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에 나타난 가톨릭 학교 사명의 실천적 구현

        구본만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0 No.15

        「The Catholic School」 draws attention to a specific, two-fold mission: ‘The critical, systematic transmission of culture in the light of faith(the integration of culture and faith)' and 'the bringing forth of the power of Christian virtue(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ife)'. To implement this mission, it is not sufficient to present it as a vision statement indicating ways in which a Catholic school can move forward. In terms of the Church, implementing its educational mission in the context of specific schools requires that it be translated into pedagogical terms and its meaning interpreted from that perspective. This means making use of a process that seeks feasible ways to deliver a truly Catholic education. When the mission is interpreted from a pedagogical standpoint, it becomes possible to encounter concrete ways to carry out its two-fold aspect. Implementing these way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ccessfully actualizing the 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from the standpoint of pedagogy, the two-fold aspect of the Church’s educational mission presented in 「The Catholic School」. In doing so, the study explore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involved and suggests a practicable model to implement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in an effective way. When brought to fruition in the context of specific schools, three practical orientations of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viz., the 'pursuit of truth and value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virtue', and 'the building up of a community in which faith in Christ can be guided' can be translated into pedagogical terms: 'professionalism', 'learning', and 'community'. These three terms describe the essenc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 PLC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shared mission and vision, and values; shared leadership and empowerment; the practice of collective inquiry and collaboration; the building up of trust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strong community support. In applying these characteristics, a PLC offers important practical ways to implement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one that encompasses ‘the holistic development of the human being through evangelization.’ A PLC leads community members to willingly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in bonding themselves to a shared mission, vision, and values. This being so, the Catholic school ought to become a PLC that forms professionals in the pursuit of truth, men and women who possess and practice Christian virtues in their lives. Looked at in this way, building a PLC in Catholic schools offers an important and practical means to carry out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은 가톨릭 학교의 특수 사명이 ‘신앙의 빛으로 문화를 비판적․체계적으로 전달하는 것(문화와 신앙의 통합)’이요, ‘그리스도인 덕성을 배양하는 것(신앙과 생활의 통합)’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명은 개별 가톨릭 학교가 그것을 학교의 이념과 비전으로 표방하는 것만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교회적인 용어로 표현된 사명이 학교교육 현장에서 의미를 갖고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육학적 용어로 번역되고 해석될 필요가 있다. 사명의 교육학적 해석은 다른 말로 하면 사명의 실천 가능한 접근 방법을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사명이 교육학적으로 해석될 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방안들의 실천은 사명을 현실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에 나타난 가톨릭 학교의 사명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러한 해석에 따라 사명 구현을 위한 하나의 실천적인 모델을 제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와 진리 추구’, ‘지식과 덕성의 통합’, ‘그리스도께 대한 신앙을 촉진하는 장 형성’이라는, 가톨릭 학교 사명의 세 가지 실천 방향성은 학교 현장에서 실천될 때, ‘전문성’, ‘학습성’, ‘공동체성’이라는 교육학적 용어로 번역될 수 있다. 전문성, 학습성, 공동체성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본질을 설명하는 개념들이다.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사명과 가치, 비전과 목표의 공유; 리더십의 공유와 권한부여; 공동 연구와 협력; 신뢰 구축과 공동 책임; 공동체적 지원이라는 특징들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가톨릭 학교가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이라는 사명을 실현해 나가는 하나의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이 공동체가 공동체 구성원을 공유하는 사명과 가치, 비전에 결속시켜 같은 목표를 향해 기꺼이 협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톨릭 학교는 진리를 추구하고 그리스도교 덕목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가톨릭 학교 자체가 전문적 학습 공동체로 변화하는 것이 곧 자신의 사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중요한 실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격주의 인성교육의 실천 방향

