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약에 나타난 예배와 제의에 대한 고찰

        구은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성경말씀이 증거하고 있는 예배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를 구약 레위기에 나타난 5대 제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레위기는 그 전체의 내용이 출 19:5-6의 시내산 계약의 약속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애굽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하심의 의미는 ‘하나님을 섬기며 예배하는데’ 있었다. 따라서 하나님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지시해 주신 규례들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들이 제의 예식을 통해 하나님을 올바로 섬기게 하는 법도를 가르치는 ‘예배의 지침’들이었다. 기독교의 예배의 본질은 구약의 제의에 근거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약의 성도들은 하나님 앞에 나아갈 때 반드시 제의를 통해서만 가능했고 그 제의에는 제물이 필수적이었다. 또한 제물을 제단에 드림으로 사죄 받고 성도의 교제가 이루어졌다. 제단에 드려진 제물은 흠 없고 깨끗한 것이며 완전한 것으로 드려졌다. 제의에는 제물이 흘린 ‘피’가 있어야 함을 분명히 보여준다. 인간이 범죄 한 것에 대해서 제물이 대신 희생당하면서 피를 흘린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밝혀주고 있는바 오늘 우리의 예배가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를 의지하여 하나님 앞에 나아갈 수 있고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 구약 제의와 오늘날의 예배는 하나님 중심, 그리스도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유는 인간은 죄로 인하여 멸망 받을 수밖에 없었는데 하나님의 긍휼과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가 대신 구속 사업을 완성해 주셨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의 예배는 하나님 중심, 그리스도 중심이 되어야 하며, 성도간의 사랑과 용서의 공동체적인 예배가 되어야 하고, 구원의 기쁨이 충만한 감사의 예배가 되어야 한다. 요약하면, 첫째,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자는 자원하는 마음이 중요하며,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는 기초위에 죄인을 구속해 주신 은총과 사랑에 대한 ‘헌신’하려는 예배 태도를 가져야 한다. ‘헌신’은 자기를 부인하는 신앙이며, 따라서 하나님께만 모든 영광을 돌리고, 자기는 산 제물로 하나님께 온 마음과 정성을 드리는 신앙이다. 둘째, 예배자는 하나님 앞에서 ‘희생봉사’하는 삶을 다짐해야 한다. 이는 썩어져 많은 열매를 맺는 한 알의 밀알처럼 하나님을 위한 삶에서 변함없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자는 먼저 하나님과 잃어버린 관계, 곧 화해하지 못하는 관계를 화해의 관계로 회복해야 하며,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화해하고 화목된 신앙인은 이웃에 대해서 화목하고 친밀해야 한다. 하나님은 이웃과 화해된 신앙인을 요구하시며, 그러한 자의 예배를 받으신다. 넷째,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자는 모두 다 하나님의 초월적 사랑과 구속적 사랑 앞에서 감히 그의 영광을 바라다 볼 수 없는 죄인의 상태, 곧 ‘겸손하고 겸비’한 마음으로 나아가야 한다. 바리새인의 위선적 예배 태도가 아닌 세리의 겸손하고 낮아진 예배를 하나님께서 불쌍히 여겨 의롭게 여겨 주신다. 다섯째, 하나님께 예배를 드리는 자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택함 받은 신앙인들뿐만 아니라 아직도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하나님은 이웃 사랑을 몸소 실천하는 자에게 은혜를 더하시며, 세상을 이길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주신다. 오늘날의 상황을 뒤돌아보면, 예언자들이 비판했던 ‘형식적이고 위선적인 예배’는 마땅히 우리의 눈앞에서 사라져야 한다. 다만 우리는 하나님께서 진정 요구하시는 참된 예배, 거룩하고 흠이 없고 온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해 드리는 예배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예배드리는 자는 준비하는 정성을 가질 때 하나님은 기뻐하신다. 오늘의 예배가 주관자에 의해서 끌려가고 있고, 복 받으려는 방편으로, 병 고칠 심산으로, 감정 해소하는 정도로 찬송, 기도, 물질, 봉사를 하는 것을 본다. 예배드리는 자는 신령과 진정으로 자원하는 심령으로 예배에 동참함으로 예배가 공동체로서 하나님께 열납 되도록 해야 한다. 본 필자는 예배가 생활과 결코 분리할 수 없음을 지적하고 싶다. 매일 매일의 삶을 온전히 드리는, 하나님이 선하게 여기시고 기뻐하시는 온전한 예배, 즉 자기 몸을 거룩한 산제사로 드리는 영적 예배를 드려야 할 것이다.

