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과 한국 드라마의 수용

        구향미 ( Xiang Mei Ju ),최향단 ( Cui Xiang Dan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서석사회과학논총 Vol.5 No.1

        본 연구는 중국조선족 수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 분석자료를 토대로, 한국드라마 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중국조선족의 민족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드라마 수용 동기에서 중국 조선족 수용자들의 민족 정체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국드라마 수용 동기나 선호이유에 있어서는 응답자의 민족 정체성 관련 여부에 따라서 세 부류로 나뉘어졌다. 첫 번째 부류에 속해 있는 응답자들은 민족성이 강하며 한국드라마를 수용하는 동기를 민족적인 요소와 스스로 연결시켰다. 두 번째 부류의 응답자들은 한국드라마 수용 동기를 민족과 연결 짓지 않았지만 친근감을 느끼게 되어 민족 정체성의 표현으로 판단되었다. 세 번째 부류는 민족 정체성보다 한국드라마 자체의 매력 때문에 수용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구분은 또한 연령층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민족 정체성이 강한 수용동기를 나타내고 나이가 어릴수록 민족적인 요소보다도 한국드라마 자체에 매력을 느끼는 경향을 알아 볼 수 있었다. 둘째, 한국드라마 수용 과정에서 중국 조선족 수용자들은 자신의 민족 정체성을 발견하고 고민하며 강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기도 한다. 셋째, 중국 조선족 수용자의 민족 정체성은 한국드라마 수용동기에 영향을 미치며 모순적, 우월적, 배타적, 자아 존중적, 탈조선(모국)적 등 5가지 특성을 보여준다. This paper takes the Chinese Korean Ethnic Minority as the research object and analyzes the ethnic identity that the Chinese Korean Ethnic Minority show in the process of watching Korean dramas according to a deep interview. Here are the results of my research as follows. First of all, in terms of the motives of watching Koreandramas, the Chinese Korean Ethnic Minority`sethnicidentitypresents variously. considering the motives and preference of watching Korean dramas, the characteristics of ethnic ident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respondents who belong to the first type show a strong sense of ethnic identity and are associated their motives of watching Korean dramas with ethnic factors involuntarily. Although the respondents who belong to the second type don`t attribute the motives of watching Korean dramas to ethnic factors, their affinity with Korean dramas also can be judged as a manifestation of ethnic identity. The respondents who belong to the third type watch Korean dramas due to being attracted by the charm of Korean dramas rather than ethnic identity. What`s interesting, the intensity of ethnic identity reflected from the motives of watching Korean drama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arious age groups. It obviously shows the tendency that the senior show a stronger sense of ethnic identity while the junior are attracted by the charm of Korean dramas regardless of ethnic restrictions. secondly, in the process of watching Korean dramas, the Chinese Korean Ethnic Minority will find, contemplate and strengthen their sense of ethnic identity by themselves. the last, affected by the motives of watching Korean dramas, the Chinese Korean Ethnic Minority’s ethnic identity has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tradiction, superiority, exclusiveness, self-respect and so on.

      • KCI등재

        한류스타 광고모델에 대한 중국대학생들의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최양호(Yang Ho Choi),구향미(Xiang Mei Ju),김봉철(Bong Chul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1 No.2

        이 연구는 중국에서 한류 모델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소비자들의 성별과 민족성에 따른 광고효과, 광고모델의 성별에 따른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한류스타가 출연한 광고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한류스타 광고모델과 중국 소비자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모델 별로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남자 한류스타 모델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여자 한류스타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민족적 특성의 차이에 따른 분석결과 조선족보다는 한족 응답자들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류스타를 남자모델과 여자모델로 나누어 모델의 성별에 따른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성별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류 남자모델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중국 남성보다 중국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한류 여자모델에 대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중국 여성보다 중국 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명인 광고모델 광고효과 분석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낮은 집단보다는 높은 집단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에게 한류스타를 활용하는 한류마케팅에서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유명인 모델 관련 변인들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advertising effec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453 student data were collected from a Chinese University in Yonbyun. However, only 36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excluding 91 questionnaires. Research question 1 was test of existence i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Hanryu star models in China. Research question 2 attempted to find out respondents` demographic differences in parasocial interaction with Hanryu models. The analysis found that the Han race had mor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Hanryu models than the Korean race. It also showed that female respondents had mor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male Hanryu models, while male respondents had more parasocial interaction with female Hanryu models. Research question 3 was test of association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advertising attitude. The results provid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advertising attitude. The findings, a test of Research question 4, also gav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asocial inter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for Hanryu star model marketing in China.