        구본만 한국종교교육학회 2015 宗敎敎育學硏究 Vol.4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인격 성숙에 초점을 맞춘 인성교육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교에서 구현 가능한 인성교육의 실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90년 대 중반부터2015년 현재까지 한국 사회에서의 인성교육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한국 사회에서 인성은 인간의 본성, 품성, 개성, 인간됨, 성격, 전인성, 도덕성, 덕, 도덕적 인격등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된 개념으로,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인간이 지향하고 성취해야 할 바람직한 성품이나 인간의 본성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연구 대부분의 인성 개념은 인간에 대한 현상학적⋅사회과학적 이해에 기반을 둔 개념으로, 육체적⋅감각적 존재인 동시에 영적⋅ 정신적 존재이기도 한 인간에 대한 총체적 이해에 바탕을 둔 개념이라고 보기 어렵다. 존엄한 존재인 인간을 가장 잘 드러내는 용어는 ‘인격’이고, 따라서 인성교육은 완전하고 성숙한 인격을 함양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인격적 성숙에 핵심 가치를 두는 ‘인격주의 인성교육’은 학교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인격주의 인성교육은 인격의 고유한 속성인 주체성, 공동체성, 존엄성의 세 차원을 통합적으로계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 핵심 실천 방법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협력’과‘봉사’인데, 그 이유는 협력과 봉사가 인격의 세 차원을 통합적으로 계발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면서 깨달음-실천-습성화를 동시에 가능하게 해 주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향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학교 인성교육의 한 가지 모형으로서 협력과 봉사에 기초한‘인격주의 인성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협력과 봉사의 두 축을 중심으로 교과와 비교과를 일련의 트랙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3년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앎(깨달음)과 실천을지속적으로 체험하면서 자연스럽게 핵심역량을 개발해 나가도록 편성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 KCI등재

        ‘종교학’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방향

        구본만 한국종교교육학회 2013 宗敎敎育學硏究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a ‘Religion’ digital textbook being developed for 2015,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SMART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as published on June 29, 2011. I propose two developmental directions. Above all, I suggest establishing a creative paradigm that maximize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Religion digital textbook. This paradigm would one of digital storytelling. Digital storytelling is a good method that maximize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functions of such a textbook by creatively combining a digital-based paradigm with storytelling-based technology. Next I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a Religion digital textbook based on such a creative paradigm that uses digital storytelling. I propose a total of nine developmental directions consisting of four dimensions: Basic Principle, Contents and Structure, Functions and Technology, and Teaching and Learning. When developing a digital textbook, the last three of these dimensions are considered in terms of synthesis and integration because they work in reciprocal ways. Above all the Basic Principle has to do with addressing the need for a digital textbook that focuses on the student’s growth as a whole person. This first direction is the underlying principle and purpose that support the other eight directions. The dimension of Contents and Structure includes the next four directions: direction 2) realizing phasing in an extension of knowledge; 3) providing a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4) developing an open textbook that implements participation-interactivity-collaboration-creating a shared knowledge; and 5) developing edutainment [interactive] storytelling contents. The dimension of Functions and Technology consists of three directions: 6)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Web 2.0; 7) offering useful and user-friendly functions; and 8) eliminating elements that hinder the flow and the motivation of students. The direction of the dim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volves 9) developing an effective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 Religion digital textbook.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스마트교육 추진 정책(2011.6.29)에 따라 2015년까지 개발되어야할 종교학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개발 방향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종교학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창작 패러다임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창작 패러다임은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패러다임으로서의 디지털과 창작 기술로서의 스토리텔링의 결합을 통해 디지털교과서의 교육적 효과와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는 확립된 창작 패러다임에 따라 교과서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발의 기본 방향은 기본 원칙, 내용구성/구조적 측면, 기능/기술적 측면, 교수⋅학습측면에서 총 아홉 가지이다. 이 중 내용구성/구조, 기능/기술, 교수⋅학습 등의 세 측면은 상호영향을 주고받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교과서 개발 시 종합적⋅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세 측면을 통합시키는 기본 원칙은 1)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으로, 이는 교과서 개발의 첫 번째 방향이다. 이 방향은 다른 여덟 방향들의 원칙인 동시에 목적이기도 하다. 내용 구성 및 구조적 측면에는 네 가지 방향이 속한다. 2)앎의 단계적 확장 구현, 3)보편적 학습 설계, 4)참여-상호작용-협력-공유지식 창출이 가능한 열린 교과서 지향, 5)에듀테인먼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콘텐츠 개발 및 확보가 그것들이다. 기능 및 기술적 측면에는 세 가지 방향이 속한다. 6)웹 2.0의속성 적용, 7)사용하기에 용이하고 유용한 기능 제공, 8)학습자의 몰입(flow)과 동기유발을 방해하는 장애요소 제거 등이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 측면의 방향으로는 9)종교학 디지털교과서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 개발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에 나타난 가톨릭 학교 사명의 실천적 구현

