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의 대중화, 대중의 철학화: 계명대 목요철학세미나의 사례를 통해서 본 시민인문강좌의 의의와 문제점

        권대중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In Korean academic society, the Thursday’s Philosophy Seminar at Keimyung University (= ‘Mokcheol’), having the longest history and highest reputation, is generally acknowledged as the origin of humanities lecture program that is voluntarily provided for the citizens by a university. The author of this article tries to give a reasonable diagnosis of the situation that the public humanities education of Korea is facing, and to suggest the future tasks by analysing Mokcheol’s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up to now. Mokcheol, holding on to variousness, consistency, openness, professionality, interactivity and sincerity, is valued highly not only locally but domestically for its quality and quantity, encouraged by the full support of the university and the local community. Mokcheol faced some crises in concern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 which is called ‘crisis of humanities’, but its status got improved through recent attempts for reformative transformation. The new strategy of Mokcheol consists in dualizing the program into two main tracks: ‘public familiarity’ and ‘academic professionality.’ Nonetheless, the obstacles which Mokcheol and other similar programs have to overcome still exist. In other words,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gap between the lecturer’s actual academic professionality and his reputation among the public, excessive money demand of some lecturers, the competition against other programs provided by major enterprises and mass media, do of course endanger this university-based program, but the rapid decrease of academic follow-up generation especially due to the recently abnormalized educational policies is one of the major threatening factors. Therefore, for the government to substantially aim ‘humanities-based cultural enhancement’, a long-term macroscopic turn of political vision is necessary, more than just supporting one-shot events. 한국 학계에서 계명대학교의 <목요철학세미나>(약칭 ‘목철’)는 대학이 자발적으로 시민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원조로서, 가장 오랜 역사와 지명도를 인정받고 있다. 이 글은 <목철>의 현재까지의 발전 및 변모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대중 인문교육이 처한 상황을 진단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다양성, 일관성, 개방성, 전문성, 쌍방향성, 성실성을 견지해 온 <목철>은 소속 대학의 전폭적 지원과 지역 사회의 성원에 힘입어 지역은 물론 국내에서도 그 질과 양 모든 면에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인문학의 위기’로 일컬어지는 최근의 상황과 맞물려 <목철>도 여러 측면에서 위기에 처했지만, 최근에 단행된 일련의 개혁적 변모 시도 덕분에 그 위상은 더욱 더 제고되었다. 그 전략은 ‘대중적 친숙성’과 ‘학문적 전문성’이라는 두 덕목을 프로그램의 이원화를 통해 좀 더 구체화하는 데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철> 및 이와 유사한 프로그램들이 타개해야 할 장애요소들은 여전히 존재한다. 즉 강연자의 학문적 전문성과 대중적 지명도 사이의 괴리, 일부 강연자의 지나친 금전적 요구, 거대 기업과 언론기관이 제공하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경쟁관계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도 이러한 대학 중심의 프로그램을 위태롭게 하지만, 특히 최근의 기형화된 교육정책으로 인한 학문후속세대의 급감 문제야 말로 가장 큰 위협 요소가 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 차원에서 ‘인문 중심의 문화 융성’을 실질적으로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이벤트 지원 정책을 넘어선 장기적․거시적 관점의 인식 전환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헤겔의 정신론에서 '감각적 인식'으로서의 직관

