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구미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 실태, 활성화를 위한 요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해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가 실천하는 자기장학 실태는 어떠하며, 그 효과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셋째,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50명을 무선표집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자 303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빈도분석, (chi-square)검정,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e coding)과정을 거쳐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실태, 요구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의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은 높았다.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을 96.7% 수준에서 이해하고 있었고, 경력이 높을수록 이해가 높았다. 초등교사의 97.7%가 수업개선을 위해서 자기장학이 필요하다고 인식했고, 중간경력 교사와 ‘대학원 재학, 졸업’한 교사는 자기장학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자기장학의 효과에 대해서는 78.6% 수준에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고, 직급과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인식하였다. 초등교사는 자기장학을 ‘교사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한 자기반성과 자기 수정을 위해(36.3%)’, ‘수업개선을 위한 필요와 요구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해보기 위해(30.7%)’, ‘자기의 개인적인 발전을 위해(26.1%)’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장학을 시작한 시점의 경우, ‘현직 발령 후 바로 시작(34.7%)’, ‘경력 3~5년(29.0%)’, ‘경력 9년 이후(17.2%)’, ‘경력 6~8년(12.2%)’ 순으로 나타났고, 경력이 적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기장학 시작시점이 빨랐다. 자기장학 영역은 ‘수업방법 개선(50.8%)’, ‘수업활동 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38.2%)’, ‘수업에 대한 열의(6.0%)’, ‘수업매체 활용(4.0%)’, ‘수업환경(1.0%)’의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 장학을 시작한 동기는 ‘스스로의 수업개선 의지(78.5%)’, ‘동료교사 및 교육전문가의 조언(13.0%)’,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실시(7.8%)’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가 실제로 자기장학의 여러 방법들을 실천하는 정도는 저조한 편이나, 이것이 수업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과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가 실천하는 자기장학 실천방법으로는 ‘연수, 워크샵, 특강, 세미나 등 참석’, ‘시범학교 및 시범수업 참관’, ‘매체(전문서적, 방송, 인터넷 등) 활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원수강’, ‘멘토 및 컨설턴트(동료, 선배, 전문가) 요청 활동’에 대해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네 차원에서 초등교사가 요구한 것이 있었다. 교사차원에서는 ‘수업전문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기발전의지, 의욕의 고취’를 요구했고, 학교 차원에서는 ‘각종 자기장학 활동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시간적․심리적 지원’을 요구했다. 그리고 교육지원청 차원에서는 ‘잡무경감조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국가 차원에서는 ‘다양한 현직교육을 위한 시간적․물리적 지원 확대’와 ‘학급당 인원 감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 네일 서비스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미경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네일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2015년 6월20일부터 7월 15일까지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50대 여성으로 네일서비스 경험이 3번 이상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심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개성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네일 서비스를 통해 독특한 네일아트로 나만의 개성을 돋보이게 하고 악세사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개성추구가 심미성에 영향력이 있고, 이것은 다양한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과 독창적인 네일 디자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기분전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자기만족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네일관리를 통해 나의 미적 감각을 보여주므로 나의 가치가 향상되고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몸과 마음이 깨끗해지는 것 같아 기분이 좋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네일샵을 지속적으로 방문하도록 하여 기분전환과 생활의 활력소를 얻어 대인관계에서도 좋은 이미지를 전달하며, 또한 구전으로 홍보효과를 볼 수 있는 새로운 마케팅 방법에 비중을 높여 신뢰도와 고객충성도를 이끌어 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개인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자기만족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네일관리를 통해 손에 대한 자신감과 개성적, 미적 감각과 여성적 매력을 더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주기적으로 네일샵을 이용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살릴수 있는 다양한 네일아트로 감각적인 네일형태와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고객만족을 최선을 다해, 만족한 고객들은 곧 재방문으로 이어져 네일샵의 매출증대에 효과적인 도움이 되게 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타인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외모표현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네일서비스를 통해 아름다워진 손을 보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손과 자신의 외모에 대한 만족감이 높으면, 에티켓이나 미적감각을 보여주는 자신감있는 사회적 여성으로 인정 받는다라고 해석 할 수 있다. 