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구정모(Koo, Jung M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4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요인으로서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인적자원개발(HRD)과 인적자원관리(HRM) 활동이 조직의 재무성과와 유효성 증진을 위한 선행요인이라는 점은 많은 연구를 통해 규명되어 왔으며 인적자원에 대한 전략적 수준에서의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HRD 와 HRM 의 기능이 갖는 역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조직성과 향상에 있어 두 영역이 어떠한 관계를 갖는 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주요 변인으로서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HRD와 HRM 영역이 갖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의 인적자원의 개발과 관리에 대한 포괄적 시각을 견지하기 위해 성과와 학습으로 대변되는 HRD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 요인이 인사관리 효과성과 갖는 관계를 가설적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S그룹 5개 계열사의 Senior Manager급 이상 관리자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72개의 유효 표본을 활용하여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은 모두 인사관리 효과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구조요인은 사람요인과 인사관리 효과성 간의 인과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인사관리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조직을 조성하는 개인과 조직 수준의 요인들을 구분하여 그 관계를 설정하고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수준별 요인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ople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on HRM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hat mediates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383 directors and senior managers who are in managerial positions,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significant impacts on HRM Effectiveness. Second,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lso an impact on HRM Effectiveness. Third, people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positively influences on HRM Effectiveness when partially mediated through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on the theoretical aspects is that it showed that both of people and structural level in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re precedence factors on HRM effectiveness. It means that this study expanded the field of study of learning organization from the relation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to the field of HRM. in addit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on the practical aspects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give a political direction for companies having problems on building specific policies with regard to vitalizat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within them. Therefore, this study showed a meaningful approach which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HRM effectiveness in the workplace of organizations. Especially, it turned out the strategic functions of HRD and HRM should be promoted through creating and promoting its scheme and system developing and managing its employees from the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its human resources.

      • KCI등재후보

        지식공유의도를 매개로 한 CoP 참여의지와 몰입 간의 관계

        구정모(Jung-Mo Koo),송해덕(Hae-Deok S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6 No.1

        지식경영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지식자산이 경쟁우위의 원천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기업은 효과적인 지식경영을 추진하기 위해 학습조직화의 실행을 강조하고 있으며, 지식경영의 활성화를 위해 실행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CoP)와 같은 인적네트워크 형태의 학습조직에 높은 관심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CoP에 참여하는 A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을 연구대상으로 CoP 참여의지가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지식공유의도는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객실승무원 247명을 유효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CoP 참여의지는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매개변수로 설정한 지식공유의도는 CoP 참여의지와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 간에 각각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관점에서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학습조직으로서의 CoP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P participation willingness on commitment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intention that mediates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247 flight attendants at A airline, who are joining 8 CoP`s at the company,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P participation willingness has significant impacts on both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has also an impact on both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P participation willingness positively influences 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n partially mediated through knowledge sharing int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 that facilitates CoP for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 KCI등재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성과평가 공정성 지각, 직무 복잡도, 목표 지향성의 관계 분석

        구정모(Koo, Jung Mo)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3

        최근 직무와 성과를 중시하는 인사관리 실행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도입 과정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한국적 경영환경에 적합한 인사관리, 즉 임금체계를 비롯한 구성원 성과관리의 실행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부족했던 것이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한국적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인사관리의 실행에 대한 고민을 제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성과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 내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구성원 성과관리 실행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 IT 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성과평가 공정성이 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직무 복잡도가 갖는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서울과 판교 테크노밸리에 위치한 IT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개발 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배포하였으며, 총 29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경로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따른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구성원이 지각하는 성과평가 공정성은 직무복잡도와 목표 지향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성과평가에 대한 공정성이 확보될수록 직무 복잡도와 목표 지향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직무 복잡도는 목표 지향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복잡도가 높은 직무를 추구하고 선호할수록 목표 지향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과평가 공정성이 갖는 목표 지향성에 대한 영향력은 직접효과 보다 직무 복잡도에 따른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직무 복잡도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구성원이 성과평가를 공정하게 인식하게 되면 복잡한 직무 상황에서 도전적인 직무를 선호하게 되고 자신의 성장과 학습의 기회로 받아들여 보다 목표 지향적인 태도를 갖게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Recently, social requirement and interest in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hich emphasizes job and performance, is growing in Korea. However, as we have seen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annual compensation system for the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job and performance, in-depth discussion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luding compensation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management environment, were lacked. This raises deep discussion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that effectively responds to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on goal orientation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complex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296 employees who work in the field of IT service provide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has direct impacts on job complexity and goal orientations with stimulating both variables. Second, job complexity has positive impacts on goal orientations directly. Lastly,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has bigger indirect impacts on goal orientations job complexity as a mediator in comparison to direct impacts. Therefore, it turned out that job complex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justice and goal orientations. From this results, it demonstrated that employees" positive perception on performance evaluation makes them prefer more complicated and challenging jobs and tasks in their organizational circumstances. It also turned out that fair performance evaluation on employees enhances their changes as growth and learning opportunities and maximize their goals to achieve their goal under the complicated job situations. To sum 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t is important to give employees suitable jobs and tasks with challenging level of complexity in their job circumstances.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원이 인식하는 고성과작업시스템 특성 요인과 조직 혁신수준 지각 간의 관계

