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2> : 불교 세시풍속의 전승양상 - 조계사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

        구미래 ( Koo Mee-R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불교 세시풍속의 범위는 불교적 배경에 따라 정립된 불교세시와 명절,절기 등 민간세시에 행하는 불교적 풍습으로 구분된다. 이들 두 유형은 출발점이 다르지만 오랜 세월 생활문화로 전승됨에 따라 ‘불교세시의 민속화’, ‘민간세시의 불교화’라는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조계사에서 행하는 세시풍속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연례적 삶에 불교가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다루었다. 조계사의 세시풍속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한 해의 시작과 끝, 사계절의 변화와 같이 시간의 분절적 흐름을 지닌 세시를 중요하게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입춘, 대보름과 같은 정초세시에 중점을 두어 새해를 맞는 불교 세시풍속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여름에는 ‘여름밤, 구미호를 쫓다’는 젬족이 철야참선수행과 ‘화기애애’라는 단오재를 열어 더위를 쫓는 의식을 행하고, 가을에는 중양절에 국화전시를 겸하여 영산재를 올리고 있으며, 겨울에는 동지기도와 함께 연말에 행하는 송구영신법회로써 한해를 마감하고 있다. 둘째, 명절이나 절기에 행하는 다양한 전통풍습의 의미를 되살리고 있다는 점이다. 사찰에서는 민간세시에도 기도법회를 중심으로 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조계사에서는 전통 세시풍속의 다양한 요소들을 재현하는 데 상대적으로 적극적이다. 종단의 의식과 행사를 주도하는 사찰에서 전통세시의 다양한 요소를 되살리고자 노력하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셋째, 현대인의 삶에 적합한 새로운 세시풍속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한글날, 성탄절 등 민간의 기념일을 수용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가하면, 기존의 전통 불교세시와 민간세시에 새로운 요소를 도입하여 다채롭게 구성하는 사례를 많이 살펴볼 수 있다. 조계사 세시풍속을 참조하는 가운데 불교 세시풍속의 방향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획일적 종교의식에서 벗어나 세시의 내용을 어떻게 채울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중생의 삶의 리듬을 반영하는 가운데 종교적 방식의 재충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전통의 맥락을 오늘날에 맞도록 재편, 전승하는 의미화작업은 필수적인 것이다. 둘째, 불교 세시풍속이 지녀야할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점이다. 조계사의 사례를 참조할 때 대형화, 장기화하는 의식이 점차 많아지면서 장점뿐만 아니라 단점도 커질 우려가 있다. 또 기도는 개인의 소원성취를 위해 시작하는 것이 당연하나 이러한 자기중심의 마음을 지혜와 자비의 신행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불교기도의 본질임을 일깨우는 가르침이 좀 더 강조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산업화, 도시화와 함께 삶의 기반이 달라진 현대에 적합한 세시체계를 갖추어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각 사찰의 종교적, 지역적, 문화적 특성을 살려 새로운 세시를 개발해나가는 방안을 비롯하여 지역특성을 살리는 가운데 주민의 참여를 이끄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The range of Buddhist seasonal customs can be divided into two due to its characteristics. Buddhist seasons for established Buddhist seasons following Buddhist backgrounds and Buddhist custom performed at folk seasons. The starting point of each type are different but, as they have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through living culture, they each have a 'Buddhist seasons converging to folk' and 'Folk seasons converging to Buddhist' characteristic.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seasonal customs held in Jogyesa temple and examines how Buddhist affects Koran's annual life. Through Jogyeas Temple's seasonal customs, the follwing implications can be found. First, the characteristic of seasonal customs change hased on segmental flow such as the start and end of a year and four seasons. Especially, Buddhist seasonal customs are focused on the beginning of January because the onset of spring and the 15th of January by the lunar calendar are dealt with importance. In the summer, ceremonies such as 'stay up all night Zen meditation' to get rid of the beat and Dano(5.5) which is to lower the heat are carried out. Tn autumn, chrysanthemums are displayed on September ninth of the lunar calendar with the Yongsanjae ceremony. In the winter, winter prayers are held and 내???혀-Yongshin Buddhist ceremonies are held to finish the year. Secondly, when accepting folk seasons, efforts are made to restore various traditional customs held on holidays and soloar terms. There are many cases where Buddhist prayer ceremonies are held on folk seasons in temples but, the Jogyesa temple is actively trying to revive traditional seasonal customs. Thirdly, new seasonal customs which are fit for people nowadays are being created continuously. Various programs are operated by accepting Children's Day, Parents' Day, Hangul Day, Christmas and other folk anniversaries. Also, numerous cases can be found which add new factors to Previous Buddhist seasonal customs and folk seasonal custom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various customs. As a result, while passing on the lunar culture, we can expect the role of the temple to meditate the meaning of holidays and solar terms and created seasonal cultures.