이것은 사회적 활동으로 인한, 네일아트를 다양하고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좋아해서 최신유행에 관심을 가지고 패션 및 네일 행동에서도 유행을 선도함으로, 주위 사람들과 다른 네일관리를 하면서 네일샵과 지속적인 관계유지로 기술적 전문성과 친절 서비스, 다양한 이벤트로 단골고객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네일서비스 추구혜택이 경제실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결과, 결점보완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네일관리를 통해 손톱형태의 결점을 보완하고 손의 장점을 돋보이게 하는 네일아트를 활용함이 무엇보다도 가격이 적당한가를 고려하는 편이고, 비용이 비싸다고 생각되면 받지 않고 네일 시술이 사치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이것은 네일관리를 통해 손톱형태의 결점을 보완함으로 심리적인 기분전환과 적은 비용으로 다양한 서비스 혜택을 받고자 하는 패키지상품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네일샵에서는 소비자들의 기대가치와 니즈(needs)을 파악함으로, 소비자들이 추구하는 다양한 혜택들로 개개인의 개성을 살리며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여성 공무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국회의원 9급 비서를 중심으로

        구미경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들의 사회진출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와 차별적인 관행이 법·제도 및 대중매체를 포함한 제반 사회영역에 여전히 잔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경제·사회·문화의 급속한 변화 및 산업구조의 변화, 그리고 여성들의 교육기회의 확대 및 남녀평등의식의 확산 등으로 가정에서 가사에 전념하던 60·70년대의 여성들과는 달리 가정에서 사회로의 진출 기회가 여성에게 다양한 형태로 주어지면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졌다. 이에 사회 각 분야에서 뚜렷한 두각을 나타내면서 활약하고 있는 여성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제 이러한 현상들이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닐 정도로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자연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에 맞추어 최근 들어 여성이 공직사회로 진출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하면서 이들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체로서의 공무원’이라는 시각에서만 직무 만족이 논의되었을 뿐 ‘여성 공무원’이라는 측면에서의 관심은 미비했다. 더군다나 거의 여성 100%로 구성되는 국회의원 9급 비서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어서 이들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를 찾을 수가 없었다. 때문에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이 여성 공무원의 입장에서, 특히 국회의원 9급 비서들의 입장에서는 효과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국회의원 9급 비서’라는 극히 한정된 틀 속에서 이들의 직무만족도와 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수들을 분석하여, 국회의원 9급 비서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00년 4월 18일부터 4월 21일까지 조사자가 직접 의원회관을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1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누락된 응답이 있는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139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대상 및 방법을 언급하였고, 제2장에서는 직무만족의 개념,직무만족도 지표, 직무만족도 결정요인들을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알아보았다. 그리고 제3장에서 연구의 대상인 국회의원 9급 비서에 대한 역사적배경 및 현황을 알아보았고, 제4장에서는 연구의 분석을 위한 가설을 세우기 위해 ‘직무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 ‘근무 외 복지시설에 대한 만족도’,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 ‘근무기간’, ‘직장 이동 횟수’, ‘주간 평균 근무시간’, ‘주간 평균 초과 근무일 수’, ‘나이’, ‘학력’, ‘결혼관계’, ‘비서의 출신지와 의원의 지역구와의 관계’, ‘법정보수에 대한 실수령액 비율’, ‘비서와 의원과의 관계’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직무만족도」를 측정한 도구인「직무기술지표(JDI)」에 관한 설명과 설문 조사 과정과 방법, 그리고 설문 분석 방법 등을 자세하게 언급하였다. 제5장에는 설문지를 가지고 통계분석을 한 결과가 상세히 언급되어 있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국회의원 9급 비서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당부하는 것으로 제6장「결론」을 마무리 지었다. 