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후반 黃胤錫의 ‘地理’ 탐구

        구만옥 ( Koo Mhan-ock ) 한국실학학회 2022 한국실학연구 Vol.- No.44

        18세기 후반 조선 사회의 변화된 문화적 환경 속에서 황윤석은 지리학 분야에 대한 활발한 탐구를 수행하였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자신의 고향인 전라도 興德지역을 중심으로 혈연과 지연을 매개로 한 인적 관계망을 활용해서 가능한 범위내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수집하고자 노력했고, 1760년대 이후에는 중앙과 지방에서 관료 생활을 하면서 새롭게 관계를 맺게 된 여러 학자·관료들을 통해 지리학 관련 자료를 입수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자신의 일기인 『頤齋亂藁』에 필사하는 작업을 지속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황윤석은 東國大地圖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국내지도, 마테오 리치의 坤輿萬國全圖를 비롯한 서양식 세계지도를 열람하였고, 그 가운데 일부를 模寫하여 개인적으로 소장하기도 했다. 그는 젊은 시절부터 地理志에도 관심을 갖고 있었다. 전통적 지리지에는 자연지리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인문지리와 역사지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황윤석은 이와 같은 다양한 지리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통로로서 국내외의 여러 지리지에 주목했던 것이다. 그는 조선왕조의 대표적 지리지라 할 수 있는 『新增東國輿地勝覽』을 꾸준히 열람했고, 중국의 대표적 지리지 가운데 하나인 『大明一統志』에도 주목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18세기 후반의 최신의 지리지라고 할 수 있는 『大淸一統志』를 열람하고자 시도하였다. 당시 『대청일통지』는 李書九가 소유하고 있었는데, 황윤석은 李萬運에게 부탁해서 이를 빌렸고, 두 달 가까이 抄錄작업을 진행하였다. 황윤석은 지리학에 대한 다방면의 탐구를 통해 얻은 지식과 자신의 식견을 바탕으로 『동국여지승람』의 增修작업을 기획하기도 하였다. 비록 그 자신은 당시의 관료 사회 내부에서 그와 같은 일을 담당할 수 있는 지위에 있지 않았지만, 개인적 차원에서 원대한 지리지의 체계를 구상했던 것이다. 그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을 개정·증보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지리지에 수록해야 할 여러 항목을 범례의 형식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황윤석은 ‘땅의 역사[地史]’에 관한 문헌을 저술하고자 기획하였고, 이를 통해 조선왕조 역사 기록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함으로써 자신의 이름을 역사에 남기고자 했던 것이다. Hwang, Yun-seok executed the vigorous research on geography in the transforme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late 18th century Joseon society. He strived to collect various geographical information, utilizing personal and regional networks centered around his hometown Heungdeok of Jeolla-do. Furthermore, he gathered more geographical sources through the newly acquainted scholar-officers while he held government official positions both in Hanyang and countryside after the 1760s, from which he copied information he needed in his diary, Ijaerango. Hwang was able to access the several Korean maps including the Donggukdaejido(Great Map of the Eastern State), as well as the foreign maps such as the Kunyuwanguoquantu(Complete Geographical Map of Ten Thousand Countries) of Mateo Ricci, and even personally possessed a few facsimiles. He also took interest in geographical monographs from the early days, as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monographs contained knowledge of human geography and historical geography, as well as physical geography and therefore offered him different kind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He steadily read the typical Joseon geography, Sinjeung-Donggukyeojiseungram(Newly Augmented Geographical Conspectus of the Eastern Kingdom), and noticed the Chinese example of Da-Ming-Yitongzhi(Comprehensive Geography of the Great Ming Realm). His interest reached to Da-Qing-Yitongzhi(Comprehensive Geography of the Great Qing Realm), the latest geography of the late 18th century. Hwang asked Yi, Man-un to borrow the book from Yi, Seo-gu, and excerpted from it for almost two months. With the acquired knowledge and his own ideas from the myriad geographical study, Hwang planned a supplement of Donggukyeojiseungram. Although he was officially not in the position of taking charge of such a project, he personally designed the structure of a grand geography. He compiled a legend of several categorie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planned supplementary edition of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Through these works, Hwang, Yun-seok attempted to complement the historical narrative of the Joseon dynasty with ‘the history of geography’ and to mark his name in the history.

