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BC제도 도입 이후 손해보험사의 지급준비금 적립현황에 대한 실증연구 : 이익조정을 중심으로

        구혜영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보험회사의 재무건정성을 측정하는 기준이 RBC제도로 바뀐 이후 손해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현상적 배경과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기업의 경우 이익조정에 대한 유인을 가진다는 선행 연구를 배경으로 한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실증 분석하는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RBC제도가 도입된 이후 손해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된 현상을 분석함으로써『RBC제도 도입이 손해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 하락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한다. 둘째,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한 손해보험사를 중심으로 이익조정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좋게 보이려고 하는 유인을 가지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두 번째 목표로 한다. 실증 분석의 결과 첫째, RBC제도의 도입과 손해보험사의 지급여력 비율 하락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RBC제도 도입 이전과 이후의 이익조정은 차이가 없고, 지급여력비율의 수준에 따라 이익조정에 대한 유인은 차이도 없다. 다만, 전년대비 PE/PI 비율이 증감과 DA의 상관관계는 RBC제도 도입 전 양(+)의 값에서 RBC제도 도입 후 음(-)의 값으로 변하였다. 즉, 이익조정에 대한 행위는 제도의 도입 여부 및 각 기업의 지급여력비율의 수준에 의한 동기보다 각 회사의 당해연도 이익과 관련됨을 알 수 있다. 둘째,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한 손해보험사의 경우 이익조정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좋게 보이려는 유인은 없었다. 재무상태가 다른 두 그룹 간(대형사, 중소형사)의 지급여력비율의 평균이 다르고, RBC제도 도입 여부와 DA를 통한 이익조정의 상관계수 절대값은 중소형사와 대형사 사이에 차이가 존재한다. 특히 지급여력비율이 높은 대형사의 경우 이익조정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보수적으로 설정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재무건전성이 높은 회사의 실제 재무건전성은 공시된 RBC비율보다 양호할 것이므로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재무건전성 실제 평균 격차는 훨씬 클 것이다. 그러므로 RBC제도 도입 이후 손해보험사의 지급준비금 적립현황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 손해보험사의 재무건전성 비율(지급여력비율)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과정에서 수익 요인에 따른 이익조정 행위가 나타나고 있고,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재무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한 보수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TNM, Okuda, CLIP, JIS, BCLC 병기설정 및 수술적 또는 비수술적 치료에 따른 생존 분석 및 예후 예측 능력의 비교

        구혜영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간세포암종은 전세계적으로 발생률이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암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현재 폐암, 위암에 이어 세 번째로 사망률이 높은 암이며 연간 11,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암에 있어 병기설정 시 중요한 것은 얼마나 암이 진행됐는가의 문제이다. 그러나 간세포암종의 경우 종양 크기나 간문맥 혈전 등의 종양 관련 요인, 환자의 간기능 및 전반적인 건강 상태, 그리고 치료 방법의 선택 등의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를 모두 반영하는 유일한 병기 분류체계는 아직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방법)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에서 TNM, Okuda, CLIP, JIS, BCLC 병기 분류에 따른 생존률 및 수술 또는 비수술적 치료에 따른 생존률을 분석하고 각 병기의 예후 예측 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1992년 6월부터 2009년 2월사이에 분당차병원에서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은 1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양상 및 치료방법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누적 생존율의 산출은 Kaplan-Meyer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생존곡선간의 비교는 로그-순위 검정을 이용하였다. 병기 체계간의 우열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likelihood ratio chi-square 값과 AIC 값을 구하였다. (결과)추적 관찰 기간 중 168명의 환자 중에서 총 121명(72%)이 사망하였고 전체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6±11.4세였으며 남자가 125명(74%) 여자가43명(26%) 이었다. 간경화의 원인으로는 알코올이 8명(5%), B형 간염이 135명(80%), C형 간염이 15명 (9%), 원인을 명확히 알 수 없는 경우가 10명(6%)였다. 