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渤海의 水路 體系에 관한 試論的 考察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49 No.-

        이 연구는 黑龍江省 일대에 형성된 발해 유적을 중심으로 발해 중후기에 활발하게 운용된 수로 체계를 그려내는 데 목적을 두고 牡丹江을 큰 줄기로 삼아 黑龍江省의 발해 유적을 크게 3개의 구역으로 분류해 보았다. 上京을 중심으로 북으로는 江東 長成, 그리고 남으로 鏡泊湖를 경계로 하는 구간을 제1차 수로 체계로 삼았다. 목단강을 따라 북, 남으로부터 상경으로 유입되는 수로를 방어하는 기능을 담당하였으며 이들이 형성한 안전한 수로 체계 위에서 상경 주변에는 수로를 따라 많은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즉 이 구간은 상경을 중심으로 자원과 물자를 수렴하고 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구심력이 작동하는 지점이다. 이어 海浪河 상류에 형성된 九公里 산성과 石河採石場 산성, 그리고 穆?河 상류에 형성된 小四方 산성, 粮台 산성, 石城山 고성 들로 구획되는 이내의 지역을 2차 수로 체계로 설정하였다. 상경으로 향하는 구심력과 주변 지역으로 확대되는 원심력이 동시에 작동하는 복합구간이라 하겠다. 3차 수로체계는 수로를 따라 외곽으로 평지성이 연속되는 구간이다. 앞의 두 구간과 달리 방어나 통제를 위한 산성은 나타나지 않으며 하류에 이르는 구간까지 고루 평지성이 분포되어 있는데 합수 지점이나 강 하류의 충적 대지에는 비중이 높은 평지성이 형성되고 있다. 상경을 향한 구심력보다는 외부로 나아가는 원심력이 작동하는 구간이라 할 수 있다. 특별히 牡丹江 하류와 烏斯渾河 일대는 발해 문화의 뚜렷한 지표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金代의 성곽으로 분류되고 있는 데 대하여 新唐書 地理志, 太平寬宇記, 吉林通志, 冊府元龜 등의 문헌을 검토하여 발해시대의 수로 거점으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논증하였다. 주지하다시피 발해의 지방 통치는 在地 首長層을 중심으로 한 독자적 운영으로부터 주부군현에 입각한 일원적 운영에 이르기까지 시기별로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3차 방어 체계는 발해의 지방 장악력의 여하에 따라 원심력이 가변적으로 작동되는 구간이었다. 하지만 1, 2차 수로체계와 같은 방어체계는 두지 않았기 때문에 외부와의 원활한 교류 환경은 열어두고 있다. 이러한 수로 체계를 운영한 것은 말갈제족 통합과 지방 운용방향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궁극적으로 수로를 따라 형성된 수많은 유적은 수세적 방어체계가 아니라 광대한 영역과 다중적인 주민을 운용하는 인프라로서 재조명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Waterway is not a barrier but a mediator to connect the inside area with outside area. The Balhae"s Waterway System is classified into three zones based on vast wateways and many historical remains in Heirongjiang Province. The 1st zone is the area surrounded by Jingbo Lake(鏡泊湖) in southern part and Jiangdong Great Walls(江東長城) in northern part. This zone took a role as a defense sector toward trespassers and by this safe system it could establish various kinds of trade systems. Until now, a lot of historical remains has remained in this zone. In other words, this area can be seemed as a centripetal force spot, so to say, resource and materials-intensive area. Also, this area has kept those resource and materials inherent in t hzeone safely with Sang-gyeong castle(上京城). The 2nd zone exists within the boundary that is formed following the Jiugongli(九公里), ShIhecaishichang(石河採石場) mountain fortress in the upper of Hailang River(海浪河) to Xiasifang(小四方), Liangtai(粮台), Shichengshan(石城山) mountain fortress in the upper one of Muleng River(穆?河). This zone is the composite area that can act both of the centripetal force oriented Sang-gyeong castle and the centrifugal force toward outside world at the same times. The 3rd zone is the area leading flatland castles to outskirts along the river continually. Unlike the previous two zones mentioned, the mountain fortress for defense and controlling doesn"t exist. But, only flatland castles in the downstream region can be seemed. On the confluence area and the alluvion in the lower of river, noticeable castles had been formed. Here, centrifugal force is stronger than the centripetal force. Especially in the previous studies, the historical remains of the lower of Mudanjian River(牡丹江) and Wusihun river(烏斯渾河) were regarded as Jin(金)"s. Because we can"t find any clear clues to determine whether those historical remains are belonged to Balhae or not. However, this study reconsiders the possibility that those remains were functioning as key points of Balhae’s waterway going through Xintangshu(『新唐書』), Taipingkuanyuji(『太平寬宇記』), Jirintongzhi(『吉林通志』), Cefuyaungui(『冊府元龜』). The management of waterway system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tegration of Mohe(靺鞨) and the region reign. In conclusion, those remains formed along with waterway took a role not only as a kind of defense systems but also as an important management infra-structure for the vast areas and diverse tribes.

