의 지속적인 변용이라는 과정에 있었다. 이러한 내향적 정교화의 차이는 양국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정책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서, 이러한 내용을 통해 농악과 농악무가 완연히 다른 길을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개발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하멜(Hendrik Hamel)이 남긴 흔적의 경우-

        권봉관,유지원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2 No.-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e cultural tourism contents related to Hamel who is the author about 'Story of the wreck of the Sperwer yacht' are distorted to a large extent without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historical evidence. And also critically reviewed the fact that this distortion is leading to continuous expanded reproduction. For this study, Hamel's contents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thoroughly util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related to Hamel, there were distortions in the contents known to have influenced by Hamel, such as herringbone pattern stone walls, clogs, and waterways. Therefore, I argued that a close examination of historical facts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researching cultural tourism contents. In particular, I think that many people may have had cultural influences from Hamel, but I made it clear that such thoughts were based on colonialism. For example, stone walls and aqueducts, stone Jangseung, and clogs have significance in themselves, even if they are not Hamel. The stone walls built throughout the village are beautiful in themselves, and the waterway in this area, which lacks agricultural water,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tinuation of agriculture. The ginkgo tree, which Hamel leaned on while missing his hometown, served as the g uardian deity of the villag ers, and still provides beautiful scenery and shade. Even without Hamel, byeong-yeong castle and its surrounding food contents are loved by visitors. And Hamel lived in this place for 7 years, and his 'Report of Hamel' is enough to arouse the curiosity of visitors with the clearly written text alone. It is now time to make it clear that presenting the historical facts related to Hamel as facts and presenting the contents development related to Hamel as an imaginative possibility is the first step to eliminate misunderstandings and to enable continuous development of contents related to Hamel.

      • KCI등재

        완주군 생강농업의 농업유산 지정과 농민의 대응

        권봉관,정명철 실천민속학회 2022 실천민속학연구 Vol.39 No.-

        이 연구는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의 농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제한적인 움직임에 주목하고 그 의의를 파악한 것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은 지금까지 농민들의 사고와 인식 속에 존재하지 않았던, 전문가집단과 국가에 의해 창출된 지식체계이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의 지정 과정에서 농민들로 대변되는 지역 주민이나 주민협의체는 제한적으로만 참여할 수 있으며, 인상적인 요소들로 콜라주 처리된 새로운 텍스트는 물화되고 농민과 상호 소외의 관계로 접어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연구를 위해 지난 2021년 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완주군의 생강농사 현장에서 참여관찰을 지속했다. 1년 동안 진행된 생강농사의 거의 전 과정에서 농법의 시행과 참여자들의 인식을 장기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때 참여자들이 소통하는 주요한 수단이었던 SNS 기록과 사업계획서 등의 자료도 확보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완주의 농민들은 국가중요농업유산이라는 새로운 지식체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실천을 시도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이후 발족한 보존회는 농업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경관지를 조성하고 저온저장고 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천은 농업유산 텍스트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것으로, 애초에 보전해야 할 경관은 존재하지 않았고 저온저장고는 생강저장굴에 대한 이중적 태도를 뜻하고 있음에 다름 아니었다. 한편, 일부 농민들은 전통을 소환하여 자유롭게 유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기계화학농법의 본격적인 도입 이전에 전승됐던 전통적인 방식의 생강 재배농법을 복원하여 필요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유용했다. 생강의 연작과 친환경적인 생산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유용된 전통농법은, 적은 면적에서 안정적인 생강 생산을 통한 소농활성화 등의 의미가 덧붙여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양상을 통해 다종다양한 농민들의 지식과 실천이 보호될 수 있는 장으로서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의 중요성과 방향성을 엿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농업유산으로서 경남 고성군 일대 둠벙 수리체계의 특징 - 거류면 신용리와 화당리 일대의 경우-