      • KCI등재

        자연지식에 대한 성호학파(星湖學派)내부의 담론 - 윤동규(尹東奎)와 안정복(安鼎福)의 논의를 중심으로 -

        구만옥 ( Koo Mhan-ock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윤동규와 안정복은 성호학파의 종장인 이익의 高弟이다. 이 글에서는 두 사람이 1756년부터 1759년 사이에 주고받은 편지를 주요 자료로 삼아 성호학파 내부의 자연지식에 대한 담론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성호학파의 자연지식에 대한 연구는 이익의 저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것은 자료의 문제에 기인한 것이기도 했다. 『星湖僿說』을 비롯한 이익의 저술에는 자연지식에 대한 풍부한 논의가 담겨 있는 반면 다른 구성원들의 논저에서는 이와 같은 자료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 글은 그와 같은 한계를 윤동규와 안정복의 편지를 통해 일부 극복하고자 하였다. 대체로 양자의 논의는 안정복의 질문에 윤동규가 답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두 사람의 나이 차이에 기인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한 경력에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윤동규는 천문역산학을 비롯한 자연지식에 상당한 소양을 지니고 있었다. 안정복으로서는 매우 적절한 토론 대상였던 셈이다. 두 사람의 논의는 歲差說, 서양의 천문역산학, 日躔表, 潮汐說등의 자연지식과 천주교의 교리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에 걸쳐 이루어졌다. 그들의 논의 과정에서는 다양한 西學관련 서적이 등장한다. 천문학 분야의 『天問略』이나 지리학 분야의 『坤輿圖說』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는 안정복과 윤동규의 논의를 통해 1750년대 후반 자연지식에 대한 성호학파 내부의 담론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 논의의 수준도 가늠할 수 있었다. 그들의 논의는 西學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하고, 객관적 관점에서 서양인의 학문적 성과를 탐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물론 이들의 논의가 당시 자연지식 분야의 최신 문헌이라 할 수 있는 『律曆淵源』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대체로 이들이 참고한 서적은 『新法算書』 단계에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Yun, Dong-gyu and An, Jeong-bok are old disciples of Yi, Ik, the master of the Seongho School. This paper reviews the theories of natural philosophy discussed amongst the members of the Seongho School, through the letters of the two between 1756 and 1759. So far the studies on natural philosophy of the Seongho School was focused on the writings of Yi, Ik. That was partly because of the lack of the sources; others’ writings short of substantial discussion on natural philosophy compared to the writings of Yi, Ik, including Seonghosaseol(星湖僿說, Miscellaneous Writings of Seongho). This review tried to overcome such limitation by reading the letters between Yun and An. Overall, the discussion between the two was comprised of An’s questions and Yun’s answers. This stemmed from the length of study under Yi, Ik, rather than the 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lso, Yun had quite knowledge in the field of natural philosophy, including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which made him a qualified discussion companion for An. Discussions between the two encompassed natural philosophical subjects, such as theory of precession, Western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Richan-biao(日躔表) and tidal theory, as well as theology of Catholicism. They referred to the various books of Western Learning, notably Tianwenlue(天問略, Epitome of Astronomy) and Kunyu tushuo(坤輿圖說, Illustrated explanation of the world). The review of discussions between Yun, Dong-gyu and An, Jeong-bok enables u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and class of discourses of natural philosophy inside the Seongho School. They tried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Western sciences and explore the scholarly achievements of the Westerners objectively. However, their discussion remained in the level of Xinfa suanshu(新法算書), the book they refer to; and therefore failed to reach the quality of the then most updated book of Lüli yuanyuan(律曆淵源, Origins and foundations of musical tuning, calculation, and the calendar).

