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학유고>>와 <<해학유서>>의 문헌학적 검토 ― 한시 작품을 중심으로 ―

        구사회 동양고전학회 2023 東洋古典硏究 Vol.- No.91

        This thesis is a philological study of the Chinese poetry works of Haehak Lee-Ki, who was active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So far, Lee-Ki research has been conducting Haehak YuSeo will published in 1955 as text. Recently, however, Haehak Yugo came out in the family of Lee Ki's descendants. I compared these two sources. However, the Haehak Yugo contained about 100 Chinese poem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Haehak YuSeo. Comparing and checking these two data materials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future research. Because Lee-Ki wandered for a long time, 80~90% of his writings disappeared. After Lee-Ki's death, what his son Nakjo later collected was only about 10-20% of the total works. In particular, a lot of Chinese poetry has disappeared. A lot of prose remained because it came out mainly as official Written, but Chinese poetry was written in the process of exchange between individuals, so it was scattered a lot. Comparing these two data, there were 167 titles 201 poems Chinese poems in the Haehak YuSeo, and 238 titles 301 poems in the Haehak Yugo. More than 100 Chinese poems were included in Haehak Yugo. Looking at this again morphologically, 90% of Lee-Ki's total poems are seven-word poem, and among them, seven-word yulsi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 KCI등재

        한글가사 필사본 <님낭자가랴>에 대하여

        구사회,김영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5 No.-

        새 자료 한글필사본 <님낭자가랴>는 사대부가 여인 임낭자의 삶을 노래한 소설체 형식의 가사이다. 두루마리본으로 크기는 가로 791cm, 세로 26cm이며, 본문은 무려 352행, 글자 수는 7,000여 자에 달하는 장편가사이다. 말미에 ‘신 구월 증양일 등셔랴’라는 필사 기록이 있는데, 본문에 나오는 ‘우포’라는 어휘를 통해서 구체적인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추정되는 필사 시기는 1884년 우정총국 설립 이후에 해당되는 신사년, 즉 1941년 9월 9일이다. <님낭자가랴>는 문학적으로 가사의 성격과 서사구조의 소설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작품이지만, 국어학적으로도 경상도 지역의 방언의 요소를 풍부히 내포하고 있어 문자생활 연구에도 일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당시의 문자 활용과 향유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어휘의 표기 형태와 음운, 문법적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40년대에도 전통적 표기법과 현대 한글맞춤법과 서로 공존한 채, 필사ㆍ유통ㆍ향유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다양한 경상도 방언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Namnangjagarya> is a nonfiction styled gasa which describes the life of Nimnangja(임낭자), a laday from a Sadaebu(士大夫) family. It is a scroll 791 centimeters wide and 26 centimeters long. The text of this full-length gasa contains nearly 352 lines and 7,000 words. With the transcribed passage '신 구월 증양일 등셔랴' at the end of the text, the word 'Upo(우포, 郵票)' can also be an evidence to estimate the specific time. The estimated period of this transcription is Sinsa(辛巳), Sep. 9, 1941, the year after the foundation of Ujeongchongguk(Centeral post office) in 1884. <Namnangjagarya> is a creative work which features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nove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gasa in literature, it, moreover, is full of the elements of Gyeongsang dialects in Korean linguistics that is a contributing factor to the study of Korean characters in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utilization and enjoyment of letters of those days and studied in its word notations, sounds,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is work has verified that traditional notations and modern orthography coexisted, at the same time, being transcribed, distributed, and enjoyed even in 1940's and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Gyeongsang dialects.

