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Ⅰ. 타이어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실레인 말단 변성제의 설계 및 합성. II.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유기 물질로써 테트라페닐트리페닐렌 유도체 합성

        권명희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ign and synthesis of silane terminal modifiers to improve tire abrasion property As regulations on automobile exhaust emissions have been tightened around the world, the transition from existing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s to electric vehicles has accelerated, and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between internal combustion locomotives and electric vehicles has led to the need to develop tires for electric vehicles. Not only general passenger vehicles but also commercial trucks and buses need to be powered and self-driving technology, so a remarkably improved tire rolling resistance (RR) is needed to enable long-distance transportation of cargo with limited battery capacity, and wear resistance is also needed to be improved. Tire values for the performance of rolling resistance, abrasion resistance, and wet traction are called Magic Triangle. I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by adding silica or carbon black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tire tread. However, rubber, which is the main material of the tire, and silica, which is the filler, are hydrophobic and hydrophilic, respectively, so they are not well mixed. It can improve miscibility with silica by introducing a terminal modifier to the butadiene rubber. The synthesized terminal modifier may terminate the polymerization process proceeding with anion polymerization and improve the miscibility thereof by bonding with a silica group on the silica surface.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nionic terminal modifier containing an amine functional group that improv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and an alkoxy silane group that improves the interaction with silica. This contributes to realizing the development of wear-resistant tires by increasing the miscibility of butadiene rubber and silica filler. In addition, we further synthesized an Azo-type radical initiator containing an alkoxy silane group to increase the miscibility of butadiene rubber and silica filler obtained by radical polymerization. Synthesis of tetraphenyltriphenylene derivatives as organic materials for perovskite solar cell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technology, which is the first generation technology, occupies 90% in the solar cell field. However, third-generation solar cells are being developed that can replace silicon solar cells with complex processes and relatively high process costs. As a result, the rapidly emerging perovskite solar cell is evaluated as a technology that can satisfy two key factors, low price and high efficiency, which are key in solar cells, and researchers are conducting intensive research around the world. The power generation convers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initial birth of 3.8% has now established as a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25.2%. Perovskites are devices that receive sunlight to generate free electrons and holes, and they move to electrodes through electron transporters and hole conductors, respectively, to generate electricity. Perovskite devic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movement speed of electrons and holes generated inside does not match, resulting in hysteresis, which rapidly reduces efficiency. Hysteresis refers to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when measuring solar cell efficiency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this study, we tried to reduce the hysteresis effect by synthesizing organic buffer materials for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mobility between free electrons and holes generated by sunlight. Accordingly, a tetraphenyltriphenyle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s hole transport organic buffer materials add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hole transport layer. Additionally, triazi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with electron transport organic buffer materials. For this reas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perovskite solar cell due to the decrease in the hysteresis effect can be expected. Ⅰ.액상 부타디엔 러버 말단 변성제의 개발 및 합성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배기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기존의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차 시장 변화에 발맞추어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특성 차이에 따라 기존 판매되는 내연기관차용이 아닌 전기차 전용 타이어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일반 승용차량뿐만 아니라 상용트럭/버스 또한 전동화,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제한된 배터리 용량으로 화물의 장거리 운송을 가능하기 위해 획기적으로 개선된 타이어 구름저항(Rolling Resistance; RR) 개선이 필요하며 자율주행으로 24시간 운용 가능해져 긴 시간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도록 내마모 성능의 개선 역시 필요하다. 