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藝林』에 수록된 金笠(김삿갓)의 漢詩

        구본현 한국시가학회 2019 韓國 詩歌硏究 Vol.46 No.-

        조선 말기 한시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준 金笠(김삿갓)은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진 한시 작가이다. 김립의 한시는 당대부터 간간이 채록되었으나 李應洙에 이르러서야 대대적으로 수집・정리되었다. 오늘날 전해지는 김립 한시의 대부분은 이응수가 편찬한 『詳解 金笠詩集』(1939년), 『大增補版 金笠詩集』(1941년), 『풍자시인 김삿갓』(1956년)에 수록되어 있다. 이응수의 수집 이후 새로 발굴된 김립 한시는 편수가 많지 않으며 최근에 발굴된 것들은 대부분 大古風과 科體詩이다. 아직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藝林』은 1책의 한문 필사본 詩文集인데, 여기에는 김립과 연관된 시가 33편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7편은 김립의 시가 아닌 것으로 보이며 3편은 김립과 수창한 인물의 시이다. 이상 10편을 제외한 23편이 김립의 시라 할 수 있는데, 이 중 18편은 기존에 알려진 것들이다. 그러나 제목과 내용에 차이가 있어 향후 김립 한시의 정본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예림』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5편의 김립 한시가 수록되어 있다. 대고풍과 과체시가 아닌 오언과 칠언의 일반 한시이기에 자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참신한 시상과 기발한 표현을 지녀 김립의 다른 작품들과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다만 김립의 작품 가운데 위작이나 가탁이 발견되곤 하므로 진위에 대해서는 보다 자세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자연환경시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구본현,변병설 국토지리학회 2010 국토지리학회지 Vol.44 No.2

        With people’s sense level improved, the demand of most people for the ecological experience that make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visit to nature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ecological environment has been worsening due to the absence of the strategy in terms of the systematized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nature,especially it is not thoughtful enough to make the policy and plan concerning natural protection, the formation of related facilities, and operation administration. The study will analyze the focus of question based on each course which is made and managed for a more effective formation of the increased facility of natu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its utilization, meanwhile, the study will also find the impr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For the activation of the facility of natu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 its utilization, it is more necessary to focus on qualitative growing compared with quantitative extension,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system supplementation and the build of judgement system through budget. Besides, it is also necessary for government to ensure human strength and form the nature friendly composition, meanwhile, government should vitalize citizen’s participation and monitoring for sustain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우리나라에서는 국민들의 의식수준 향상으로 대다수 국민들의 자연자원을 이용한 생태체험 및 자연탐방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체계적인 자연자원의 보전 및 이용전략의 부재로 인해 생태환경이 악화되고 있고, 특히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의 조성 및 운영관리에 대한 제도 및 대응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증가되고 있는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의 보다 효율적인 조성을 위해 설치 및 관리의 각 과정별로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의 양적인 확대보다는 질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제도적인 측면을 보완하고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사업이 잘 진행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사업과정 중에는 전문인력을 확보하여 일관성 있고 친자연적인 조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관리와 운영을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모니터링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권필과 이안눌의 교유와 문학 활동

        구본현 국문학회 2006 국문학연구 Vol.14 No.-

        The Companionship and Literature of Gwon Pil(權韠) and Yi An-nul(李安訥) Gu, Bon-hyun Gwon Pil(權韠) and Yi An-nul(李安訥) were the most famous poets in Mongneungseongse(穆陵盛世). They has kept company with each other from young ages. Their families were both famous, because their ancestors were great poets & writers. In Andong Gwon Family(安東權門), Gwon Geun(權近) and Gwon Byeok(權擘) were great writes. Yi Eui-mu(李宜茂), Yi Haeng(李荇) were also famous poets in Deoksu Yi Family(德水李門). Two familes were noblest in early Joseon dynasty, but had declined in 16th century. Gwon Pil and Yi An-nul applied for Gwageo(科擧) in young ages, but both failed. Gwon has never applied again, but Yi passed in 1599. Yi spent all life as civil officer from that time. Gwon and Yi criticized Songsi(宋詩) and recognized Seongdangsi(盛唐詩) as a good model together, but their poetical style and technique were so different. Gwon studied all of poetical style, not discriminate Dangpung(唐風) and Songpung(宋風). Yi was so eager for studying Hanyu(韓愈) and Dubo(杜甫). And he devoted himself to training poetical techniques. Critics of those days criticized that Gwon’s poetry were too dry, and Yi’s poetry were too monotonous. But Gwon and Yi succeeded to make new poetic styles, so it is obvious that they were important poets of Mongneungseongse.