      • KCI등재

        渤海의 古墳 外廓 造營物에 대한 硏究

        구난희(Ku, Nan-hee)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1 No.-

        이 연구는 발해 고분의 외부조영물의 현황과 배치, 그리고 그것에 나타난 의미를 다루었다. 먼저 외부조영물을 물길의 총상작옥과 연결하는 중국학계의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고 물길전의 총상작옥은 시신의 보관 기능에 한정된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고고 성과를 토대로 외부조영물의 현황을 검토하고 크게 돌담형, 탑파형, 금당형, 능원형으로 분류하였다. 돌담형은 진한시대에 등장한 능침과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외부조영물로 이해하였으며 탑파형은 돌담형을 모태로 당의 묘상탑과 전실묘의 영향이 융합된 것으로 보았다. 여기서 탑파형은 왕실고분군이 하나의 능역으로 조성되는 가운데 수묘와 추복의 조영물로 부가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와 달리 금당형과 능원형은 하나로 능역화된 왕실고분군과는 별도로 독자의 능원을 추구한 사례로 해석하였다. 육정산고분군의 제1묘역과 용두산고분군의 용해구역 제5대지는 왕실 고분을 하나의 능역으로 조성한 구역이라는 점을 제안하고 그 조성 주체를 문왕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해명하기 위한 첫 단서로 정혜공주묘와 정효공주묘에 주목하였다. 정혜공주묘와 정효공주묘는 서로 다른 묘제를 취하고 있지만 왕실무덤의 정중앙에 주변과 다소 다른 특이한 묘제로 안치되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양공주묘의 묘지석에서 ‘陪葬於○○之西原’이라는 구절을 포함한 것은 수사적 서술만이 아니라 이러한 의도를 표현한 것임을 재인식하였다. 문왕은 57년간의 긴 재위를 통해 왕실의 권위를 드높이고 그것을 자신의 직계를 중심으로 재편하고자 왕실능역을 조성하였던 것이다. 이는 곧 살아있는 자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며 고분 외부조영물은 이를 보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용해구역 제8대지의 금당형 조영물(M13과 M14), 삼릉둔고분과 하남둔고분과 같이 별도의 능원을 조성한 경우는 문왕이 주도하는 권력 관계와 왕실내의 지위에 불편을 느끼거나 그를 능가할만한 권력을 영유하거나 소망하면서 별도의 묘역을 마련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이는 또 다른 살아있는 이의 의도가 드러나는 지점이며 이를 외부조영물로써 구현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 on the status of Tumulus Surroundings in Palhae渤海 and its meanings. First, I doubt the point of the Chinese academy which Tumulus Surroundings in Palhae are originated from Chongsangjakok塚上作屋 in Mulgil勿吉. It is pointed out that the Chongsangjakok had only the capability to keep a dead body. Next, based on the archaeological results, the status of the Tumulus Surroundings was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5 types: stone fence type, Pagoda type, golden shrine type, and cemetery type. The stone fence type was understood to take a role as a Mausoleum that emerged in Jin-Han秦漢 age, and the Pagoda type was based on the stone fence type and fused with pagoda and brick toms in Tang唐. The pagoda type added the image of keeping the grave and cherishing the dead. On the other hand, the golden shrine type and the cemetery type are interpreted as a case of pursuing the unique cemetery as not as like one cemeteristic Royal tombs. The 1st site in Liudingshan六頂山 graveyard and the 5th site of Longhai龍海 tomb in Longtoushan龍頭山 graveyard was made by royal toms as one unified cemetery. It is argued that the principal agent of making it was King Mun文王. For this opinion, Jeonghe貞惠 Princess tomb and Jeonghyo貞孝 Princess tomb are focused on as clues. Although they made in different style each other, they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nified cemeteries with unique styles.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phrase ‘buried besides the west part of ○○(陪葬於○○之西原)’in the graveyard of two Princess’s tombs were not only a rhetorical statement but also an expression of their real making intention. While King Mun has regimed for 57 years, he raised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and reorganized supreme power inner his direct line. It was focused that these surroundings became the parts of symbolizing the intention of the living man(King Mun). From this point, the another cases like as M10 and M14 at Longhai tombs, Sanling-tun三陵屯 tomb and Heonan-tun河南屯tomb set up a separate graveyard by exerting from King Mun’s surpass or hoping for another power. These are the points where another living men tried to reveal and embody their intention through the new style surroudings.