      • KCI등재
      • KCI등재

        집현전(集賢殿)의 조직과 운영 체계

        구만옥 ( Koo Mhan-ock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2

        세종대의 당면 과제는 유교적 ‘예악문물’(禮樂文物)의 정비였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분야의 학문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수행하고 국책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했다. 이에 세종은 학문 연구의 기반을 조성하고 연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그와 같은 작업이 이루어졌던 공간이 경연(經筵)과 집현전(集賢殿)이었다. 양자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세종의 재위 기간 동안 유교적 의례(儀禮)와 제도를 연구하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다. 세종은 집현전이라는 전문 기관을 통해 인재를 육성하고자 했다. 이전의 유명무실했던 집현전을 정비하고 학식과 품행이 뛰어난 젊은 문신들을 선발해서 경사(經史)를 강론하게 함으로써 왕에게 자문하는 일을 전담하게 하였던 것이다. 1420년에 집현전에 녹관(祿官)을 설치하고, 그들에게 경연관(經筵官)을 겸임하도록 하는 조치를 취했다. 집현전의 정원은 10명에서 32명, 20명으로 때에 따라 변화가 있었지만 그들에게 경연과 서연(書筵)을 담당케 하고, 문한(文翰)의 일을 전담시키는 관례는 유지되었다. 집현전 관리의 인사 규정은 ‘장기근속’과 ‘이차천전’(以次遷轉)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었다. 집현전 관리들은 오랜 기간 동안 같은 관서에서 학문 연구에 몰두하였다. 세종은 집현전을 설치한 목적이 오로지 문한(文翰)을 다스리기 위함이라고 강조하면서, 집현전 관원들에게 종신토록 학술 활동에 전념하라고 당부했다. 집현전 관리들은 관직에 임명된 차례대로 순서에 따라 상위 관직으로 승진하였다. 이와 같은 연공서열에 따른 승진은 집현전의 오래된 관례로 간주되었다. 집현전 관리들은 관직 임명과 나이의 순서를 준수함으로써 ‘유림의 선비’[儒林之士]로서 선후의 관계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집현전과 경연은 세종대 최고의 학문 연구 기관이 되었다. 세종과 신료들은 경연에서 사서오경을 비롯한 유교 경전과 『자치통감』(資治通鑑) 등의 역사서, 『성리대전』(性理大全) 등을 독파했다. 본문만 읽는 단순한 강독이 아니라 주석까지 치밀하게 검토하는 명실상부한 학문 연구였다. 경연에서 쌓은 학문적 성과는 세종대 예악(禮樂)을 제정하고 각종 제도를 정비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요컨대 집현전은 문과(文科)에 합격한 문반 관료 가운데 연소(年少)하고 재행(才行)이 있는 인물들을 선발하여, 다년간의 재직 기간을 통해 경사(經史)를 비롯한 각종 문헌을 강론하게 함으로써 여러 학술 방면에 전문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기관이자, 국왕과 조정의 필요에 따라 국정 운영 전반에 걸친 중요한 사안에 대해 정책적 자문을 하는 기관이었다. King Sejong regarded the reorganization of Confucian rites, music, and the managerial system as a task of upmost importance. To achieve this, experts who studied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related fields and acquired practical abilities to carry out governmental projects were required. To nurture the foundation of academic research and educate intellectuals, King Sejong utilized two institutions: Gyeongyeon (royal lecture) and Jiphyeonjeon (Hall of Worthies). These two, maintaining close relations with one another,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study of Confucian rituals and systems during the Sejong era. Sejong added a new function to Jiphyeonjeon, which was the upbringing of pupils. Jiphyeonjeon selected young and capable civil officials and had them advise the King by discussing classics and histories. The King founded salary posts in Jiphyeonjeon in 1420 and had those in the posts hold the positions of Gyeongyeongwan (royal lecturer) as well. The total number of Jiphyeonjeon officials differed, from 10, 32, or 20 at times, but the responsibility of being responsible for Gyeongyeon and Seoyeon (lecture for the Crown Prince) and for authoring major state documents were maintained as their own by tradition. Personnel management in Jiphyeonjeon was characterized by the systems of long-term service and promotion by seniority. The officials of Jiphyeonjeon kept the same position for many years to focus on studying their specialties. Sejong stressed that the sole purpose of Jiphyeonjeon was to author major state documents. and therefore required the scholars to concentrate on life-long study. The officials were promo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hire, and this system was considered to be the custom of Jiphyeonjeon. They followed the rule of seniority of official employment and age, so they could respect superior Confucian scholars. Through these processes, Jiphyeonjeon and Gyeongyeon became the preeminent scholarly research institutions. In Gyeongyeon, Sejong and the officials recited Confucius texts of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as well as history books such as Zizhitongjian and Xinglidaquan. They did not stop at mere reading, but reached a level of scholarly studying by adding annotations. Intellectual achievements in Gyeongyeon served as the foundations for the rearrangement of rituals and music, and the reorganization of various institutions. Conclusively, Jiphyeonjeon can be understood as the royal institution where selected officials from the highest civil service examination, nurtured by long-term engagements in Gyeongyeon, were raised as competent intellectuals, and provided administrative counsel for state management upon the requests of the royal court.