        권봉관,정명철,김상범,윤경식 한국민속학회 2017 韓國民俗學 Vol.66 No.-

        This study was written for searching characteristics of the 'dum-bung'(small irrigation pond) as agricultural heritage. Because of the researching on dum-bung has been centered on ecological functions and values, and the dum-bung as an agricultural facility and its agricultural functions had been exclud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d researching the method of construct and agricultural functions of dum-bung, focusing on Sinyongri and Hwadangri, Gosung-gun, Gyeongsangnam-do. As a result of the study, we could confirm some characteristics of dum-bung which is an agricultural facility. The topography of the research site is an alluvial fan. For this reason, the dum-bung was built intensively at the top and at the end, due to the nature of an alluvial fan, which caused the water to flow underground. The residents empirically grasped this fact and made a dum-bung where there was a lot of water. Dum-bung has appe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geomorphic position of an alluvial fan, and it could be divided into several types.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pond structure and function were classified into basic type, facilities add type, and water storage increasing type, and their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ese facilitie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peasant's knowledge system. In more detail, the facilities add type was invented to efficiently pump out water. And, the water storage increasing type was invented to efficiently utilize limited agricultural land while storing as much water as possible in dum-bung.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rrigation features of dum-bung, dum-bung itself was not the main water source necessary for farming. Even now, farmers are hoping to develop groundwater as much as possible to secure stable agricultural water. It is because the water of the dum-bung was not enough for farming. However, in the situation that the river was not developed and the agricultural water was absolutely insufficient, it was very necessary. For this reason, it is constantly being made or improved.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noteworthy that dum-bung and the irrigation canal(‘Dogu’, It was invented to prevent cold water) are used in a multi-functional manner. Normally, people think that dum-bung was use to store water. However, the irrigation canal ‘dogu’ connected with dum-bung had both water supply and drainage functions. Particularly, the drainage function of Dum-bung also has a function of securing the water itself. This means that the knowledge system of farmers in a limited situation is constantly evolving. 이 글은 농업 수리시설로서 둠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둠벙과 관련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생태적 기능과 가치에 중심을 두고 전개된 나머지, 농업시설로서 둠벙의 조성방식과 농업적 기능 등이 소략하게 다뤄져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조성된 둠벙이 밀집한 경남 고성군 거류면 신용리․화당리 일대를 중심으로, 둠벙의 조성방식과 농업적 기능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농업시설로서 둠벙의 전모를 일정 부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지 일대의 둠벙은 지형과 토양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선상지의 선단과 선앙 양 끝부분에 집중적으로 조성되었으며, 이는 선상지의 특성상 물이 복류하기 때문이었다. 주민들은 이와 같은 사실을 경험적으로 파악하고 있어, 평소에 물이 많이 비치는 곳에 둠벙을 조성해 사용해왔다. 둠벙은 지형적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구조와 기능 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기본형, 물자리형, 저수량증대형 등 세 유형으로 둠벙을 구분하고 각각의 기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러한 유형 구분은 농민들의 지식체계와 연동하고 있었던 바, 물자리형은 둠벙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퍼내기 위해, 그리고 저수량증대형은 둠벙에 최대한 많은 물을 확보하는 한편 제한된 농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탄생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둠벙 수리체계의 특징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둠벙은 그 자체가 농사를 짓는 데 충분한 주수원은 아니었다. 지금도 농민들은 가급적 관정을 파서 안정적인 농수 확보를 바라고 있을 만큼 둠벙만을 가지고 농사를 짓기에는 수량이 부족했다. 그러나 하천이 발달하지 않아 절대적인 수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둠벙은 필수적 보조수원의 기능을 하고 있었다. 그 결과 둠벙은 현재도 지속적으로 만들어지거나 개량되고 있었다. 한편, 둠벙과 도구가 연동하여 다기능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상도 주목할 만했다. 통상 둠벙은 용수확보의 기능이 강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배수의 기능도 겸하고 있었으며, 둠벙과 연계된 도구 역시 용수로와 배수로의 기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었다. 특히 도구와 연계한 둠벙의 배수 기능은 그 자체가 용수 확보기능을 겸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둠벙의 활용 방식을 통해 제한된 상황 아래 놓인 농민들의 지식체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서낭대로 살펴본 마을굿의 다성성(多聲性)