      •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 분석

        구은미 숙명여자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eacher 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The teacher related variables explored in this study were teacher's general background, teacher's psychological trait(teacher efficacy, self esteem), educational view(teacher beliefs, professional recognition), job stress, job attitude(job satisfaction, burnout, leave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were 398 child care teachers employed in 67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Among teacher'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marriage, working hours, wage, institution type, number of training, health condition are affecting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2) Among teacher related variables teacher's individual efficacy, teacher's educational view(teacher beliefs, professional recogn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burnout are affecting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3) After binding each 4 clusters of variables, the most significant teacher related variables affecting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was teacher's job stress. 4) The most powerful direct predictor of teacher related variables to the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was job satisfaction and the most powerful indirect predictor was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Totally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to the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program. Therefore,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program-developers and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 recognition into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day care program. 본 연구는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인과경로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도되었다. 연구문제로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 및 교사관련 변인(심리적 특성, 교육관, 직무스트레스, 직무태도)과 보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및 교사관련 각 변인군들의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의 인과경로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연령, 결혼여부, 학력, 경력, 근무시간, ?퇴근시간, 보수, 원아수, 기관유형, 연수회수, 이직회수, 건강상태, 출퇴근시간)과 심리적 특성(교사효능감, 자아존중감), 교육관(교사신념,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직무태도(직무만족도, 소진, 이직의도, 조직헌신도) 변인들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위치한 67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98명이었다. 본 연구의 질문지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과 교사효능감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교사 신념 척도, 전문성인식 척도, 직무스트레스 척도, 직무만족도 척도, 소진 척도, 이직의도 척도, 조직헌신도 척도, 보육의 질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결혼유무, 근무시간, 보수, 기관유형, 연수회수, 건강상태이었다. 즉 기혼일 경우,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보수가 많을수록, 국공립일 경우, 연수회수가 많을수록, 건강상태에 만족할 경우 전체 보육의 질이 높았다. 둘째, 교사 관련 변인이 보육의 질에 미친 영향으로 먼저 심리적 특성 중 개인적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육관 중에서 행동주의 신념이 낮을수록, 성숙주의 신념과 상호작용주의 신념, 전문성인식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태도 변인 중에서 직무만족도와 조직헌신도, 소진이 높을수록 전체 보육의 질이 높았다. 셋째, 교사의 심리적 특성, 교육관, 직무스트레스, 직무태도를 각각의 변인군으로 묶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군을 알아본 결과, 전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군은 직무스트레스 변인군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사실은 교사관련 변인 중 직무스트레스가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인군임을 시사해주는 결과이다. 넷째,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의 경로분석 결과 교사의 개인적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은 전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전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과 직무만족도, 소진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와 소진은 전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 없이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직무만족도가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전문성인식이 가장 큰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체적으로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교사의 전문성인식이 보육 프로그램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 출장메이크업과 뷰티샵 메이크업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비교연구