결론적으로 국회의원 9급 비서들의 직무만족도는 대체로 낮은 편에 속해 있었으며, 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근무 외 복지시설에 대한 만족도’이고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도 대체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나머지 다른 독립변수들은 9급 비서들의 직무만족도에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 하였고, 따라서 국회의원 9급 비서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일하는 터전인 국회 의원회관에 대한 배려와 후생 복지시설의 개선, 그리고 내실있는 교육훈련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Despite the negative views and discriminative practices against women's entering society still that exist in all of realm society including law, organization and mass media, women are now actively and increasingly entering society as various kinds of opportunities are given to them due to the rapid changes in politics·economy·society·culture & the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increas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women, and the spread of the idea of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s women are increasingly active and outstanding in every field, such phenomenon is not news to everyone. Along with such changes, women are taking more and more positions in the public offices, and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has began to be noticed. However, their job satisfaction has been discussed only viewing them as 'just a part of whole public servants group' not as 'female public servants.' Moreover, there has not been a single study even about the National Assemblyman secretary post, which consists of 100% women. As evidenced above, no researcher has ever shown interest in studying the job satisfaction of female public servants so far. So there is a worry that policies for promoting job satisfaction of public servants may not be equally effective for female public servants as well as male servants. To prevent such cases, I analysed job satisfaction and the variables affecting it among the 9th grade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and trie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ir satisfaction in their job. To achieve this goal, I carried out literature studies and a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8, 2000 through April 21 by visiting and distributing questionnaires, and 139 questionnaires, among 15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11 copies which incompletely filled-out questionnaires. The following is a brief explanation about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study object & method are mentioned in the Chapter 1,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barometer of job satisfaction and deciding factor for job satisfaction are examined with the results from related precedent studies in the Chapter 2,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 the present of the 9th grade National Assemblyman Secretary are examined in the Chapter 3. In the Chapter 4, I set up 'job satisfaction' as the subordinate variable, and 'satisfaction with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welfare facilities in and out of working place', 'satisfaction with work training', 'working period', 'times of job change',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average weekly overtime day', 'age',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relation between National Assembly-man's hometown and his district', 'proportion of legal pay to actual pay' and 'relationship with National Assemblyman' as independent variables to build a hypothesis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addition, Job Descriptive Index(JDI), a tool for measuring job satisfaction, survey procedure & method and survey analysis method are explained in detail in the Chapter 4.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re detailed in the Chapter 5, and the conclusion is shown in the Chapter 6. To overview the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9th grade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is shown relatively low, and the variable most affecting their job satisfaction was shown as 'welfare facilities in & out of work place', 'satisfaction with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 training' were also shown as meaningful factors. Other independent variables, however, didn't show much influence. Therefore, it is deemed that facility improve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improvement of welfare facilities and practical work training are the requisite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9th grade National Assemblymen Secretaries.