타이어는 magic triangle이라고 하는 구름저항, 내마모성, 접지력의 성능을 중요시한다. 이는 타이어 트레드를 만드는 과정에서 실리카 또는 카본블랙을 첨가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타이어의 주 소재인 고무와 필러인 실리카는 각각 소수성, 친수성이므로 잘 혼화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부타디엔 러버에 말단 변성제를 도입하여 실리카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합성된 말단 변성제는 음이온 중합으로 진행되는 중합 과정을 종결시키는 것과 동시에 실리카 표면에 실라놀기와 결합을 통해 그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진은 고분자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amine 작용기와 실리카와의 interaction을 향상시키는 alkoxy silane 기가 포함된 음이온 말단 변성제를 합성하였다. 이는 부타디엔 러버와 실리카 충진제의 혼화성을 높여 내마모성 타이어 개발을 실현하는 데 기여한다. 추가적으로 alkoxy silane 기가 포함된 Azo 형태의 radical 개시제를 합성하여 radical 중합으로 얻어지는 부타디엔 러버와 실리카 충진제의 혼화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II.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용 유기 물질로써 테트라페닐트리페닐렌 유도체 합성 태양전지 시장은 기존의 1세대 기술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기술이 시장의 90%수준을 점유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공정 과정 및 상대적으로 높은 공정 비용은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만한 3세대 태양전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태양전지에서 핵심이 되는 저 가격 및 고효율이라는 두 가지 핵심요소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로 평가되면서 전 세계 각국에서 연구진들이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3.8%의 초기 태동 시의 발전 변환효율이 현재 25.2%에 이르는 발전 효율로 자리매김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빛을 받아 자유 전자와 정공을 생성하고 이들이 각각 전자전달체와 홀전도체를 통해 전극으로 이동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이다. 페로브스카이트 소자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와 홀의 이동속도가 일치하지 않아 히스테리시스가 발생해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히스테리시스는 태양전지 효율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측정할 때 효율의 차이가 있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태양빛으로 인해 생성된 자유 전자와 정공의 이동도 차이 조절을 위한 유기 버퍼 물질을 합성하여 히스테리시스 효과를 줄이고자 하였다. 이에 페로브스카이트층과 정공 수송층사이에 첨가하는 정공 수송 유기 버퍼 물질로 테트라페닐트리페닐렌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추가적으로 전자 수송 유기 버퍼 물질로 트리아진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이로 인해 히스테리시스 효과 감소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력 변환 효율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불황기 소비자행동의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 불황을 이겨낸 국내외 기업 중 광고전략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권명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raised an issue in its introduction whether the enterprises should reduce its budget for advertising for cost-reduction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recession as the best method or it is better to maintain the advertising expenses or even increase more as investment even when such recession gets worsened. It also raised another issue of identifying how the Market Domination Rate, Brand Recognition Level as well as Sales had changed through a case analysis of marketings done by domestic and overseas enterprise by increasing the advertising expenses in spite of economic recession. This study also have additional objectives to understand the market's characteristics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recession and what the economic recession means in order to establish the right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advertising strategy and consumption patterns which can properly adapt to the economic recession as well as to establish the right advertisement strategies in the linkage with the adequate marketing strategy for economic recession by data process of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information. Thus, this study presents recommendations on reasonable and scientific advertisement strategies in respect to the advertising expenses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recession, by analyzing the success cases from not only domestic advertisements but also advertisements of USA and UK which accomplished the growth in sales by raising the Brand Recognition Level with increased advertising expenses even in the period of economic recession. In main text, it was discussed that several previous studies viewed advertisement as investment and even as a long term investment that can increase the market domination ratio rather than as expenses. Those studies also noted that the economic recession would be followed by the economic progression because of its cycle, therefore, emphasized the enterprises who maintained or increased their advertising expenses had higher rate of sales or net income than those who reduced their advertising expenses. This indicates that an economic recession i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brand value and to expand market domination for enterprises, so that they should maintain or increase the advertising expenses during such period. First of all, the advertisement strategies for the period of economic recession requires identification on the needs and the preferences of consumers that would be changed accordingly carefully as well as on the market information to derive adaption measures to such changes as precedent element. In the analysis of the advertisement marketing during economic recession as well as of the advertisement strategies that had overcome such recess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cases, discussions were composed in the sequence of the market situation at the time, the adaptation measures of enterprises, the contents of advertisements and the results from strategic execution.