      • KCI등재

        새 발굴 자료 한글가사 필사본 <님낭자가랴>에 대하여

        구사회,김영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5 No.-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Namnangjagarya> is a nonfiction styled gasa which describes the life of Nimnangja(임낭자), a laday from a Sadaebu(士大夫) family. It is a scroll 791 centimeters wide and 26 centimeters long. The text of this full-length gasa contains nearly 352 lines and 7,000 words. With the transcribed passage '신 구월 증양일 등셔랴' at the end of the text, the word 'Upo(우포, 郵票)' can also be an evidence to estimate the specific time. The estimated period of this transcription is Sinsa(辛巳), Sep. 9, 1941, the year after the foundation of Ujeongchongguk(Centeral post office) in 1884. <Namnangjagarya> is a creative work which features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nove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gasa in literature, it, moreover, is full of the elements of Gyeongsang dialects in Korean linguistics that is a contributing factor to the study of Korean characters in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been focused on the utilization and enjoyment of letters of those days and studied in its word notations, sounds,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is work has verified that traditional notations and modern orthography coexisted, at the same time, being transcribed, distributed, and enjoyed even in 1940's and identified the actual status of Gyeongsang dialects. 새 자료 한글필사본 <님낭자가랴>는 사대부가 여인 임낭자의 삶을 노래한 소설체 형식의 가사이다. 두루마리본으로 크기는 가로 791cm, 세로 26cm이며, 본문은 무려 352행, 글자 수는 7,000여 자에 달하는 장편가사이다. 말미에 ‘신 구월 증양일 등셔랴’라는 필사 기록이 있는데, 본문에 나오는 ‘우포’라는 어휘를 통해서 구체적인 시기를 가늠할 수 있다. 추정되는 필사 시기는 1884년 우정총국 설립 이후에 해당되는 신사년, 즉 1941년 9월 9일이다. <님낭자가랴>는 문학적으로 가사의 성격과 서사구조의 소설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작품이지만, 국어학적으로도 경상도 지역의 방언의 요소를 풍부히 내포하고 있어 문자생활 연구에도 일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당시의 문자 활용과 향유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어휘의 표기 형태와 음운, 문법적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1940년대에도 전통적 표기법과 현대 한글맞춤법과 서로 공존한 채, 필사ㆍ유통ㆍ향유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다양한 경상도 방언의 실태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새로 나온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와 한시 작품들

        구사회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6 No.-

        최근에 필자는 송만재의 <관우희>와 그의 한시 작품이 실린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였다. 그것은 『판교초집(板橋初集)』이라는 서책인데, 일반 한시 24수가 담긴 「옥전잉묵(玉田賸墨)」과 연희시가 실린 「관우희오십절(觀優戱五十絶)」로 편제되어 있었다. 이들 작품들은 자하 신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완성되었다. 지금까지 <관우희>는 연세대학교 탁사문고에 유일하게 필사본이 수장되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원전비평의 관점에서 연세대본과 구사회본을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이들을 ‘누락 글자의 여부, 다른 표기, 글자 도치, 통용글자’의 순서로 검토하였다. 주목되는 것은 그동안 연세대본에서 결자(缺字) 상태로 있었던 <관우희> 50절의 제4수와 제29수의 두 글자를 구사회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이었다. 그것은 ‘書’자와 ‘節’자였다. 이외에도 표기가 다른 16자가 있었다. 서발(序跋)에도 누락 글자가 있었는데, 표기가 다른 19자가 있어서 바로잡을 수 있었다. 구사회본에도 오자가 하나 있는데 발문에 있는 ‘桑門濮上’의 ‘門’자이다. 이것은 ‘間’을 잘못 적은 것이었다. 한 마디로 이번에 새로운 필사본이 나오면서 그동안 연세대본이 가지고 있었던 부분적인 오탈자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되었다. 연세대본은 구사회본에 비해 오탈자가 많았다. 이번에 새로 나온 구사회본이 기존의 연세대본에 비해 원본에 근접하고 있었다. 한편, 이번에 나온 자료를 통해 송만재의 한시 작품 24수를 새로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옥전잉묵」에 실려 있는 한시는 <관우희>가 창작된 1843년 즈음에 송만재가 판교에 거주하면서 지은 것으로 짐작된다. 시를 통해서 그의 교유 관계도 어렴풋하게 짐작할 수 있었다. 한편, 산거 생활을 하면서 지녔던 그의 자연 미감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가 양반 출신이면서도 미관말직을 전전하였던 것은 서자(庶子)이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울러 신위와 송만재의 연결고리는 같은 당색인 소론(少論)으로 짐작된다. This study analyzed newly discovered <Gwanwoohee(觀優戱)> and poems in Chinese letter written by Song Man-jae. These are listed in the publications called 『Pangyochojib(板橋初集)』-its collector is GuSawhae in Sunmoon university. 『Pangyochojib』is formed of 「Okjeonyingmuk(玉田媵墨)」 composed of 24 general poems in Chinese letter and 「Gwanwoohee」 including a playing poem(演戱詩). <Gwanwoohee> written by Song Man-jae is an important material essential in study of Pansori in late Chosun dynasty. And as this time, new transcribed version of Song Man-jae was discovered, <Gwanwoohee> has two versions - Yonsei university and GuSawhae. From view of criticism on original text, version of Yonsei university and version of GuSawhae were compared each other. In the process, two letters on the fourth poem and the 29th poem of the fifty works which had remained in the state of omitted word, were identified through version of GuSawhae. The letters are ‘Seo(書)’ and ‘Jeol(節)’. It could be said that version of GuSawhae is more close to original version rather than version of Yonsei university. Moreover, through new material appeared this time, 24 general poems in Chinese letter written by Song Man-jae can be accessed though they are only 24 poems.