      • 결혼이주여성들의 TV 시청에 대한 주관적 태도유형: Q 방법론의 적용

        김봉철 ( Bong Chul Kim ),송미경 ( Mi Keoung Song ),구향미 ( Xiang Mei Ju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서석사회과학논총 Vol.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의 TV시청동기에 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사회에서 미디어의 역할을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관성을 탐구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이용하여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40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인식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들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적응 시청자 유형’, ‘습관적 시청자 유형’, ‘도구적 시청자 유형’ 등 모두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그 중 ‘문화적응 시청자 유형’이 전체 변량 중 23.60%로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3개 유형의 총 변량은 42.22%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한국에 대한 역사나 문화를 이해하고 자녀들의 교육 등을 위해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유형은 한국 생활에서의 외로움 등을 달래기 위해 TV를 시청하며, 심심하거나 할일이 없어 TV를 시청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2유형은 뚜렷한 동기나 목적없이 습관적이고 수동적으로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유형은 경제적 욕구나 오락적 욕구 혹은 자녀 교육 등 뚜렷한 목적이나 필요성에 의해 TV를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유형에 상관없이 결혼이주여성들이 공통적으로 TV를 시청하는 동기를 보면 한국생활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및 한국어 공부 등이 주된 요인이었고, TV시청을 통해 건강에 대한 정보나 상식을 얻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bjectivity about TV viewing motiv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whose number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Korea. This study employed Q-method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examine subjectivity of human beings, and 40 married migrant women in Gwangju were recruited as samples for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types of TV viewing motiv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extracted accounted for 42.22% of the total variance: Cultural adaptation viewership, Habitual viewership, and Instrumental viewership. Type 1, Cultural adaptation viewership accounted for 23.60 percent of the variance. Women who have Cultural adaptation viewership tend to watch TV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and culture. In this case, women do not watch TV for the purpose of killing times or soothing their homesick; Whereas, women in Habitual viewership passively watch TV without any aim or motivation. Women in Instrumental viewership are likely to watch TV with needs and firm motivation, such as for entertainment, finance, or education. Finally, marriage migrant women are likely to watch TV primarily motivated by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regardless of each viewership, but not motivated by reaching information about health or commonsense about Korean society. These results imply that TV programs should produce and broadcasting policy should regulates in the point of multi-cultural view.

      • KCI등재

        2000년 이후 국내 모바일 광고 연구동향에 대한 기술적 분석

        김봉철 ( Bong Chul Kim ),이시훈 ( Si Hoon Lee ),구향미 ( Xiang Mei Ju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모바일 광고와 관련된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연구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모바일 광고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대상과 연구주제, 적용된 이론, 그리고 방법론의 유형 등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연구주제의 경우 광고효과나 수용자 인식에 관한 주제가 많았으며, 이론적용에서는 기술수용모델이 많았다. 연구방법에서는 양적연구가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서베이 연구가 많았다. 단독연구보다는 2명 이상의 공동연구가 많았고, 광고홍보 및 신문방송을 전공하는 학자들의 연구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자의 경우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모바일 광고 연구의 미래 과제로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고, 연구주제도 좀 더 다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론 및 연구방법의 다양화와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mobile media, mobile advertising, research trend, descriptiv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of research on mobile advertising in Korea and to provide guidelines to future studies in this field by employing descriptive analysis. This study analyzes academic journal articles, theses, dissertations on mobile advertising in Korea with regard to topic of research, applied theories, and methodology so on.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and perception of message recipients ranked the first and second in topic of research;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as the mostly applied theory; Quantitative research was more conducted than qualitative research, and survey was the mostly employed method. Most of the authors were scholars in the field of AD, PR,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y the number of two authors. Finally, college students or adults were mostly recruited as samples for mobile advertising research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