        구은미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Level with On-Site Makeup Service and Beauty-shop Makeup Service ku Eun-Mi Department of Art Design in Living Graduate School of Design, Daegu University Gyeongbuk, Korea Supervised by Prof. Choi Yeong-R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ing awareness of people in general about makeup, their use of makeup service, preference for on-site makeup service and beauty-shop makeup service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two kinds of service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sales strategy setting for makeup service. It's ultimately meant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makeup service that has newly come into spotlight in the beauty indust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selected people in general across the n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y, 2014,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on-site makeup service and beauty-shop makeup service and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two. The answer sheets from 368 respondents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 20.0. The brief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ender, age and marital status, many of the respondents were female, in their 30s to 50s, and were married. It showed that the main consumers of makeup service belonged to the middle or upper classes. They had a bigger preference for on-site makeup service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it. Second, as to the goal of using makeup service, engagement ceremony and first-birthday party were the most common reason, which implied that makeup service was frequently used for family events. The most dominant route by which they made use of makeup service was the recommendation of families, friends or acquaintances. They had a tendency to give top priority to price and professionalism when they chose a beauty salon.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of the place for the service,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preference for on-site service and beauty-shop service. Third, on-site makeup was more preferred and satisfactory overall. To be specific, this makeup was more favored in terms of convenience.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 on-site makeup was also preferred, and this makeup was more favored in terms of sanitation as well. As for an intention of reuse, many had an intention to use on-site makeup service again. Fourth, on-site makeup was more preferred in terms of convenience. The reason was that the consumers were able to be provided with the service at the place they wanted, and that they didn't have to visit a beauty salon nor had to take time to do that. Fifth, regard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 married consumers had a bigger liking for both kinds of service than the unmarried ones, and the former was more satisfied with the two than the latter. The married respondents had a more intention to reuse the servic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on-site makeup service was more preferred and more satisfactory than beauty-salon makeup service. It signified that on-site makeup service was already one of well-established services in the beauty industry. Specifically, that was considered better in terms of both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level, which affected decision making about reuse.

      • 환경교육전공에 관한 교육대학원의 역할

        구은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교육대학원에 개설되어 있는 환경교육전공의 역사, 목표, 교과과정 등에 대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에서의 환경교육전공에 관한 역사적 배경 둘째, 환경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고찰 셋째, 국외사례연구(호주) 넷째, 문제점 및 개선방향 본 연구의 대상은 환경교육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국내의 5개 교육대학원과 호주의 그리피스대학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성을 지닌 환경교육전공을 갖추기 위해서는, 환경교사로서 지녀야 할 사명감과 도덕심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둘째, 예능 및 취미활동 등 인간성 함양과 관련된 교양 교과과정이 반영되어야 한다. 셋째, 기초학문에 대하여 깊고 풍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일반대학교의 학부 교과과정과 차별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적인 교과교육학을 개발하는 일이다. 이것은 환경교육전공의 교과과정을 전문화하려는 노력이다. 다섯째, 국가의 환경정책에 부응하여 교과목을 구성하며,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 밀접한 관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대학원에 재정과 시설을 충분히 지원하여 보다 발전적인 교육대학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 해주어야 한다. 일곱째, 교육대학원은 상업적이고 경영적인 측면에서 벗어나야 한다. 현행 교육대학원의 환경전공에 관한 심층 연구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교과과정의 기준이 모호하다. 둘째, 교과과목의 내용이 전문성을 강조하기보다는 복잡하며 산만하게 열거 되어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으로서의 특징이 없으며 학부 교과과정과의 차별화가 부족하다. 또한, 호주의 그리피스대학교 대학원 내 환경교육전공 교과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교과과정이 상당히 체계적이며 개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환경교육전공에 관한 교육대학원의 역할을 올바르게 정립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교과과정 편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환경과목의 특성에 맞게 전공과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습득, 사명감, 도덕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과과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환경교육전공만이 가지는 교육대학원의 역할일 것이다. 끝으로, 환경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는 환경과목을 가르치는 학교가 없어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휘 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구와 인류의 미래를 생각해볼 때, 환경과목이 더 이상 선택과목이 아닌 전공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우리나라 환경교육이 세계 여러 나라보다 발전된 교육적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role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environment education major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historical and curriculums of the environment education major provided is in background a few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research approached as follows; first,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major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the peer review of the curriculum of environment education major, third, survey of overseas cases (Australia), lastly, the problems and suggestion of the proposed restruture.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for five domestic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Girifith university of Australi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ollowing conclusious more obtained; first, educational spirit and morality for a teacher must be considered in estalish want of the curriculum. second, general culture courses and major subjects must be appropriately combined. third, more systematic curriculum must be established based or distirctive subjects differing from general bachelor courses. fourth, development of particular subjects is essential to up-grade the environment education. fifth, the curriculum had better be subject to the national policy. sixth, financial support and national concern must be followed. finall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t escape early from the commerce and management.