        권대중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6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kommt es auf Hegels Begriff der Anschauung in seiner enzyklopadischen Psychologie an, welche in der letzten Instanz seiner Philosophie des absoluten G eistes als Movens der These vom 'Ende der Kunst' fungiert. Hegels Lehre von der Anschauung lauft in der Reihenfolge von 'Gefuhl-Aufme rksamkeit-Anschauung'. Bevor Hegel die "eigentliche" Anschauung behandelt, m acht er namlich zuerst das Gefuhl zum Thema. 1) Das Gefuhl ist nach ihm die nie drigste Phase in der Entwicklung der Intelligenz. Der "Schein" des Subjekts, als ob es sich furdie Erkenntnis nach dem Gegenstand richten musse, tritt hier auf die verfuhrerischste Weise auf. Der Grund des Cefuhls ist die unmittelbare Einheit des Subjekts mit seinem Objekt, und eine solche Einheit ist nichts anderes als die vollige Verlorenheith bzw. Vergrabenheit des Subjekts im Gegenstand. 2) Diese primitivste Phase der Intelligenz wird in der Stufe der Aufmerksamkeit uberw nden. Die Grundbestimmung der Aufmerksamkeit liegt in ihrem Dopp elcharakter und ihrer Willkurlichkeit. Ihr Doppelcharakter besteht in der Gle ichzeitigkeit des subjektiven und des objektiven Mornents, und ihre Wi llkurlichkeit darin, daβ die Gegenstandsbezogenheit des aufmerkenden Subjekts l ediglich durch die Auswahl der Intelligenz zustande kommt. 3) Bei der eigentlichen Anschauung soll es um Hegels Unterscheidung zwischen der "Anschauung als solche" und der "wahrhaften Anschauung" gehen. Wahrend jene noch rein stoffartig e Intelligenz ist, ist diese eine durch ads Denken vermittelte(und deswegen ei ne intellektuelle) Anschauung. Insofern das Denken aber bei Hegel die unersetzb are letate Stufe der Intelligenz ist, hat diese wahrhafte Anschauung ihre Basis nich t in sich selbst, sondern lediglich im Denken. Wenn man aber die Diskussionseben e bis zum poietischen Bereich erweitert, laβt sich die wahrhafte Anschauung a ls ein reobjektiviertes Denken umdeuten. Diese Umdeutungsrnoglichkeit fuhrt auch dazu, daβ man im Bereich des absoluten Geistes selbst nach dem 'Ende der Kun st' eine neus, verklarte Gestalt der Kunst erwarten kann, und daβ dadurch au ch Hegels Theoretizismus korrigiert weden kann.

      • 헤겔의 『이론 정신 철학』에서의 “사유”

        권대중 한국헤겔학회 2002 헤겔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헤겔의 엔치클로폐디 체계의 주관 정신 철학 중에서도 “이론 정신 철학(Philosophie des theoretischen Geistes)"에서 논의되는 “사유(Denken)"의 개념을 고찰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주제는 인간 지능(Intelligenz)의 한 작동 방식으로서의 사유라는, 정신론인 특수 개념으로서의 사유다. 이에 필자는 『논리학』에서 그 순수 규정이 다루어지고, 나아가 실재 철학에서 그것의 전개 양상이 진술되는 바의, ‘현실의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거대 구조로서의 사유’를 “사유"1로, 엔치클로페디의 정신론(Psychologie)에서 다루어지는 인간지능의 한 형태로서의 사유를 “사유"2로, 그리고 이 사유2를 통해 저사유1이 완성되는 지점인, 절대 정신의 최종 형태로서의 철학을 “사유"3으로 각각 그 논의의 지평을 구분하였다. 이론 정신의 1,2단계인 직관과 표상에 대해 제3의 단계인 사유가 지니는 본질적인 탁월함은, 그것이 정신의 완전한 자기 연관(Selbstbezug)과 반성성 (Reflexivitat)에 의해 추동되는 바의 지능의 형식이라는 점에 있다. 즉, 사유를 하기 위해 정신은 더 이상 어떤 이질적인 대상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로지 자신의 순수 내면성에 의거한다. 이는 사유는 자기 스스로를, 즉 사유를 사유한다는, 헤겔의 “사유" 규정의 핵을 이룬다. 이러한 순수 자기 연관에 대한 주장은 곧잘 소박한 이원론자들로부터 ‘극단적인 추상적 주관성’ 내지 ‘고립된 주체 의 가장 극단적인 자기 내 폐쇄’ 등의 혐의를 받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반박들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 헤겔은 순수 사유 및 그것의 산 물들은 단지 주관적, 심리적 타당성뿐 아니라, 동시에 객관적이고 존재론적인 타당성 또한 지니고 있음을 논증한다. 