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from analysis of success cases, showed that worse the economic recession would be, more increase needs to be made in the advertising expenses. Also it indicates that more aggressive marketing should be practiced along with reconstitution of the brand value through a thorough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in consumption behaviors and on the advertisement strategies of competitors during the period of economic recession. The companies should not see the economic recession with near sight strategies such as cost-cutting for advertisement or reduction of marketing activities, but should look at it as an opportunity and the companies need to prepare themselves to go through the economic recession with expansion of market domination as well as raising their brand values through increasing or maintaining their advertising expenses. 본 연구의 서론에서는 불황기에 기업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광고예산을 줄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지 아니면 불황일수록 광고비를 투자개념으로 유지하거나 더욱 늘려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고, 불황기에도 광고비를 증액시킨 국내 및 해외 기업들의 마케팅 사례분석을 통해 시장점유율과 브랜드 인지도율 및 매출액은 과연 어떻게 변화 했는지를 알아보고자 문제를 제기 하였다. 또한 불황기에 대처 할 수 있는 광고전략과 소비행태에 따른 마케팅의 올바른 정립을 위해 불황의 개념과 불황기 시장특성을 알아보고, 소비자 구매 행동 특성과 정보처리 과정을 통해 불황기 적합한 마케팅 전략과 연계한 올바른 광고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불황기에도 광고비를 높여 인지도율을 증대시켜 매출상승을 이룬 국내 광고사례를 비롯하여 미국, 영국의 해외 광고의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불황기 지출에 관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광고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본론부문에서 여러 선행연구들을 보면 광고를 비용보다는 투자로 보자는 견해이고, 광고를 장기적인 투자로 시장점유율을 높여 보자는 것이다. 또한 경기불황은 순환하여 호황기로 이어진다며 불황기에 광고비를 줄인 기업보다는 광고비를 늘리거나 유지한 기업의 매출이나 순익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곧 경기불황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시장점유율을 확대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이 기간 동안 광고비 지출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불황기 광고전략은 무엇보다도 소비자들의 변화에 따르는 욕구와 기호를 먼저 면밀히 살피고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기 위한 시장정보를 창출하는 일이 선생 되어야 할 것이다. 불황기 광고마케팅 전략과 불황을 이겨낸 광고사례분석에서는 국내 및 외국의 성공사례를 당시 시장상황과 기업의 대처방안, 광고내용 및 집행 결과 순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성공사례분석을 통해 요약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불황일수록 광고비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고 불황기엔 변화되는 소비자행동 특성과 경쟁사의 광고전략 등의 철저한 분석을 통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실천하자는 것이며 브랜드의 가치를 재구성 하자는 것이다. 불황이라고 하여 단순히 광고비를 삭감하거나 전반적인 마케팅 활동을 줄이는 데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불황기를 하나의 기회로 보고, 광고비를 늘리거나 유지하여 시장점유율을 확대시키고, 브랜드의 가치를 높여 불황을 헤쳐 나갈 준비를 모색하자는데 결론을 두고 있다.

      • 하악골 전돌증 환자에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 후 안정성에 관한 비교 연구

        권명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skeletal stability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by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BSSRO) and to evaluate the horizontal relapse tendency after the surgery. Twenty six patients with Class III dental and skeletal malocclusion were selected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Fifteen of them underwent BSSRO for mandibular setback and eleven of them underwent two-jaw surgery(Lefort I and BSSRO).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pre-operatively, post-operatively within 1 week, and post-operatively within more than eight months in each patient. After tracing the cephalometric radiographs, various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analysis were done by linear measurement to evaluate the change in position of hard tissue B point, pogonion and mandibular plan angle by examination on lateral cephalograms. The horizontal relapse rate was 27.1% at B point and 31.6% at pogon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BSSRO. The horizontal relapse rate of the group which the amount of correction exceeds 10mm was 25.69% at B poin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on magnitude of setback and direction of rotation of mandible in mandibular stability.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ingle mandibular surgery and two-jaw surgery in mandibular stability.