      • 초등미술교육에서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발상 지도방안 연구 : Mackim의 시각적 사고를 중심으로

        구미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자는 초등학교 미술에서 아이들이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는 이유가 그리기 실력 때문이 아니라 그림을 그리기 위한 발상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초등학교에서 미술을 가르치면서 어떻게 그리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그리느냐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해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아이들을 많이 경험해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들이 미술 활동을 할 때 쉽고 창의적으로 발상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수업 지도 방안을 제안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초등미술교육에서 발상 지도라는 담론의 출발로서 시각적 사고에 주목을 하였다. 아른하임은 우리의 시지각이 능동적이며 지능적이고, 통합적이고 역동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동시에,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인지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 시각과 사고의 통합을 주장하고, 이를 시각적 사고라고 표현하였다. 또한 맥킴은 이러한 시각적 사고가 ‘보기’, ‘상상하기’, ‘그리기’라는 세 가지 시심상이 상호작용함으로써 활성화된다고 하였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이론적 토대를 통해 시각적 사고가 미술 교육에서 발상을 지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의 목적을 초등미술교육에서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발상 지도방안을 마련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시각적 사고와 발상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초등학교 미술 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탐색하기’, ‘상상하기’, ‘구상하기’의 수업 전략을 구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발상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후, 청주 J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계획-실행-반성-재계의 순서로 실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관찰, 심층 면담 및 설문, 시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해석하였다.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발상 지도 수업을 통해서 얻은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하기’, ‘상상하기’, ‘구상하기’로 이루어진 수업 전략은 선, 그림자, 빈공간을 선택적으로 지각함으로써 대상에 대한 고정관념에 벗어나게 해주어 발상의 단초가 되었다. 이것은 관찰 대상에 대한 민감성이 확대되어 감정을 생성하게 하고 일상생활에까지 다르게 보기를 하고자 하는 의욕을 고취시키는 교육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발상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기존에 가지고 있는 사물에 대한 시각적 기억 외에 감정, 가치관 등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내부적 자산을 추상하여 결합함으로써 창의적이고 새로운 시심상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자유로운 연상의 과정은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하여 발상을 도약하게 하였다. 셋째, 연상을 통해 새롭게 떠오른 아이디어는 내면적 사고에 그치지 않고 아이디어스케치를 함으로써 시심상을 기록하고, 포착된 시각 요소들을 다양한 변형, 조합 및 배치를 시도하여 시심상의 형상을 구체화하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이렇게 생성된 아이디어스케치는 향후 미술작품을 제작하는데 디딤돌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능성도 엿볼 수 있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발상 지도방안은 초등학생들에게 미술 교과의 표현활동을 위한 발상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시사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앞으로 시각적 사고를 활용한 다양한 발상 지도방안들이 체계화되어 미술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것은 물론, 이 연구의 결과가 교육현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가 노작 활동에 주는 함의

        구미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와 관련한 문헌을 고찰하여 노작 활동에 주는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노작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무엇인가? 둘째,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의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가 노작 활동에 주는 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문헌 고찰을 위해 노작과 노작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오우크쇼트의 저술, 「인류의 대화에서 시의 목소리(The Voice of Poetry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와 관련된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의 관점을 설정하였고, 이러한 문헌들의 분석을 통해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가 실과교육의 노작 활동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의 관점에서 노작 활동은 ‘놀이’로서 재해석할 수 있었다. 