      • KCI등재

        일반논문 : "리마두(利瑪竇)"에 대한 조선후기(朝鮮後期) 지식인들의 이해와 태도

        구만옥 ( Mhan Ock Koo ) 한국사상사학회 2010 韓國思想史學 Vol.0 No.36

        조선후기 사회에서 `利瑪竇`는 논쟁의 대상이었고 많은 官人·儒者들이 그에 대한 나름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논의의 내용과 수준은 논자의 사상적 입장과 학문적 태도, 획득된 정보의 양에 따라 상이했다. 마테오 리치와 관련된 다단한 논의의 갈래를 간추려보면 몇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마테오 리치 개인에 대한 인물평, 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와 저술에 수록되어 있는 地球說을 둘러싼 논란, 時憲曆과 서양의 천문역산학에 대한 논의, 水車를 비롯한 서양 水利學에 대한 담론, 그리고 天主學에 대한 논쟁 등이 그것이다. 조선후기의 다양한 학술 논쟁의 와중에서 마테오 리치의 저술은 심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坤輿萬國全圖」로 대표되는 세계지도, 천문역산학과 관련된 저술인 『乾坤體義』와 『渾蓋通憲圖說』, 서양 수학을 소개한 『幾何原本』, 그리고 천주교 교리를 담고 있는 『天主實義』와 서양 윤리서라 할 수 있는 『交友論』 등이 논란의 핵심에 있었다. 조선후기 사회에서 `利瑪竇`라는 용어는 마테오 리치 개인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이기도 했지만 서양 선교사 일반을 지칭하는 보통명사로 통용되기도 했다. 서양 선교사들의 저술과 행위가 利瑪竇의 그것으로 환원되는 경향도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사회에서 마테오 리치는 다양한 층위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조선후기에 마테오 리치를 바라보는 시각은 그 편차가 다양했다. 한쪽에서는 그를 `聖人`, `神人`, `異人`으로 호칭하면서 그 행적과 저술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을 보였지만 다른 쪽에서는 전통적인 `闢異端`의 관점에서 그를 異端으로 간주하면서 폄훼했다. 물론 이와 같은 평가의 차이는 어느 정도 時差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상반된 평가의 근본적 이유는 논자의 학문관과 세계관의 차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에 마테오 리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던 사람들의 논의에서는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가장 빈번하게 거론되는 것은 마테오 리치가 천하를 두루 돌아다녔으며, 서양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에 와서 중국이 서양과 통교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마테오 리치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했던 또 하나의 이유는 그의 뛰어난 학문적 역량이었다. 당시 천문역산학 분야에서 서양 선교사들이 전수한 내용이 중국의 선현들이 미처 도달하지 못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은 중국과 조선의 서학 수용자들 대다수가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었다. 요컨대 마테오 리치가 언어와 문자가 통하지 않는 외국인으로서 중국에 와서 중국어를 익히고 중국의 문화를 탐구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다는 사실이 조선후기 지식인들에게 감동을 주었고, 이것이 마테오 리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게 한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이다. 마테오 리치 개인에 대한 상반된 평가와 마찬가지로 그가 전수한 西學에 대한 조선후기 학자들의 태도 역시 대체로 배척과 수용의 입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마테오 리치를 비롯한 서양 선교사들과 그들의 저작을 배척한 사람들은 천주교가 白蓮敎나 無爲敎처럼 민중들을 선동하거나 미혹시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것을 몰아내고자 했다. 반면 서학 수용을 주장했던 사람들은 서양의 우수한 천문역산학과 기계 제작 기술을 익혀 曆法을 수정하고 군사기술과 농업기술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처럼 서학의 수용 문제는 논자의 주체적 관점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서학 수용 문제를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 학계·사상계의 지형 속에서 각각의 관인·유자들이 처해 있던 현실적 입장과 함께 그들의 현실인식과 세계관, 학문관 등이 주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Matteo Ricci(利瑪竇, "Li Madou" in Chinese and "Ri Madu" in Korean) was a controversial figure in late Choson society. Many government officials and Confucian scholars expressed different opinion on him according to ideological orientation, academic stance and information acquired. Discussion on Matteo Ricci could be placed under several categories: personal criticism, controversy over the idea of spherical earth introduced in his world maps and his writings, discussion on Shixian li(時憲曆, Temporal Model astronomy system) and Western calendrical astronomy, discourse on Western hydraulics including waterwheel, and controversy over Catholicism. The writings of Matteo Ricci had a tremendous impact on various academic discourses of late Choson. World maps represented by the "Kunyu wanguo quantu(坤輿萬國全圖)", books on cosmography and mathematical astronomy such as Qiankun tiyi(乾坤體義) and Hungai tongxian tushuo(渾蓋通憲圖說), Jihe yuanben(幾何原本), which introduces Western mathematics, Tianzhu shiyi(天主實義), which explains Catholic doctrines, and Jiaoyou lun(交友論), which is a book on Western ethics we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late Choson society, the name "Li Madou" was also used as a generic term referring to Western missionary. Writings and activities of Western missionaries tended to be reduced to those of "Li Madou". Therefore, Matteo Ricci was the core target of controversy at various levels. There existed a wide variation in the response to Matteo Ricci in late Choson. On the one hand, there were positive views for his activities and writings, calling Matteo Ricci as a "sage"(shengren 聖人), a "divine man"(shenren 神人), or an extraordinary man(yiren 異人).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eople upholding the traditional view of "rejecting heresy" disparaging Matteo Ricci as a heretic. Of course, time differences played a part in bringing about these different views. However, more fundamental reason for such contradicting views is the difference in their views about the world and learning. There are some commonalities in the discussion of people who were favorable to Matteo Ricci. Most frequently, they mention the fact that Matteo Ricci traveled around the world and was the first Westerner to enter into friendly relation with the Chinese. Matteo Ricci`s excellent academic ability was another factor that contributed to the positive evaluation of him. A majority of the followers of Western learning in China and Choson admitted that the Western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s introduced by Western missionaries far surpassed the level attained by the ancient sages of China. In sum, many intellectuals of late Choson were impressed by the fact that Matteo Ricci, as a foreigner without prior knowledge of Chinese language, came to China, learned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and wrote many books, and this was a factor behind positive evaluation toward Matteo Ricci. Just as contradictory evaluations existed as to Matteo Ricci as an individual, Western learning that he introduced received conflicting responses of rejection and acceptance from scholars of late Choson. Those who rejected the writings of Western missionaries like Matteo Ricci tried to dismiss Catholicism on the ground that it is instigating or dazzling the masses as did the White Lotus(Bailian jiao 白蓮敎) or the Non-action Movement(Wuwei jiao 無爲敎). On the other hand, people in support of accepting Western learning sought to learn Western mathematical astronomy and machine production techniques in order to revise the calendar system and improve military and agricultural technologies.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developed in different directions according to different individual attitu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ssue from multiple dimensions, considering the actual condition of each government official and Confucian scholar in light of the topography of the learning and world of thought, as well as their perception of reality, world view and scholarly orientation.

      • KCI등재

        이문재(李文載)의 자연학(自然學)