      • KCI등재

        발우공양의 전승기반과 의례적 특성 : 송광사 사례를 중심으로

        구미래(Koo, Mee-R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2

        송광사를 대상으로 현장연구를 진행하여 발우공양이 이루어지는 기반과 전승양상을 파악하였다. 첫째, 송광사의 역사 속에서 발우공양과 후원(後院)의 가풍을 살펴보았다. 송광사는 고려시대 보조지눌이 수선사를 건립한 이래,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수행 공동체의 결사정신 속에 후원이 운영되었다. 10여 년 전까지 매일 삼시 세끼 발우공양을 하다가, 현재 9개월 동안 아침에는 묵언의 발우공양, 점심에는 게송을 외는 법공양을 이어가고 있다. 둘째, 발우공양의 기반으로 ‘후원공간, 후원의 소임, 음식과 용구’에 대해 다루었다. 후원공간은 전통 공양간, 현대식 주방과 식당, 발우공양을 하는 대방, 옛 후원영역인 해청당, 원주·학인·행자 등 소임자들의 숙소로 구성된다. 같은 영역에 배치된 이들 각 공간의 쓰임새와 변화 등을 다루었다. 후원의 소임은 고정 소임과 돌림 소임으로 나뉜다. 그 가운데 발우공양의 핵심을 이루는 소임으로 행자·학인·원주·재가자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송광사에는 후원 소임자들이 작성해온 「찬상일지」·「후원노트」 등이 전하고 있어 주목된다. 음식은 식생활의 토대를 이루는 요소들과 함께 밥·죽·반찬의 구성과 특징을 살피고, 용구를 분류하여 각각의 쓰임새를 다루었다. 셋째, 발우공양의 설행에 대해 ‘공양의 유형과 준비과정’, ‘의식절차’로 나누어 다루었다. 일상의 발우공양은 묵언의 발우공양과 게송을 외는 법공양으로 세분되며, 현장 참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발우공양·법공양의 준비과정을 살폈다. 이어 법공양을 중심으로 공양의 절차와 게송, 핵심내용을 다루었다. 넷째, 송광사 사례를 통해 발우공양의 전승에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관점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ield research in Songgwangsa to understand the foundation and transmission of Baru-Gongyang.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s of Baru Gongyang and kitchen culture in the history of Songgwangsa founded by Bojo Jinul during the Goryeo Dynasty, where kitchen culture has been practiced in the spirit of community solidarity until the modern era. Until approximately ten years ago, monks ate three meals a day in Baru-Gongyang. Now, for nine months, they eat silently in Baru-Gongyang in the morning, and memorize poetry at lunch in Beob-Gongyang. Second, the foundation of the Baru-Gongyang is discussed, including the kitchen space, the role of kitchen work, the food, and Gongyang utensils. The kitchen space consists of a traditional Gongyanggan, a modern kitchen and dining room, a large room for Baru-Gongyang, the old kitchen area, and accommodations for Wonju, Hakin, and Haengja. These spaces are located in the same area, and I have discussed how to use and change each space. The kitchen staff are divided into those with fixed and rotating duties. The duties that form the core of Baru-Gongyang are Haengja, Hakin, Wonju, and Jaegaja.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Songgwangsa has a “Chansang Diary” and “Kitchen Notes” written regarding the work in the kitchen. Food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elements that form the basis of daily life, as well a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 and side dishes. Gongyang utensils are categorized and their uses explained. Third, the performance of Baru-Gongyang is explained by dividing it into “types of ceremonies and preparations” and “ritual procedures.” Daily Baru-Gongyang is subdivided into silent Baru-Gongyang and Beob-Gongyang, and the preparation processes for both are examined by focusing on examples from field observations. The main focus was on Beob-Gongyang, covering its procedure, poetry, and core content of the ceremony. Fourth, the case of Songgwangsa is used to analyze noteworth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Baru-Gongyang.

      • KCI등재후보

        윤달 ‘세절밟기’의 민속적 전개와 제의적 특성

        구미래(Koo Mee-Rae)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10 No.-

        전통적으로 윤달을 '길한 달'로 여겨왔지만, 일상에서 벗어난 시간이라는 신비적·주술적 특성으로 인해 윤달에 대한 생각 및 이를 반영한 윤달민속은 복합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곧 윤달이 지닌 비일상성이 길(吉)이 되기도 하고 흉(凶)이 되기도 하여, 중요한 일상사를 하거나 하지 않음으로써 상반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윤달을 맞아 실생활과 무관한 민속의 생성을 통해 길흉관념을 드러내는 유형이 있는데, 이는 불교의 초월적 존재를 향한 일련의 기복행위 및 윤달에 횡행하는 잡귀를 막기 위한 벽사행위로 집약된다. 이때 불교의 기복행위를 제외하면 나머지 유형의 민속은 모두 부정적 성격을 지닌 초월적 존재로 설정되어, 부재함으로써 길한 달이 되거나 실재함으로써 흉한 달이 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윤달에 행하는 세절밟기는 대중교통이 발달한 1970년대 이후, 사찰에서 주관하는 성지순례의 일환으로 시작된 것이라 보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의례의 주요요소들을 중심으로 기존민속과 밀접한 연계성을 지니고 있어, 삼사순례의 생성배경을 유추함에 있어 이전 시기부터 새로운 민속으로 생성되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곧 '인간을 감시·심판할 신이 없다→저승문이 열린다→극락을 갈 수 있다'는 일련의 윤달담론을 기반으로, 윤달에 성을 3회 밟음으로써 극락왕생한다는 '성밟기'가 '탑돌이'와 결합된 양상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순례가 일반화되어가던 시절에 절내행사인 '탑돌이'와 절밖행사인 '성밟기'가 전통적으로 의미화된 '3'회의 수, 돌면서(밟으면서) 밟는(도는) 민속놀이적 유형을 공유하면서 결합된 양상이 세절밟기라는 명칭과 의례행위, 의례목적 등의 개연성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한 달이라는 기간 중에 자율적이고 개별적으로 행하는 세절밟기이지만, 다양한 차원의 내적규범이 존재함으로써 세절밟기의 제의적 구속성을 형성해내고 있다. 곧 '1일완결'이라는 시간구속성, '삼도삼절(三道三寺)'을 중시하는 공간구속성, '내세기복'의 의미 중시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세절밟기는 행하는 주체에 따라 나들이·놀이적 성격을 강하게 띤 자유방임형에서부터, 윤달담론에 충실한 규범준수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행해지고 있다. A leap month was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n auspicious month', but the concept and ethnic customs are complex due to its mysterious, occult characteristics of time overcoming everyday life. That is, the non-ordinary leap month can be propitious or portentous, revealing its mixed aspect by doing or not doing an important everyday life affair. Also, in the leap month, there is a type that reveals the concept on good or ill luck through the formation of ethnic customs that do not concern actual life. This is integrated to be a series of prayers for good fortune toward a superior being of Buddhism and an act of driving away evil spirits for repulsing demons. When the act of praying of Buddhism is excluded, other types of ethnic customs are set as superior beings with neg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month becomes propitious in absence, but portentous in existence. This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which was done in the leap month, is commonly known to have started after the 1970's when public transportation developed as a part of a pilgrimage supervised by the temple. However, since it was closely connected to existing ethnics centered on main factors of the ceremony, the possibility of it becoming a new custom from the past cannot be neglected when analogizing its unfolding background. Based on the leap month discussion on the series of 'There is no god to watch human-The door to the afterworld is open-One is able to enter heaven', 'stepping on the castle(踏城)' which enables one to easily pass into eternity by stamping on it three times in the leap month shows an aspect combined with 'going around the tower'. 'Going around the tower' as a ceremony held inside the temple and 'Stepping on the castle(踏城)' which was held outside show a combination of the number '3' being given a meaning traditionally and the form of folk play done by stepping and turning. Although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is performed individually and by self-control during one month's period, inner standards of various levels exist to form the ritual restrictiveness of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This includes time restrictiveness of 'one-day completion', spatial restrictiveness that emphasizes 'three provinces and three temples(三道三寺)', and serious consideration of praying for good fortune in future existence. Therefore, 'Stepping on three temples(三寺巡禮)' is done in various types from non-interference with strong outing,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to standard-observing that is faithful to discussions on the leap month.

