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olation of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 Capable of Degradation of Bisphenol A

        권기석,김동걸,이중복,신기선,금은주,손호용,Kwon, Gi-Seok,Kim, Dong-Geol,Lee, Jung-Bok,Shin, Kee-Sun,Kum, Eun-Joo,Sohn, Ho-Yong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BPA는 에폭시 수지 및 플라스틱 생산의 단량체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접착제, 페인트, 광학렌즈, 건축자재, 전자제품 소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PA의 급성세포독성 및 내분비교란활성이 보고되면서 BPA의 분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PA의 광분해 및 화학적 분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제적 BPA의 생물학적 분해를 목표로 BPA분해균을 플라스틱 공장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한 BP-2는 5mM의 BPA처리에서 성장할 수 있었으며, pH 7, $30^{\circ}C$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53.3{\mu}g\;ml^{-1}\;day^{-1}$의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균주 동정결과 BP-2는 Acinetobacter calcoaceticus로 확인되었으며, 3.5g-건조중량$1^{-1}$의 고농도 휴식 세포 반응 결과 $89.7{\mu}g\;ml^{-1}\;h^{-1}$의 BPA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 세포농도를 유지하는 경우, BP-2균주가 실제적 BPA분해를 위한 생물촉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Bisphenol A (BPA), 2,2-bis(4-hydroxyphenyl) propane, has been widely used as a monomer for production of epoxy resins and polycarbonate plastics, and final products of BPA include adhesives, protective coatings, paints, optical lens, building materials, compact disks and other electrical parts. Since BPA is a toxic chemical to elicit acute cell cytotoxicity and chronic endocrine disrupting activity, the degradation of BPA has been focused during last decad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photo-, and chemical-degradation of BPA, in this study, a bacterium that is able to biodegrade BPA, was isolated. The bacterium, isolated froln the soil of plastic factory, was identified as Acinetobacter calcoaceticus (strain BP-2) based on physiological and 16S rDNA sequencing analysis. A. calcoaceticus BP-2 was able to grow in the presence of $1140{\mu}g\;ml^{-1}$ BPA. Biodegrad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BP-2 mineralized BPA via 4-hydroxybenzoic acid and 4-hydroxyacetophenone, and average degradation rate was $53.3{\mu}g\;ml^{-1}\;day^{-1}$ under optimal conditions (pH 7 and $30^{\circ}C$). In high density resting cell $(3.5g-dcw.1^{-1})$ experiments, the maximal degradation rate was increased to $89.7{\mu}g\;ml^{-1}\;h^{-1}$. Our results suggest that BP-2 has high potential as a catalyst for practical BPA bioremediation.

      • 진주류씨(晉州柳氏)의 연원과 가문의식의 정립

        權奇奭 ( Kwon Kiseok ) 한국계보연구회 2019 한국계보연구 Vol.9 No.-

        족보는 동족 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동성동본’의 계보를 모아놓은 기록이다. 따라서 가문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상계 인물에 대한 고증이 필요한데, 시조 이하 선대 인물들은 고려 이전의 먼 조상들이기에 자료적 실증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진주류씨도 시조와 계보 연결에 있어서 많은 논란이 있어왔고, 통칭 ‘移封’ 진주류씨(移柳)와 ‘土姓’ 진주류씨(土柳)로 불리는 두 계열이 별개의 족보를 편찬하며 상반된 주장을 펼쳐온 바 있다. 이류에서 주장하는 계보는 『안동권씨성화보』와 『문화류씨가정보』 등 초기 족보를 근거로 하고 있다. 이들 족보는 신뢰도가 높고 여러 족보에 참고가 된 바 있지만, 편찬자 류희잠도 계보적 논란에 대한 여러 이견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이류의 晉州 移封說에 대해서도 수긍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_晉州柳氏丙子譜_(1756)는 계보적 논란에 대해서 이류 측의 정리 내용을 공식화한 족보이다. 1423년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진 「永樂子姓編譜圖」를 인용하고, 「子姓編考證」이라는 항목을 두어 상계 논란에 대한 여러 견해를 밝혔다. 『晉州柳氏己丑譜』 (1829)는 계보적 논란을 재론하고 이류와 토류의 계보를 통합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토류에서 주장하는 계보적 근거는 16~17세기 저명 보학자인 鄭崑壽(1538~1602)와 趙從耘(1607~1683) 등의 권위에 힘입어 널리 통용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후기 다수의 방목류 자료가 토류의 계보 파악을 따르게 되었다. 토류의 족보에는 계보적 논란에 관하여 정리한 「晉州柳氏世譜記事」라는 글이 있는데, 여기에 인용된 柳珦妻 李氏 戶口草는 토류 측의 계보 고증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자료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이 호주가 되는 호적 자료는 조선시대에 실재하였기는 하지만, 관청 문서의 서식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고, 당시의 가족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이류 측의 반박도 이루어졌다. 동성동본은 한국의 족보 문화에서 동족인지 他族인지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었다. 성관 체계와 동족 관념을 형성하는 계보 고증의 과정은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적 산물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류와 토류는 서로 상충되는 계보 정리를 해 오면서 독자적 가문 의식을 성장시켜 왔다고 볼 수 있다. 지속된 계보적 논란 속에서 무리하게 合譜를 시도하지 않은 것은 혈통에 대한 고증을 중시하는 것이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가문의식이 형성되는 기본 원리였음을 잘 보여준다. Jokbo, genealogical book in Korea is the record of descendants who share the family name and bongwan, the birthplace of lineage. In order to establish the scope and identity of a family to be included in any genealogical book, the ancient records must be considered, but the evidence is difficult to find.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over the existence of two different lineages of Jinju Ryu. The genealogy claimed by Ibong(移封) lineage is based on the early genealogical books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is highly reliable. Meanwhile, genealogy claimed by the Toseong(土姓) lineage was based on the views of the masters of genealogical research and had considerable public confidence. In particular, the family register of the early ancestors was presented as evidence, and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which have been the subject of controversy. Through the dispute between the two lineages, who are suspicious of the offspring of the same ancestors, it is well demonstrated that the proof of genealogy was very important to form a family consciousness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 KCI등재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전략기획에 대한 사례 연구