        구만옥 ( Mhan Ock Koo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이상형과 이문재 부자는 당대 서인계 산림의 영수라 할 수 있는 김장생과 그의 아들 김집을 사사하여 사제 관계를 맺음으로써 이이에서 김장생으로 이어지는 서인계 학통을 계승했다. 따라서 이상형·이문재 부자의 학문·사상과 자연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조선후기 서인-노론계의 자연학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이상형의 가문은 전라도 남원을 지역적 기반으로 삼아 경제적 부를 축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했다. 이상형과 이문재는 출사 기간을 제외하고는 줄곧 남원에 거주했다. 따라서 이상형·이문재 부자와 같이 남원이라는 향촌사회에서 삶을 영위했던 유학자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자연학과 관련된 지식에 접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지식들이 향촌사회 단위에서 어떻게 유통되었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당시 조선사회의 사상·문화계의 지형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문재는 부친 이상형 이래의 가학의 토대 위에서, 김집을 비롯한 사우들과의 강학을 통해 자신의 학문을 성숙시켜 갔다. 이문재는 부친 이상형과 마찬가지로 정치적으로 척화(斥和)와 존주(尊周)의 입장을 고수했으며, 학문적으로는 역학(易學)과 상수학(象數學)에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의 학문적 중심은 이학(理學)이었다. 이문재는 『주역』에 근거해서 학문적 위차를 설정했는데, 그에 따르면 이학은 기학(氣學=天文)·형학(形學=地理)·수학(數學=陰陽)을 포괄하는 것으로서 유학자가 추구해야 할 핵심이었다. 이문재의 저술 가운데 자연학 분야에서 주목을 끄는 것은 「기삼백주해(朞三百註解)」와 「선기옥형주해(璿璣玉衡註解)」다. 그 제목과 달리 이 두 저술의 내용은 ‘기삼백’과 ‘선기옥형’의 문제에 국한되지 않았다. 그것과 관련된 자연학의 전반적 문제가 논의 대상이었다. 자연학과 관련된 이문재의 논의를 분석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먼저 자연학과 관련된 논의의 철학적 기초가 역학(易學)이나 음양설과 같은 성리학적 사유체계라는 사실이다. 그가 24기(氣)의 배치법을 설명하면서 역의 대연수(大衍數)에 비유하거나, 조석현상을 철저히 음양설에 입각해 설명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이문재의 서학(西學)에 대한 태도와도 연결된다. 시헌력(時憲曆)으로 대표되는 서양의 천문역산학은 당대 최고의 수준을 자랑했다. 그러나 이문재가 보기에 시헌력의 시각법은 성인의 고제(古制)에 어긋나는 것으로 언급할 가치조차 없었다. 이문재의 학문적 관심은 성리학의 테두리 내에서 일체의 자연현상을 일관되게 설명하는 것이었지, 성리학적 자연인식의 경계선을 넘어 새로운 학문적 지평을 개척하는 것이 아니었다. 이문재의 후손과 후학들은 「선기옥형주해」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것이 당시 학자들 사이에서 주목의 대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문재의 몇 가지 논의에서는 요령부득의 문제점이 여러 군데 발견된다. 이는 자연학에 대한 그의 학문적 수준을 의심케 만드는 사례들이기도 하다. 성리학적 자연인식의 체계 내에서 선유(先儒)들의 논의를 종합해서 일관된 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던 그의 학문적 노력은 부분적 성취를 이루었다. 그것은 유학자 일반의 지적 수준을 넘어서는 것이기는 했지만, 16세기 말부터 17세기 후반에 이르는 시기에 활동했던 몇몇 뛰어난 학자들의 논의와 비교해 볼 때 결코 높은 수준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것은 당시 지식정보의 중심지였던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원이라는 지방 사회의 제한된 정보 속에서 이문재라는 개인의 지적 열망이 만들어 낸 제한적 성과물이었다. Yi Sang-hyeong(李尙馨) and his son Yi Mun-jae were students of Kim Jang-saeng(金長生) and his son Kim Jip( 集), then the leaders of Seoin(westerner, 西人) Faction. This meant that the Yis succeeded to the Seoin Faction, which had its ideological lineage came down from Yi yi(李珥) to Kim Jang-saeng. Therefore, studying Yi Sang-hyeong Yi Mun-Jae’s scholarly works on natural science will open the passage to understand the Seoin-Noron(老論)’s study on natural science in the late Joseon period. Based on the family wealth accumulated from Namwon(南原), Jeonla-do(全羅道) area, Yi Sang-hyeong moved forward to the positions in central government. However, Yi Sang-hyeong and Yi Mun-jae stayed in Namwon except the time periods they served in central government, and therefore never lost connections with the local confucius scholars. Their lives would help to show how local scholars natural science and how the knowledge circulated locally, and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configuration of ideas and culture of Joseon. Yi Sang-hyeong established the scholarly tradition of the family, and Yi Mun-jae had it matured through the study exchange with friends like Kim Jip. Yi Mun-jae followed his father in regard of cheokhwa(斥和, Rejecting Reconciliation) and jonju(尊周, Loyalty to Ming), and was appraised as a fine scholar of Yeokhak(Yixue, 易學) and xiang-shu-xue(象數學). The center of his study was lixue(理學), which he understood as the core of confucianism, comprehending qixue, xingxue, and shuxue. The two most important works of Yi Mun-jae on natural science were Annotations to jisanbai and Annotations to xuanjiyuheng. In his comprehensive discussions on natural science in these books, we can come up with a few characteristics. Firs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is natural science lied in Neo-Confucian framework of yixue and yinyang theory. This tendency was seen in his explanation of fortnightly period and tidal movements. This also led to Yi Mun-jae’s attitude toward Western Learning. Even though the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of the west boasted the finest level of the day, Yi Mun-jae focused on explaining all natural phenomena in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Even though Yi Mun-jae’s Annotations to xuanjiyuheng was highly regarded by his descendants and junior scholars, his discussion included serious problems which raised doubts in his intellectual level. This suggests the limits of information available to the provincial scholars who were far away from the center of intellectual world of Seoul(Hanyang). Therefore, Yi Mun-jae’s limited achievements were an outcome of his personal eager for study, only restricted by provincialism.