      • KCI등재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과 불교 일생의례의 특성

        구미래(Koo Mee-Rae)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9

        민간에서는 인간의 일생을 보는 관점이 성인으로 인정받거나 혼인으로 가정을 형성하는 등과 같은 ‘사회적 과정’에 의미를 두고 있다. 이에 비해 불교에서는 나서 늙어가고 병들어 죽는(生老病死) ‘존재론적 과정’으로 일생을 설명하면서 인간 삶의 유한함을 통해 불교적 진리를 일깨우고 있다. 특히 일생에 대한 불교적 관념 및 불교 일생의례에 대한 적절한 해명을 위해서는 생사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필요하다. 전생과 내생이 연계되면서 윤회하는 독특한 생사관 속에서 불교 일생의례의 주요한 특성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생에 지은 업에 따라 생사를 거듭하는 윤회사상에 따르면, ‘생전의 존재’인 본유(本有)와 ‘죽어서 다시 태어나기 전까지의 존재’인 중유(中有)가 결합하여 일회적 삶인 일생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이때 내세의 모습을 좌우하는 것은 지은 대로 받는 자력의 과보뿐만 아니라, 남은 자들이 중유의 기간에 망자를 위해 행하는 타력의 공덕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자력의 악업이 지닌 모순으로 인해 타력의 공덕이 작용하여 변화를 가져온 것이 곧 내세의 모습에 해당하며, 내세의 존재는 다시 자력의 업을 쌓아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불교적 생사관은 ‘생과 사’, ‘자력과 타력’의 문제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변증법적 순환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불교 일생의례를 의례주체와 의례공간에 주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에서 치르는 의례 중 생전의례의 경우는 신도의 개별적 선택의 문제로 남아있을 뿐 불교적 개입은 미미한 실정이며, 사후의례는 사찰에서 불교상례인 49재를 치르지 못할 때는 집에서 49일 탈상을 하는 이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둘째, ‘예식업체’에서 치르는 의례 중 생전의례에는 불교적 개입이 거의 차단되어 있다면, 종교적 역할이 부각되는 사후의례의 경우 불교식 장례양상은 신도와 예식업체를 주체로 한 가운데 불교적 요소를 일부 도입하는 소극적 방식에서부터, 염불봉 사회를 활용하거나 승려를 초청하여 염불을 해주는 방식, 불교장례 전문업체가 개입하여 본격적 불교의례로 치르는 방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셋째, ‘사찰’에서 치르는 일생의례는 49재가 유일하게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 외에 드물게나마 행해지는 혼례를 들 수 있다. 이들 의례는 불교성전에서 승려의 집전 하에 불교이념에 따라 행해지므로, 종교의례의 기본적 요소인 이념-주체-공간을 충족시키는 셈이다. 특히 49재는 ‘사찰에서 승려에 의해’ 행해야 하는 것으로 의례공간과 의례주체를 명확히 하고 있다. 이는 불ㆍ법ㆍ승 삼보(三寶)의 범주 속에서 행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불보살을 모신 법당[佛]에서 승려의 주관 아래[僧]경전의 염송과 염불을 통해[法] 중유의 망혼을 올바르게 천도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불교 일생의례를 의례내용에 주목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이 주체가 된 생전 의례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 방식으로 불교를 수용하고 있으며, 규범화된 종교적 지침이 효력을 발휘하기보다는 민속화된 불교를 통해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해왔다. 둘째, 불교가 주체가 된 죽음의례는 임종 무렵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 일반상례가 통과의례의 의미로 행해진다면 불교상례인 49재는 의례를 치르는 공덕으로써 망자의 근원적 변화를 도모하는 통과의례라는 점, 내세를 위한 죽음의례가 사후만이 아니라 생전에도 이루어진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나은 내세를 염두에 두는 죽음의례가 일생의 전 과정 속에 체계적으로 개입되는 특성을 지닌다. 곧 본유의 예수재, 사유(死有)의 임종의례, 중유의 49재를 통해 새로운 생유(生有)에 영향력을 미치는 ‘본유+사유+중유→생유’의 도식 속에서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Life of humankind among the people puts much significance in ‘social process’ such as being recognized as an adult or creating a family by marriage. Buddhism explains life as an ‘ontological process’ of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It enlightens people on Buddhist truth through the finiteness of human life. According to transmigrationism, life and death are repeated due to one’s own previous action of karma. Bon-yu, the ‘existence before life’ and Jung-yu, the ‘existence after death and before being reborn’ are combined to form one life. Not only the effects of karma of oneself, but also the social morals of others performed by remainders for the deceased act together on the appearance in future life. Changes done by social morals of others due to contradictions of one’s misdeeds correspond to the features in the life to come. The existence in future life repeats the process of accumulating one’s karma. This Buddhist viewpoint on life and death can be understood as a dialectic circulation which organically connects ‘life and death’, ‘oneself and others’. The following are observations of Buddhist lifetime rite focusing on rite subject and rite space. First, life rite among those carried out at ‘home’ remain as an issue of personal choice of believers and intervention of Buddhism is insignificant. As for rite after death, most of them are 49-day Tal-sang done at home when the Buddhist funeral rite, 49Jae cannot be held at the temple. Second, Buddhist intervention is almost blocked in lifetime ceremonies among rituals that are held at ‘ceremony service companies’. Meanwhile, in cases of rites after death in which religious roles are brought into relief, the Buddhist funeral services are progressed in various forms. With Buddhists and the ceremony service companies as subjects, the forms include a passive one inducing some Buddhist elements, one using the Buddhist invocation volunteer community or inviting Buddhist monks for invocation, and a regular Buddhist rite with professional Buddhist funeral service company. Third, the 49Jae is the only one activated among lifetime rites held at the ‘Buddhist temple’. Other than that, a marriage ceremony can be another example. Since they are held by the Buddhist principles under the celebration of a monk at the Buddhist temple, the rites satisfy the ideology-subject-space which is the basic factor of religious ceremonies. The following are Buddhist lifetime rites, focused on their contents. First, lifetime rites with civilians as the subject are accepting Buddhism in individual ways as occasion demands. They have exist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folk Buddhism instead of normative religious guidelines. Second, death rites in which Buddhism became the subject, consider the last moments of life as most important. While general funeral rites are held as a rite of passage, the 49Jae is an initiation ceremony promoting original changes of the deceased with the virtuous deed of holding the rite. Death rites for the future life are done not only after death, but also during one’s lifetime. Therefore, death rites for a better life to come interfere during one’s entire lifetime systematically since they function within the scheme of ‘Bon-yu+Sa-yu+Jung-yu→Sang-yu’ which affects the new Sang-yu through Ye-su-jae of Bon-yu, deathbed rite of Sa-yu, and the 49Jae of Jung-yu.

      • KCI등재

        윤달의 민속심리와 주술ㆍ종교적 특성

        구미래(Koo Mee-Rae)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6

        An intercalary month is a scientific production from the calendar, but the methodology of recognizing this in the folk society has been progressed by putting roots down deep in religion. And many branches of folk customs and discussions done in the intercalary month reveals the folk psychology of dealing with unusual time. There are four types coexisting in pairs but which are mutually contradictory in intercalary month folk customs. These are ‘doing’, ‘not doing’ based on important everyday affairs, and ‘praying for good fortune’, ‘blocking misfortune’. Sometimes, certain things are actively done having no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at everyday affair,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oing in the intercalary month since there is no trouble’ even in the type of not doing an important affair. It is found that the same affair is applied oppositely by doing it or not doing it from dividing auspicious events and misfortune contemporarily. Complicated recognitions toward the intercalated month is originally being progressed based on the notion of fortune. Not only the recognition toward a transcendental being related to unusual time but also an astronomic feature as ‘the month with no lucky & unlucky’ rhat the intercalated month belongs to Mujungweol(month without a middle) based on the calendar is importantly applied in the formation of the fortune notion. The intercalated month fundamentally with no fortune being developed into a fortunate month and misfortunate month- for example, an original interpretation that the month becomes fortunate from having no misfortune and misfortunate from having no fortune, is found to be expressed as folk culture through discussion. Moreove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ings to do’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on ‘fortunate, misfortunate month’ are regulated, the meaning of ‘month’ is made by dividing ‘fortunate, misfortunate affairs’. New discussions and interpretations on the intercalated month are continuously produced. Especially, complex recognitions on the intercalated month and the notion on fortune reveals an aspect closer to an ideological development rather than a time development. Although the trend of the era is shown to some level, concerned discussions are handed down and formed in layers as complicated branches of thoughts always coexist due to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calated month.