치료 방법에 따른 분포는 경동맥 화학 색전술을 받은 환자가 120명 (71%), 항암화학요법이 29명(17%), 고주파소작술(RFA)이 11명(7%),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28 명(17%), 보존적 치료만을 받은 환자가 27명(16%)으로 나타났다. TNM 병기 체계에 따라 1기에 82명, 2기 35명, 3기 42명, 4기에 9명으로 분포되었고 중앙 생존 기간이 각각 45, 18, 6, 2개월로 나타났다. Okuda 병기 체계에 따른 분포를 보면 1기에 68명, 2기 83명, 3기에 17명이 있었고 각각의 중앙 생존 기간은 56, 10, 8개월 이었다. CLIP 병기 체계에서 0점부터 6점까지 분포된 환자를 보면 각각 31, 52, 35, 21, 17, 9, 3명 이었고 이들의 중앙 생존 기간은 각각 56, 47, 29, 6, 3, 2, 8개월로 나타났다. JIS 병기 체계에 따른 분포는 0점부터 5점까지 각각11, 50, 48, 43, 15, 1명이 속하며 각각의 중앙 생존 기간은 134,43, 21, 7, 2개월 이었다. BCLC 병기 체계에 따라 환자를 나눴을 때 A군에 45명, B군에 29명, C군에 61명, D군에 33명이 속했고 각각의 중앙 생존 기간은 63, 29, 8, 8개월 이었다. 각 병기 분류 모델 별 예후 분별력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보면 CLIP 병기체계가 LR chi-square 값이 86.8575(P<0.05)으로 가장 높고 AIC 값이997.782로 가장 낮아 다른 병기체계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군과 비수술군의 생존률 비교에서 Child-Pugh 분류 A에 해당하면서 종양 크기가 5cm 미만인 환자 49명에서 수술군과 수술 이외 국소 치료군(TACE, RFA)의 생존률을 비교하였다. 수술군의 평균 생존률은 84.3±19.1개월, 중앙 생존 기간은128개월이었고, 국소 치료군에서는 각각 70.8±9.8개월, 63개월이었다.(P=0.79) (결론)본 연구에서 비교한 5가지 병기 체계 중에서는 CLIP 병기체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국가별로 병기체계를 비교 분석한 여러 연구들을 보면 그 결과들이 매우 다양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간세포암종의 원인이 서로 다른 점, 국가별로 조기 검진 등의 발달로 초기 간세포암종 진단률이 높은 나라가 있는 점 등이 복합적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각 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병기 분류 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앞으로의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한편 간세포암종의 진행 정도와 간기능 척도가 동일한 집단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군과 국소 치료군 사이의 생존률 비교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수술 이외의 다양한 치료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유용성을 비교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이와 관련된 활발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Hepatocellular carcinoma(HCC) is the fifth most common cancer. In 2005, HCC is the third most common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in Korea with about 11,000 patients dying from the disease annually. In general solid cancer, establishing a staging system is the problem of how the cancer is in progress. However regarding HCC, it is a combination work of tumor related factor such as size, portal vein thrombosis, and patient's liver function and overall health status, and the choice of treatment. A single staging system reflecting all of these variable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To analyze the survival time according to the TNM, Okuda, CLIP, JIS, and BCLC staging systems and surgical vs. nonsurgical treatment groups for HCC, retrospectiv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and material through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as done for the patients diagnosed at Bundang Cha hospital between June, 1992 and February, 2009. During the follow-up period, 121(72.02%) of 168 people died and the average age of all patients was 54.6±11.4 years old, men and women were 125(74.4%) and 43(25.6%). About the cause of cirrhosis, there were 8(4.76%) patients with alcoholic cirrhosis, 135(80.36%) patients with HBV infection, 15(8.93%) patients with HCV infection, and 10(5.95%) patients with unknown origin. There were 120(71.42%) patients with TACE, 29(17.26%) patients with chemotherapy, 11(6.54%) patients with RFA, 28(16.67%) patients with surgery, and 27(16.07%) patients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The number of patients and median survival time for TNM stage I, II, III, and IV were 82, 45 months; 35, 18 months; 42, 6 months; 9, 2 months, those for Okuda I, II, and III were 68, 56 months; 83, 10 months; 17, 8 months, those for CLIP score 0, 1, 2, 3, 4, 5 and 6 were 31, 56 months; 52, 47 months; 35, 29 months; 21, 6 months; 17, 3 months; 9, 2 months; 3, 8 months, those for JIS score 0, 1, 2, 3, 4 and 5 were 11, 134 months; 50, 43 months; 48, 21 months; 43, 7 months; 15, 2 months; 1, (no data), and those for BCLC A, B, C and D were 45, 63 months; 29, 29 months; 61, 8 