      • KCI등재

        특집 : 동서(東西)의 만남과 실학: 동아시아 지식세계와 마테오리치 ; 마테오 리치(利瑪竇) 이후 서양 수학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반응

        구만옥 ( Mhan Ock Koo )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서학(西學)이 조선후기 사상사에 끼친 영향은 심대하며, 서학의 전파를 주도했던 예수회와 그 대표적 인물 가운데 하나인 마테오 리치의 역사적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는 중국 선교 과정에서 적응주의 노선과 과학선교 방식을 채택했다. 이와 같은 선교 노선에 따라 르네상스기 유럽의 과학과 기술이 동아시아 사회에 전파되었다. 마테오 리치의 학문 체계에서 수리과학을 포함한 철학은 신학과 일체화되어 있었는데, 이것이 그가 과학선교 방식을 채택한 이론적 배경이 되었다. 바로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하에서 『기하원본(幾何原本)』이 번역되었던 것이다. 한편 청(淸)의 강희제(康熙帝) 때에는 서양 과학의 ``중국원류설``을 사상적 기반으로 하여 중서산학(中西算學)의 회통을 표방하는 『수리정온(數理精蘊)』이 편찬·간행되기에 이르렀다. 18세기 후반 조선사회에서 『기하원본』과 『수리정온』으로 대변되는 서양 수학서는 ``리수(理數)를 크게 밝힌 책``, ``고산가(古算家)의 제일대전서(第一大全書)``로 높이 평가되었다. 그것은 천문역산의 실무를 담당하는 관상감 관원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책이었다. 이처럼 『기하원본』과 『수리정온』은 서양 수학 전공자들 사이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지만 『수리정온』의 경우에는 그 미비점을 지적하는 견해도 적지 않았다. 이는 마테오 리치의 『기하원본』과 청조(淸朝)에서 간행된 『수리정온』에 대한 미묘한 입장 차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서양 수학에 대한 일부 지식인들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기하원본』과 『수리정온』이 조선후기 지식인 사회에 끼친 영향이 광범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것은 당시 사회에서 ``기하지학(幾何之學)``, ``도수지학(度數之學)``을 바라보는 일반적 태도와 무관하지 않다. 당시에는 도(道)를 담론하는 형이상(形而上)의 학문이 군자들이 추구해야 하는 ``큰 학문``으로 인정되었고, 수학과 같은 ``예술(藝術)``은 형이하(形而下)의 학문으로서 ``작은 기술``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이다. 그 배후에는 수학을 독립적인 가치를 지닌 개별 학문 분야로 인정하기 보다는 리학(理學)의 보조 수단 내지 하위 범주로 간주했던 전통적인 리수관(理數觀)이 작동하고 있었다. 서양 수학을 포함한 산학(算學) 일반을 소기(小技)로 여기는 조선후기의 학문 풍토 속에서 열정적으로 서양 수학을 탐구한 일군의 학자들이 있었다. 이익(李瀷)을 필두로 이용휴(李用休)-이가환(李家煥)을 거쳐 이벽(李檗)-정약전(丁若銓)·정약용(丁若鏞)으로 이어지는 ``근기남인계(近畿南人系) 성호학파(星湖學派)``, 서명응(徐命膺)-서호수(徐浩修)-서유구(徐有구)로 이어지는 달성(達城) 서씨가(徐氏家), 노론(老論)-낙론계(洛論系)의 황윤석(黃胤錫)·홍대용(洪大容)과 홍계희(洪啓禧), 이가환·홍대용과 밀접한 학문적 교유 관계를 형성하고 있던 정철조(鄭喆祚), 노론(老論)-호론계(湖論系)에 속하는 홍양해(洪量海), 그리고 관상감의 실무를 담당했던 이태창(李泰昌), 문광도(文光道), 김영(金泳)과 같은 관리들이 그들이었다. 이들이 서양 수학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동기와 경로, 서양 수학을 탐구한 목적은 동일하지 않았다. 서양 수학의 연원과 가치에 대해서도 통일된 관점을 보였던 것은 아니다. 대체적으로 이들이 서양 수학을 포함한 수학 일반에 주목했던 이유는 세 가지 정도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사대부 교양으로서의 필요성이었다. 전통적으로 ``수(數)``는 ``육예(六藝)``의 하나로 중시되었는데, 조선의 지식인들은 심성(心性) 수양의 효율적인 수단으로서 수학의 가치를 인정하였다. 둘째는 실무적 필요성이었다. 천문역법의 추산(推算)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재정·회계, 양전(量田) 등의 국가적 사업을 위해서도 정밀한 수학 계산이 항상적으로 요구되었다. 셋째는 상수학(象數學) 내지 율력산수지학(律曆算數之學)에 입문하기 위한 필수적 절차였다. ``수(數)``에 대한 탐구를 통해 ``리(理)``에 도달하고자 했던 것이다. 조선후기 서양 수학을 열정적으로 탐구했던 사람들의 학문적 지향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연구가 기존의 학문 체계에 균열을 일으키고 새로운 지향점을 모색했다는 점에서는 어느 정도의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먼저 그들은 도학(道學) 위주의 학문 풍토를 비판하면서 수학의 학문적 가치를 나름대로 수립하고자 노력했다. 아울러 그들은 ``후출유공(後出愈工)``의 관점에서 서양 수학의 우수성을 인정함으로써 서학 수용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했다. 그들이 추구한 수학이 기존의 상수학적 틀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전통적 리수관(理數觀)에서 벗어나 새로운 수학의 세계를 개척하고 있었던 것이다. Western learning had enormou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ought of the late Choson dynasty.