      • KCI등재

        한국불교 천도재의 중층적 위상

        구미래(Koo, Mee-R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28 No.-

        한국의 전통 사후의례는 20세기 말에 들어서면서부터 전면적인 지형변화를 겪어왔다. 수십년 전만해도 사후의례는 유교 상ㆍ제례가 주축을 이루는 가운데 불교와 무속에서 각기 담당하는 영역이 비교적 뚜렷하였다. 그러나 근래들어 유교와 무속의 사후의례가 점차 축소ㆍ약화되어가는 경향과 맞물리면서, 사찰에서 행하는 薦度齋가 불교적 믿음과 무관하게 많은 이들이 선택하는 사후의례의 대안이 되고 있어 주목된다. 천도재는 불교신자들을 중심으로 망자의 영혼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해 행하는 의례였으나, 유교의 상ㆍ제례는 물론 무속의 넋굿이 담당해온 기능을 폭넓게 수용해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에는, 천도재에 내재된 유교ㆍ무속의 생사관 및 의례요소들이 유교ㆍ무속의 대체의례로서 천도재의 선택에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곧 천도재는 유교 상ㆍ제례의 핵심을 이루는 ‘효와 조상숭배 정신’, 무속의 넋굿과 밀접하게 결합된 ‘방편적 영혼관’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의례의 관념적 기반을 통해 민간의 의례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천도재가 지닌 특성과 더불어 근래의 다종교복합적 의례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사후의례로서 천도재의 통불교적ㆍ전방위적 기능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는 시점에 와 있다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천도재를 치르는 관념적 배경에는, 영혼과 내세에 대한 합리적 인식 이전에 존재의 영속성을 추구하는 종교적 심성이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業을 통한 영속성은 쉽사리 수용이 힘든 난해한 개념이므로, 의례주체들은 無我라는 불교의 본질적 가르침과 무관하게 천도의 대상을 영적 존재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영속성에 대한 민간의 심성은, 인격적 주체로서 산 자들과 교류하는 무속적 영혼관은 물론, 사후세계를 인정하지 않지만 의례적 상황을 통해 주기적으로 선조와 感應하는 유교적 魂魄觀과 구태여 구분이 불필요한 것이었다. 아울러 이러한 특성의 천도재가 가능할 수 있었던 데는 불교가 지닌 종교적 특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서구종교에서는 절대적 존재로서 유일신이 존재하지만, 불교에서는 누구든지 깨달음을 통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조상을 숭배하며 성전에서 망자에게 절을 하는 행위 역시 가능하였고, 이러한 민간의 의례인 제사를 수용하면서 천도재는 크게 발전할 수 있었을 것이다. Korea’s traditional after-death ceremonies have experienced an overall topographical change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Several decades ago, funeral rites and religious ceremonies of Confucianism was the main axis of postmortem ceremonies, while the areas of Buddhism and shamanism were relatively apparent. However, the after-death ceremonies of Confucianism and shamanism has been reduced and simplified nowadays. With this trend, Chundojae(薦度齋) which is held at a Buddhist temple is becoming the alternative plan for after-death ceremonies chosen by many people irrelevant with belief in Buddhism. Chundojae was a ritual centered on Buddhism believers held to lead the spirits of the dead to heaven. Now it is widely accepting functions that the Confucianism funeral rites and religious ceremonies, exorcism of shamanism have been in charge of. As for these factors, the concept of life and death and ceremony elements within Chundojae wer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choosing it as an alternative ceremony of Confucianism and shamanism. Chundojae had an ‘expedient spirit concept’ which was closely combined with ‘spirit of filial piety and ancestor worship’ that is the core of Confucianism funeral rites and religious rituals, and the exorcism of shamanism. Desires for ceremonies of folks were being satisfied through the ideological basis of these ceremonies. As the features of Chundojae and the recent multi-religious complex ceremony functions are raised, it is considered that we are at a point where Buddhism of total interpenetration and omnidirectional functions of Chundojae are brought into relief as an after-death ceremony more than ever. Also, we can see that a religious mind pursuing the permanence of existence before reasonable recognition on spirits and life after death is settled in the conceptual background of Chundojae. The permanence through karma is a profound concept that is difficult to accept, so ceremony subjects recognize the person to lead to heaven as a spiritual being, unconnected to the substantial teachings of ‘selflessness(無我)’ of Buddhism. The folks’ mind on this permanence did not have to be divided with shamanism’s concept on spirits that exchange with living beings as moral subjects, as well as the Confucianism spiritual concept regularly responding to ancestors through ceremonial situations although it does not recognize afterlife. The reason why Chundojae of these features was able to be held seems to be greatly depending on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Buddhism. In western religions, the one and only God exists as an absolute being. However, Buddhism believes anyone can become a Buddha through illumination. Bowing down to the dead at temples while worshiping ancestors was possible. Chundojae was able to develop by accepting sacrificial rites of folks.