months; 33, 8 months. In the analysis about discriminative ability of each staging systems, CLIP staging system has the highest LR chi-square value, 86.8575(P<0.05) and the lowest AIC value, 997.782 so it seemed that CLIP staging system was superior to other system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rvival rate of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groups, we compared the survival rates of the surgical groups and local treatment groups(TACE, RFA) in the patients fulfill the following criteria ; Child-Pugh class A , tumor size smaller than 5cm.(n=49) The mean survival rate of surgical treatment groups was 84.30±19.16 months and median survival rate of surgicaltreatment groups was 128 month, and each value of local treatment groups were 70.82±9.81 months and 63 months(P = 0.7906). Of the 5 staging systems in this study, CLIP staging system was superior to other systems, but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many other studies of different countries. Because it is a complex interaction of many factors that various causes of HCC in different regions, some countries has the highest diagnostic rate of early HCC. Thus we should establish the staging system that is suit for each country's actual circumstances. In the patient's groups that are same degrees of liver function and progress of the cancer, comparison of survival between surgical and local treatment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nowadays various treatment methods except surgery are developing and the need to compare their effectiveness is growing, at this point of time more studies about this will be necessary. Keywords : Hepatocellular carcinoma, Staging system, Survival analysis, Prognosis

      • 청동기시대 중부지역 저부투공토기의 시·공간성

        구혜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부투공토기는 저부에 약 2~3cm 가량의 원형 투공이 되어있다. 저부투공토기는 1979년 부여 송국리유적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송국리유형의 대표 묘제인 옹관묘의 저부에 원형 투공이 된 사례는 저부투공토기가 송국리유형을 대표하는 특징적인 토기임을 보여주었다. 최근 천안, 경기지역에서 역삼동유형의 발굴 사례가 증가하였는데 해당 지역에서 저부투공토기 출토사례는 다수 확인되었다. 이러한 출토 사례는 기존 인식과 다르게 저부투공토기가 역삼동, 송국리유형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였던 토기였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특수 토기의 공통적 출토 사례는 역삼동유형과 송국리유형에서 토기의 상사성이 가까웠음을 보여준다. 또한 필자는 최근 발굴 현황을 검토하면서 저부투공토기의 시간적 상한을 재검토할 필요성을 느꼈다. 천안 백석동, 평택 소사동 유적등 청동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유적에서 저부투공토기가 출토된 사례는 저부투공토기의 상한을 청동기시대 전기로 올려 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현재까지 저부투공토기의 독자적인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일부 연구에서는 저부투공토기에 관하여 송국리유형을 대표하는 토기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남한 내 저부투공토기가 가장 많이 출토되는 중부지역 출토품에 대한 편년적 재검토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중부지역 저부투공토기의 시·공간성을 검토하였다. 2000년대 초반부터 출토 수가 증가한 저부투공토기는 현재 중부지역에서 약 450여점이 확인되었다. 먼저 저부투공토기가 출토되는 유구 및 토기의 연속형·명목형 속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지역별 저부투공출토 사례에 차이가 나타나는데 저부투공토기는 서울·경기지역내 주거지에서 대부분 출토되는 반면 충남지역은 주거지, 저장공, 옹관묘에서 출토된다. 또한 저부 투공방식은 투공 방향에 따라 세가지 형식으로 구분되는데 안에서 밖으로 뚫은 3형식은 다른 형식과 다르게 소성 전에 성형한 것으로 보여진다. 즉 3형식의 저부투공토기는 소성 전에 일정한 토기 규격을 토대로 만들어졌을 것이다. 중부지역은 지역 내 대표 유형의 분포 범위를 토대로 Ⅰ~Ⅵ유적군으로 분류하였다. 저부투공토기 자체만으로 시간성 검토하는 것은 한계를 갖기 때문에 저부투공토기가 출토된 주거지와 공반 유물의 시간성 및 방사성탄소연대를 적극 활용하여 저부투공토기의 시·공간성이 검토되었다. 그 결과 저부투공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역삼동유형 거점 유적 간 상호 교류를 통해 공유되었다. 이후 중기를 기점으로 주거지 수가 급증하면서 저부투공토기의 출토 수는 증가한다. 이 시점에 경기지역에서 출토된 저부투공토기는 거점 유적간 교류를 통해 주변지역에 확산된다. 한편 충남지역 취락 크기는 중기를 기점으로 크기가 작아지는 것과 동시에 당진, 서산, 서천지역에 취락 크기가 커진다. 이러한 점은 중기를 기점으로 인구가 충남 북부내륙에서 충남 서해안으로 이동하였음을 보여준다. 유적군내 저부투공토기의 출현 상한을 검토한 결과 저부투공토기는 천안→당진→서산→서천→공주지역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확산과정은 선송국리 물질문화의 확산과정과 일치한다. 즉, 저부투공토기는 충남 지역 내 주민 이동과정에서 공간적으로 확산되었다고 보여진다.