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how important the historical roles of both the Jesus society which led the spread of Western learning, and Matteo Ricci who was one of leaders of the society were. In his missionary work, Ricci adopted a way of accommodation and science propagation. Following these directions, the Europea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Renaissance were diffused in East Asia. Jiheyuanben(幾何原本) translated by Ricci and Shulijingyun(數理精蘊)compiled by Qing China were the most famous books that introduced Western mathematics in the late Choson. Some Western mathematics books represented by Jiheyuanben and Shulijingyun were appreciated highly as clarifying li-shu(理數) in the late 18th century of Choson Dynasty. Those books were required readings for officers in the Office for Observance of Natural Phenomena who were in charge of works of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Whereas specialists in Western mathematics positively valuated Jiheyuanben and Shulijingyun, there was controversy over the imperfection of Shulijingyun, which is notable because this controversy shows subtle differences in position between Ricci`s Jiheyuanben and Qing Dynasty`s compilation of Shulijingyun. Despite some intellectuals` positive evaluation about Western mathematics, it is hard to say that Jiheyuanben and Shulijingyun had extensive influence on the intellectual society of the late Choson. It was related to society`s view on mathematics. At that time, metaphysical studies was regarded as "great studies" which was pursued by a man of virtue while physical studies such as mathematics was just as "trivial skills." The background of this society`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as the great impact of the traditional view of li-shu which regards the independent value of mathematics not as an individual study, but as supplementary or subordinate to Neo-Confucianism(the stud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There were a group of scholars who enthusiastically studied Western mathematics even in this negative academic climate which regarded mathematics including Western mathematics as trivial skills. Those were sadaebu(yangban literati) such as Yi, Ga-hwan(李家煥), Seo, Ho-Su(徐浩修), Hwang, Yun-seok(黃胤錫), Hong, Dae-yong(洪大容), Jeong, Cheol-jo(鄭喆祚), and Hong, Yang-hae(洪量海) as well as officers for Observance of Natural Phenomena such as Moon, Gwang-do(文光道) and Kim, Yeong(金泳). There are three reasons why they focused on mathematics including Western one. First of all, mathematics was needed for cultural education of sadaebu(yangban literati). In tradition, "numbers" was put emphasis on as one of yugye(六藝, six arts). Choson intellectuals considered mathematics` value as one of efficient means for cultivating mind. Second, a practical purpose required mathematics. Precise mathematical calculation was constantly demanded in order to calculate both calendrical science and to propel national undertaking such as finance and accounting, and land surveying. Lastly, mathematics was an indispensable step to enter xiang-shu-xue(象數學). Scholars tried to reach "li(理)" by studying "numbers." We can find that there were commonalities among their studies in that their studies had shaken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and sought new orientation although ardent scholars of studying Western mathematics did not always have similar academic orientation. They criticized the dohak(道學)-centered academic climate and sought to establish learning value of mathematics. In addition, they found grounds to accept Western learning by admitting the superiority of Western mathematics. It is worth noticing that the mathematics that they pursued went beyond the boundary of xiang-shu-xue. They opened up a new mathematical world diverged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li-shu.