        구정모(Jung Mo Koo)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8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구성원이 인식하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특성 요인이 조직 혁신수준 지각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인사관리 효과성이 조절효과를 갖는 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성과중심 인사제도를 도입한 지 5년 이상 경과한 국내 IT 서비스 기업의 구성원 370명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의 특성 요인인 교육훈련투자, 채용프로세스, 평가방법다양성, 리워드운영 중, 교육훈련투자는 조직 혁신수준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채용프로세스, 평가방법다양성, 리워드운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절변인인 인사관리 효과성은 교육훈련투자, 채용프로세스, 평가방법다양성에 대해 조절적 영향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리워드운영에 대해서는 조직 혁신수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인사관리 효과성은 리워드운영과 조직 혁신수준 지각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조직이 고성과작업시스템을 지향하는 성과중심의 인사제도를 구축하는 노력은 필요하지만, 조직 내 다양한 학습 활성화 요인을 진작하여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구성원 성과관리 프로세스 내에서의 보상제도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수준을 상시적으로 점검하여 제도의 효과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조직 혁신수준 증진을 위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이 조직 전반의 성과향상을 추구하는 고성과작업시스템을 도입함에 있어서 인사관리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실행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조직의 혁신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는 연구의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recognized by employees on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moderation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of 370 employees working in Korean IT companies operating performance-based HR policy for more than 5 years had been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ning and development in HPWS recognized by employees impacts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However, recruiting policy, performance management, and reward plan has no impa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Second, HRM Effectiveness has no moderating effect on recruiting policy, training and development, performance management. However, it has a moderating effect on between reward plan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ffect of building performance-based HR policy is needed; however, organizations should establish the plans that employees can accept for enhancing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considering that few studies exist about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is study demonstrated whether HPWS recognized by employees has an effect on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how to realize perceived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by using the HPWS.

      • KCI등재후보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구정모(Jung-Mo Koo),송해덕(Hae-Deok S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4 창조와 혁신 Vol.7 No.1

        As the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affects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actively conducted, the interest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n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what the role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is as a mediator between these relationships, based on to the questionnaire to the employees in advertising agencies. As a result, both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people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the structural level showed a negative effect. And it showed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people level and structural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optimized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epending on the feature and condition in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job characteristics.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기업에서는 조직의 혁신을 진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조직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두 요인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로 구분되는 창의적 조직풍토가 조직이 가진 혁신의 실행능력을 의미하는 조직 혁신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 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그룹사 산하광고대행기업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는 모두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은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조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창의적 조직풍토의 방해요소와 조직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 혁신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을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적합하도록 활성화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구정모(Jung-Mo Koo),송해덕(Hae-Deok So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4 창조와 혁신 Vol.7 No.2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기업에서는 조직의 혁신을 진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최근에는 조직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창의적 조직풍토와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두 요인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조직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로 구분되는 창의적 조직풍토가 조직이 가진 혁신의 실행능력을 의미하는 조직 혁신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에서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으로 구분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어떠한 기능을 하는 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그룹사 산하광고대행기업 구성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광고대행기업의 구성원이 인식하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는 모두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은 조직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조요인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창의적 조직풍토의 방해요소와 조직 혁신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 혁신성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조직풍토의 지원요소와 방해요소, 학습조직 구축요인의 사람요인과 구조요인을 조직의 특성과 상황에 적합하도록 활성화하거나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As the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hich affects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actively conducted, the interest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has been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as an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what the role of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is as a mediator between these relationships, based on to the questionnaire to the employees in advertising agencies. As a result, both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The people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the structural level showed a negative effect. And it showed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reativity stimulants and creativity obstacles in the creative organizational climate, people level and structural level in the dimensions of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activated and optimized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epending on the feature and condition in the organization and employees' job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