      •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양육태도와의 상관관계

        구은미 성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세 유아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자녀 양육태도를 3-6 살펴보고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자녀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6세 유아의 어머니의 자아개념은 어떠한가? 2. 3-6세 유아의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자녀 양육태도 간에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S 유치원에 다니는 만 3세 47명, 만 4세 58명, 만 5세 59명 유아의 어머니 16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방법은 질문지 조사법이었다. 본 질문지는 어머니의 자아개념에 대한 검사를 하기 위해 정원식(1968)의 자아개념 검사 도구를 이옥선(1987)이 정선한 것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검사지는 오기선(1965)이 표준화 작업한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지를 공정희(1998), 손금순(2002)이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수정, 보안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경기도에 위치한 사립 유치원에서 2005년 9월 2일에 3, 4, 5세반 유아를 통하여 가정으로 배부한 후 9월 16일까지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기법으로는 빈도, 평균,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표준편차, t검증, 자유도, 유의확률, 그리고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 검증법으로 Scheffe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자아개념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아개념 하위영역별 간에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신체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사회적 자아, 도덕적 자아, 능력적 자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유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어머니의 거부적, 지배적인 양육태도는 높게 나타났고, 유아의 연령이 적을수록 보호적, 복종적, 모순불일치적인 양육태도가 많이 나타남을 의미한다. 셋째,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자녀 양육태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어머니의 자아개념이 긍정적일수록 보호적인 자녀 양육 태도는 많이 나타나지만 거부적, 지배적, 모순불일치적인 자녀 양육태도는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experiment is to see baby's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s children aged 3 to 6 from mothers and also to see mother's concepts and attitudes towards their children. Reserch questions established by this purpose are : 1. What are the concepts of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6? 2. What are mother's attitudes to their children aged 3 to 6? 3. What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s and attitudes? This experiment was done on 47 children aged 3, 58 children aged 4, and 59 aged 5 and their 164 parents all from S nursery and the experiment was done on questionnaire. The experiment was done by giving out questionnaires to children in private nursery to classes for 3,4 and 5 years olds on 2nd September 2005 and have collected them by 16th September.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mothers' self-egos in accordance to the children's ages. However, we found out that there was a correlative relationship among the self-ego subordinate areas. In other words, it meant that there was a cor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go, domestic ego, social ego, social ego, moral ego and ability ego. Secon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with attitudes towards children in different ages. As children gets older, the attitudes of mothers became more dominant and disallowance while mothers are more protective, obedience when their children is young. Third, as mother's concepts are positive, it affected a lot on protective upbringing while it affected a little when the upbringing is more dominant.

      • 자기보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에 관한 연구

        구은미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보호(self care) 아동과 성인보호(adult care)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외통계성을 비교해 봄으로썩 아동보호 상태가 아동의 심리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은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2)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은 내외통계성에 차이가 있는가? 3)계층에 따라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은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4)계층에 따라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은 내외통계성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 개 국민학교 5.6 학년 남녀 아동중에서 자기보호 아동 120 명과 성인보호 아동 118명 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 (1967) 의 아동용 자아존중검사 (Self-Esteem Inventory)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내외통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Nowicki & Strickland(1973)의 아동용 내외통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외통제성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각 t검증을 하였고, 계층에 따른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내외통계성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하여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이에 대한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기보호 아동이 성인보호 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내외통계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세째, 계층에 따른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계층과 보호유형과의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즉 하중일 경우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중상층일 경우에는 자기보호 아동이 성인보호 아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계층에 따른 자기보호 아동과 성인보호 아동의 내외통계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ir a group of self care children with adult care children in self esteem and locus of control.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of self care children's self esteem and adult care children's self esteem ? (2) Is there any difference of self care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adult care children's locus of control ? (3) Is there any difference of self care children's self esteem and adult care children's self esteem according to social class ? (4) Is there any difference of self care children's locus of control and adult care children's locus of control according to social clas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 self care children and 118 adult care children. All subjects were selected from 5,6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o measure children's self esteem, Self Esteem Inventory developed by Coopersmith (1967) was used and to measure children's locus of control, Locus of Control Scale for Children developed by Nowicki & Strickland (1973)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self - esteem score of self care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adult care children.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locus of control between self care children and adult care children. (3) In case of the lower cla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self esteem between self care children and adult care children, but in case of the middle, upper class, the self esteem score of self care children was lower than that of adult care children. (4) According to social cla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locus of control between self care children and adult care children.