      • KCI등재

        渤海 東京 地域의 歷史的 淵源과 地域性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8 No.-

        이 글은 渤海 東京이 위치했던 琿春 일대의 역사적 연원을 다룸으로써 동경 지역의 역사적 위상과 현재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沃沮와 高句麗 柵城은 서북방 진출의 교두보로서 그리고 중원왕조와의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방어적 보루거점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 발해 시기에 접어들면서 선대의 기반 위에 동경 지역은 연해주로 향하는 연계망을 확장시키고 광대한 영역을 확보하는 전초기지로 그 역할을 전환하였다. 遼代의 동경 지역에 대해서는 蒲盧毛朵部를 통하여 渤海 遺民의 殘存 地域으로서의 의미에 주목함과 동시에 발해 부흥 운동 세력의 背後地로서 역할하였음을 새롭게 밝혀 보았다. 한편 遼朝는 蒲魯毛朵部에 대해 압박과 회유의 양면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渤海 東京’의 역사성을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후 연해주 지역을 중심으로 여진화가 촉진되면서 금은 合喇路(葛喇路), 恤品路, 耶喇路 등을 설치하였고 원대에는 奚關總管府로 이어졌다. 하지만 해관총관부가 소속된 開元路의 명칭이 東京龍原府를 편입한 요의 開州 및 그 산하의 開原縣에 연원을 두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책성-발해 동경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상징성을 계승한 것이라고 제안해 보았다. 明代에서는 기존 중국학계에서 고려하지 않는 建州衛와의 관련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보았다. 비록 建州衛의 중심지역은 綏芬河 일대이지만 建州라는 명칭의 연원을 발해로부터 찾을 수 있으며 건주여진이 목단강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점으로 보아 비록 실체적 명분은 상실하였지만 역사적 연원으로서의 상징성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근대 이래 중국과 러시아의 분계로 연해주와 직접 연계는 제동이 걸렸지만 이제 이러한 구분을 넘어선 동북방 교류의 새로운 변화가 혼춘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훈춘 일대에 다시금 발해 동경의 위상을 재현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reviewed the historical status and the current meaning of PalhaeTonggyeong(渤海東京) area by dealing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unchun(琿春) area in which where PalhaeTonggyoeng was located. Okcho(沃沮) and Koguryo Chekseong(高句麗 柵城) had a role as a bridgehead to the northwestward expansion and as a defensivebase to deal with the crisis with the Chinese Middle dynasty. Entering the Palhae era, the role of Tonggyeong area had changed to an outpost for expanding the linkage to the Primorye Province and securing vast areas. In the Liao(遼) era, the Poromotabu(蒲盧毛朵部) was the area of the remaining Palhae residents and became the backbone of the Palhae Reconstruction Movement. On the other hand, Liao emphasized the two-pronged policy of oppression and persecution for Poromotabu, which ultimately resulted in the fading historicality of Palhae Tonggyeong. Since then, the power of Jurchen had been reinforced in the Primorye Province, and Jin dynasty had installed Hapraro(合喇路), Kalraro(葛喇路), Hyupumro(恤品路), Yararo(耶喇路) and so on, followed by Haekwanchongkwanbu(奚關總管府) in Yuan(元) dynasty. However, this papers uggested that Kaewonro(開元路)"s name which belongs to Haekwanchongkwanbu may have been based on Kaeju(開州) of Liao which incorporated Tonggyoeng Yongwonbu(東京龍原府) of Palhae, and Kaewon of Kaeju, and that it inherited the historical symbolism which leads to Cheakseong-Tonggyeong. In the Ming(明) period, this study actively reflected the relevance of Keonjuwi(建州衛),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the Chinese academia Although the central area of Keonjuwi is the part of Suifen river(綏芬河) area, the origin of the name - Keonju(建州) -can be found from Bohai. Also based on the fact that Keonju Jurchen(建州女眞) started from the Mudan river(牡丹江),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symbolism as a historical source is lasting although the actual cause has been lost. Since the modern era, China and Russia have been in direct conflict with the Primorye Provinces, but now a new change of the East-North exchanges has appeared in Hunchun region. I hope that this changecan reproduce the status of PalhaeTonggyoeng again in Hunchun area.

      • KCI등재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 방안

        具蘭憙(Ku Nan-hee) 歷史敎育硏究會 2005 역사교육 Vol.93 No.-

        As world history education is currently facing an extreme crisis, a new strategy is desperately required for the solution. This study compares Korea's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that of overseas countries to derive a few major issues and proposes a new curriculum strategy. The new curriculum strategy are as follows. First, certain contents in world history should be explored and contain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help students establish fundamental awareness in understanding history and the world. Second, History subject of junior high schools should be reorganized to interrelate the world history with Korean history. In this case, the contents of the World History subject may be organized according to its historical relationships with Korea or the major issues in it. Third, world history education of high schools is required to organize the provision of mandatory and optional parts. The mandatory world history subject includes the holistic views (not comprehensive views) and the optional world history contains more varied themes and views. Thus, world history curriculum can be based on the optimal sequence.