      • 아파트 식생활 영역의 수납공간에 관한 연구

        권명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과 함께 다양해진 현대인들의 생활양식은 아파트 실내공간의 질적인 면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아파트의 과시적 공간구성이 수납공간의 부족과 수납형식에 있어 불편함을 주어 거주자들의 큰불만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납공간의 위치와 크기, 구조, 수납물품을 고려한 거주자 요구를 깊이 있게 조사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주거 내 물품 수납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된 식생활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수납계획 연구자료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조리물품의 등장으로 식생활 공간에서 수납을 고려해야할 물품의 종류와 수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족한 수납공간을 개선하기 위한 주택개조로 초래되는 경제적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도 식생활 공간 수납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생활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수납방안을 모색하고자 조리물품 수납에 관한 실태 및 거주자 의견을 파악하여 거주자의 수납만족을 높일 수 있는 수납공간 계획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 식생활 공간의 수납실태와 거주자의 수납태도, 수납만족, 수납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울산시에서 최근 10년 이내에 지어진 20평형대와 30평형대, 40평형대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9월 27일부터 10월 12일까지 15일 동안 이루어졌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와 백분율, 교차분석, 변량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납가구의 현황을 살펴보면 부엌 상부수납장과 부엌 하부수납장의 경우는 평형에 관계없이 모두 설치되어 있었고 부엌 키큰장과 보조 수납기구 그리고 식기 장식장은 40평형 대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20평형대에서는 가장 적게 보유하고 있었다. 선반과 다용도실 수납가구 설치는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었다. 부엌작업대의 배치유형 중 일자형 은 20평형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ㄱ자형은 30평형대와 40평형대, ㄷ자형은 40평형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면 연결형태 중 LDK은 20평형대와 30평형대가 대부분이며, L/DK평면 연결형태는 40평형대에서 가장 높게 차지하고 있었다. LD/K형은 모든 평형에서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 현재 수납하기 어려운 조리물품은 가전제품과 냄비류, 조리보조식품 및 가공식품으로 수납하기 어려운 이유는 평형별 다르게 나타났다. 가전제품과 조리보조식품 및 가공식품은 평수가 20평형대와 30평형대 일 때 「수납공간이 부족하다」라고 이유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선반구획이 부적절」한 이유가 많았다. 그러나 40평형에서는 수납하기 어려 운 이유가 「수납공간 부족」보다 「선반구획 부적절」과 「물품크기가 다양」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냄비류는「수납공간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선반 구획 부적절」한 이유도 그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3) 부족한 수납공간을 느끼면서 실제 개선하지 못한 이유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평형이 20평형대와 30평형대에서는 「비용이 들어서」라는 응답한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은 「더 이상의 공간이 없음으로」 「번거로와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0평형에서는 「번거로와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조리물품 중 후라이팬류와 바구니류 및 접시류, 잔·컵류, 찬통류, 준비도구류, 그리고 교자상류의 수납장소는 평형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후라이팬류는 부엌 하부수납장 에 바구니류는 부엌 하부장과 다용도실에, 대접류와 접시류, 찬통류는 부엌 상·하부장에 수납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전제품의 경우 평형이 큰 경우에 수납공간이 많음에도 불구 하고 보조수납기구를 이용하여 가전제품을 수납하는 결과를 보였다. 후라이팬류와 냄비 류의 수납장소는 전반적으로 하부수납장에 보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평형대에서는 후라이팬류를 다용도실에 보관하는 경우와 보조수납가구를 이용하여 수납하는 것이 다른 평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장식용 식기는 40평형대에서 식기장식장에 보관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회용품류의 수납장소는 20평형대, 30평형대인 경우 하부수납장에 가장 많이 보관하고 있었으며, 40평형대에서는 부엌 키 큰장에 보관하고 있었다. 5) 수납에 관련된 거주자의 습관으로 자주 쓰는 물품과 그렇지 않은 물품을 구분하여 정리할 때 「물품에 따라 가능한 구분하여 보관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리물품을 정리하는 주기는 「일주일에 한번 한다」는 응답과 「한 달에 한 두 번 한다」는 응답은 비슷한 비율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거의 매일 한번 정리한다」가 나타났다. 6) 식생활공간에 대한 수납방법을 요인분석 한 결과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현상에서 최선 지향 요인으로 식생활공간에 대한 조리물품 수납방법에 있어서 현 상태에서 어느 정도 최선을 하는지, 둘째 보조수납가구 구입, 궁리 지향 요인으로 수납을 위해 어 느 정도 궁리하는지, 셋째 구매하는 행위를 수납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 고려하는 지, 넷 째 조리물품을 어느 정도 쌓아두는지에 대한 문항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점수를 이용 하 여 군집분석 한 결과 노력 수납형, 공간유지 수납형, 공간유지 수납형, 저장수납형의 4개 의 수납방법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노력 수납형은 수납방법에 있어서 조리물품을 쌓아 두 기보다 처분을 하고 수납을 위한 방법으로 수납보조구입을 하는 등 방법을 강구하기 위 해 노력하는 유형이며, 공간유지 수납형은 불필요한 조리물품을 처분을 하며 조리물품 을 사용 후 제자리에 두거나 정리하는 유형이며, 저장수납형은 물품을 쌓아두면서 구입 시 수납공간을 고려하지 않는 유형이며, 적극정돈 수납형은 보유하고 있는 조리물품을 처분하지 않지만 수납을 위해 물품을 구매하는데 있어 수납공간을 고려하는 등, 효율적 수납을 위해 보조수납기구를 구입하여 수납하는 등 정리, 정돈을 위해 적극적인 수납을 하는 유형이다. 7) 수납가구별 만족은 부엌 키큰장, 부엌보조기구, 식기장식장의 만족이 20평형대와 30평 형대 보다 40평형대 만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용도실의 만족은 다른 공간에 비에 낮으며, 면적, 위치, 편리성은 평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평형에서 수납의 면적, 수납의 위치, 수납의 편리성에 대한 만족이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조리물품 수납에 대한 만족은 평형과 관계없이 다용도실의 수납가구에 불만이 높으며 양파나 감자 같은 보관용 야채 수납에 대한 만족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8) 조리물품 수납 만족 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 수납의 「기능성」,「보관성」,「위치성」,「식별성」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만족요인을 군집분석 한 결과,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보관·위치 중시형」,「기능·식별 중시형」,「기타 중시형」의 3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기능·식별 중시형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연령층이 높으며 소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중시형은 기능·식별 중시형 집단보다 젊은 층이며 소득이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보관·위치 중시형 집단은 연령층과 소득 수준은 다른 집단에 비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 유형에 따른 수납 가구별 총 만족 결과는 기능·식별 중시형 집단이 다른 집단과 차이를 보인다. 