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적 교회와 공공 신학

        권문상 ( Kwon Moon Sa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2 성경과신학 Vol.101 No.-

        스택하우스(Max I. Stackhouse)의 공공신학은 공동체적 교회의 교회 밖 사역과 참여에 정당성을 일부 제공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나라가 21세기 민주시민 또는/및 다원주의 사회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에 공공신학 개념의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과거에는 기독교국가(Christendom) 체제 아래에서만 제한적으로 유의미했을 뿐이다. 비록 기독교국가 경험을 지닌 서구 국가라고 해도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은 오늘날 다원주의 시대와 포스트모던 사회에 적용될 수는 없다. 기독교국가 경험을 한 번도 지녀본 적이 없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다만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이 아닌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사회윤리 개념의 도움을 받아 공동체적 교회의 공공신학 또는 교회의 사회적 책임과 기독교인의 사회참여를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일정부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하우어워스의 사회윤리 개념에 기초한 공동체적 교회가 세상에로의 공동체성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과 이 방식에 의지한 공공신학의 중도적 개념을 바탕으로 스택하우스가 제시하는 공공신학의 한계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It is true that the public theology of Max I. Stackhouse provides some justification for the social participation of communitarian churches, bu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public theology because most countries are based on democratic citizens or/and pluralistic societies in the 21st century. In the past, it was only limitedly significant under the Christian state(Christendom) system. Even in a Western country with a Christian state experience, Stackhouse’s public theology cannot be applied to today’s era of pluralism and postmodern society. It goes without saying more in the case of Korea, which has never had a Christian state experience. However, with the help of Stanley Hauerwas’s concept of social ethics, not Stackhouse’s public theology, the communitarian church’s public theology or the church’s social responsibility, although limited, can be applied to some extent. In this article, we confirm that the communal church based on Hauerwas’s concept of social ethics can expand the sense of community to the world and that the limits of public theology suggested by Stackhouse can be shown under the moderate concept of public theology that relies on this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장로교회와 장로직; 장로임기제 도입에 대한 개혁신학적 탐구

        권문상 ( Moon Sang Kwon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이 논문은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의 실체와 그것의 교회사적, 개혁신학적 여부를 타진해 본다. 특히 한국 장로교의 장로직제 나아가 장로교 치리회가 개혁신학적 혹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의 제네바 교회치리회(Consistory)에 얼마나 부합하는지를 분석한다. 이상의 탐구를 통해 우리는 한국의 장로교 정치 구조가 칼빈이 시도한치리회 제도의 정신과 얼마나 부합하지 않는지를 확인할 것이다. 장로회제도에 대한 이러한 개혁신학적 탐구를 통해 이 글은 장로 임기제의 법제화를 요구할 것이다. 한국 장로교가 영향 받았다는 미국의 장로교에서는 이미 대부분 장로 임기제가 실시되고 있는 사실에서 우리가 계속 종신제를 유지시키는 것은 떳떳하지 못하다 할 것이다. 물론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에서 장로 종신직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이는 국가의 간섭으로부터 교회의 자치권을 확보하기 위한 실용적 목적에 따라 도입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가 모범을 삼기에는 논리적 근거가 희박하다. 오히려 한국의 장로 종신직은 다분히 한국 문화의 산물인 것으로 동네 ``어른`` 장로의 복사판인 것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한국의 유교적 문화적 개념에 따라 한국의 장로 종신직이 유래하였다고 볼 때, 임기제로 고치는 것은 거부할 명분이 없다고 하겠다. 특히 개혁신학의 유산을 물려받은 한국 장로교로서는 칼빈의 제네바 교회 치리회 구성 목적 및 그 운영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칼빈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제도를 만든 목적 중 하나는 목사든 장로든 1인 혹은 1개 조직의 권력 집중화를 막는 것이었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위해 제네바 교회 치리회 의원 중 장로 임기를 (연임이 가능한)1년으로 정한 것이었다. 치리회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 칼빈이 장로 임기제를 실시한 것과 같이, 한국 장로교 역시 장로 임기제를 실시하는 것이옳을 것이다. 물론 이 글의 논지를 지지하는 전제 조건으로 칼빈이 제안한 바와 같은 목사의 자격과 그 지위에 대한 철저한 제도적 검증, 관리, 감독 장치 설치를 제안한다. 장로의 임기제 도입은 이와 같은 목사에 대한 제도적 견제 장치의 개설을 전제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nd asks if it coincides with the ecclesiastical, Reformed, and biblical substantiation. Especially it concerns how it or Presbyterian consistory in Korea corresponds to the Reformed or the Genevan Consistory under the leadership of John Calvin(1509-1564). Through these studies, can we recognize that the organization of Korean Presbytery is far from the ethos of Genevan church in the ministry of Calvin. Reading the organization of eldership in view of Reformed tradition, we demands the legal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We do no justify oursel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view of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U.S.A., which has had an effect on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already execute the term office of an elder. It is true that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Scotland implement the system of the life tenure of an elder. However, we need to consider that it was made in practical purpose to secure the autocracy of the church from the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this sense, it is not the model for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Rather, the life tenure of an elder in Korean churches is the product of Korean culture, namely the copycat of the elder as a ``senior``, a respected person only because of the ages, living in the neighborhood. Recognizing that the life tenure of elder in Korean Presbyteian churches originates from the Korean Confucian social custom, we have no justification to reject the revision from the life tenure to the organization of the term of an elder. The term system of an elder should be, of course, brought alongside of the institutional check of the ministers, as in Geneva.