      • KCI등재

        논문 : 渤海(발해), 遼(요), 金(김)의 五京制(오경제)와 上京(상경)

        구난희 ( Nan Hee Ku ) 한국고대학회 2015 先史와 古代 Vol.45 No.-

        이 연구는 5경제가 발해, 요, 금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다경제(多京制) 방식이라는 데 주목하고 이들 왕조의 5경제가 어떻게 계승, 변용되었는지를 다루었다. 발해의 경우 사료 부족으로 5경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실을 알 수가 없어 다양한 해석이 전개되는 가운데 이 연구에서는 세 왕조의 5경제 형성 과정과 구조로부터 발해의 형성 과정을 역으로 추론해보고자 했다. 요의 5경제는 120여 년의 긴 세월을 거치면서 지방 관제의 정비와 함께 형성되었다. 금의경우는 요의 5경제를 그대로 수용하였으므로 5경 체제가 먼저 갖추어진 후 지방 관제가 정비되었다. 이런 형성 과정의 왕조별 차이는 5(6)경과 지방 관제가 결합된 구조에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요의 경우는 5경을 중심으로 전체 지방체제가 5경도로 편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금의 경우는 19로로 편성된 가운데 5(6)경이 포함된 경로(京路)와 경이 없는 일반로(藩路)의 이원 체제를 이루고 있다. 발해는 요보다는 금의 체제와 유사하다. 전체 15부 중 5경이 포함된 5개 경부와 10개의 일반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해의 5경은 15부 62주의 지방 관제가 갖추어지기 이전에 형성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차례의 천도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5경의 명칭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는 점으로부터 중경(中京)에서 상경(上京)으로 천도한 시점에 5경의 기본 틀을 갖추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5경제 속에서 상경이 담당한 역할과 그 의미를 검토하였다. 발해는 천도와 함께 상경이라는 명칭을 새로운 수도에 붙였으며 상경이라는 어의적 의미를 적극적으로 구현하였다. 중경이 발해 지배층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상징적 중심지역이었다면, 상경은 북방으로 지배력을 확장하면서 다양한 민족을 아우르는 새로운 ‘국가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실질적 중심지역이었다. 요와 금에서도 상경은 도성 또는 그에 버금가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했다. 양국이 모두 자신들의 발원지이자 초기 수도를 상경이라 칭하였던 것은 발해가 구현했던 상경의 의미를 계승한 것임은 말할 나위가 없다. 이후 한족 중심지로 영역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정치 중심지로 중경(중도)을 설치하였지만 상경은 거란 및 여진족의 전통과 정체성을 유지하는 주요 기능을 이어 나갔다. 발해와는 반대로 이들 왕조에 있어서는 상경이 민족적 구심체였으며 중경은 국가적 구심체로 재설정되었다. 3국의 상경이 갖는 또 다른 공통점은 지리적으로 북위 44도 전후에 설치되어 농경지역과 유목지역을 아우르는 북방왕조의 주요 도시로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다. 농경 지역을 근거로 유목지역의 여러 민족을 아우르려는 발해, 유목지역을 근거로 농경 지역을 통합하려는 요와금의 동일한 관심이 상경의 설치와 운영이라는 공통성을 견지하였다. 이런 점에서 5경제를 동반한 상경이 발해, 요, 금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결코 우연이 아니며 그것을 최초로 구현했던 발해의 취지가 요, 금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주목할 만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Five Capitals is a unique multiple capitals system developed in Parhae, Liao and Jin and deals with the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ive Capitals of these dynasties. This study aims to pursue new understanding on the forming process of the Five Capitals of Parhae and deduct it inversely from the forming process and structure of three dynasties. To this end, I first reviewed the forming process of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Liao and Jin which have scarecely known to Korean academy. As a result, the Five Capitals of Liao had been formed for 120 years of long period along with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while the Jin accepted the Five Capitals of Liao intact so that they could maintain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after building the Five Capitals. Such difference among forming processes of each dynasty is reflected on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5(6) Capitals and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In case of Liao, the Five Capitals became basic structure of entire government system and the local government units were organized under the Five Capitals. In case of Jin, on the other hand, 5(6) Capitals took the dual system of the capital provinces and the general provinces while enlarged government systems were settled down thereto. In this regard, Parhae has rather similar system with Jin rather than Liao. And we can infer that the Five Capitals of Parhae was formed before the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15 provinces 62 districts) was prepared. Also, I reviewed the roles and meaning of Sang-gyeong(the upper capital) in the Five Capitals. Parhae gave the name of Sang-gyeong to their new capital while they transferred the capital and actively realized the semantical meaning of Sang-gyeong. While Junggyeong( the center capital) was a symbolic center that forms ‘ethnic identity’ of Parhae hierarchy, Sang-gyeong was actual center that symbolized new ‘national identity’ for extending their control to the north and encompassing various nations. In Liao and Jin, Sang-gyeong took as much functions and roles as capita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oth countries called their source regions and initial capitals as Sang-gyeong succeeding the meaning of Sang-gyeong that Parhae realized. As the territory was extended to the center of Han race(漢族), they installed Jung-gyeong as new political center but Sang-gyeong kept main functions of maintaining the tradition and identity of Khitan(契丹) and Jurchen(女眞). Unlike Parhae, Sang-gyeong was ethnic centripetal body of these dynasties and Jung-gyeong was reset as national centripetal body. Another common ground of these three countries`` Sang-gyeong is that they were geographically located in 44 degrees north latitude taking the role of main cities of northern dynasties that encompassed farming and nomadic regions. The same interest of Parhae that tried to put a few ethnic groups of nomadic regions together based on farming region as well as Liao and Jin that tried to unify farming regions based on nomadic regions adhered to the common ground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ang-gyeong. In this regard, the advent of Sang-gyeong along with Five Capitals System in Parhae, Liao and Jin was not by chance, and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purpose of Parhae that first realized it was succeeded to Liao and Jin.