      • KCI등재

        한창기본 <슉영낭자젼> 소재(所在) 가사 작품 8편에 대하여

        구사회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1 No.-

        전남 순천의 뿌리깊은나무 박물관에는 한창기(韓彰琪, 1936~1997)선생이 평생 수집한 6,500여점의 자료가 수 장되어 있다. 이곳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소설 <슉영낭ᄌᆞ젼>에는 8편의 가사 작품이 필사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가사 8편은 <규영헌가>․<사낭자석별가>․<사모가>․<계ᄆᆡ사>․<동상연분가>․<직여사>․<셰 황가>․<바늘가>이다. 이 중에서 새로운 작품은 모두 5편으로 <규영헌가>․<사모가>․<계ᄆᆡ사>․<셰황가>․<바늘가>이다. <사모가> 는 사친연모류 규방가사의 일종이고 <계ᄆᆡ사>는 계녀교훈류 규방가사의 일종으로 이들과 유사한 이름의 작 품들이 많다. 하지만 한창기본은 기존 작품의 내용과 전혀 다른 새로운 작품이다. <규영헌가>는 한국가사문학 관에 가사 제목과 첫 구절만 전하며 이번에 나온 한창기본을 통해 그 전모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작품이다. <셰황가>와 <바늘가>는 예전에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다. 다만, <바늘가>는 가사 작품의 일부 만 기록되어 있다. 나머지 <사낭자석별가>․<동상연분가>․<직여사>는 이미 학계에 알려진 것으로 새로운 작품이 아니다. 그렇지 만 다른 <동상연분가>와 <직여사>에는 누락 부분이 있었다. 이번 검토를 통해 뿌리깊은나무 박물관에서 소장 하고 있는 한창기본이 원전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헌 자료에 대한 수집과 해체의 측면에서 이들 가사 작품의 생성 공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작품들은 경 북 내륙 지방에서 창작되어 수집과 공간 이동의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인다. <규영헌가>와 <사낭자석별가>는 경북 영주에서, <사모가>는 경북 안동 지역에서 작품이 생성되었다. 이 점은 박순호가 소장했던 <사낭자석별 가>와 <규영헌가>, 그리고 <용암산 화전>을 통해 그대로 확인된다. 한 마디로, 한창기본 <슉영낭ᄌᆞ젼>에 부기된 가사 작품 8편의 자료적 가치는 높다. 여기에는 지금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가사 작품이 5편이나 있었고, 이미 알려진 작품도 완성도가 높아서 기존의 작품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Deep Rooted Tree Museum in Suncheon, Jeonnam preserved 6,500 resources which Han Changki collected for his entire life. In the museum, it was confirmed that 8 Gasa works of old novel <Sukyoungnangnajeon> were transcribed. Those include <Gyuyoungheonga>, <Sanangjaseokbyeolga>, <Samoga>, <Gyemaesa>, <Dongsangyeonbunga>, <Jikyeosa>, <Sehwangga> and <Baneulga>. Among them, <Gyuyoungheonga>, <Samoga>, <Gyemaesa>, <Sehwangga> and <Baneulga> are new works that have not been known. And <Dongsangyeonbunga> and <Jikyeosa> were already known to the academic circle which are not new. And, these contained parts that are not in the existing works. This seemed to be omitted during transcription.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some part of Gasa was omitted during transcription. And, it is conjectured that these works were composed or transcribed in Yeongju area, Gyeongbuk in the late 19th centur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선후기 이창중(李昌仲)의 연연정창수록(然然亭唱酬錄)과 새로운 국문시가 작품들