활동 그 자체를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관조’의 순간이 존재한다면 어떠한 활동이든 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유용성에서 벗어나 활동 그 자체에 내재 되어 있는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는 순간 노작 활동은 ‘놀이’가 된다. 따라서 노작교육의 역할은 실제의 세계에 적응하는 것뿐 아니라 잠시 일상으로부터 나와 관조적 삶의 태도를 발견하고 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포함한다. 둘째, 노작 활동을 ‘놀이’로서 인식할 때, 학생의 노작 활동은 자기 목적적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학생이 활동 그 자체에서 내적으로 경험하는 심상인 ‘관조’를 느끼는 순간 노작은 자기 목적적인 활동으로 전환된다. 또한 ‘관조’는 학생으로 하여금 노작을 계속해서 추구하게 한다. 이처럼 학생의 노작 활동은 학생의 내면의 ‘관조’에 의한 자기 이해를 추구하는 활동으로 재해석된다. 셋째, 노작 활동을 ‘놀이’로서 인식할 때 교사의 노작 활동은 자기 이해의 모범으로서 수행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교사는 교육 내용의 생산자로서 자기 학생의 이해에 비추어 자신의 지식과 그것의 전달 방법을 끊임없이 재구성한다. 즉, 교사에게 ‘관조’는 내면화되어 자기 지식 상태로 존재하며, 교사는 관조적 노작을 가르치기 위해 스스로 시범 보임으로써 학생에게 전수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노작교육은 인간의 삶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노작 활동에 반영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하나의 총체인 대화에서 서로 상호 긴장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로써 개개의 양상이 총체를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완해 주게 된다. 따라서 노작 활동을 총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교육할 때 학생은 자신의 내부에서 하나의 완성된 경험으로서 노작 활동을 성립시키며 편협한 마음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둘째, 노작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는 ‘관조’에 의해 드러난다. 오우크쇼트의 ‘관조’는 활동 그 자체의 만족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적으로 수행되는 활동이야말로 다른 활동으로 대체할 수 없는 삶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특히 실과는 생활양식을 탐구 대상으로 하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이 실생활에 실천되는 만큼 실과에서의 노작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삶에서 관조적인 태도로 활동을 수행할 때의 가치를 교육하는 것이 마땅하다. 셋째, 노작교육은 교사의 노작 활동에 의해 구현된다. 학생이 학습해야 할 교육 내용은 교과서에 있는 지식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지식의 묵시적 기반까지 지니고 있는 교사로 제시된다. 교사가 경험한 ‘관조’는 노작교육에 그대로 반영된다. 따라서 교사는 노작 활동의 의미를 인지하고 시범을 보임으로써 학생이 노작의 내용과 ‘관조’의 의미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노작교육의 방향은 인간다운 삶에 대한 이해로서 모색되어야 한다. 노작의 신체성은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즉물적인 경험을 가져오며 이 경험은 전체 세계에 대한 이해로 확장된다. 노작 활동은 세계 속에서 자아를 인식하는 자기 이해를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개별적인 체험과 인류 전체 삶의 연관을 이해하도록 문을 열어주며, 보편 인간적인 것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터준다. 따라서 노작교육은 처방적 접근을 벗어나 인류의 문명의 행위 양식을 구체적으로 습득하고, 이를 세계에 비추어 이해하는 것으로써의 의미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오우크쇼트의 ‘시의 목소리’의 의미를 바탕으로 실과교육의 노작 활동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된 이 연구에 덧붙여 연구자는 실과수업에서 노작 활동이 지닌 ‘관조’의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구체적이며 방법적인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중년남성의 감정표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구미경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트라우마로 인하여 스스로 감정을 억압하며 강박적 성향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중년남성의 감정표현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 사례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는 40대 중반의 중년 남성 1명이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계획한 구조화된 작업이나 회기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표현하는 개방적 접근도 함께 이루어 졌다. 본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총 12회기 회당 60분으로 계획하여 진행 하였다. 연구도구는 투사적 검사인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문장완성검사(SCT)를 사용 하였다. 자료 분석은 투사적 검사인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와 문장완성검사(SCT)를 사전·사후로 나누어 해석 및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전 검사에 비하여 사후 검사에서 명확한 감정 표현과 긍정적인 변화가 드러났으며, 트라우마를 경험한 아동기에 대한 스스로 인지와 과거를 인정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자신과 타인에게 솔직한 감정표현을 하려는 긍정적인 시도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경험한 중년 남성의 감정 표현 향상에 미술치료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술치료가 아동기 트라우마를 가진 중년 남성의 감정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미술치료가 아동기 트라우마에 대한 경험으로 인하여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에 적합하다는 근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가 아동기 트라우마를 경험한 이들과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와 발전에 일조하기를 바란다.