즉, 일견 주관과 이질적인 것처럼 보이는 객체 역시 그것의 근원에서는 오히려 관념 적인 본성을 지니기 때문에, 주객은 이미 동일한 것이며, 사유는 곧 사태, 존재로서, 사유에서 이루어진 정신의 완전한 자기통일성 및 ‘차기 내 복귀(Riickkehr in sich)’는 오히려 최고의 구체성을 지닌다는것이다. 그러나 헤겔의 논법에 따르면 이러한 최고의 자기 연관은 처음부터가 아니라, 지능의 발전의 마지막 단계에서야 비로소 이루어지는 데, 그는 이러한 발전을 오성 판단 추리의 순서로 추적한다. ‘오성’의 근본 특정은 사물로부터 비본질적 것, 표피적인것들을 추상해냄으로써, 범주와 같은, 보편적인 것을 이끌어내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오성의 한계는 첫째, 그것이 여전히 어떤 주어진 대상을 필요로 한다는 것 과, 둘째, 범주들을 하나의 전체로 통일시키지 못한다는 데에 있다. 지능의 두 번째 단계인 ‘판단’은 특수성과 보편성을 연결 · 종합하는 정신 활 동이다. 이러한 종합을 위해 판단 역시 오성과 마찬가지로 순수 내면적 활동에 의한 것이 아니라, 여전히 어떤 주어진 내용을 필요로 한다. (이때 정신론에서 이야기되는 판단은 『논리학」의 개념론에서 통장 하는 판단과는 대칭적인 역구조를 지닌 것으로 드러난다. 즉, “개념” 의 판단이 근원적 분할(Ur-TeiD’, 즉 ‘Diremtion’으로서, 자기 분화, 자기 특수화, 자기 차별화를 수행하는 데 반해, 지능의 형식으로서의 판단은 연결, 비교, 종합을 통한 보편화라는 역방향의 운동성을 지닌 다. 이에 필자는 전자를 ‘판단l’로, 후자를 판단2’로 구분하여, 이 두 지평의 판단이 하나의 동일한 것은 아님을 지적하였다,) 지능의 최종 단계인 ‘추리’에서 정신은 비로소 완전한 반성성을 달성한다. 추리는 한갓 계사를 통한 외적 연결이 아니라, 중간 개념을 통한 판단들의 매 개로서, 오로지 자신의 규정에 의해 작동된마 따라서 ‘사유’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오로지 ‘추리하는 사유’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이 사유의 완성1로부터 실천적 정신인 ‘의지’로 이행하는 헤겔의 논리가 그에게 종종 가해지는 이론지상주의의 의혹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보았다. 이를 좀더 발전시킬 경우, 그의 체계의 여러 난점들이 새롭게 조명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권대중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7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consists of two basic propositions those function not only paradoxically but also causally each other: 1) As a form of the absolute spirit, art mediates the Truth; 2) However/Therefore art belongs to passed affairs. Hence we need accurate argumentations on 'intuition' as the form and on 'the Truth' as the content of art in order to clarify or criticize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propositions. In terms of this methodology, we can justify other various ways of interpretation of Hegel's Aesthetic such as philosophy of society, of religion etc. The most important matter is Hegel's truth theory especially in his Science of Logic, for the Truth as the absolute idea can also be called 'pure thought', and the only adequate psychological pendent of which is the faculty of pure thinking. And the ultimate realization of 'the pure thinking of the pure thought' is philosophy. From this point of view, Hegel declares that art not only belongs to the realm of absolute spirit, abut to passed affairs as well. 헤겔의 예술의 ‘종언’ 내지 ‘과거성’ 명제는 역설적이면서도 인과관계를 이루는 두 명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것은 ‘예술은 절대정신의 한 형태로서 진리를 매개한다.’와 ‘(그럼에도/그러므로) 예술은 우리에게는 과거지사이다.’라는 명제이다. 따라서 두 명제의 이러한 관계를 해명하거나 비판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예술의 형식인 ‘직관’과 내용인 ‘진리’에 대한 논증이다. 이것이 선행되어야 비로소 우리는 헤겔 미학에 대한 또 다른 접근 방식인 1) 사회철학적․역사철학적 방법, 2) 종교철학적 방법 등을 정초할 수 있다. 왜냐하면 1)의 방법은 2)를 통해, 그리고 2)의 방법은 결국 이 ‘내용과 형식의 관계’에 의해 근거지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직관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철학과 진리를 대상으로 하는 논리학 사이에도 정초상의 우선성이 존재하는 바, 결국 모든 논의의 출발은 논리학에서 개진되는 헤겔의 진리관이다. 이러한 순서에 따를 때, 진리로서의 절대 이념은 그 본질상 순수 사유에 다름 아니며, 이러한 진리에 적합한 실재철학적 대응물은 사유를 매개체로 하는 철학뿐이다. 그러므로 예술은 절대정신의 영역에 속하면서도 과거지사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바로 헤겔의 주장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