      • KCI등재

        『文學思想』 수록 金笠 漢詩 연구

        구본현 한국한문고전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9 No.1

        Difficulties in research on Gim Rip[金笠] also known as Gim Sat-gat[김삿갓] come from two main reasons. One is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Gim is referring to Gim Byeong-yeon[金炳淵] or several poets of similar ag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no documented records of Gim's life. Second is the authenticity of Gim's works. Since the works created before the name 'Gim rip' was talked about were misinformed as Gim rip's,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must be made thoroughly. Most of what is said to be Gim's works is based on the efforts of Li Eung-su[李應洙]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Li collected and organized Gim's poems and published three versions of Gim’s anthology. Later, Gim's new works were discovered and introduced from time to time, and the most notable among them is Gim's 12 poems in Muhaksasang[文學思想] the February issue of 1983. The reason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we can find a few evidences indicating that the author named 'Gim Rip' is Gim Byeong-yeon. There is a poem indicated the author as ‘Nan-go’, the nickname of Gim Byeon-yeon. Poetry given to Gim Hoi-myeong[金會明], who was serving as a governor of Yeonggwang[靈光], shows that the author had known Gim Hoi-myeong before. Considering that Gim Hoi-myung and Gim Byeong-yeon are from Andong Gim family, the author of the poem can be considered Gim Byung-yeon. Second, the works created in Yeonggwang and Gokseong[谷城] are included. These areas are close to Hwasun[和順] where Gim Byeong-yeon stayed for a while and died in 1863. Therefore, through the review on these poems, the traces of Gim's later years can be verified in more details. Third, There are four Yeongmulsi[詠物詩] that can be compared with Gim's another works that reveal Gim's poetic talent and individuality. Gim was famous for his Yeongmulsi which reveal new perspectives and novel expressions on surrounding things. This feature is also reflected in the Yeongmulsi in Munhaksasang. 金笠[김삿갓] 연구의 어려움은 크게 두 가지에서 비롯한다. 하나는 ‘김립’이라는 명칭이 金炳淵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복수의 방랑 시인을 포함하는 말인지 구분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곤란은 김병연과 그 작품에 대한 문헌 기록이 매우 소략하다는 사실에서 비롯한다. 둘째는 현전하는 김립 작품들의 진위 여부이다. ‘김립’이라는 명칭이 회자되기 전에 창작된 작품들이 김립의 것으로 와전된 경우가 확인되는 만큼 이에 대한 고증이 필요하다. 현재 김립의 작품이라 전해지는 것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李應洙의 노력에 의한 것이다. 이응수는 김립의 작품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세 종의 시집을 간행하였다. 이후 김립의 새로운 작품이 간간이 발굴되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이 1983년 『문학사상』 2월호에 수록된 김립의 한시 12편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金笠’이라 표기된 작자를 김병연으로 추정할 수 있는 간접적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영광군수로 재직 중이던 김회명에게 준 시에는 작자가 이전부터 김회명을 알고 있었다는 내용이 보인다. 여기에 김회명과 김병연이 같은 안동 김씨 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비록 추정이기는 하나 이 시의 작자를 김병연이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전남 영광과 곡성 등 호남에서 지은 작품 다수 수록되어 있다. 이 지역들은 김병연이 사망한 곳으로 알려진 전남 화순의 동복면과 가까운 거리에 있다. 만약 이 시들의 작자가 김병연이라면 김병연의 만년 행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기존에 소개된 김립의 영물시와 비교해 볼 만한 작품이 4편 수록되어 있다. 김립은 사물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기발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영물시 창작에 뛰어났는데, 『문학사상』에 수록된 영물시에서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화곡(華谷) 황택후(黃宅厚) 한시 연구