        권기석(Kwon Ki-seok),이규현(Lee Kyu Hyun) 한국과학기술학회 2004 과학기술학연구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전략기획을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기획 이란 관점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략경영과 전략기획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 공공부문에서의 적용, 연구개발조직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경영 및 전략기획의 분석틀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구성된 틀에 의하여 미 항공우주국과 산하 연구소인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의 전략기획 과정과 특징을 분석 하였다. 이에 의하면 공공연구개발 조직에서 전략기획을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민간부문의 전략기획 과정과 공공부문의 전략기획 과정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략의 수립과정에 있어 기관과 외부의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셋째, 연구개발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확인과 측정, 그것의 기관 목표설정으로의 환류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전략기획이 조직 내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가지려면 경영목표 예산, 기관평가 등 기존의 기관 운영시스템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이 잘 고려되어 도입에 성공한다면, 연구개발기관의 고유 임무 특성에 맞는 운영과 평가가 가능해 질 것이다. 향후 보다 적실성 있는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실제 공공연구개발기관의 전략경영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성과지표 등에 대한 유형별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제 관련 실행 사례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축적함으로써 다양한 시사점들이 종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trategic planning process of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ncluding its center, GSFC (Goddard Space Flight Center) in the framework of strategic planning in publicly funded R&D organizations. To construct this framework, theories have been considered mainly focused on strategic management and planning, its application on public sector, and characteristics of R&D activities. As a result, the framework could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strategic planning. Also, as a case study, we explored the practice of strategic planning process and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of NASA and GSFC During the analysis on the strategic process of NASA and GSFC, we could draw some lessons out as follows: First, we should consider the differenc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s when we establish strategic planning in public sector. Second, the stakeholder analysis should be involved in setting the mission, goals, and strategies of an organiz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ssess the socio-economic effects or public benefits by R&D programs of the organization and use the feedback on its goal. Fourth, to implement strategic planning effectively, planning process should be closely integrated with the management process such as setting goals, securing budgets, and evaluating the organization. Conclusively, the analysis on NASA and GSFC contribute to implementing strategic planning in publicly funded R&D organizations by providing the appropriately modified framework. As an extension of this study, more deliberate analysis on various practices of strategic planning and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be follow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옥상 주차장이 적용된 노후 건축물의 안전진단 사례

        권기석 ( Kwon¸ Ki-seok ),백남철 ( Baek¸ Nam-cheol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국내의 노후 건축물은 국토지리적 한계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내구연한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안전진단 기술의 개발이 반드시 요구된다. 한편,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주차장 등 높은 하중이 작용하는 용도로 변경하는 경우 충분한 구조보강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도변경을 통해 옥상 주차장을 적용한 노후 건축물의 진단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연구

        권기석(Kwon Ki-se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3 과학기술학연구 Vol.3 No.2