      • 서울시 대기오염의 실태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구혜영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기오염은 인체에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뿐 아니라 여러가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는데 서울시 대기오염의 상태는 어느정도이며 과연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얼마만큼이나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에 한하여서 대기오염에 대하여 1991년도를 중심으로 환경처에서 지속적으로 측정한 자료가 있는 NO(2), HC, CO, TSP, SO(2), 산성비의 6개 향목에 대해 오염실태를 분석하고 그와같은 대기오염이 인간의 건강, 식물, 기후요소, 사회경제적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논문과 환경연감, 기상월보 등의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오염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대기를 혼탁하게 하는 오염물질 배출은 선오염원과 면오염원이 대부분으로, 선오염왼은 전체 배출량의 NO(2) 76%, HC 65, 9%, CO 59%, TSP 35%, SO(2) 14%였고 면오염원은 NO(2) 11.9%, HC 33.8%, CO 40.8%, TSP 60.5%, SO(2) 68%였는데 선오염원의 원인은 자동차 수의 기하급수적인 증가로 절대 배출량이 커질 수 밖에 없었고 또한 오염물질 배출은 평균 차속의 감소에 따라 그 양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도로가 부족하여짐에 따라 평균 주행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배출량이 더욱 증가하였다. 그리고 디젤 엔진의 버스나 트럭이 서울시에서의 차량구성 비율은 낮아도 대당 오염물질 배출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면오염원의 원인은 과밀한 서울 인구로 인해 취사나 난방에서 나오는 배출량이 많기 때문이었다. 이와같은 오염물질 배출하에서 자동오염측정망에 계측된 서울시 대기오염도는 월변화를 보면 11월부터 2월까지의 겨울철에는 SO(2)와 TSP와 산성우의 오염도가 높았고 6월부터 8월까지의 여름철에는 O(3)의 오염도가 높았다. 특히 TSP는 지역적으로 편차가 커서 한남동, 성수동, 반포동, 쌍문동, 오류동의 지역에서 상당히 높은 수치였다. 연평균 기준치를 놓고 볼 때는 산성우만 기준치 이상이고 나머지 5개 항목은 기준치를 넘지 않는 양호한 오염도인 것으로 나다났는데 이는 대기가 깨끗해서라기 보다는 서울시에 설치된 20개 전지역의 지동오염 측정망의 위치가 한적한 곳의 옥상 등 비교적 공기가 나은 곳이어서 실제 서울시민이 생활하면서 받게되는 피폭량보다 낮은 수치로 측정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인간의 건강에 미친 영향으로 서울의 대기오염은 만성 호흡기계질환과 만성기관지염, 폐암사망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식물에 대해 서울의 산성비는 산림에서의 수목생장을 저해하여 낙엽률, 신초생장, 위축정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대기중 SO(2)의 농도가 높으면 은행나무잎의 수용성 황함량도 높아져 광합성을 저해하는 등 식물에의 피해가 컸다. 넷째, 1943~1949년과 1986~1992년의 기온과 일조시간을 비교한 결과 40년대에 비해 일조시간은 약 17%나 감소하였으며 대기오염으로 공기가 혼탁해져서 태양광선이 차단되는 양산효과(Umbrellar effect) 때문에 여름철 기온은 감소 하였고 가스상 오염물질이 열방출을 막는 온실효과(greenhouse effect)때문에 겨울철 기온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대기오염이 기후요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서울시 대기오염도는 사회경제적 요소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다고 볼 수 있는 저소득층 지역이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다고 볼 수 있는 고소득층 지역보다 대기오염이 심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줄이고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질 평가의 근거가 되는 대기오염도가 정확히 측정될 수 있도록 지동오염측정망은 실제 생활 피폭량과 같은 측정치를 얻을 수 있는 장소에 많이 설치되어야 한다. 둘째, 선오염원으로 인한 대기오염 대책으로는 무공해 자동차를 생산 보급하고 무연 휘발유를 사용토록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차선책으로써 자동차 수의 증가를 억제하고 디젤 엔진 차량의 오염물질 과다 배출에 대한 감독을 강화해야 하며 아울러 평균 주행 속도가 증가되도록 도시 종합교통규제, 도로구조의 개선, 물자운송시스템의 합리화 등 각종 시책을 종합적으로 유효적절히 강구해야 한다. 셋째, 면오염원에 대한 대책으로는 서울에의 인구집중을 막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그 차선책으로는 난방을 위한 연료연소시 오염물질 배출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도록 연구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체에서 가정에 이르는 법 국민에게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환경교육을 실시하여 오염으로 인해 우리에게 초래되는 결과를 정확하게 알림으로 모든 사람이 깨끗한 공기를 유지해야 겠다는 가치관을 갖고 각자의 위치에서 노력하게 해야 하며 특히 정부는 각종 환경분야에 관련된 조사연구나 기술개발업무에 대해 어느 분야보다 우선순위를 두고서 예산지원을 확충하고 적극적으로 추진시켜야 할 것이다. Air pollution not only causes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to the human body but also leads to diverse problems. Thus, there is a need to address the conditions of air pollution in Seoul and their impact on its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s of air pollution in Seoul by calculating the contents of six pollutants in air(NO(2), HC, CO, TSP, SO(2) and acid rain) which are available as of the year of 1991, and thereupon review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human health, plants, weather elements and socio-economic factors. To this end, preceding studies and publications such as "Environment Year-Book" and "Monthly Weather" were examined. The result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air pollutants originate from line and area sources 76% of NO(2), 65.9% of HC, 59% of CO, 35% of TSP and 14% of SO(2) stem from line sources, while 11.9% of NO(2), 33.8% of HC, 40.8% of CO, 60.5% of TSP and 68% of SO(2) are attributable to area sources. The line sources of pollution have extended in terms of their absolute capacity due to the geometric increase of automobiles. Moreover, the decreasing average drive speed due to the relative shortage of roads adds up to increasing air pollutants. In particular, diesel-engine buses and trucks are major culprits of air pollu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y comprise a small proportion of total vehicles. On the other hand, the area sources of air pollution are caused by increasing cooking/heating due to concentrated population. If we look at the monthly changes measured by the automatic pollution network, such elements as S0(2), TSP and acid rains are higher during winter from November to February, while 0(3) is higher during summer from June to August.