      • KCI등재

        의례주체를 통해본 49재의 존재양상과 문제인식

        구미래(Koo Mee-Rae) 비교민속학회 2008 비교민속학 Vol.0 No.37

        49재는 죽음의 문제를 불교적으로 해명하는 정점에 놓인 의례로서, 상례의 국면전환과 더불어 현재의 제반양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현장연구와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49재의 존재양상과 문제인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족을 포함한 참석자들이 의례의 내용을 보다 잘 이해하고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의식집의 정비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곧 의식문의 한글화를 추진하되 운율을 살리는 정교한 번역과 실제현장에서 이를 적극 사용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하며, 일반대중을 위한 의례지침을 정립하고 신도용 불교의식집을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 죽음을 절실히 체험한 이들에게 가장 훌륭한 의례지침이자 감동과 영향력을 줄 수 있는 법문(法門)과, 의례의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이 중요한 의례요소로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족으로 하여금 의례를 연 주체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의례에 임하는 마음가짐과 49일간의 행동지침을 미리 일깨워준다면, 의례목적을 분명히 인식하는 가운데 의례를 지르게 되고 의례를 마친 이후의 만족도 역시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경전독송 시에 유족의 동참을 유도하고, 중단의례에도 충실히 임함으로써 유족의 눈높이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진지한 의례로 임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셋째, 49재가 성립되면 유족 측의 요청과 무관하게 장례식장을 방문하여 망자를 위한 시다림(尸茶林) 법문을 행하는 풍토가 정착되어야 한다. 불교상례의 첫출발인 시다림이 종교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현재 유족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신도단체의 활성화를 통해 상(喪)이 발생했을 때 신도 개인이 승려에게 직접 연락하지 않더라도 종교적 처치를 해줄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데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49재는 망자를 위한 의례만이 아니라 산 자를 위한 의례이기도 하다는 사실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특히 49재를 마친 이후 유족과의 연계에서 망자의 ‘극락왕생’을 위한 후속 조치에만 초점을 맞추지 말고, 죽음이라는 궁극적 사건을 계기로 산 자의 성찰적 삶을 이끌어 주는 의례목적의 정립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e 49th day after death 49jae is a ceremony placed at the peak of elucidating the matter of death in Buddhism. It is time for switching over the aspect of funeral rite affairs and a new reorganization. Therefore,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of 49jae was analyzed, deducing the following several proposals based on site research and questionnaires. A problem on the purpose of the ritual and establishing direction bas been raised Recovering the sense of purpose to spread rightful teachings of Buddhism through 49jae would be important. 49jae is an expedient ceremony for the public. It would fall apart from the original Buddhism teachings if it was focused only in 'after-death heave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ceremony which makes one lock back on his life starting from an ultimate event as death and which leads to a life of self-reflection mist be dearly established. This is a matter on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n the ceremony and participation. First, maintenance must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ceremony guide. Along with translating the ceremony guide in Korean, efforts to actively use it in actual practice are needed. Also, not only the ceremony guide for priests for carrying on the ceremony, bat also ceremony guidelines for the public should be established. A Buddhism ceremony guide for followers mist be also prepared. Second appropriate Buddhist priesthood delivers Buddhist teachings to those who experienced death sincerely, giving great influence. There should be descriptions on the priesthood and ceremony. Third, efforts to lead the surviving family to attend more actively and sincerely as the head who is holding the ceremony are required. There is an issue on the harmony of traditionality and rationality. First, it would be desirable to actively induce meaningful contents among traditional ceremony factors. Ceremonies cannot be explained only with rationality and logic. Contents among traditional factors that can support the meaning of ceremonies must be introduced for a more substantial organization. Second, sacrifices must be simplified so that the minds can be focused on the original purpose of guiding the dead through Buddhism teaching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reate a system of simplifying offerings, mainly being food, so the participants can make offerings together. More temple offerings can be made at a certain amount depending on the capability of the offerer. This is matter on the importance of measures before and after the ceremony. First, when a mourning occurs, a Buddhist monk should attend the funeral home and preach a Buddhist sermon for the dead. It is important to block the 'expenses for efforts' that the surviving family pays and make preparations for this. Second, the purpose of ceremony must be clarified and the satisfaction after completing the ceremony should be raised by convincing the mental attitude toward the ceremony and behavior guides during the 49 days to the surviving family. Third, the after-death measures when the 49jae is over should be matched not to the dead but to the living.