      • Port Forwarding에 기반한 네트워크 통신보호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권문상(Moon-Sang Kwon),이성우(Sung-Woo Lee),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인터넷이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인기에 힘입어 일상 생활의 일부가 되고는 있지만 보안 요건 중의 하나인 ‘통신의 비밀성(Confidentiality)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네트워크 응용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IPv6[4]에서는 프로토콜 단계에서의 암호화 서비스 제공을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보호해 줄 것으로 기대되지만 아직 표준으로 확정되지 않았으며 실제 네트워크 통신에 언제부터 사용 가능할지 예측할 수도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네트워크 응용들에 대해 암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원천코드(source code)를 변경하여 다시 컴파일 하는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기법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하는 기존 TCP/IP 네트워크 응용들의 원천코드(source code) 변경 없이 네트워크 통신을 보호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신 보호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교회 연합과 "가족" 신학

        권문상 ( Moon Sang Kwo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7 No.-

        이 논문은 한국 교회의 연합을 위한 신학적 모멘텀을 제시하였다. 한국 교회가 연합하는 데 실패해온 이유로 한국인들의 ``폐쇄적 가족주의`` 문화와 신학자들이 교회 연합을 위한 신학적 기초를 제시하지 못한 것임을 지적하고, 필자는 한국의 교회 연합을 위한 ``가족 신학`` 패러다임을 제안 하였다. 첫째 이 신학은 성경적 기초를 이루고 있다. 구약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가족적 실존의 대표로 나타내 보여주고 있으며, 신약에서는 가족이 ``된`` 교회를 제시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가족 신학`` 패러다임은 성경적이라 하겠다. 둘째로 신학적 정합성을 지닌다. 가족 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도 하나의 가족 공동체임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이 가족 신학 패러다임이 신학적으로 매우 강력한 구조를 지니고 있음을 제시한다. 셋째, 사회학적으로 보아 그 정당성을 갖는다. 이 신학적 패러다임이 제안하는 교회의 구조는 ``조직주의``로서 유기적 연합을 갖게 하면서 복선적 인과율에 기초한 대인 관계를 지향한다. 이런 의미에서 이 신학은 상호간에 책임을 같이 나누어 갖는 역동적 관계의 ``조직``의 개념을 제시한다 하겠다. 나아가 그 성격은 (1) ``일방적 사랑``으로서,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일방적 사랑을 통해 가족이 건강하게 유지되는 것과 같이, 교회가 연합하기 위해서는 상대에 대한 일방적이고 자발적인 사랑과 헌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가족 자체가 불확실한 체제이므로 자신을 변혁해야 할 실존적 과제를 갖는 것과 같이, 교회는 늘 (2) ``자기 변혁의 주체``가 됨으로써 한국 교회라는 큰 가족 안에서 기득권도 포기하는 자세를 견지한다. 다만, 한국의 공교회가 동의하는 신학적 본질은 유지하면서 그 형식은 가변성을 띤 것임을 인정하는 가운데 상호 양보의 정신 아래에서 연합을 이루게 한다. 이러한 가족 신학은 한국 교회의 연합을 이루는 신학적 기초를 제공하여, 한국 교회가 ``우리/그들``로 나누는 폐쇄적 가족주의를 극복하는 힘을 제공할 것이다. I suggested a theological momentum for the union of Korean church in this paper. It pointed out that the reasons why Korean churches failed to make a union included the ``closed familism`` in Koreans and the ignorance of making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church union. The writer suggested an idea of ``family theology`` as a theological momentum for the church union. First, the theology has a biblical foundation; the Old Testament identifies Israelite people in a family existence, and the New Testament presents a church as a family. Second, it has a theological coherence; family theology sees the Trinity as a community within a character of family so that the paradigm of the family theology can have a strong structure in a theological format. Third, it guarantees its reasonableness in view of sociology. The structure of church in this theological paradigm bears a dynamic ``system`` in relationship, assuming ``systematism`` which makes the church have a organic union and aims at a relationship under a ``double-tracked`` causality to share some responsibilities. Furthermore, its characteristic includes (1) unilateral love; as a family remains in a healthy system through parental unilateral love for their children, so churches can be united through their voluntary love and commitment. Family has an existential problem to reform itself because it is a contingent system; in the same way, (2) church makes itself as a subject of a reform so that it gives up some prerogatives sometimes in a big family of Korean church. However, church union is possible only in maintaining a theological substance and recognizing its contingent form to produce a tolerance for others. Family theology makes a theological basis for church union in Korea to give a strength to overcome the ``closed familism`` that divides churches in a ``we/they`` structure.