즉 요인별 만족이 높은 보관·위치중시형 집단과 기능식별 만족유형집단은 총체적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9) 부엌의 수납방식은 작업행위와 가까운 수납을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식당의 수납방식은 시각적 미를 고려한 수납 그리고 다용도실의 수납방식은 많은 물품 수납을 요 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물품 수납요구는 평형에 관계없이 「조리물품의 크기에 맞게 칸막이를 움직이거나 높이 조절 등이 가능해야 한다 」와 「자주 사용하는 일상 조 리물품은 작업하기에 가까운 곳에 수납해야 한다」 및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다용도 실 선반을 설치해야한다」의 요구는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10) 조리물품 수납 요구 문항을 요인 분석한 결과에서 나타난 7가지 요인 즉, 「수납공간 우선 지향」 그리고 「편리성 지향」,「기능성 지향」, 「조리편리성 지향」, 「사용중시 지향」, 「보관성 지향」, 「실용성 지향」을 가지고 군집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집단별 특성을 고려하여「적응형」,「사용 중시형」,「보관 중시형」의 3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적응형 집단은 3집단 중 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사용 중시형 집단은 적응형 집단에 비해 젊은 층이 많으며 소득수준이 높았다. 보관 중시형 집단은 3집단 중 소득수준이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1) 식생활 공간 수납가구 보유는 부엌 키큰장, 식기장식장, 보조수납가구의 경우 평형별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선반설치와 다용도실 수납가구설치를 한 경우 평형별 차이를 보이 지 않고 효율적 수납을 위해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용도실공간의 수납 면 적, 위치, 편리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다용도실공간의 수납 면 적과 수납위치, 및 수납편리성을 고려한 창고나 선반의 계획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2) 식생활 공간에서 조리물품을 자주 사용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물품으로 구분하여 정리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후 계획 시 이에 대한 필요성이 긍정적일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 3) 식생활 공간별 수납 면적, 수납 편리성, 수납 위치에 대한 만족은 전체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에서 각 공간의 수납 편리성이 가장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조리 물품 수납에 대한 불만도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양적인 측면이 아니라 수납가구 내부의 공간구획의 융통성, 편리성, 접근성 및 설치장소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의 의견이 반영된 실질적이고 활용 가능한 수납계 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식생활 공간의 수납가구 배치와 종류를 현장조사 하지 않았기 때문에 좀 더 명확한 계획방향을 제시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다양한 수납유형을 제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수납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주관적 평가인 수납만족과 수납요구조사는 수납공간 디자인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연구에 의해 수요자의 수납만족과 수납요구를 현장에서 정확하고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는 객관적 질문 문항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storage space of cooking, eating and utility area. According to the apartment size, the 232 sample apartments were selected by the random sampling metho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s a research instrument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ack program. The statistics used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F-tes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oking items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e six categories such as portable electric machines, cookers, vessels, small utensils, foods and big utensils. The difficulties for storing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partment size. The biggest difficulty in small apartments was the short storage space. Most of the difficulties in big apartments were inappropriateness of shelves division. The adopted ways for short storage space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partment size. In the case of big apartments, they had wagons. In the case of small apartments, they made shelves or used boxes for storing. A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by using the 4 factors, the types of storage attitude showed a studying type, a space-maintenance type, a preservation type and a best-arrangement type. The satisfaction on storage space of utility related to furniture was lower than cooking or eating space in all apartment size. The satisfaction on a convenient storage differed in the size of apartments. The types of satisfaction showed a keeping-place type, a function-discrimination type and the other importance type and differed in income and size of apartment. The storage needs on cooking, eating and utility area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eeds on a visual storage was low. The needs on a function storage, a convenience storage and a discrimination storage were high. The needs on the utility space for foods storage were high. The types of storage needs showed an adaptation type, an using-importance type and an keeping -impotance type.