      • KCI등재

        사찰전승 세시풍속의 유형별 전승양상과 특성

        구미래(Koo, Mee-Ra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80

        사찰은 지역공동체의 종교적 기반이 되어 한국인의 연례적 · 종교적 삶에 깊은 관련을 맺으며 다채로운 세시풍속을 전승해오고 있다. 이에 사찰전승 세시풍속이 어떠한 방식으로 민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전승되고 있는지 살피고자 그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째, 공동체의 벽사기복을 기원하는 제의형 세시풍속이다. 자연의 순환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은 정초를 비롯해 연중 특별한 시기에 부각되는 간절한 바람이 있게 마련이다. 사찰에서는 민간의 여러 토속신을 신중신앙의 범주에 수용하여, 연중 특정한 시기마다 사부대중이 함께 이들 신을 대상으로 한 제의를 활발하게 치르고 있다. 사찰과 마을, 승려와 주민이 하나의 신앙공동체가 되어 동일한 바람을 기원함으로써 인간보편의 종교적 욕구를 깊이 만족시키는 제의로 전승되고 있다. 둘째, 조상과 선현을 기리는 추모형 세시풍속이다. 가정제사가 축소된 가운데 많은 이들이 명절이나 특별한 시기마다 부모 · 조상을 모시고자 사찰을 찾고 있으며, 특히 합동천도재는 한국불자들에게 중요한 조상 섬김의 문화로 정착되어 있다. 사중에서도 선대 조사와 선현을 기리는 의례가 활성화되고, 이러한 의례가 중심이 되어 축제로까지 나아감으로써 사찰의 세시풍속이 뿌리를 돌아보는 기반 위에 활성화되어 있음을 다루었다. 셋째, 마음을 닦는 수행정진형 세시풍속이다. 불교의 특성이 뚜렷하게 담긴 유형으로, 특별한 날을 발심의 계기로 삼아 마음공부에 더욱 힘쓰는 것이다. 이 시기는 붓다가 걸어온 중요한 삶의 시점에 집중되면서 깨달은 자의 일생을 새기며 정진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여름 · 겨울에 각 3달씩 이어지는 출가자의 안거기간은, 재가자에게도 자기성찰의 계기가 되어 특별한 세시풍속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다루었다. 넷째, 사찰특성을 반영한 축제형 세시풍속이다. 각 사찰에서는 저마다의 전통과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불자뿐만 아니라 일반대중과 함께하는 열린 축제가 활성화되어 있다. 봄에서 가을에 이르기까지 적절한 시기마다 다채로운 문화행사로써 공동체의 삶에 활기와 리듬을 부여하며,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에게 치유와 종교적 소통의 공간이 되고 있음을 다루었다. The Buddhist temple passes down various seasonal customs in its process of getting deeply integrated with the annual and religious lives of Koreans. Thus, to understand how passed-down seasonal customs influence the private peoples lives, we divided the customs into four broad types. First is the ritual type seasonal custom that wishes to repel the evil and bless the community. The temple accepts various folk deities as part of the Shinjoong religion, and carries out rituals for these deities annually during a specific season. This kind of seasonal custom is passed down as a ritual that satisfies the religious desires of the human being by the temple and the town being one religious community wishing for the same desire. Second is the memorial type seasonal custom that honors the ancestors and ancient sages. As the memorial ceremony of families is simplified, many people are now coming to the temple to honor their parents and ancestors on holidays. The Joint Cheondojae is now an important culture in honoring ancestors. By invigorating the ceremonies for honoring ancestors and ancient sages and advancing these ceremonies into festivals, this seasonal custom is invigorated in temples on the foothold of looking back at ones roots. The third type of seasonal custom is religious purification and practicing asceticism. This type has clear Buddhist characteristics, and is practiced by making more efforts on training the mind by considering that special day as an opportunity. This practice focuses on the important moment in the life of Buddha, and is conducted by devoting oneself completely by bringing to mind the life of the enlightened one. Particularly, the summer meditation and winter meditation of disciplinarians who entered the Buddhist priesthood are becoming opportunities of self-examination for lay Buddhists. The fourth type is the festival type seasonal custo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le. Festivals that are open to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Buddhists are invigorated, while reflecting the tradi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temple. The festivals animate the communal life by providing various cultural events at the right moments from spring to fall, and provide a place for the modern people tired of their busy lives to heal and make religious communications.

      • KCI등재후보

        마을에 기반을 둔 외부자에 주목하기

        구미래(Koo, Mee-r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9 民俗硏究 Vol.0 No.19