      • KCI등재

        발해ㆍ일본의 교류개시기에 대한 검토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5 No.-

        일반적으로 발해와 일본의 교류를 727년 발해의 사신파견으로 시작되었다고 보는 가운데『續日本紀』에 등장하는 720년‘靺鞨國’이 발해일 가능성이 일부 제기되었으나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靺鞨이 아니라 靺鞨’國’이라고 기록되었음에 착안하여 이것이 발해일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였다. 우선『續日本紀』중에‘○○國’이라는 표현을 분석한 결과 이러한 표현은 독립왕조를 유지하고 있는 국가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靺鞨國은 특정지역이 아니라 독립왕조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多賀城碑의 기록을 근거로 위치를 추정한 결과 黑水靺鞨지역이 아닌 당시 발해의 정치력이 미치는 범위 내를 가르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類聚國史』에서 720년 기사를 발해와 달리별도의 말갈 항목으로 구분한 것은 발해 인식의 시기적 차이에 기인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즉 9세기 후반에 편찬된『類聚國史』는 渤海를 高句麗계승국가로 보는 인식하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발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던 8세기 초반에 기록된‘靺鞨國’이라는 표현을 별도 항목으로 구분하게 되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8세기 초반에 渤海를 靺鞨國으로 칭하게 된 것은 당시 발해에 대한 唐의 인식과 표현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던 것임을 추론했다. 일본은 이 시기 견당사를 파견한 바 있으므로 704년과 718년에 각각 귀국한 栗田眞人과 多治比縣守등을 통해 발해에 관한 정보를 입수했을 것이다. 그러나 중국사서를 분석해 보면 靺鞨이라는 卑稱이 이 시기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당시 일본에 전달된 발해 정보는 이러한 당의 부정적인 인식이 그대로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靺鞨國이라는 용어도 이러한 영향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대륙정세에 유달리 민감한 일본조정은 발해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정황 파악을 위해 직접 현지에 사신을 파견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720년에 등장하는‘靺鞨國’은 渤海를 지칭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양국 교류의 구도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Historians generally believe that the exchange between Palhae and Japan began with Palhae’s envoys in 727. Some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Magal Kingdom that appears in Shokunihongi (『續日本紀』) in 720 could be Palhae, but it was not very convincing. In this study, I further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Palhae, focusing on the fact that it is described as the Magal Kingdom (靺鞨國) instead of just Malgal (靺鞨). First, I analyzed the expression of ‘○○ Kingdom (國)’in Shokunihongi ( 『續日本紀』), and discovered that it was limitedly used to call nations with independent dynasties. Therefore, it does not refer to a certain region. Moreover, in an effort to locate the Magal Kingdom based on the records of Daka (多賀) Monument, it was identified that it refers to a region that was under the rule of Palhae, not the Heuksu (黑水) region. Next, I pointed out why Ruijukokusi (『類聚國史』) referred to that nation as Malgal instead of Palhae in 720. It’s because it was difference in the historical view of Palhae between the early 8th and the late 9th century.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e late 9th Century and it thought of Palhae as the successor of Goguryeo. Therefore, it understood the Magal Kingdom from the early 8th century, when Japan had limited information on Palhae, as the name of a different 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fact that Palhae was called the Magal Kingdom (靺鞨國) in the early 8th Century was influenced by the Tang Dynasty’s view and expression about Palhae. Chinese historical texts had used the unofficial name of Malgal in only that period and Japan dispatched envoys to the Tang Dynasty at that time. Awatanohito (栗田眞人) and Douji (道慈) who were envoys returned to Japan in 704 and in 718 and they must have brought these texts from the Tang Dynasty. It is very likely that Japan dispatched envoys directly to Palhae as it was extraordinarily sensitive about the politics of the Continent. In this respect, it is possible that the Magal Kingdom from 720 refers to Palhae and this gives us the possibility to interpret the exchange between Palhae and Japan from another view.

