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 커뮤니티 이용 욕구(needs)와 행위(behavior)에 관한 연구

        구교태(Gyo-Tae Ku)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0 No.-

        본 논문은 가상 커뮤니티 이용과 관련된 이용 욕구(needs) 유형들을 살펴보고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그리고 비동기적 요인들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동기적 요인인 이용 욕구와 비동기적 요인인 ‘지각된 행위통제(perceived behavior control)’에 따른 가상 커뮤니티 이용 행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상 커뮤니티와 관련된 연구문제들을 위해서 인터넷 카페와 동호회 활동을 하는 230명의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상 커뮤니티 이용 욕구로 ‘관계지향성 욕구’, ‘오락 욕구’, 그리고 ‘도구적 욕구’ 요인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이용 욕구나 ‘지각된 행위통제’에 대한 성별 변인의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상 커뮤니티 이용 행위와 관련된 경로분석은 동기적 요인이 비동기적 요인보다 행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동기적 요인 가운데 오락적 욕구는 이용 행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보기술을 통한 공동체 회복이 가능한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of needs involved in the activities of a virtual community and the impact of gender on online participants' needs and 'perceived control behavior'. In addition, the study tried to figure out how people behave on certain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230 loca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ere were three factors related to a virtual community, 'relational need', 'entertainment need', 'instrumental need'. There was,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 between gender and the type of needs, and between gender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entertainment nee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edict a virtual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might not imply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helps us return to the communities in which individuals have a close and affectionate relationship each other.

      • KCI등재

        방송사 유형별 선거방송보도의 특성과 지역주의 보도 경향에 대한 연구: `07년 대통령 선거방송보도를 중심으로

        구교태 ( Gyo Tae K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논문은 2007년 대통령 선거방송보도의 특성을 방송사 유형(전국 vs. 지역)별로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 방송의 지역주의 보도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지상파 방송사인 KBS와 MBC 그리고 대구, 광주 지역에 위치한 이들 방송사의 선거방송보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송사 유형별 선거보도 구성이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뉴스 유형(스트레이트 뉴스와 독립/기획 뉴스)과 취재원 발언 시간(sound bite)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 방송사는 전국 방송사의 선거보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독립/기획적인(independent/planned) 뉴스가 많고 정치인 발언 시간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미국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되게 나타나, 향후 방송 환경이나 선거 수준을 고려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송사 유형에 따른 선거보도의 문제점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시민저널리즘이 제기한 바람직한 선거보도의 쟁점들(정책 이슈 중심적 보도, 긍정적 보도, 시민 중심적 보도)을 중심으로 선거방송보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시민저널리즘이 제안한 바람직한 선거보도는 전국 방송사보다 지역 방송사의 선거보도에서 더욱 구체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선거방송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논의에서 방송사 유형별 차별화된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지역 방송사가 특정 후보별로 보도 빈도와 보도시간을 차별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주의 선거보도 경향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뤄졌다. 연구결과, 호남지역 지지 기반을 가진 후보에 대해 광주지역과 대구지역 방송사들은 상반된 보도경향을 보여줘 지역주의 경향이 특정 후보별로 구체화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V election news by the type of television station(local vs. national) and scrutinized an existence of media regional bias in election news. To collect the data, this paper analyzed a total of 611 news clips from national and local TV stations of KBS and MBC.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ocal election news analyzed had more independent/planned news and showed less sound-bite in interviewing the presidential candidates than the national election news did. The local television stations also had more civic journalism oriented reporting by making positive message, policy issue, and civic-oriented news coverages. On the other hand, the regional media bias having ever been criticized was still present in this presidential election news of the local television st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political communication scholar doing a research of election news chooses the type of television station to make a better understanding of election news. Since there was still the regional media bias in election news coverage, Korean news media have to do their best to give a fair and useful reporting on each candidat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대한 연구

        구교태 ( Gyo Tae K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 대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분석결과는 대화 지향적인(conversation-oriented) 가족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가진 사람들은 태도와 행위 의도를 통해 채팅이나 토론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참여 행위와 유의미한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사회 지향적인(socio-oriented) 커뮤니케이션 패턴을 가진 사람들은 온라인 정치 커뮤케이션 행위와 어떤 유미의미한 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터넷을 활용한 정치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태도는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 의도와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행위 의도는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 행위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행위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정보 절차를 통해 이뤄지고 있다는 기존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가정에서 개방적이고 의견을 공유하려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개인의 온라인 정치참여 활동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A surve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online political communication behavior.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from conversation-oriented families te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on online political communication participation (in the fields of chatting and online group discussion) through attitude and intenti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oriented communication pattern and online politic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argues that the domestic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open discussion and sharing ideas would be an important trigger to increase an individual``s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s.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재난에 관한 위협이 미디어 의존과 재난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구교태(Ku, Gyo Ta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미디어 의존 이론에 근거하여 재난보도와 미디어 의존 현상과의 관계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미디어 이용 목적(이해, 행동 지향성)별 의존 현상을 분석하고 개인의 위협 지각요인에 따라 의존 정도가 차별화되는지를 검토하였다. 나아가 재난보도 의존 현상이 재난 관련 태도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연구되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재난보도는 뉴스 이용량 증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난보도가 이해와 지향성 의존 경향을 불러일으키며, 의존현상은 미디어 이용자가 지각하는 위협 수준에 의해 차별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손실이나 피해를 지각하고 추측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미디어가 도움이 되는 매체라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위협인식과 뉴스 이용량 사이에는 역 U자 패턴이 나타날 수 있음이 데이터 분포를 통해 드러났다. 한편, 미디어 의존 목적 가운데 이해 관련 의존은 재난 인식에 대한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상황을 잘 이해할수록 미디어가 보도한 방식으로 재난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성별요인은 부정적 현실인식의 차이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여성들이 남성보다 재난이 가져 올 부정적 결과를 더 많이 인식한다는 것을 말한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news and news media dependency, based on the media dependency theory.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provided to see the impact of perceived threat on media depend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pendency and disaster perception. The research results found that a significant percentage of people depend on the disaster news when national disaster(Sewol wreck) struck. The media dependency could be occurring when media users tried to seek understanding and orientation goals through news media. This article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news media dependency are more intense the more one perceives one’s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 to be threatening. The current study also showed that the people using media for understanding their environ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media users’ perception on the exposed disaster.