        현대사회에서 마을은 그 어느 때보다 유동성이 커진 생활공동체이다. ‘마을을 떠난 자’와 ‘마을로 들어온 자’, ‘마을 안의 이방인’과 같이 마을에 기반을 둔 다양한 외부자는 토착민과는 다른 방식으로 마을에 영향력을 미치며 민속문화 형성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존재들이다. 마을연구가 공동체의 전승민속을 체계적으로 갈무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주된변화를 포착하여 현재와 앞으로의 민속양상을 설명하고 전망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점에서, 이들 외부자에 대한 주목은 현대 마을민속 연구에 필수적인 관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마을에 기반을 둔 외부자 가운데, 현대사회의 한 양상으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을로 들어온 자’ 유형에 대해 다루고자, 총 44가구가 살고 있는 경기도 안성의 신대마을을 대상으로 이주민 유입과 관련된 여러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주민이 전체주민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는 신대마을은 토착민과 이주민 간에 근원적인 갈등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갈등의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표면적으로는 이주민들의 삶의 터전과 생업의 터전이 다르다는 점이 대두되고 있으나, 내면적으로는 이주민의 마을주민으로서 정체성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주민들은 신대마을에 살고 있지만 농사를 짓는 것이 아니라 직장을 다니거나 개인적인 일을 하고 있어 삶의 양상이 토착민들과 어긋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마을부역 불참, 대면하기 힘든 도시형 이웃문화 등 다양한 현실적 문제와 마찰이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근원적으로 이러한 물리적 여건의 어긋남보다는, 상호간에 소통하고 화합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데서 비롯된 것임을 그들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주민의 비율증가는 마을의 정체성은 물론 마을문화의 성격을 바꾸는 가장 큰 변수가 되고 있으며, 신대마을의 토착민들 역시 이러한 변수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농촌인구가 점차 줄어드는 현실 속에서 이주민의 증가는 희망적인 지표이기도 하다. 이들이 당장 농사를 지으며 생업을 함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장차 마을을 활성화하고 발전시켜나갈 공동체 구성원을 확보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토착민들은 이미 답을 가지고 있기도 하여, 이주민들과 함께 자립형 농촌마을을 갖추기 위한 노력도 꾸준히 해나가고 있었다. 이처럼 현재 신대마을은 대내외적인 변화 속에서 복합적인 감정과 다양한 상황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마을의 고유성을 지키는 가운데 공동체의 갈등을 슬기롭게 헤쳐 나가기 위한 변화의 흐름에 놓여 있다. 도시인근 마을에서 발생 가능한 전형적 사례의 하나로, 이들이 공동주인이 되어 복합적인 과제를 하나하나 풀어나가는 과정이 주목된다. Villages in modern society is a livelihood community with larger mobility than every before. Various outsiders such as ‘people who left the village’, ‘those who came into the village’, and ‘strangers inside the village’ affect the village in a different way from natives. They take an important part in forming folk culture. Since village studies should systematically finish transmitted folklore of the community and also advance to explaining and viewing the current and future folklore aspects by sensing major changes, focusing on these outsiders would be an essential viewpoint in modern village folklore studies. Thus, several appearances related to immigrant influx in Shindae Village of Anseong, Gyeonggi-do were investigated to examine the ‘people who came into the village’ type among village-based outsiders, which is rapidly progressing as an aspect of modern society. Shindae Village, where about 30% of the total residents are composed of immigrants, had a fundamental conflict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Factors of this conflict indicated that the immigrants had different livelihood and occupation, but identity issues as a villager were important internally. Immigrants have no choice but to live differently from natives since they go to work or do other personal work instead of farming although they moved into the Shindae village. This caused friction with various realistic problems such as not attending collaborate village work, urban neighborhood cultures that makes it difficult for people to face each other. However, the immigrants recognized that these issues were due to the lack of fundamental efforts for communication and harmony rather than contradictions of physical circumstances. The increase of immigrant proportion would be the greatest variable that changes the village identity and also the character of village cultures. Natives are taking this variable seriously. Still, the increase of immigrants is a hopeful index as the rural population gradually decreases. Although they do not farm and share the same occupation, members of the community that would activate and develop the village are secured. Natives may already have an answer for this, and people continuously attempt to create an independent agricultural village. Complicated emotions and various situations coexist in Shindae Village at present, with changes occurring both inside and outside. It stands in the middle of changes for wisely overcoming conflicts in the community while also protecting the village characteristics. As a typical case that could occur in villages near the city, the process of the people becoming joint owners and resolving complicated tasks one by one now receives attention.