        구본만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9 가톨릭신학 Vol.15 No.-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은 가톨릭 학교의 특수 사명이 ‘신앙의 빛으로 문화를 비판적ㆍ체계적으로 전달하는 것(문화와 신앙의 통합)’이요, ‘그리스도인 덕성을 배양하는 것(신앙과 생활의 통합)’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명은 개별 가톨릭 학교가 그것을 학교의 이념과 비전으로 표방하는 것만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교회적인 용어로 표현된 사명이 학교교육 현장에서 의미를 갖고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육학적 용어로 번역되고 해석될 필요가 있다. 사명의 교육학적 해석은 다른 말로 하면 사명의 실천 가능한 접근 방법을 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사명이 교육학적으로 해석될 때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방안들의 실천은 사명을 현실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가톨릭 학교에 관한 지침」에 나타난 가톨릭 학교의 사명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러한 해석에 따라 사명 구현을 위한 하나의 실천적인 모델을 제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치와 진리 추구’, ‘지식과 덕성의 통합’, ‘그리스도께 대한 신앙을 촉진하는 장 형성’이라는, 가톨릭 학교 사명의 세 가지 실천 방향성은 학교 현장에서 실천될 때, ‘전문성’, ‘학습성’, ‘공동체성’이라는 교육학적 용어로 번역될 수 있다. 전문성, 학습성, 공동체성은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본질을 설명하는 개념들이다.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사명과 가치, 비전과 목표의 공유; 리더십의 공유와 권한부여; 공동 연구와 협력; 신뢰 구축과 공동 책임; 공동체적 지원이라는 특징들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전문적 학습 공동체는 가톨릭 학교가 ‘복음화를 통한 전인교육’이라는 사명을 실현해 나가는 하나의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것은 이 공동체가 공동체 구성원을 공유하는 사명과 가치, 비전에 결속시켜 같은 목표를 향해 기꺼이 협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톨릭 학교는 진리를 추구하고 그리스도교 덕목을 갖춘 전문인을 양성하는 전문적 학습 공동체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가톨릭 학교 자체가 전문적 학습 공동체로 변화하는 것이 곧 자신의 사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중요한 실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e Catholic School」 draws attention to a specific, two-fold mission: ‘The critical, systematic transmission of culture in the light of faith(the integration of culture and faith) and the bringing forth of the power of Christian virtue(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ife) . To implement this mission, it is not sufficient to present it as a vision statement indicating ways in which a Catholic school can move forward. In terms of the Church, implementing its educational mission in the context of specific schools requires that it be translated into pedagogical terms and its meaning interpreted from that perspective. This means making use of a process that seeks feasible ways to deliver a truly Catholic education. When the mission is interpreted from a pedagogical standpoint, it becomes possible to encounter concrete ways to carry out its two-fold aspect. Implementing these ways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ccessfully actualizing the 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from the standpoint of pedagogy, the two-fold aspect of the Church’s educational mission presented in 「The Catholic School」. In doing so, the study explore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involved and suggests a practicable model to implement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in an effective way. When brought to fruition in the context of specific schools, three practical orientations of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viz., the pursuit of truth and values ,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and virtue , and the building up of a community in which faith in Christ can be guided can be translated into pedagogical terms: professionalism , learning , and community . These three terms describe the essenc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 PLC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shared mission and vision, and values; shared leadership and empowerment; the practice of collective inquiry and collaboration; the building up of trust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and strong community support. In applying these characteristics, a PLC offers important practical ways to implement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one that encompasses ‘the holistic development of the human being through evangelization.’ A PLC leads community members to willingly collaborate with one another in bonding themselves to a shared mission, vision, and values. This being so, the Catholic school ought to become a PLC that forms professionals in the pursuit of truth, men and women who possess and practice Christian virtues in their lives. Looked at in this way, building a PLC in Catholic schools offers an important and practical means to carry out the mission of the Catholic School.