      • KCI등재

        18세기 후반 김석문(金錫文)과 『역학도해(易學圖解)』의 발굴 -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를 중심으로 -

        구만옥 ( Koo Mhan Ock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7

        김석문의 『역학이십사도해(易學二十四圖解)』는 전통적 역학(易學)·상수학(象數學)과 서양의 천문역산학을 회통하여 새로운 우주론의 지평을 열고자 했던 저술이라고 평가된다. 오늘날 그의 저술과 행적에 대해서 가장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문헌은 황윤석(黃胤錫)의 『이재난고(頤齋亂藁)』이다. 『이재난고』에 수록된 김석문에 대한 정보는 양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여타의 문헌 자료를 능가한다. 이 글에서는 『이재난고』를 기본 자료로 삼아 황윤석이 『역학도해』에 접근하게 된 경위와 김석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 경로, 그리고 『역학도해』의 내용 가운데 황윤석의 관심을 끌었던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역학이십사도해』의 모체가 되는 『역학도해』는 18세기 후반에 성효기(成孝基)·성대중(成大中)의 가문에서 보관하고 있었다. 황윤석은 성대중과 친분이 있던 정경순(鄭景淳)·정지순(鄭持淳) 형제와 김용겸(金用謙)을 매개로 하여 『역학도해』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는 먼저 정경순을 통해서 1766년 4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제1권을 제외한 『역학도해』 네 권을 빌려보았다. 1771년에는 자신이 근무하던 관청의 상관인 종실(宗室) 이련(李槤)의 아들 이명찬(李命贊)에게서 『역학도해』 전체 5권 가운데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제1권을 빌릴 수 있었다. 이 무렵 성대중의 집안에서 『역학도해』가 실전(失傳)될 것을 염려해서 그것을 이명찬에게 맡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련은 김석문의 아들인 김도해(金道海)의 사위였다. 이후 8년이 경과한 1779년 7월에 황윤석은 다시 김용겸으로부터 『역학도해』를 빌려서 8월까지 약20일 동안 집중적으로 그 내용을 초록하면서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몇 차례의 집중적 검토를 통해 황윤석은 『역학도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황윤석은 정경순을 통해 김석문에 대한 정보를 처음으로 입수한 이후 서울과 지방에서의 관직 생활을 통해 알게 된 포천(抱川) 지역 출신의 인물들과 김석문 집안사람들을 통해 김석문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정경순, 김용겸을 비롯해서 김원행(金元行), 백사은(白師殷), 김일묵(金一默) 등이 김석문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황윤석에게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황윤석은 김석문에게 『역학이십사도해』를 출간하도록 독려한 사람이 그의 제자 황재중(黃在中)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김석문으로부터 성효기·성대중을 거쳐 이명찬으로 이어지는 『역학도해』의 전수 과정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황윤석은 1779년 자신이 지방관으로 재직하던 목천(木川)에서 김석문의 스승인 허격(許格)에 대한 자료도 수집하였다. 이러한 정보에 기초해서 황윤석은 김석문의 행적과 학문적 위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10대 시절부터 주역점(周易占)에 관심이 많았던 황윤석은 김석문의 『역학도해』에 수록된 새로운 서점법(筮占法=筮法)에 주목하였다. 김석문은 대연수(大衍數)를 100으로 보았고, 49개의 시초(蓍草)로 점을 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선천(先天)48책(策), 선천(先天)100책(策), 후천(後天)49책(策)의 새로운 방식을 창안하였다. 또한 시초의 재료로는 북부 지방의 바다에서 산출하는 용편초(龍鞭草=龍鬚木)를 사용했다. 황윤석은 김석문의 율력산수지학(律曆算數之學)에도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지만, 만년에 이르러 더욱 흥미를 보인 분야는 서법(筮法)이었다. 황윤석은 그의 나이가 50대에 접어든 1779년 7월 무렵부터 김석문의 서법에 본격적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고, 몰년에 이르기까지 이를 활용해서 다양한 점을 쳤다. Kim Seok-mun’s Yeokhakisipsadohae is considered to open a new cosmology, combining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I-ching studies, xiangshuxue(象數學) and astronomy and calendrical science of the West. One book that contains the most various information on him and his work is Hwang Yun-seok’s Ijaerango(?齋亂藁). By reading Ijaerango, this paper explores how Hwang approached to Yeokhakdoha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Kim Seok-mun, and discusses major themes of Yeokhakdohae that drew Hwang’s attention. Yeokhakdohae, from which Yeokhakisipsadohae stemmed, was in the custody of Seong Hyo-gi and Seong Dae-jung’s family in the late 18th century. Hwang was able to get access to the book through the Jeong brothers(Gyeong-sun and Ji-sun) and Kim Yong-gyeom, who were friends with Sung Dae-jung. First, Hwang borrowed four volumes of Yeokhakdohae except vol. 1 during a 10 months period between April 1766 and February 1767 through Jung Gyeong-sun. In 1771, Hwang borrowed the essential volume 1 of Yeokhakdohae from Yi Myeong-chan, who was a son of a royal family member, Yi Ryeon. That was possible because the Seong family, in worrying about loss, bestowed Yeokhakdohae to Yi Myeong-chan. Yi Ryeon was a son-in-law of Kim Do-hae, the son of Kim Seok-mun. Eight year passed and Hwang again borrowed Yeokhakdohae from Kim Yong-gyeom in July, 1779, and analyzed it intensively for 20 days. Now, after several accesses to the book, Hwang had a clear grasp of the essence of Yeokhakdohae. Hwang first collected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from Jeong Gyeong-sun, and later from people of Pocheon region he got acquainted with during his days in the office and also from the family members of Kim Seok-mun. Kim Won-haeng, Baek Sa-eun, and Kim Il-muk, as well as Jeong Gyeong-sun and Kim Yong-gyeom, offered numerous information about Kim Seok-mun. Hwang verified that Kim’s pupil Hwang Jae-jung encouraged him to publish Yeokhakisipsadohae, and also realized the passage of Yeokhakdohae from Kim Seok-mun to the Seong family and then to Yi Myeong-chan. Moreover, Hwang Yun-seok collected intelligence on Heo Gyeok, Kim Seok-mun’s master, in Mokcheon region where he served as an regional officer. With all sources he gathered, Hwang was able to analyze Kim Seok-mun’s achievements and academic position comprehensively. Hwang, who was much interested in I-ching divination from the early days, paid special attention to a new procedure of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in Kim Seok-mun’s Yeokhakdohae. Kim considered 100 as dayanshu(大衍數) and created a new ways of divination using 48, 100, 49 milfoil stalks instead of using conventional 49 stalks. He used ryongpyeoncho(龍鞭草) from Hamgyeong-do for the raw material for the stalks. Hwang also showed much interest in Kim’s luli suanshu zhi zue(律曆算數之學, study on harmonics, calendar, and mathematics), but his most devoted field of study was divination using milfoil stalks. As he approached his 50s in 1779, Hwang began studying Kim’s divination in good earnest, and told fortunes using it toward the end of 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