      • 인간 복제의 윤리적 고찰

        구미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과학의 발전으로 생명의 재창조에 견줄 수 있는 인간 복제 기술이 눈앞의 현실로 다가 오는 오늘날 이에 대한 위험성과 문제성은 생명 윤리적 고찰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1997년 미국의 국가생명자문위원회(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에서 발표한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종교적, 법적, 과학적 고찰을 통해 인간복제에 관한 권고사항을 담은 “Cloning Human Being"이라는 보고서를 기초로, 최근의 인간복제에 대한 심포지움과 언론 보도들을 참조로 하여 작성하였다. “복제(cloning)”란 간단히 요약하면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들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기술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생식세포(germ cell) 분열을 이용하여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만드는 기술인 생식세포 복제(blastomere separation cloning)와 체세포를 이용하여 그 생명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체를 발생시키는 체세포 핵치환복제(somatic cell nuclear transplantation cloning)가 그것이다. 이러한 인간 복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은 윤리적, 사회적, 법적 문제, 인간의 존엄성(dignity), 개인성(Individuality), 가족 통합성(family integrity), 아이를 대상화하는 것과 같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또한 다른 중요한 사회적 가치들, 예컨대 특히 출산이나 아이 양육에 관한 문제에 있어 가능한 한 개인의 선택을 넓힐 수 있도록 보호해야 한다는 것, 프라이버시 및 과학적 탐구의 자유를 보존해야한다는 것, 그리고 새로운 생명과학의 출로를 향한 가능한 발전들을 장려해야 한다는 문제들도 제기되었다. 이런 인간복제에 관한 사항들은 단순히 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공공정책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해 여러 나라에서 어떤 형태로든 법적으로 규제를 행하려 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는 현실이다. 인간 복제는 분명히 많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의 수준의 과학적 성과만으로는 이 기술을 인간에게 적용시킨다는 것은 분명히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따라서 만약 이 기술이 받아들여진다면 엄격한 규제를 통해 의학적인 연구나 치료를 위해서만 허용되어야 할 것이고, 복제아도 반드시 다른 인간과 동일하게 인간의 지위가 인식되어야 하며, 법적으로도 이에 대한 보호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법이 가장 극악한 방식의 행위를 금지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최고의 규제는 우리가 이미 인간 주체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는 단계에 와 있다는 것을 인식한 자기 규제로부터 나와야 할 것이다. 앞으로도 체세포 핵치환 복제에 대한 동물 연구는 계속 될 것이고, 과학적으로 많은 발전이 이루어 질 것이다. 그리고 사회도 변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고려하지 못한 윤리적, 법적, 사회적 문제가 새로이 생길 수도 있고, 심각하게 고려된 문제가 해결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변화와 함께 인간 복제에 대한 법적, 윤리적, 사회적, 종교적 문제에 대한 지속적 고려가 앞으로도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By development of today's science, human cloning which can be compared to recreate life has come real, and this need bioethical consideration about danger and problem. "Cloning" stands for lots of meaning in biological term, but basically it means making same individual object genetically. There are two cloning technologies one is blastomere separation cloning using segmentation of germ cell and the other is somatic cell nuclear transplantation cloning using somatic cell. By this human cloning technology has brought lots of ethical, social, legal problem, human's dignity, individuality, family integrity, treating children as objects, but in other hand different social value, as protection of making one's choice wider about pertaining to procreation and child rearing, keep free of scientific inquiry and privacy, and encourage the possible development of new biomedical breakthroughs was brought. This kind of subjects about human cloning is not just a matter to oneself but it's connected to public polices of society, and many countries tryingto restrict by any legal matter and Korea is also trying a statute law about this. It is true that human cloning has lots of hazards. It can not be accepted that using this technology to human by today's level of scientific progression. If this technology is accepted, it must be used for medical research or treatment under strict restriction, and cloned child must be treated same like other human and protection by law must be proceed. But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most egregious abuses, the most supervision of us is coming from self-regulation akin to what we already have in place for experiments on human subjects. From now on animal research about somatic cell nuclear transplantation cloning will continue and there will be more scientific development. And society will change. There might be new ethical, legal, social problem, which has been not suggested in this script, and the problem that was seriously thought might be solved. So thoughts will be needed along the change of legal, ethical, social, religious problem about human cloning.

      • 수학 교과 교과서별 음수 도입과 사칙연산에 대한 비교연구 : 중학교 1학년 중심으로

        구미경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athematics the first a difficulty is probably negative number revealed in the unit ‘Positive Number’ in the text. Historically, negative number is took a 1,500years long time to recognition of fair number by many mathematicians. This study is helpful toward find effective way to teach of negative number. Teaching method is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negative number adoption and operation in selected 10 of the 27 middle school textbooks. Study results, Application of mathematics history, Pointed out the problem over time, The use of play for study, Suggestions appropriate model of operations, Automation of operations, etc. these are conclusion of effectively that when teaching. Why is that difficult for students to carefully analyze the negative number and negative numb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are currently used to teach, do not settle, learning how to study various models of development should contin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