      • 다문화 가정의 문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구은미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steeped for the past decade, thus dramatic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immigrants living in Korea. It implies that now, we can easily encounter the immigrants on daily basis. Although the growing number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s caught both the governmental and societal attention, the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new immigrants and our society has remained, therefore leav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dire condition. This study will explain that in order to help the multi-cultural families become the full members of our society, the government must enlarge and improve the literacy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s still by and large rudimentary. Even though our society has already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one, the general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neighbors has not changed accordingly.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only focused on the basic level of their both human rights and welfare in the past five years. It is crucial now to transform the rudimentary welfare policy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concentrate more on how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local citizens and the multi-cultural families. 오늘날 우리사회는 세계화 물결에 따라 국내 거주 결혼 이민자 수가 매년 급속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외국인 이주민은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마주치고 만날 수 있다.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지자체 등에 이르기까지 이들을 위한 국가.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적응적인 의사소통과 실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그러한 도구로 다문화가정의 비문해를 문해화 하는 것의 필요성을 전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사회의 다문화 가정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아직도 도입단계로 보이고 있으며, 다문화 사회로의 불가피한 진입에 따른 다수자의 의식 변화와 내적 역량의 성숙에 따라 점점 더 다문화 모델에 가까운 정책과 제도로 또 하나의 새로운 사회구축 실현이 필요한 때이다. 변화라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변화는 우리의 삶이 되었다. 우리 사회는 다민족화 되어 가는데 반해 아직 우리 사회는 외국인 및 이주민에 대해 관용적이라기보다는 적지 않은 이질감과 거리감을 느끼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새로운 정책 대상의 출현으로 인해 정부는 지난 5년간 다문화 정책으로 이주민의 인권 보호와 기본적인 복지 대책을 펼쳐오고 있었다. 이제는 단순한 복지 정책과 적응이라는 통합지원 사업에서 벗어나 내국인과의 의사소통 및 교류증진을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할 때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다문화 가정의 문해교육 확산은 다문화 인식의 제고와 다문화 가정의 삶의 질 향상 및 소통이라는 보다 의미 있는 우리사회 구성원으로써의 다문화 가정 일원들의 적응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청소년의 적응역량, 사회성 및 생활만족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구은미 강남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helping teenagers in their career decisions. To accomplish this, it confirms the effects of adaptation capability, sociality, and life satisfaction along with the derivation of the comprehensive relations model. On the basis of these, it intends to help teenagers' career decisions as well as enhance the adaptability in their daily life. For the study go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730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to high schools in Kyunggi-do. The data were treat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Maxium Likelihood method(ML) and Kolmogorov-Smirnov test. The consequence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ight adaptation capabilities, self-regulation and control, and relations and communication mad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areer decisions.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actor of life satisfaction affected on the career decisions more than that of the sociality. Third, life satisfaction migh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daptation capability(self-regulation and control) and career decisions. Fourth, the career decisions were affec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daptation capability and sociality. Fifth, the relations between the adaptation capability and sociality can vary with the interaction of life satisfaction and sociality. Throughout the experiment, I can conclude that the adaptation capability has the biggest impact not only on the career decisions, but also self-regulation and control. This point disprove the fact that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willpower needs so as to fulfill what they think right without any reinforcement and penalty. Moreover, the needs of school education or home education aimed at teenagers should emphasize on the capabilities of self-regulation and contro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진로결정에 있어서 적응역량, 사회성, 생활만족도의 효과를 확인하고 종합적인 관계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계획하였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의 적응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진로결정에 도움을 주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45개 중·고등학교의 학생 73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중다회귀분석, 회귀분석, Sobel 검증, 최대우도법(Maxium Likelihood method: ML) 그리고 Kolmogorov-Smirnov 검증이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별 연구결과와 이를 토대로 한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적응역량의 8개의 영역 중 자기조절과 통제, 관계 및 소통이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성과 생활만족도 중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만족도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생활만족도는 적응역량(자기조절 및 통제)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적응역량과 사회성이 상호작용하여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적응역량과 진로결정 간의 관계는 생활만족도와 사회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적응역량이 진로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에서도 조절과 통제가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강화나 벌이 없는 상태에서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학교교육이나 가정교육은 자기조절과 통제력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