      • KCI등재

        발해의 일본 行路와 出羽·北陸·山陰의 고대교통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69 No.-

        발일 항로 변화에 관한 그간의 연구는, 出羽 항행이 전통적 말갈 항해술을 답습한 것이었고 이후 일본 사절의 동행으로 항해술을 습득하여 동해 횡단 항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었다. 필자는 이러한 견해가 지나치게 일본 중심적 해석임을 지적하고 발해가 北陸과 出羽 양 지역을 향하는 이원 전략을 취하여 일본을 불편하게 압박함과 동시에 적극적인 교섭에 의해 北陸 항행의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음을 논한 바 있다. 그러나 이것이 왜 일본 조정을 압박하는 것이었으며, 수차 築紫道 도착을 요청하던 일본이 돌연 北陸 도착을 제안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은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해 일본의 고대교통 및 지방 체제와 연계하여 검토하였다. 令制國 운영과 5畿7道 체제가 연안 제국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발해사신에 대한 처우 과정을 재해석하였다. 본고를 통해 새롭게 제안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 초기 出羽에 도착한 발해사신은 연안을 거치지 않고 동북지방에 구축하고 있던 奧羽 체제를 통해 응대받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곳에 도착한 발해사는 陸奧國을 거쳐 常陸國에 안치되었고 발해사의 입경시 이 지역 蝦夷와 동행하였다. 이는 760년 전후의 동북 경영 성과에 따른 자신감과 외국 사신의 방문을 결합함으로써 율령제적 소중화 의식을 추종하는 일본 조정에 매우 유효한 감성으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780년을 전후하여 蝦夷와의 전면 대결이 시작되면서 지속되지 못했다. 둘째 이렇게 상황이 급변하면서 일본은 筑紫道 이용을 요청하였는데, 이것을 발해사를 기피하고 大宰府로 단일화하려는 목적으로 한정하는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 곳의 해역 관리와 관련하여 6세기 고구려 사신 파견 사례, 藤原仲麻呂의 檢定 등의 문제를 새롭게 검토함으로써, 8세기 중후반까지 北陸지방은 지리적 거리감과 중앙 조정의 관리 능력 불비로 해역 상황이 불안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北陸에 별도의 대외 창구를 개방하는 데 대한 부담 이면에는 北陸 장악의 불완전한 상황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北陸 항행을 수용한 것은 발해의 연이어진 出羽 항행 강행과 적극적인 교섭이 이끌어낸 결과이며, 비로소 北陸 지방은 8세기말 발해사 응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함께 해역 관리가 본격화되었다는 사실을 밝혀 보았다. 특히 加賀國 성립의 주요 원인을 발해사와 연계한 최근 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山陰 지역의 체제는 北陸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領客使 등 발해사와 접촉하는 인사들이 山陰 내의 여러 제국에 고르게 안배되고 있다. 이는 다른 지역에 비해 都와 가까운 지역으로 중앙 조정의 관리 통제가 용이했고 발해사의 내방에 따른 교섭에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다툼을 없애려는 배려가 아닌가 여겨진다. 9세기 이후 발해사와의 사적 교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특정지역이나 집단이 독점하지 않도록 한 조치가 아닐까 한다. 발해사에 대한 입경 불허와 사적 교역 금지 등의 조치가 내려지는 시기라는 점을 감안해 보면 발해사의 공적 방문을 규제하는 동시에 왕족이나 기내 유력 세력의 사적 교류를 충족시키는 양면성을 보여주는 지점으로 해석될 수 있을 듯 하다. 9세기 이후 교역 체제 변화와 연동하여 별고의 후속 과제로 삼고자 한다. In the study of the change of Japanese route in Parhae, the main issue is that the route toward Dewa(出羽) were based the traditional Malgal(靺鞨) sailing technique and after learning navigation skills from the accompanying Japanese envoys it was possible to use the route acrossing the East Sea. I pointed out that this view was an overly Japanese-centered interpretation and argued that Parhae pressed Japan by taking a dual strategy on the two regions, Hokuritsu(北陸) and Dewa.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explanation as to why this strategy was pressing the Japanese dynasty and why Japan suddenly proposed the arrival of Hokuritsu. So, this study is focused on Japan"s ancient local governance system(the Ryosekoku(令制國) and Gokishitcidou(5畿7道)) to find the detail reasons of these issues. First, the early envoys of Parhae who arrived in Dewa region were hosted in Hitachi(常陸) going through Mutsu(陸奧) and using the Ou(奧羽) system without going through the coastal areas. When they entered to Capital, they were accompanied by Emisi(蝦夷). The visiting ceremony for Parhae envoys with Emishi was very effective in boosting the conciousness of “Little China(小中華)” in Japan dynasty. Second, after 780, when the conflict situation with Emisi became difficult, Japan requested to use the road of Tsukushi(筑紫). This request was not intended to evade the Parhae envoy. It was caused by the reaon which the hosting system in Hokuriku was insufficient. The Hokuriku region was geographically distant from Capital and central control was not reached there until the mid to late 8th century. Especially it was newly confirmed by reviewing the dispatch of envoys from Koguryeo in the 6th century and official approval(檢定) to Fujiwara Nakamaro(藤原仲麻呂) in relation to the management of Hokuriku. Third, at the end of the 8th century, Japan accepted the arrival of Hokuriku because the Parhae envoy hosting infrastructure was formed at that time. And it was reaffirmed that the main role for hosting was charged on Kaga(加賀), not Noto(能登). Kaga"s influential leaders tried to expand their role by hosting to the Parhae envoy, and the central dynasty intended to reinforce its influence on Kaga areas through accepting Kaga"s demands. As the wants of the two sides matched, the the Ceremony for Guest(賓禮) on Parhae envoy was further institutionalized in Kaga. In the early days, Kokushi(國司) has taken the hosting role temporaily, but after the mid-to-late 9th century, the role was played by Gonkan(權官) who dispatched from the central dynasty. Fourth, in the 9th century, the Sannin(山陰) area also welcomed Palhae envoys, mainly Izumo(出雲). While the appointment and dispatch of officials was smaller than that of Hokuriku, the appointment of Gonkan was more than Hokuriku one. However, most of the gonkan"s job titles are not the name of the region to which they were dispatched, but the names of other regions. This was a very interesting phenomenon a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ason of that. I guess that this might be a measure to prevent the competition for economic trade from being overheated and being concentrated in a specific region, but more review is needed.