      •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명희 청주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2009년 통계청 자료 의하면 2008년 우리나라의 총 혼인건수는 327,715건이며 이 가운데 국제결혼 비율은 11%에 이르는 총 36,204건이다 지난 2000년 한국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혼인건수인 6,945건과 비교하여 보면 4배 이상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국제결혼이 증가하는 이유로 첫째 한국전쟁 이후 형성된 기지촌 여성과 미군병사 사이의 결혼 둘째 세계적으로 자본주의 체제가 확대 되면서 저개발국가의 상업화된 국제결혼시장과 국제화된 성산업으로 유입되는 여성들의 범위 확대 남아선호사상에 따른 성비 불균형 한국 여성의 농어촌 총각과의 결혼기피현상 종교단체의 영향 결혼중개업체의 영향이다 이렇게 결혼을 통해 이주를 해 온 이주여성들에게는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적응 새로운 가족에 대한 적응 그리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통합되어야 하는것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사회적 소수자(Miority)로서 다양한 차원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정신건강 혹은 심리적 안녕감(Psychological well-being)을 경험할 위험이 높다 심리적 안녕감은 곧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및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북도 12개 시 군 지역에 거주하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324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두고 심리사회적자원요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사회활동참여 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 이하 생락

      •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

        권명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식성숙의 태도영역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식성숙의 능력영역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S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각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 1개 학급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고 실험집단 학급에 대해서만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는 무처치 집단으로 하였다.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진로탐색 프로그램들 중 대구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2002)에서 제작하여 배포한 재량활동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실려 있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한국직업능력 개발원(2003)에서 제작한 진로탐색 프로그램, 삼성사회정신건강 연구소(2006)에서 제작한 청소년 진로탐색 프로그램 및 조한나(2009)와 김미영(2004)의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1991)에서 개발, 제작한 ‘진로성숙도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이 검사는 한국교육개발원이 Super의 진로발달의 이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제작한 CDI(Career Development Inventory: 진로발달 검사)와 Crites(1978)가 개발한 CMI(Career Maturity Invantory: 진로 성숙도검사)에 초점을 맞추어 각각의 하위 영역을 통합 조정하여 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제작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이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의 진로의식성숙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그 유의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의식성숙의 태도영역과 그 하위영역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진로의식성숙의 능력영역 전체와 직업세계 이해와 의사결정 능력 영역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진로탐색집단상담이 중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ho attend at the middle school.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s of career maturity attitude?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s of career maturity ability? The hypothesises for solving the question consist of what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areer maturity attitude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ould be more enhanced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the level of factors of career maturity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sample consists of th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S middle school 2 classes in Gumi, Korea. After being announce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60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the study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 : 30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and 30 subjects in control group.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program to the group, the preliminary inspection were carried out. The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 in the 13 section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After finishing the program, post inspection were carried out. The program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produced in Dae-Gu science research institution(2002) and Korea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2003) produced by the Samsung Institute of Mental Health(2006) for Youth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used. Based on these programs Jo Han Na (2009) and Kim Mi Yung (2004), using a portfolio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er reorganized it for this study. The instruments for measuring career maturity were used in the study. For career maturity, 'Career Maturity Inventory', which was originally designed by Crites(1978) and Super(1969) was used to test the Career Development. The resulting data was processed with SPSS program. Analysis of ata was applicable to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variance (ANCOVA) was also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ctors of career maturity attitude scor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more increased than that of students who were in control group. Second, factors of career maturity ability the average of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increased. Specific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eld of career decisiveness, career independence, career Planning, understand the world of work an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the using a portfolio career exploration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verified great effects on career maturity.