        구본현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1

        Hwang Taek-hu[黃宅厚] is a poet from Gyeongajeon[京衙前] family who was active in the year of King Sukjong and Yeongjo in Joseon dynasty. As a young man, he kept companies with famous literary men such as Choi Chang-dae[崔昌大] and I Ha-gon[李夏坤],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of poetry, such as Seosa[西社]. Ever since becoming a petty official, he has been working in provinces by performing secretary of local jurisdiction all the time. Since he was from a family that had lived through the generations of Gyeongajeon, Hwang Taek-Hoo was able to receive education comparable to that of the nobility family from a young age, and through this, he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oets of the nobility. Based on the ability of literacy and administration, it was possible for capital’s petty officials to obtain the recognition and support of the bureaucrats and civil officers and thus they could take the lead of the literary world on behalf of the medical officers and official interpreters. It seems that Cheongiron[天機論] and Jinsiron[眞詩論], which were raised around by Gim Chang-heup[金昌翕] and Hong Se-tae[洪世泰], who were one generation ahead of Hwang Taek-hu, became the ideological grounds for the activation of Wihang[委巷] literature. The influence of Cheongiron and Jinsiron appears in the literature of Choi Chang-dae and I Ha-gon who associated with Hwang Taek-hu, and is confirmed in the literature of Hwang Taek-hu.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Yeongmul poetry[詠物詩] of Hwang Taek-hu, the tendency to awaken natural laws through observation of surrounding objects and attempt to use it as the basis for moral cultivation is well shown. In the effort to express the honest feelings and perceptions that are created in the encounter with things, we can confirm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aimed at real poetry. To restore the value of real poetry, it was emphasized that practice steadily on imitating classical style, this tendency is also seen in the literature of Hwang Taek-hu. On the other hand, in the literature of Hwang Taek-hu, there are no expressions of unpleasantness and discomfort that are cited as general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f middle class men. This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ocial success of Hwang Taek-hu with the recognition of the high officials. Because of his activities in the outside, which occupy most of his life, he tended to consciously emphasize his willingness and vigor. 황택후(黃宅厚)는 조선 숙종ㆍ영조 연간에 활동한 경아전 출신의 위항시인이다. 젊은 시절에 최창대(崔昌大), 이하곤(李夏坤) 등 명유(名儒)와 교유하였고 서사(西社) 등 위항인의 시사(詩社)에도 참여하였다. 금위영의 서리가 된 이후 줄곧 지방관을 수행하며 외방(外方)에서 근무하였고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여 공적을 쌓기도 하였다. 경아전 집안 출신인 까닭에 황택후는 어렸을 때부터 사대부 가문에 버금가는 교육을 받을 수 있었고 이를 통하여 사대부 문인 및 위항시인들과 교유할 수 있었다. ‘능문능리(能文能吏)’의 능력을 갖춰 사대부들의 인정을 받았던 경아전 출신 위항인들이 의역(醫譯) 출신의 위항인들을 대신하여 시단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하는 양상을 황택후의 생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황택후보다 한 세대 앞선 김창흡, 홍세태 등을 중심으로 제기된 천기론(天機論)과 진시론(眞詩論)은 위항문학 활성화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는데, 이러한 문학관은 황택후뿐만 아니라 그와 교유한 최창대, 이하곤의 경우에서도 확인된다. 황택후의 영물시에는 주변 사물에 대한 관찰을 통해 천리(天理)를 깨우치고 이를 수신(修身)의 바탕으로 삼으려고 한 경향이 잘 나타난다. 접물(接物)에서 비롯하는 솔직한 감정과 인식을 표현하고자 한 것을 통해 ‘진시(眞詩)’를 목적으로 삼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시(詩)』, 한위(漢魏)의 고시, 성당(盛唐)의 악부시(樂府詩) 등을 진시의 모범으로 삼고 의고(擬古)를 통해 그 경지에 도달하려는 복고(復古)의 방법이 강조되었는데 황택후의 문학에도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다. 한편 황택후의 문학에는 위항문학의 일반적 특징으로 거론되는 불평음(不平音)과 협기(俠氣)의 표출 등은 보이지 않는다. 이는 황택후가 사대부 관료들의 인정을 받아 사회적 성공을 거둔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젊은 시절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애를 외방에서의 안찰(按察) 활동으로 보냈기 때문에 호기(豪氣)나 의기(意氣)를 의식적으로 강조하는 경향을 지니게 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