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TSP is more deviated. That is, such areas as Han-nam-dong, Songsu-dong, Banpo-dong, Ssangmun-dong and Oryu-dong have more contents of TSP. In view of annual average values, only the acid rains exceed the criterion, while the rest 5 elements remain under their limits,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the condition that the automatic pollution guage network installed at 20 points covers rather clean-air areas such as roof-tops than actual living environment, thus lowering the measurement than actual pollutant-bombardment. Second, the air pollution is significantly co-related with the increase of such diseases as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chronic bronchitis and lung cancer. Third, the acid rains have impeded the growth of plants affecting the rate of fallen leaves and growth of yound grass. Moreover,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SO(2) in air has also suppressed the assimilation of ginko trees by increasing the content of sulfur in their leaves. Fourth, the duration of sunshine for 1986~1992 decreased by 17% compared with that for 1943~1949, while the summer-time temperature lowered due to the umbrella effects caused by polluted air. In contrast, the winter-time temperature rather rose due to the greenhouse effects caused by the gas pollutants which trap heat. Fifth, the areas where lower-income people live are more polluted than those occupied by rich people, thus making the air pollution a socio-economic issue. Based up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are put forwards; First, in order to precisely measure the air pollution, the automatic pollution guage should be installed at the places which have the same pollutant-bombardment as the living areas. Second, in order to reduce the line sources of pollutants, such measures such as production of pollution-free automobiles, use of smokeless fuel, containment of automobiles, and increased supervision over diesel-engine vehicles, etc., should be taken. In addition, such measures such as improving the driving speed as comprehensive urban traffic controls, improvement of road structure and transport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a systematic way. Third, in order to reduce the area sources of pollutants, the population of Seoul should first be de-centralized. As a next measure, such fuels as could decrease air pollution should be developed. Finally, all the members of society including businesses and homes should be enlighted further to be well awakened of the importance of clean air.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more positively be involved in various environmental research projects and development ventures through expanded budgetary arrangements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s.

      • 여성의 베이스 메이크업 및 세안 실태 연구

        구혜영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령에 따른 여성들의 베이스 메이크업의 필요성 인식과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구매행동 및 사용실태, 베이스 메이크업 만족도, 부작용 경험 유·무, 베이스 메이크업 후 세안 실태, 이중세안의 필요성 인식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고생과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46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베이스 메이크업의 필요성 인식에서 중요도는 40.9%로 중요하다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베이스 메이크업을 하는 이유는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서가 59.1%로 높게 나타났으며 제품의 구매 경로는 화장품 전문매장이 58.5%, 백화점 34.8%로 나타나면서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은 B.B크림, 쿠션 제품, 파운데이션으로 그 이유는 피부 표현에 있어서 커버력을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하였다. 제품 기능의 만족도는 피부 보호, 피부 톤 보정, 결점 커버, 피부 밀착력, 지속성 모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의 부작용 경험은 28.2%가 유 경험으로 나타났고, 부작용 종류는 트러블이 60.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처 방법은 타사 제품으로 바꿈이 52.7%로 높게 나타났다. 베이스 메이크업 후 이중세안의 필요성은 필요 하다가 85.2%, 필요 없다가 14.8%로 나타났다. 필요한 이유는 메이크업 잔여물이 남아 있을 것 같아서가 71.7%, 필요 없는 이유는 피부에 자극이 되기 때문이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중세안 실천 여부는 81.3%로 대부분 이중세안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세안 방법에 대한 올바른 미용 지식을 파악하여, 피부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올바른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이 정립 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women's base makeup depending on their age, their behaviors for purchasing base makeup and the realities of using makeup items, their satisfaction with base makeup, their experience in ill effects, the realities of using cleansing after using base makeup items and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double facial cleansing. An analysis was executed about data of 465 persons after surveying high school girls and female adults online and offline. About 40.9%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base makeup. Regarding reasons of doing base makeup, about 59.1% of respondents told that they wanted to cover defects. About channels for purchasing goods, about 58.5% bought them at cosmetic stores and about 34.8% at department stores, showing their consumption tendencies. Consumers use BB creams, cushion foundations and regular foundation the most for base makeup because they think to cover imperfection the most important in skin expression. Regarding their satisfaction with functions of products,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skin protection, skin tone correction, skin adhesion and durability in general. Almost 28.2% of respondents have experienced ill effects of base makeup items and the ratio of skin troubles was as high as 60.3%. About 52.7% bought products made by other companies to solve the problem of ill effects. Regarding double facial cleansing after doing base makeup, about 85.2% of respondents needed it and 14.8% didn't need it. About reasons for cleansing their faces twice, almost 71.7% thought there could be remaining makeup items. On the other hand, about 33.3% told that double facial cleansing could irritate their skin. It was found that as high as 81.3% were doing double facial cleansing. This study was aimed at providing basic data to help skin management through understanding right skin-care knowledge about base makeup and facial cleansing.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base makeup items, so a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consumers can use makeup products properly