        구사회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This thesis is a study of Yeonyeonjeongchang-Surok( 然然亭唱酬錄 ) left by Lee Chang-Jung, a classical scholar in the 18th century. He moved to Hwasan, Gunwi in Gyeongsang-do around 1700. He set up a grass-roofed house and pavilion there, and he operated a poetry meeting. The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poetry meeting were composed of yangban(gentry) or commoner. Most of them are people who are not known today. Yeonyeonjeongchang-Surok contains Chinese poems of literary men who participated in the poetry meeting and 9 poems of Yeonsijo <Chunjiilgagok(天地一家曲)> as well as 1 Gasa of <Byeongdaesa(屛臺詞)> composed by Lee Chang-Jung who was the central figure of the meeting. These works are new works not known to the academic world until now. The Yeonsijo <Chunjiilgagok> of Lee Chang-Jung is a work that symbolizes the desirable attitude of life to be taken by humans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neo-Confucianism. <Chunjiilgagok> is fully covered with instructive substances that humans should refrain from desire as a brother of one body and restore the inherent intellect that was granted from heaven. On the other hand, it is thought that the Gasa of <Byeongdaesa> is the work that shows the contents of concrete practice about the author's "Anbinnakdo" presented in the paragraph 9 of <Chunjiilgagok>. Chinese poems or Korean poems of Lee Chang-Jung contained in Yeon- yeonjeongchang-Surok deeply projected ideas and literary world of Dugok Goeungcheok (1531~1605) who was active more than 150 years earlier than Lee Chang-Ju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Lee Chang-Jung was closely related to Dugok Goeungcheok. 이 논문은 18세기 초기에 이창중(李昌仲, ?~?)이 주도한 시사(詩社)에서 나온 자료집인 연연정창수록 의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창중은 17세기 후기에 경상도 선산에서 태어나서 주로 숙종 연간에 활동했던 지방 문인이다. 그는 1700년을 전후로 선산에서 살다가 16세기 중기에 두곡 고응척(1531~1605)이 머물렀던 화산으로 이주하였다. 이창중은 그곳에 초옥과 정자를 마련하고 ‘연연정시사(然然亭詩社)’를 운영하였다. 여기에 참여했던 인물은 문무 양반 또는 중인들로 구성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오늘날 알려진 바가 없는 지방 문인들이었다. 연연정창수록 에는 시사에 참여했던 문인들의 한시 작품과 중심인물이었던 이창중이 지은 연시조 <천지일가곡> 9수과 가사 <병대사> 1편이 수록되어 있었다. 이들 작품은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국문시가이다. 일단 이창중의 연시조 <천지일가곡>은 고응척의 그것을 전범으로 삼은 것이다. 하지만 이창중은 고응척처럼 추상적인 범주에 머물지 않고 그것을 보다 구체화하여 천지를 일가로 하는 ‘형제’로 규정하고 그것을 인간애의 차원에서 적용을 모색하였다. 더 나아가서 이창중은 그와 같은 인간의 본연지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책으로써 세속적인 욕망이나 이해를 벗어나 산수에 귀의하여 ‘안빈낙도’를 찾는다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에 가사 <병대사>는 이창중이 <천지일가곡>에서 제시했던 ‘안빈낙도’에 대한 구체적 실천 내용을 보여주는 작품이라 하겠다. 그것은 농어촌의 생활상이나 일상 취흥을 읊고 있는 것이 아니다. <병대사>는 복잡한 세속을 벗어나 산수에 의지하여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은자적 삶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강호가사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런데 이창중의 <병대사>는 자신이 흠모했던 고응척이 남긴 가사 작품인 <도산가>와 좋은 대비를 이룬다. 고응척의 <도산가>는 그가 타의에 의해 현실 참여의 좌절로 말미암아 은거를 지향하는 삶을 담고 있다. 반면에 이창중의 <병대사>는 천성을 보존하며 자신의 진정한 삶을 영위하고자 늙어서라도 세속을 벗어나 자연에 의지하며 살아간다는 내용이다. 문학사적으로 이창중의 한시나 국문시가를 살펴보면, 그는 자신보다 150여 년이나 앞서 활동했던 두곡 고응척(1531~1605)의 사상과 시의식이 깊이 투영되어 있었다. 그는 고응척의 삶과 정신, 그리고 시가문학을 본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그는 조선중기 이래로 선산지역에서 이뤄진 朴英(1471~1540), 朴雲(1493~1562)에서 고응척으로 이어지는 학문 세계를 계승하고 있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다산 박영철의 세계기행과 시적 특질