      • KCI등재
      • 대형교회와 소형교회의 상생의 신학적 원리와 실제

        권문상(Moon Sang Kwon)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5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9

        한국인의 대규모 종교시설 선호 문화와 현대의 신자유주의 시장 경제 원리의 확산이 대형교회 건립을 자연스럽게 만들고, 소형교회들은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의식, 열등감, 패배주의를 겪게 하고 있다. 대형교회와 소형교회는 사이에 조성된 긴장 관계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호 불편한 관계를 해소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이 글에서 우리는 대형교회와 소형교회의 상생의 신학적 원리와 그 실제를 삼위일체 하나님의 공동체적 존재를 유비로, 신론적 교회론 혹은 공동체적 신론에 기초한 교회론을 제시한다. 삼위 하나님이 고유하고 자유로운 온전한 하나님의 신성과 실체를 지니면서 각 위의 하나님이 그 어떤 한 위 또는 두위보다 우월하지 않고 무한한 사랑 안에 페리코레시스, 즉 상호내주하면서 하나를 이루는 것과 같이, 이러한 하나의 공동체적 하나님을 따라 교회 역시 그 규모에 관계없이 그 어떤 교회도 다른 하나의 교회나 모든 교회보다 우월하지 않고 각 교회들은 상호 평등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사랑 안에 각 교회들 안에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하는 상호의 존적 공동체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대형교회는 자기 정체성을 소형교회와의 연합을 통해 하나를 이룸으로써 세워나가는 것이고 소형교회 역시 열등의식을 버리고 자존감과 능력을 십분 발휘하면서 대형교회와의 연합 의식을 갖는다. 특히 소형교회의 열악한 현실을 대형교회가 인정하고 이들에 대한 형제의식과 한 몸 의식, 즉 공동체적 의식을 가지고 소형교회의 자립을 돕는 행동을 어떤 방식으로든 행사해야하는 것이다. 이것은 대형교회가 자기 정체성을 올바른 ‘신학적’ 기초 위에 세운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소형교회 특히 농어촌교회에 ‘빚진 자’로서 취해야할 최소한의 도덕적 ‘의무’이다. Koreans’ culture preferring to a bigger religious facility and the spread of neo-liberalism have made Mega churches in Korea real. This mega church movement resulted in the consciousness of relative deprivation, alienation, inferiority, defeatism to small churches. We acknowledge that there are a tension between mega churches and small churches. To resolve this indisposition relation to both realm, we propose an ecclesiology based on the communitarian doctrine of God in a communitarian Trinity analogy as a theological principle for reconciliation from tension between mega churches and small churches. As each person of the trinitarian God has his unique, free, perfect divinity and divine substance and is not superior to the other two persons but forms unity in perichoresis within unlimited love, one God by existence in other beings, so a church is a community within mutual dependence to discover her own identity with other churches in love making mutual equality relation by which any church is not superior to other churches no matter how they are big or small in size. In this way create the mega churches their identity by making unity with small churches. Small churches make also unity with mega churches by discarding a sense of inferiority and displaying self-respect and potential. Of course, the mega churches should find any methods to support the small churches in the mind of brotherhood, one body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eir actions as above must build up the identity of mega church being based upon the true theological root of church and exercise the ‘minimized moral obligation’ as ‘one in debt’ to small churches including rural and sea village churches in particular.