      •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이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구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important topic in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is to relate mathematics to communication and improve positive attitude on mathematics. Therefore with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there is an active movement which attempts to apply more beneficial learning activities like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or math fairy tales for the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nd traditional learning strategy.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with 21, 40-minute mathematics se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on the achievemen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math underachiev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5 elementary math underachievers. The 45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mathematics lessons without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or the math fairy ta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using the pre-test scores as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mathematical achievement after do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attitude in mathematics after do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3. The change in sub-categories of the attitude in mathematics were as follows. First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self-conception for mathematics after do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Second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attitude for mathematics after do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Third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between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ing the positive change in former's learning habits for mathematics after doing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the math fairy tales or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the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using math fairy tales is more significantly effective than the mere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or traditional learning strategy. That is, the only drill of subjective knowledge may not yield more improving of achievement and attitude in mathematic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Not only subjective knowledge but also positive experience in affective aspects have to be provided for mathematics underachievers. More work should be done to develop such activitie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education. 수학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과 긍정적 수학 태도가 강조됨에 따라, 그러한 능력을 길러주는 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찾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되어 왔다. 수학적 내용을 글로 표현하는 수학일지쓰기 활동은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학생들 스스로 규칙, 사실들을 깨닫게 함으로써 유용하고 즐거운 수학 학습을 도와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수학동화의 사용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길러 줄 수 있는 교수방법이라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수학일지쓰기 활동과 수학동화는 수학에 대한 낮은 자신감과 낮은 동기를 가지고 있는 수학 교과학습부진아들에게 수학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맥락을 제공하고 수학이 활용되는 다양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이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수학적 태도를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으로 나누어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이 각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D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수학 교과학습부진아 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Ⅰ, 실험집단Ⅱ, 통제집단에 각 15명씩 짝짓기 과정을 통하여 배치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처치는 각 집단별로 1주에 2회기 또는 3회기씩 총 21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한 회기 당 40분씩 이루어졌다. 실험집단Ⅰ은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Ⅱ는 수학일지쓰기 활동, 통제집단은 전통적 수학 교수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집단Ⅰ, 실험집단Ⅱ, 통제집단에게 수학 성취도 측정검사와 수학적 태도검사를 실시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Ⅰ이 수학일지쓰기 활동을 사용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집단Ⅱ와 통제집단,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사후 평균치 비교에 의하면, 실험집단Ⅰ이 실험집단Ⅱ보다 훨씬 향상된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Ⅰ이 수학일지쓰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Ⅱ, 수학일지쓰기 활동을 사용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하위영역별 수학적 태도에 있어서 실험집단Ⅰ, 실험집단Ⅱ, 통제집단 간에 하위영역에 따라 효과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즉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서는 실험집단Ⅰ이 실험집단Ⅱ,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에서 실험집단Ⅰ은 통제집단보다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험집단Ⅱ보다는 사전․사후 평균치 비교에서 작은 차이지만 향상된 경향성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Ⅰ, 실험집단Ⅱ, 통제집단 중에서 실험집단Ⅰ이 수학 성취도와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은 수학 성취도 분석에서 보다는 수학적 태도 분석에서 보다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수학 교과학습부진아들이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에 참여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의사소통의 기회 등 수학에 대해 갖게 된 긍정적인 경험이 수학적 태도와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수학 교과학습부진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키고자 할 때,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지쓰기 활동을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흥미와 수준에 적합한 수학동화를 선정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을 다루는 다양한 활동 유형의 수학일지쓰기 활동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자원봉사 조직특성 및 업무특성의 자원봉사자 활동유효성에 대한 영향 :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구혜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으로 차지하는 중요성이 상당히 높아지면서, 양적인 자원봉사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자원봉사활동의 질적인 수준의 확보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자원봉사활동이 단순히 자선적인 혹은 일시적인 활동이라는 개인적 측면을 넘어 조직적이고, 지속적이며 계획된 전문 활동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자의 활동 유효성 향상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 우리나라의 자원봉사자 활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자의 활동 유효성의 수준이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편이다. 