      • KCI등재

        청련사 예수시왕생칠재의 의례주체와 설행양상

        구미래(Koo Mee-rae)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6 No.-

        청련사에서 전승되는 예수재를 민속학적 관점에서 살펴 네 가지 양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청련사는 조선시대에 ‘동청련 서백련’의 양대 열반계 사찰로 지정되어 현세에서 죽음을 생각하는 의미가 두드러진 역사를 지녔다. 아울러 1960년대부터 예수재를 치른 유형ㆍ무형의 자료가 전하여 의례의 신앙적 기반과 전승내력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예수재의 핵심기반인 범패와 작법무와 장엄을 사중에서 온전히 감당하며 전승해왔다는 점이다. 어산과 장엄을 담당하는 승려가 절대부족인 한국불교의 현실에서, 여러 세대의 승려들이 대물림으로 이어오는 가운데 독자적인 용상방을 구성할 수 있었다. 셋째, 중양절예수재와 윤달예수재뿐만 아니라, 재자 단독으로 주관하는 독설판예수재가 활성화되어 있다. 이러한 합동과 독설판의 예수재를 칠칠재로 행하고 있어, 망자를 위한 우란분재ㆍ사십구재의 칠칠재와 대귀를 이루며 생전의 수행정진을 이끌고 있다. 또한 위패를 봉안하는 법당에는 망자위패와 나란히 생자위패를 모시면서 ‘자행과 타행’, ‘생전과 사후’를 연계하는 패러다임의 신앙양상을 보여준다. 넷째, 의례의 여러 구성요소에서 서울ㆍ경기 지역의 특성을 살필 수 있고, 산화락번ㆍ시주번ㆍ총명지 등 다른 곳에서 보기 힘든 장엄과 의례요소들이 전승되고 있다는 점이다. 각종 장엄이 다양하게 발달되고 시주를 부각시키는 시주번을 중시하는 점, 문서로 작성하는 요소가 활성화되어 있는 점, 상단에 각상의 소반을 사용하는 점 등에서 왕실과 지배층의 재를 많이 치러온 역사와 연관성을 짐작해볼 수 있다. The Yesujae(預修齋) which has been passed down in the Cheongryeon Temple, was analyzed in four aspects from a folklore perspective. First, the Cheongryeon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two main Nirvana system(涅槃系) temples of 東靑蓮 西白蓮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 has a remarkable history of thinking about death in the mundane world. In addition, becaus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data of the Yesujae(預修齋) since the 1960s can be delivered, it was able to identify the religious basis and history of the rite. Second, the core bases of the Yesujae(預修齋), Beompae(梵唄), Jakbeopmu(作法舞), and Jangeom(莊嚴), have been performed and handed down in the temple. In the reality of Korean Buddhism, where there is an absolute shortage of monks in charge of the chanting master and Jangeom(莊嚴), through generations of monks com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was possible to organize its own Yongsangbang(龍象榜). Third, not only the Yesujae(預修齋) of Double Ninth Festival(重陽節) and the Yesujae(預修齋) of leap month, but also the Yesujae(預修齋) of independence, which are administered exclusively by Jaeja(齋者), is active. Such a joint and the Yesujae(預修齋) of independence have been performed as Chilchiljae(七七齋), leading the way to the religious purification of a lifetime by forming Funeral Ceremonies along with Chilchiljae(七七齋) of Uranbunjae(盂蘭盆齋)ㆍ49Jae(四十九齋) for the deceased. In addition, in the Buddhist sanctuary, where the memorial tablet is enshrined, the memorial tablet for a living person is served alongside the memorial tablet for the deceased. This shows the faith aspect of the paradigm of connecting lifetime and afterlife. Fourth, several components of the rite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Jangeom(莊嚴) and the ceremonial elements, which are rarely seen elsewhere are being transferred. One can guess the connection with a long history of ritualistic conduct for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such as the importance of Shijubun(施主幡), which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various Jangeom(莊嚴), the point where the elements to be created by the documents is activated, and the point that uses small dining table as each floor in Sangdan(上壇).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