      • KCI등재

        한국 가톨릭 초등학교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성 -교사단의 인식을 중심으로-

        구본만 한국종교교육학회 2011 宗敎敎育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한국 가톨릭 초등학교들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형성 정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적 학습 공동체 평가’ 도구로 교사단의 인식을 측정하는 양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가톨릭 초등학교 6곳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세 곳(Y그룹)은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형성했고,나머지 세 곳(X그룹)은 형성과정 중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단의 일반적 특징과 영역별 인식 차이, 학교의 외적ㆍ내적 특징을 비교했을 때, X와 Y그룹 사이에 눈에 띄는 차이점은 학교 내적인 측면에서 드러났다. 두 그룹은 학교가 추구하는 가치와 비전에 대한 인식과 공유, 교사들의내재적 동기화, 자발적인 협력문화, 신뢰관계 등 네 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에서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형성이 학교의 규모나 소속 지역 등의 외형적 측면이나 성별, 보직, 연령, 교수기간 등 교사단의 일반적 특징에 의해 좌우된다기보다는 학교구성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학교 문화의 측면이 강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마더 데레사의 교육 리더십

        구본만 한국종교교육학회 2021 宗敎敎育學硏究 Vol.65 No.-

        본연구는가장가난한이들을위해헌신한수도자신분으로전세계에영향력을발휘한마더데레사의교육리더십원리들과리더십구축과정을고찰하는데목적이있다. 이를위해우선마더데레사가받은소명을중심으로그녀의삶과사명에대해서고찰하였다. 마더데레사는수도회에입회한지 18년이지난어느날, “가난한이들중에서가장가난한이들에게헌신하라”는‘소명속의소명’을받고, 빈민촌에서소명에 헌신하며 평생을 살았다. 흔들림 없이 확고한 사명에의 팔로워십에 감동 받은 사람들이 하나 둘씩 그녀 곁에 모여들면서그녀의리더십은영향력을발휘하게되었다. 이어서 전통적 리더십과 구분되는 현대 리더십 이론이 관심을 갖는 세 차원, 리더의 내면적·본성적 차원, 리더와 팔로워의 관계성 차원, 리더와 팔로워가 만들어가는 공동체 차원의 원리들을 바탕으로 마더 데레사의 리더십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더 데레사의 리더십에서 현대 리더십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갖는 원리들, 즉 리더의 자아정체성, 도덕적 권위, 내재적·도덕적 동기유발, 윤리적 삶의 본보기, 인격적 관계 형성, 가치와 비전의 공유, 공동체 건설, 협력 문화 구축 등을 모두발견할수있었다. 마지막으로 마더 데레사가 리더십을 발휘해 나갔던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더 데레사가 리더십을 구축했던 과정은세 단계로 구성된다. 시작단계에서는 ‘가치에의 팔로워십 구축’과 ‘윤리적 삶의 본보기’의 두 가지 원리가 확고하게 드러났다. 실현단계에서는 ‘인격적 관계 형성’, ‘도덕적 권위 형성’, ‘가치에의 팔로워십 공유’, ‘협력문화 구축’의 네 가지 원리가 실천되었다. 정착단계에서는‘동기화요인구축’과‘사랑의공동체건설’의두가지원리가확립되었다.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쟁점과 2015 개정 종교학 교육과정