자원봉사자의 활동 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활동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봉사 활동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중요하며, 특히 그동안의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어온 연구들이 조직 특성과 활동유효성, 업무특성과 활동 유효성, 활동 특성과 임파워먼트, 임파워먼트와 활동유효성 등 단선적인 관계에 초점을 두고 진행된 연구에서 탈피, 자원봉사자의 활동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상호 복합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자의 활동 유효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함께 그 요인과 결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활동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과 업무특성, 그리고 임파워먼트의 상호간의 역동적 관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자원봉사자의 조직특성이 자원봉사 활동 유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분석, 둘째, 자원봉사자의 조직특성이 업무특성을 경로로 자원봉사활동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의 분석, 셋째는 조직특성이 업무특성을 거쳐 임파워먼트를 경로로 하여 자원봉사활동 유효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활동유효성과 임파워먼트에 대한 선행연구의 이론을 바탕으로 활동 유효성은 업무만족과 활동몰입, 활동지속의지로 구성하였고, 자원봉사자의 조직특성은 변혁적 리더쉽, 인정과 보상, 교육 및 개발기회, 의사결정에의 참여 등으로 구분하였다. 업무특성은 활동자체특성 및 역할특성으로 구분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파워먼트는 Vogt & Murrell(1990)에 의해 실증된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으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표본 조사는 전국의 기초 자치단체 자원봉사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원봉사센터가 속해 있는 지역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등으로 구분하고, 자원봉사센터의 운영형태(관직영, 민간위탁, 민간운영, 혼합형)와 인구비율을 참고하여 설문 대상 자원봉사센터를 구분, 선정하였다. 69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48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는 2005년 5월 4일부터 6월 1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조사결과는 SPSS를 통한 신뢰도 검증 및 기술통계, AMOS를 통한 공분산구조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과정에서 다양한 연구변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없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측정하지 못하는 부분 즉, 오차가 발생할 것으로 고려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한 결과분석을 실시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조직특성과 활동 유효성과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조직특성과 활동유효성으로 직접 연결되는 경로계수(0.46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조직특성은 활동유효성에 정적인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특성을 구성하고 있는, 변혁적 리더쉽, 인정과 보상, 교육과 개발기회, 의사결정에의 참여가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조직특성과 업무특성과 활동유효성과의 관계에서는 조직특성에서 업무특성으로 이어지는 경로의 경로계수(0.817^(***))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나, 업무특성이 활동유효성에 미치는 직접경로(0.06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조직특성이 업무특성을 경로로 활동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활동 특성과 활동유효성과의 관계가 유의해지기 위해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경로인 업무특성과 활동유효성 관계에서 제3의 변수인 매개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특성 및 업무특성과 활동 유효성 관계에서의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자의 조직특성이 업무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0.817^(***)), 업무특성이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0.839^(***)), 그리고 임파워먼트가 활동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계수(0.324^(**))를 분석하였고, 모두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자원봉사자의 조직특성은 업무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업무특성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임파워먼트는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복합경로에 대한 가설은 지지 되었다. 즉, 조직특성과 업무특성과 활동유효성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먼저 자원봉사 활동 현장에서 자원봉사 활동 현장에서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적인 측면의 여러 가지 노력(즉, 리더쉽, 인정보상, 교육 및 개발기회제공, 의사결정에의 참여 유도)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자원봉사자에게 봉사일감 혹은 봉사업무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과 업무 수행에 있어 역할 갈등을 적게 하는 것이 활동 유효성을 높이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임파워먼트가 자원봉사자의 활동 특성과 활동 유효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짐으로써 봉사자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때, 자원봉사자의 활동 특성의 특정 분야를 통한 임파워먼트 증진 프로그램 보다는 조직, 업무 특성이 고루 포함된 프로그램이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봉사자의 활동유효성을 높이기 위해 자원봉사 조직, 업무 특성을 살린 증가도 중요하지만,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를 통해 효과의 총량을 증가하거나 간접효과를 내는 변수들을 강화시키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즉, 자율적 자기 판단에 기초하여 행동하고 선택하는 등 자신에 대한 통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자기 자신의 업무에 다양한 기술과 재능이 필요하며, 이런 업무가 조직에서 중요하고 영향력이 있다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봉사자 스스로가 업무에 대한 선택과 평가 등에 참여하며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민주적이고 개방적인 의사결정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cisely analyze how the organizational & work's characteristics are able to influence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empowerment. To reach this goal, it was made to carry out the following step on analyzing it. First, analyzing the course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directly effect to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Secondly, analyzing the course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on the way of work's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Thirdly, analyzing the course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out the work's characteristics on the way of empowerment indirectly effect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At first,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constituted the component of work's satisfaction, activities' indulgence, sustainable willingness of activities based upon a theory of precedent study on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 empowermen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were classified in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cognition & reward system, education & self-development opportunity &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In the meantime, to verify the effect of mediation, the work's characteristics were composed of activities' characteristics and role's characteristics, the empowerment comprised the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impact, experimented by Vogt & Murrell. The sampling survey had been implemented for the volunte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volunteers' center in governmental district area. The region in which the volunteers' centers have been operated was classified into metropolitan city, medium & small sized city, agricultural & fishing village, while referring to the volunteers' centers management type(governmental district's direct management, civil-selective management, civil direct management, mixed management) & populational rate, they were divided & chosen for collecting the specific questionnaire. 