        권봉관,정명철,김상범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This study was written to understanding Maeulgut in another side. It is because the maeulgut studying in folklore is too conventional and to be concluded as a community. So I looked up the polyphony which had been revealed from maeulgut, and insisted that in order to make folklore to be handed down, one must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movements of individuals. In the same research patterns and results about folklore without individuals, we continually have been missing the point that folklore can be appropriate by individuals. To make this argument, I used some conception “polyphony” well known by Bakhtin. This concept explains the process of human consciousness being in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not the pursuit of truth for the purpose of fusion of each other, but of joining together into a new creation in an accidental event. Based on this concept, I self-analyzed my research achievements. And I looked at the “polyphony” of maeulgut through the form, composition, and written prayer of seongdae which discovered by a curious coincid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villagers and the wishes of the individuals has been remained in the form of various artifacts and letter in the seonangdae. Especially, the various movements of the individuals in the records of the tree, not composed by the scholars, showed polyphony well of the village. polyphony also allowed us to look at the maeulgut in a contextual context. for example, The wounds of war and the bitterness of ideology remain as a relic of the seonangdae. 이 연구는 마을굿에 관한 이해를 달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종래의 민속학이 바라보고 있는 마을굿이 지나치게 틀지어지거나 공동체화로 귀결되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마을굿에서 발현된 개인들의 다성성을 들여다보고, 민속이 계속해서 전승․연구되기 위해서는 이 다종다양한 개인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주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똑같은 조사․연구 패턴과 결과 도출 속에 개인이 소거됨으로써, 개인들이 민속을 자유롭게 유용하고, 이에 따라 민속이 변화․전승될 수 있는 지점을 계속해서 놓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상의 주장을 위해 사용한 개념이 바로 다성성이다. 바흐친에 의해 널리 알려진 이 개념은 인간의 의식이 대화적 관계 속에 존재하며, 이 관계는 서로의 융합을 목적으로 하는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닌, 우연적인 사건 속에서 함께 결합하며 새로운 창조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 개념을 바탕으로 먼저 나 자신의 조사․연구 방식을 자성적으로 성찰한 뒤, 우연한 기회에 발견한 원촌마을 서낭대의 형태와 구성, 축원문의 내용을 통해 마을굿의 다성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고 남겨진 서낭대에는 마을 사람들의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개인의 소망이 다양한 유물과 축원문의 형태를 빌어 남겨져 있었다. 특히 학자들에 의해 구성된 것이 아닌, 실제 서낭대에 드러난 개인들의 다양한 움직임은 마을굿의 다성성을 잘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다성적인 움직임은 통시적인 맥락 속에서도 마을굿을 보게 했다. 예를 들어,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이라는 쉽게 씻기지 않는 전쟁의 상흔과 그 이데올로기의 아픔이 서낭대의 유물을 계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도시의 ‘마을만들기’에 따른 공동체의 형성과 메티스(mētis)의 기능

        권봉관(Kwon, Bong-kwa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3 民俗硏究 Vol.0 No.27

        이 연구는 최근 전국 각지에서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는 마을만들기의 현재를 돌아보고, 도시에서 공동체 형성의 전망을 위해 진행되었다. 특히 성미산마을과 물만골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가 생성.유지될 수 있었던 동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안한 개념이 메티스이다. 메티스는 ‘생활지식’, ‘경험기술’, ‘민속지식’ 등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지역의 문화와 환경, 역사적 맥락에 기반하고 있는 어떤 경험적 기술이고 지식이다. 도시의 마을만들기에서는 현재적이고 공동체적인 메티스에 주목해야 했다. 새롭게 형성된 공동체가 맥락에 따라 어떠한 운영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그러한 운영방식이 여러 변화를 거쳐 최적화한 경험적 지식인 메티스로 어떻게 산출되는지를 발견하는 것은 마을만들기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전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을만들기는 행정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실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동체의 형성 과정에서 발견되는 메티스와, 행정의 지원 과정에 메티스의 반영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공동체의 지속을 전망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 결과, 성미산마을에서는 공동체의 운영방식과 관련하여 회의방식, 운영진 선발, 마을자산 형성 등에서 생성된 메티스가 지속적으로 수정ㆍ보완되고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이와 반대로, 물만골에서는 공동체만의 고유한 메티스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메티스의 생성과 관련하여 최근 서울시에서 주도하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도 살펴보았다.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의 마을만들기 사업에서는 다른 지방정부나 정부부처의 사업과 달리, 지역의 지식과 지혜,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고, 이는 메티스의 생성 측면에서 보면 이전보다 나아진 방식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eck present circumstance of commnity-building. Particularly, I looked carefully what is the power which could create and maintain the community through the case of seongmisan and mulmangol. To this end, I proposed the concept called metis. The metis can be defined as ‘knowledge of life’, ‘technic of experience’, ‘folk knowledge’. It is empirical technic and knowledge which is based on the local culture,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context. In the urban community-building, It is necessary focused on current and communal metis. It is a most important factor which can decide direction of community building; What is operational method of a new community? How can make the output of metis that was defragmented through many change of operational method? In addition, most of community-building i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administrative support. So, it is very important that discover the metis which has been creat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community and reflection of it on the administrative support. As a result, in the case of seongmisan community, the metis which created in process of operating system, officer selection, formation of village wealth have been consisten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In contrast, in the mulmangol community, it was difficult to find a unique metis. With respect to the creation of metis, I looked at the communty-building projects led by Seoul. Despite many criticisms, I can found policy and the will on the community-building project led by Seoul, Focused on local knowledge and wisdom,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unlike other local governments and the business of government departments. On side of creation of metis, it is better than the old way.