      • KCI등재

        渤海와 日本의 交流 航路 變化에 관한 연구

        具蘭憙(Ku, Nan-Hee) 역사교육연구회 2013 역사교육 Vol.126 No.-

        This research has taken a new approach about the aspect of maritime trade route changes between Palhae and Japan. First, in the late 8th century, Palhae pushed dual diplomacy after the diplomatic conflicts. When Palhae needed a conference or official contact with Japanese Court, they headed for Houkuriku(北陸). However, when it avoided meeting with Japanese Court and focused on the large-scale trade with Japan, it arrived in Dewa(出羽). Second, despite of Japan’s request for the use of Tsukushi Line several times, Palhae arrived in Dewa. Accordingly, Japan constructed the Guesthouse in Noto, officially securing the arrival in Houkuriku. This change of Japanese policy was the result of negotiation. Palhae rearranged substantial contents such as the visit term and the scale of envoy group. Third, the change of destination from Dewa to Houkuriku offers the evidence that the navigation development was not the direct cause. Houkuriku routes had been used from the Goguryeo period and Palhae acquired the knowledge about monsoon from the beginning of trade with Japan. Ultimately, the change that around 105 envoys arrived at Houkuriku in the cold season implies the process of trade stabilization thanks to the thought-out conference about pending diplomacy problems between two counties.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역사교육 정책 네트워크의 구조와 양상 변화

        具蘭憙(Ku, Nan-Hee) 역사교육연구회 2013 역사교육 Vol.127 No.-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network of Korean history education with the premise which has to point to governanc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At first, the periods can be classified as the formative period(the mid-1990s), the expanded one(the early-2000s), the pluralistic one(the mid 2000s), the cracking one(the last 2000s~now). In the formative period, it has begun to overcome the single structure of government lead and the academic request started to be reflected into government policy. After that, the history discord caused the re-structuraliza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by self-reflection and international networking of history education. Whil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form was proceeding, network was pluralismized and various duer groups found balance and coexisting. The key point is that the development psychological request which has not been so much important went up to a center axis of argument and led the vigorous debate and the self-controlled participation system on the base of pluralised policy network. But recently the conservative political views make history education policy retrograde into controlled participation system. Various opinions for history education block off by monopolization of history education policy.