690 sets of systematic questionnaire had been distributed, 480 sets of them was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ampling survey had been done from May, 4 to Jun, 16, 2005, its reliable verification & technological statistics were done by SPSS, while it was analyzed by Covariance Structural Model in AMOS. The reason why Covariance Structural Model was applied is that the error will happen in the unmeasurable part, realizing the limit that the sampling survey process can't include a wide range of study variables.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ath coefficient (0.461***), which was directly connected wit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activities availability statistically appeared meaningful, thu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ppeared to have a directly influential relation. It means that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recognition & reward, education & self-development opportunity &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hich are the integrated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path coefficient (0.817***) which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connected to work's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appeared meaningful, while the direct path(0.066) in which the work's characteristics effect to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didn't statistically appear meaningful.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ill have an indirect effect upon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following the path of work's characteristics was not tried. To become the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ary activities & volunteers' effectiveness, the relation which is not meaningful path between the work's characteristics & volunteers' effectiveness appeared to consider the third variable, mediated variable. A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empowerment mediated effect among the relation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ork's characteristics & volunteer's effectiveness, the path coefficient (0.817***) whic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volunteers effect upon the work's characteristics, the path coefficient (0.839***) which the work's characteristics affect to the empowerment, and the path coefficient (0.324**) which the empowerment influence the availability of volunteers' effectiveness was apparently analyzed and all of these data appeared meaningful. Therefore, the hypothesis of a series of composite path, which means tha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effected the work's characteristics, the work's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empowerment, and the empowerment had effected upon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was definitely verified. Summarizing the context above, the mediated effect of empowerment representing the 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ork's characteristics & volunteers' effectiveness authenticated to be meaningful. In this study result, in order to enhance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a several of endeavors, for instance, leadership, recognition & reward, eduction & self development opportunity giving, motivate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re needed in the field of volunteers' activities. In particular, to fairly distribute the works for volunteers in a balanced way & to decrease the conflict of volunteers' role in their carrying out mission appear a key factor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volunteer's activities. As well as to enhance the volunteers' effectiveness, it is needed to develop the volunteers' empowerment programs.

      • 치과위생사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구혜영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이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영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인력관리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울산 지역 소재 60개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241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 점수는 100점 만점에 60.26±16.57점이었으며, 35∼40세, 대학원 이상, 총 근무 경력 15년 이상, 월 평균 급여 300만원 이상, 실장인 경우 점수가 높았다(p<0.05). 이직의도 점수는 52.78±21.55점이었으며, 30∼34세, 총 근무 경력 5∼9년의 점수가 높았다(p<0.01). 직무만족은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성희롱, 폭력위협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5), 이직의도는 사회심리적 업무환경의 영향력, 성희롱, 폭력위협, 왕따를 제외한 모든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업무의 의미(β=0.355), 조직몰입(β=0.252), 스트레스(β=-0.204), 월 급여 300만원 이상일 때(β=0.184)이었으며, 설명력은 49.2%이었다(p<0.001).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몰입(β=-0.400), 직무만족(β=-0.332), 일-가족 갈등(β=0.170)이었으며, 설명력은 53.5%이었다(p<0.001). 이 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관련이 있는 모든 사회심리적 업무환경 요인들까지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업무를 제대로 인정하고 평가를 해주는 조직의 공정한 대우 및 지지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치과위생사 직업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자긍심을 높임으로써 조직에 대하여 애착심과 충성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