      • KCI등재

        서낭대로 살펴본 마을굿의 다성성(多聲性)

        권봉관(Kwon, Bong-Kwan),정명철(Jeong, Myeong-Cheol),김상범(Kim, Sang-Bum)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이 연구는 마을굿에 관한 이해를 달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종래의 민속학이 바라보고 있는 마을굿이 지나치게 틀지어지거나 공동체화로 귀결되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마을굿에서 발현된 개인들의 다성성을 들여다보고, 민속이 계속해서 전승 · 연구되기 위해서는 이 다종다양한 개인들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주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똑같은 조사 · 연구 패턴과 결과 도출 속에 개인이 소거됨으로써, 개인들이 민속을 자유롭게 유용하고, 이에 따라 민속이 변화 · 전승될 수 있는 지점을 계속해서 놓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상의 주장을 위해 사용한 개념이 바로 다성성이다. 바흐친에 의해 널리 알려진 이 개념은 인간의 의식이 대화적 관계 속에 존재하며, 이 관계는 서로의 융합을 목적으로 하는 진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닌, 우연적인 사건 속에서 함께 결합하며 새로운 창조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 개념을 바탕으로 먼저 나 자신의 조사 · 연구 방식을 자성적으로 성찰한 뒤, 우연한 기회에 발견한 원촌마을 서낭대의 형태와 구성, 축원문의 내용을 통해 마을굿의 다성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고 남겨진 서낭대에는 마을 사람들의 다양한 역사적 경험과 개인의 소망이 다양한 유물과 축원문의 형태를 빌어 남겨져 있었다. 특히 학자들에 의해 구성된 것이 아닌, 실제 서낭대에 드러난 개인들의 다양한 움직임은 마을굿의 다성성을 잘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다성적인 움직임은 통시적인 맥락 속에서도 마을굿을 보게 했다. 예를 들어,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이라는 쉽게 씻기지 않는 전쟁의 상흔과 그 이데올로기의 아픔이 서낭대의 유물을 계기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understanding Maeulgut in another side. It is because the maeulgut studying in folklore is too conventional and to be concluded as a community. So I looked up the polyphony which had been revealed from maeulgut, and insisted that in order to make folklore to be handed down, one must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movements of individuals. In the same research patterns and results about folklore without individuals, we continually have been missing the point that folklore can be appropriate by individuals. To make this argument, I used some conception “polyphony” well known by Bakhtin. This concept explains the process of human consciousness being in a conversational relationship, not the pursuit of truth for the purpose of fusion of each other, but of joining together into a new creation in an accidental event. Based on this concept, I self-analyzed my research achievements. And I looked at the “polyphony” of maeulgut through the form, composition, and written prayer of seongdae which discovered by a curious coincid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villagers and the wishes of the individuals has been remained in the form of various artifacts and letter in the seonangdae. Especially, the various movements of the individuals in the records of the tree, not composed by the scholars, showed polyphony well of the village. polyphony also allowed us to look at the maeulgut in a contextual context. for example, The wounds of war and the bitterness of ideology remain as a relic of the seonangd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