        최근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정부, 민간, 학계의 관심이 고조되어 있다. 그러나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은, 현황보고나 사례분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의 특수성을 논의하여 다양한 측면을 드러내고, 다양한 측면을 설명할 수 있는 제이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여러 이론을 통합적 시각으로 구성해 보고 통합적 시각을 국가의 측면과 통합의 측면, 기술의 측면으로 나누었다. 이에 기반을 두어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협력방향을 도출해 보았다. 이를 통하여 남북한 과학기술협력은 단기적인 경제적 이윤의 창출을 위한 도구가 아닌 향후 통합될 남북한 과학기술체제라는 관점을 염두에 두면서 여러 정책수단을 추진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통합적 시각은 다양한 수준과 범위의 이론을 종합하는 데 중점을 두어 새로운 분석개념을 제시하는 데에는 미흡하였으며, 이를 향후 연구주제로 남겨두고자 한다. In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building the trust between S.K and N.K as a leading factor and cut down the cost of unification by diminishing the technology lag and the gap of economic level. This study has shown that we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Unified Korea Innovation system if we systematically analyse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and promote Inter-Korean Cooper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s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r-Korean Cooperation with integrated framework of three aspects to clear up the policy of Inter-Korean Cooperation. First, in the national aspect, we make use of the n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multilateral mechanism of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Thereafter, we make out the alternatives in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legal and institutional view. Second, in the unification aspect, we conside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by the notion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ereafter, we make out the alternative in the aspect of a phase-dependent approach. Finally, in technology aspect, we conside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by the notion of technology gap, the framework of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dependency theory. As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ve tried to integrate the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As a result, the author could analyse the present condi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learn a good lesson from it; Therefore, we can use it as a means of evaluation on a cooperation program and prediction for the future status of cooperation.

      • KCI등재

        正祖 御定·命撰書의 간행과 국가적 역량의 효과적 활용

        권기석(Kwon, Ki-seo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5

        정조는 재위 기간 중 방대한 편찬 사업을 이끌어가면서 저술과 교정, 그리고 頒賜까지 작업의 전 과정을 직접 관여하며 전국적 규모의 간행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群書標記』에 수록된 御定·命撰書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간행 방식 선택의 추이를 살펴보았는데, 광범위한 활용성과 장기 전승의 목적성이 큰 분야일수록 刊本의 비중이 컸고, 그러한 분야로 법제·사법, 의례, 문학, 문집·유사·실기, 병학·무예 등이 있었다. 보급의 수요가 커질수록, 활자보다는 목판을 선택하였고, 수요가 매우 큰 경우 양자를 병행하기도 하였다. 어정·명찬서의 독자층을 분석해 본 결과, 왕실, 관원, 民人을 대상으로 한 경우 간본의 비중이 높았고, 일부 실무 관료에게 집중적으로 보급할 전문서도 다수 간본으로 나온 것이 확인된다. 지방의 민인에게까지 광범위하게 보급하고자 한 서적은 활자본과 번각 목판본이 병행되었다. 어정·명찬서는 중앙정부에서 저술되었으나, 간행처를 분석해 보면 인출과 보급은 중앙과 지방의 협업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지방의 간행 분담은 기본적으로 널리 보급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나, 중앙의 수요를 분담하거나 해당 지역에 板木을 배치하여 오래 보존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일부 전문서적이나 병서를 관련 관청이나 군영에서 인출을 담당하도록 하여, 간행처와 활용처를 일치시키고 효과적 서적 보급을 기대하기도 하였다. During his reign, King Jeongjo (正祖) led a massive compilation project, taking care of the entire process of writing, proofreading, and distribution of the published works. Among them, not only central government offices such as Gyujanggak (奎章閣) and Gyoseogwan (校書館), but also local administrative offices including Gamyeong (監營) were responsible for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their nationwide distribution. In this paper, I categorized by subject Eojeongseo (御定書) and Myeongchanseo (命撰書), the works compiled by Jeongjo, recorded in Gunseo Pyogi (群書標記) and then investigated into various publication methods used by them. As a result, even within the same subject classification, different publication methods were us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books. The wider the use of books and the greater the need for long-term transmission,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choose printing rather than transcribing. The major areas of publication were legislation, justice, ceremonies, literature, literary collection, biographies, and military science. As the demand for book distribution grew, woodblock was preferred than movable type as a means of printing, and when demand for book publication was very high, both moveable type and woodblock were used. As for the readership of Eojeongseo and Myeongchanseo,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royal families, government officials, private Confucian scholars, and the common people. The printed version was produced mainly for the royal family,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people. Meanwhile, there are many printed copies of books targeted for private Confucian scholars, not limited to bureaucrats, so we can confirm that King Jeongjo’s intention of publication was to train people of letters. A number of specialized books were also printed, which were mainly for working-level officials. Books to be widely distributed to local people were often first published in moveable type and then reprinted using woodblock. Since Eojeongseo and Myeongchanseo were compiled by the king, the central government was in charge of writing and editing these works. However, investigation into the place of publication found that the publishing process was done in collaboration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division of printing to local government offices was basically aimed at making books widely available to the mass, but it was also intended to preserve woodblocks for a long time in each province. Meanwhile, some technical books were produced and printed by related government offices. This practice was intended to effectively match supply with demand for such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