      • KCI등재후보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권문상 ( Moon Sang Kwon )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9 No.-

        WCC는 사회구원적 사역을 위해 출범되었다. 따라서 WCC에서 교회 연합은 실제로 큰 주제가 되지 못하였고, 1차 총회로부터 9차에 이르기까지 이 세상의 정의와 자유, 평화를 위해서 정치, 사회, 경제적 구조 악을 제거하는 인간 해방 사역을 논하는 것이 거의 전부였다. 이러한 사회구원적 활동은 기독론이 그 중심적 기초를 담당하였다. 하지만 이 기독론은 처음부터 보편속죄론과 보편적인 주되심의 차원에서만 다루어졌기에, 개인구원과 개인적 종말은 논의되지 못하였다. 화해론에 기초한 기독론, 성육신의 필연성, 부정의로 고난 겪는 자와 자유를 박탁당한 사람들의 메시아 혹은 해방자로서의 그리스도, 모든 인류의 구세주 등의 개념이 기독론적 술어가 되었다. 전통적인 속죄론과 인격론은 논의되지 못하였다. WCC가 칼케돈 신조를 거부한 것이 결정적 근거이다. 이는 곧 사회구원을 위한 기독론이 그한계를 드러낸 것임을 의미한다. 나아가 종교적 다원성 혹은 종교 다원주의적 경향은 WCC가 지금도 기독론의 독특성을 선언한다고 주장하는 WCC 지지자들을 무색하게 한다.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은 성경적, 정통 기독론에서 벗어난, ``유사 기독론``이었다. 이제 WCC는 사회구원적 교회 사역의 신학적 근거를 찾기 위해, 기독론에서 신론으로 그 중심축을 이동 중이다. 창조주 하나님의 우주적 주되심 안에 정치, 사회, 경제적 구조 악으로부터 고난 받는 자들, 그리고 타종교인과 무종교인까지도 포용하는 사회구원적 교회론을 공고히 하고 있는 것이다. 더 이상기독론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을 시대를WCC는 준비하고 있다. WCC started the steps forward to her work for social salvation from her founding(1948). Therefore, Church union was not really a key issue, but rather, WCC, from the first assembly to the ninth, almost took the subjects such as humanity liberation from the structural evils in political, social, economic areas for the justice and peace of the world. Christology played a central role in this work for social salvation. However, Christology has been considered in view of the universal atonement and Lordship from the beginning of WCC, and therefore, the theological subjects such as personal salvation and eschatology have not been discussed. Christological languages included understanding the person of Christ based on reconciliation, necessity of Incarnaiton, Christ as the messiah or liberator of people suffering from injustice and restricted freedom, and the Savior of all humanity. Traditional doctrines of atonement and of the person of Christ have not been chosen for discussion. The decisive failure of WCC was to reject the Chalcedonian Creed. This showed that the Christology as a theological basis for social salvation reached the limit. Furthermore, religious plurality or the tendency toward religious pluralism shamed the WCC supporters who believed that the WCC statements included the uniqueness of Christology. The Christology for social salvation developed itself into the form of ``pseudo-Christology``, breaking away from the biblical, orthodox Christology. Nowadays WCC moves herself from Christology to the doctrine of God to find another theological basis for the social salvational works of Church. WCC consolidates the social salvational ecclesiology, embracing the people suffering from political, social, economic structural evils, and even the other believers and non-believers, in view of the universal Lordship of God the Creator. WCC prepares the era anybody might not need the help of Christology any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