        구본만 한국종교교육학회 2016 宗敎敎育學硏究 Vol.51 No.-

        이 연구는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 불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담론 쟁점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로 얻은 세 가지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종교학 교과역량 설정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 가지 핵심 쟁점은 교과역량 설정과 관련한 절차적 타당성 문제, 선정된 교과역량의 내용적 적합성과 총론 핵심역량과의 연계성 문제, 성취기준의 진술방식 문제 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타당성과 관련하여, 교과역량 설정 과정이 타당성을 갖기 위해서는 문헌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 관계 교원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운영 등 네 단계의 절차를 거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과정이 종교학 교과역량 설정 시에도 충족이 되었는지에대해 확인 가능한 선행연구를 찾을 수 없었다. 둘째, 내용적 적합성과 관련하여, 총론의 핵심역량중 종교학 교과역량에서 재해석된 것은 의사소통 역량과 감수성 역량 두 가지이다. 핵심역량 중자기관리 역량과 공동체 역량은 종교학 교과의 본질과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외되었는데,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없다. 또한,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의 연계성에 대해서도 충분한 설명이 없다. 셋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과 관련하여, 종교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각 영역의 성취기준‘설명’과 ‘(나)성취기준 해설’에서는 ‘내용 및 활동기준’ 형태로 진술되어 있고, ‘(라)평가 방법’에서는 수행 기대를 제시한 ‘수행기준’ 형태로 진술되어 있다. 그러나 성취기준과 함께 성취수준이제시되지 않은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 KCI등재

        가톨릭 학교의 학생인권 개념 모형과 실천 방향 모색

        구본만 한국종교교육학회 2012 宗敎敎育學硏究 Vol.39 No.-

        이 연구는 가톨릭 학교에 적합한 학생인권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고, 그러한 모형의 실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학생인권 및 가톨릭 인권의역사ㆍ개념ㆍ특징 등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가톨릭 인권 개념에 대한 고찰은 학생인권의 근거, 준거, 시각, 내용과 관련하여 기존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네 가지 패러다임의 전환은 다음과 같다. 1) ‘근거’ 패러다임의 전환: ‘학생의 권리 중심’에서 ‘학생의 인격적 존엄성 중심’으로, 2) ‘준거’ 패러다임의 전환: ‘자유와 권리 제시’에서 ‘네 가지 실천 방향 제시’로, 3) ‘시각’ 패러다임의 전환: ‘결핍의 가치관’에서 ‘풍요[상생]의 가치관’으로, 4) ‘내용’ 패러다임의 전환: ‘권리와 자유 강조’에서 ‘권리/의무, 자유/책임의 동시 강조’로. 이 네 가지 새 패러다임은 가톨릭 학교 학생인권의 고유한 개념을 정립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근거 패러다임은 개념 모형의 ‘심장’ 역할을, 준거와 시각 패러다임은 ‘머리’ 역할을, 내용 패러다임은 ‘손’ 역할을 한다. 심장, 머리, 손(3H)은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하는데, 이를 통합하는원리가 ‘양심’(1C)이다. 이러한 내용의 함축적 표현인 ‘가톨릭 학생인권 3H1C’는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념 모형이다. 이 개념 모형이 가톨릭 학교에서 실천되기 위한 인권교육의 방향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것은‘양심 형성 교육’이다. 이 교육은 ‘인권에 민감한 양심을 계발’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인지적 차원(지성)과 ‘계발된 양심을 습성화’하는 데 중점을 둔 실천적 차원(덕성)의 통합으로 이루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