      • 강원도 백덕산 대표식생의 다양성 비교연구와 식물상 조사

        권명희 세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원도 백덕산의 대표식생의 식물상 다양성 비교연구를 위해 2018년부터 2019년 동안 식생 5회, 식물상 12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개의 대표식생군락을 지정하여 10×10m의 조사구와 야장을 작성하여 각 군락별 하부 식물상과, 각 지점을 연결하는 구간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를 진행하였다. 대표식생은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일 본잎갈나무군락 등이며, 우점종은 신갈나무,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당단풍나무, 생강나 무, 철쭉, 조릿대 등으로 조사되었다. 저지대는 주로 일본잎갈나무조림지와 소나무군락 이, 고지대에는 신갈나무군락이 우점하고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활엽수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각 군락별 종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식물종이 확인된 곳은 소나무 군락이 20종이며, 신갈나무군락이 11.4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는데, 이는 경사도와 노 암율, 낙엽층에 의한 초본류의 차이점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조사지역 내 하부식물상은 78과 189속 252종 46변종 3품종으로 총 301분류군으로, 특 산식물 6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70분류군(Ⅴ등급 2분류군, Ⅳ등급 5분류군, Ⅲ등급 26분류군, Ⅱ등급 22분류군, Ⅰ등급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 계교란 야생식물 1분류군을 포함하여 6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는 1.87%, 귀화율 1.99%로 산출되었다. 희귀식물은 없으나 적색목록에 해당하는 종은 6분류군으 로 확인되었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자원은 72분류군이며, 과별 구성 종에 의한 다 양성은 국화과가 26분류군으로 가장 많고, 식물상이 가장 풍부한 곳은 영월군 무릉도원 면에 속하는 흥원사에서 정상으로 이어지는 경로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on the flora of Mt. BaekDeok, located in Kangwon-do from 2018 to 2019, and compared the diversity of flora. 20 plots(10×10m) were set up with typical flora community. We surveyed the lower part flora every plots, and the middle point between plots. The typical flora in this study area was divided into 3 plant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The dominant species were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Acer pseudosieboldianum, Lindera obtusilob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and Lophatherum gracile . There were distribute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iesas dominance of lower part,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as dominance of the upper part in Mt. BaekDeok. The distribution rate for broad-leaved tree was increased at higher elevations. As the result, there were 20 species in Pinus densiflora communites, and 11.4 species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because it is depended on the gradient, the rate of bare rock, herbaceous and little layer. W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of 301 taxa, 78 families, 189 genera, 252 species, 46 varieties and 3 forms. There were 6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70 taxa of specific plant by phytogeography distribution(2 taxa of level V, 5 taxa of level IV, 26 taxa of level III, 22 taxa of level II and 15 taxa of level I), 6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cluding 1 taxon of ecosystem disturbance Wildplants, 6 taxa were listed on the Red List of Korea, and no rare plants.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ization Index were recorded as 1.99%, and 1.87% respectively. A total of 72 taxa were approved for delivering overseas plants and 26 taxa were included Asteraceae family. The most richness site of flora was the routes located from HeungWon temple to the peak in Mureungdowon-myeon, Yeongwol-gun.

      • 중학교 영어교과서 분석 : 의사소통기능을 중심으로

        권명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based on analysis of the 'dialogue' part of the 5 kinds of Middle School English 1 textbooks. The 'dialogue' part of the textbook is expected to be used to improve the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the main target of the newly revised 7th curriculum. There are two purposes in this study. The first purpos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alogues of the 5 textbooks by the criteria, which ar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sociolinguistic 5 textbooks by the criteria, settings and topics.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dialogues of the textbooks in order to find out the frequency of use of example sentences under communicative functions that are encouraged to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In the 5 kinds of textbooks,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were not presented, giving too much importance to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practical information'. In conclusion, to develop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to meet students' needs must be presented in a spirial manner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1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