      • KCI등재

        北方故土意識의 推移에 관한 고찰 Ⅰ

        구난희(KU Nan-hee)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2 No.-

        발해의 귀속 문제는 발해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발해를 정점으로 하는 일련의 역사 전개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하는 논쟁의 접점을 이루고 있다. 중국은 肅愼, ?婁, 勿吉, 靺鞨을 滿族의 선조로 규정하고 渤海建國으로 이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였으며 발해를 거쳐 女眞으로 이어져 왔다고 주장하고 있어 古朝鮮-高句麗-渤海로 이어지는 한국의 고대 북방 이해와는 확연하게 대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은 발해 귀속 논리의 저변을 형성할 수 있는 ‘북방 고토 의식’에 초점을 두고 그것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다. 우선 논의의 전제로 발해 귀속 논리를 중국의 영토계승적 관점과 한국의 역사계승적 관점으로 대별하고, 전자를 보완하는 논리로서 종족계승과 후자를 보완하는 논리로서 고토계승의 논리가 융합되어 있음을 입론화하였다. 아울러 북방 고토 의식이 역사계승의 관점을 확대하는 순방향적으로만 전개된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성격의 논리가 시기별로 어떻게 작동하면서 북방 고토 의식을 변화시켜 왔는가를 주요 사서에 기술된 고조선, 고구려, 발해 관련 기술을 통해 검토하였다. 발해 멸망 이후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북방 고토 의식은 소극적이었다. 고토계승은 당대의 영역 내에서만 한정되고 고대 북방의 역사는 탈각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는 발해 고토에 대한 관심이 표출되기도 하였지만 이는 한국사로서가 아닌 한국사 흐름에 영향을 미친 인근국 내지는 고구려의 고토가 있었던 지역의 역사라는 애매한 지점에서만 존재하고 있었다. 16세기에 이르면 북방 고토 의식은 새로운 양상을 맞이한다. 韓百謙이 東國地理志에서 언급한 이른바 ‘南自南北自北’ 인식의 영향으로 고구려사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부수한 발해를 재조명해 나가기 시작한다. 고토계승은 당대 영역을 넘어서 확장되었지만 발해를 역사계승의 맥락에 연계시키지는 않았다. 이 글에서는 선행연구의 평가와 달리 李種徽의 東史또한 이러한 입장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高句麗와 渤海모두 本紀가 아닌 世家에서 처리하고 있으며 箕子로부터 高句麗, 渤海로의 연계가 分節的계승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미완의 역사계승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는 1712년 정계에 대한 비판에 따른 先春領說, 分界江說등이 부각되고 韓致奫·韓鎭書에 이르는 지리고증의 성과가 축적되면서 다양한 북방 고토 의식이 형성되어 나갔다. 특히 廢四郡復置등 현실 문제에 적극적이었으나 북방 고대에 대해서는 소극적이었던 丁若鏞과 현실 문제에는 소극적이지만 고대북방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을 견지한 金正浩는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 시기에 이르면 북방고토의 확대라는 관념적 역사계승 의식과, 청과의 긴장 속에서 실지 회복이라는 영토 의식을 양 축으로 하는 스팩트럼 속에서 제각각 자신의 입론 지점을 찾아 다양한 논의를 재조정하고 있었다. The question of title to Balhae is not only the matter of Balhae history, but also the point in dispute about how a series of history developments are understood related to Balhae as a focus. China provides that Suksin(肅愼), Uproo(?婁), Mulgil(勿吉) and Margal(靺鞨) are ancestors of Manchu and insists that Balhae foundation secured the control over this area and Balhae led to Jurchen(女眞); it is because this is in considerable contrast to the understanding of Korea’s ancient northern nations, which are Gojoseon(古朝鮮)-Goguryeo(高句麗)-Balhae(渤海). This article has examined how the northern navive land awareness has formed as the base of Balhae reversion logic. First of all, Balhae reversion logic is divided into China’s territory succession view and Korea’s history succession view as a premise of argument and the logic has been argued in that the tribe succession as a complement of the former and the native land succession logic as a complement of the latter are combined. In addition, under the problem awareness that the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had not proceeded in a proactive way, it researched how a wide variety of logic had worked from each period and changed the northern native land awareness through the description related to Gojoseon, Goguryeo and Balhae stated in main history books. In the 16th century, the interest in the ancient northern-district made the history of Goguryeo be actively recognized under the influence of so-called ‘the south from the south, the north from the north(南自南北自北)’, which was addressed in Dong-kuk Chiriji(東國地理志) written by Han Baeg-gyom(韓百謙) and collaterally Balhae started to be recounted. The native land succession was extended into the one above the district of the day but Balhae was not connected to the context of the history succession. This article has grasped that LEE Jong-Whi(李種徽)’s Dongsa(東史)was on this side in contrary to previous researches. Both Goguryeo and Balhae were covered in a distinguished family history(世紀) not in dynastic annals(本紀). This is because the succession is still considered as imperfect in that the connection from Gija(箕子), Goguryeo to Balhae is segmented succession. From the mid of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Seonchunryungseaol(先春領說) and Bungaegalseol(分界江說) were emphasized according to the criticism of political circles from the mid 18th century to 19th century in 1712 and as the results of historical investigation of geography from Han CHI-yun(韓致奫)·HAN jin-seo(韓鎭書) were accumulated, various northern-district awareness was formed. Especially, JEONG Yakyong(丁若鏞), who were positive in realistic matters such as the restoration of abolishing four districts of north provinces but passive in the ancient native land-district awareness, was opposed to KIM Jeong-ho(金正浩), who was passive in realistic matters but positive in the ancient northern-district. At that time, in the spectrum ranging from idealogical history succession awareness, the extension of northern native land to realistic native land succession awareness, the recovery of lost land in tension with Qing dynasty, each one was readjusting various debates, finding out his own argumentation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