        구사회 열상고전연구회 2014 열상고전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다산(多山) 박영철(朴榮喆, 1879~1939)이 1928년 여름에 세계 12개국을 여행하면서 지었던 기행시를 고찰한 것이다. 박영철 일행이 세계 여행 을 떠난 것은 이 해 7월 28일에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는 제9회 국제올 림픽대회를 참관하기 위해서였다. 박영철은 세계 여행을 하면서 틈틈이 견문과 감 회를 시로 형상화하였다. 그리고 돌아와서 여행 중에 지었던 한시 33수를 모아서 구주음초(歐洲吟草)라는 기행시집을 발간하였다. 당시 박영철 일행의 세계기행은 국제올림픽대회 겸 유럽 대도시 방문시찰단이 라는 명목으로 이뤄졌지만 실제로는 언론사에서 주도했던 상업 여행의 일종이었 다. 이들 시찰단은 6월 28일에 경성역을 출발하여 압록강을 넘어 봉천과 하얼빈 을 지나 이르쿠츠크로 갔다. 그곳에서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타고 모스크바를 거쳐 유럽으로 가서 폴란드, 독일, 벨기에,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 스위스, 이탈리아 를 방문하였다. 돌아오는 길은 지중해와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와 인도양을 지 나 중국과 일본을 거쳐 동래항을 통해 입국하였다. 당시 우리나라에서 유럽으로 가는 길은 대부분이 동지나와 인도양을 지나 수에 즈 운하와 지중해를 통해서 들어갔다. 때로는 태평양을 건너 미대륙을 횡단하여 유럽으로 간 경우도 있었다. 그런데 박영철은 중국과 러시아 시베리아를 통해 모 스크바를 거쳐 유럽으로 들어갔다. 박영철의 기행 한시는 크게 두 방향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여행 중의 견문이나 풍광에 대한 미감, 또는 이국적 풍물을 형상화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작자가 여행 중에 서구의 근대문명을 접하면서 그들을 타자로 인식하여 자신의 문명담론이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투영시킨 것이다. 주목되는 것은 후자의 경우이다. 그것에는 일제가 조선 침략을 은폐하고 호도하려는 친일담론이 내재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는 친일파 일물로써 조선의 문명개화를 위해서는 식민통치를 감수하더 라도 일제의 선진 문명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문명담론을 추종하고 있었다. 한 마디로 박영철이 세계를 기행하고 지은 이들 기행 한시들은 친일담론을 바탕 으로 지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박영철의 친일문학은 그의 친일 행 적과 함께 이미 역사적 단죄를 받았다. 앞으로 일제강점기에 지어졌던 여러 문인 들의 친일한시에 대한 보다 진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avel poetry of Park Young Cheol(1879~1939), a pro- Japanese figure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during his world tour. On July 28, 1928, he travelled 12 countries for 3 months to attend the 9th Olympic Games held in Amsterdam in the Netherlands. After his return from travel, he published a travel poetry book Gujueumcho with his 33 Sino-Korean poems. In the next year, he published his autobiography Retrospection of 50 years which he included his travel essay together with his travel poetry book. The travel group started from Gyeongseong Station on June 28 and passed through Amrok River, Bongcheon, and Harbin. At Irkutsk, they took the Trans-Siberian Railway and went to Europe via Moscow. At Europe, they visited Poland, Germany, Belgium, the UK, the Netherlands, France, Swiss and Italy. For his return voyage, he went to the Red Sea and Indian Ocean through the Mediterranean and the Suez Canal and passed Singapore, China and Japan. Then, they arrived at Busan Dongnae Harbor. Park Young Cheol’s travel poetry is roughly divided into two. One is, like other persons’ poem, the embodiment of feeling of the scenery and experiences during the travel and curiosity of exotic customs. The other is to project his own civilization discourse or ideology while recognizing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s the other. The latter is problematic. It is because Japan intended to conceal and mislead the process of invasion to Joseon. Likewise, Park Young Cheol, as a pro-Japanese figure, supported a distorted civilization discourse of Japan that Joseon had to accept advanced civilization of Japan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despite the sufferings of the colonial re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