      • KCI등재후보

        매체간(Intermedia)과 매체내(Intramedia) 의제분석을 통한 뉴스획일화 연구

        구교태(Gyo-tae Ku)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1 No.-

        본 논문은 다양한 뉴스 미디어들(텔레비전, 신문, 인터넷웹사이트)이 2000년 미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캠페인 의제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뉴스 획일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미디어 의제설정에 대한 연구관점은 뉴스보도의 동일성 여부에 초점을 둔 기존의 뉴스 획일화 연구 경향을 보완하고자 제시되었으며, 새로운 정보 환경에서의 뉴스 질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세 개의 매체로부터 캠페인 관련 뉴스들을 수집, 분석한 결과는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보도기 이슈 현저성 설정과 각 이슈에 대한 보도량 비율 할당에 있어 매체간, 매체내 높은 유사성을 가졌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매체간/매체내 의제설정에 관여하는 시간요인의 영향을 밝히고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ro srudy rhe media consonance of campaign news coverage by comparing the issue salience provided by each medium. To explore the issue of consonanc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campaign agenda at intermedia and intramedia level.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general consensus in setting the campaign agenda at the intramedia and the intermedia level.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focus indicated there was media difference in reporting the campaign agenda over time. In the perspective of agenda-setting function, the exposure to news media with greater uniformity might result in greater agenda-setting effects, since the media makes the issues salient by giving more media attention. After all, the uniformity of issue salience among news media might influence "what issues to think about," resulting in limiting the range of democratic discussion.

      • KCI등재후보

        전국지와 지역지의 국제뉴스 보도에 대한 미디어 경제학적 고찰

        구교태(Gyo-Tae Ku),김세철(Sei-Chull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7 No.-

        본 연구는 국제뉴스에 대한 포괄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논의들을 지양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에서 국제뉴스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가 내 국제뉴스의 재분배 메커니즘을 살펴보기 위한 틀로서 본 연구는 정보 상품으로서 뉴스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미디어 경제학적 논의를 근거로, 신문 시장 규모에 의한 국제뉴스 보도의 유의미한 차별화를 개념화하였다. 또한 기존의 제1세계와 제3세계 간 정보 불평등 논의가 시장 규모별로 어떻게 특성화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선정적 뉴스에 대해 신문사 유형(지역지, 전국지)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공공적 뉴스보다 선정적인 뉴스가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하여 더 많이 보도됨으로써, 국가간 정보 불평등 현상이 여전히 미해결 과제임을 본 연구는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시장규모에 의한 신문사 유형이 제3세계 국가에 대한 보도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시장규모에 의한 뉴스결정과 국제 정보질서 운동에 대한 논의는 기사의 수와 보도랑 측면에서 차별화되어 논의되어야 함을 지적하고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nternal mechanism in selecting, sorting, and producing international news coming from foreign country. With a perspective of media economists, this study hypothesiz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newspaper(regional vs. national), based on news markets, and the type of international news(sensational vs. public affairs), between the type of country(the First vs. Third world) and the type of news, and between the type of news market and the type of nation).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press and the type of news, with some internal inconsistency on the number of article and the amount of coverage. Further, this study revealed there was still an imbalance between the First and the Third country in terms of the quality and quantity of international news. Also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type of newspaper and the type of country.

      • KCI등재

        온라인 플레밍(flaming) 발생 요인과 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

        구교태(Gyo-Tae Ku)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9 No.3

        본 논문은 반사회적 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온라인 플레밍 현상을 설명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상황에 걸쳐 일관된 행위 패턴을 보여주는 개성 특질(personality trait)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을 통해 플레밍 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높은 플레밍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설명변인 집단들에게 메시지 신뢰도가 미치는 영향 정도를 연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조사기관의 온라인 설문을 통한 자료수집이 이뤄졌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과 연령 그리고 언어적 공격(verbal aggression) 특질은 플레밍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남성, 10대, 그리고 공격 특질이 높은 사람들은 플레밍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레밍 해소방안으로서 분석된 메시지의 신뢰도는 성별, 연령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성 특질과는 어느 정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에서 이뤄지는 커뮤니케이션의 질(quality) 플레밍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tried c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ctors(sex, age) and online flaming, and between personality trait(verbal aggression) and flaming. Further, the current study researched the impact of message credibility on significant explaining variables which increase hostile aggressive communicat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a reliable online research center and analysed through SPSS 12.1 software. According to the results, age, sex, and verbal aggression tra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with flaming. Especially, man, teen age, and the people having high verbal aggression had more frequent flaming behavior than women, other aged people, people with low verbal aggression trait. On the other hand, the message credibility was partially associated with personality trait. The persons who had high verbal aggression trait showed fewer flaming when they met high credible message. This fact might imply that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could decrease online flaming.

      • KCI등재후보

        공동체 의식이 정치효능감과 투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교태(Gyo-tae Ku)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2

        본 논문은 사회적 차원 속에서 정치효능감과 정치 참여와의 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사회적 차원으로서 공동체 의식을 선택한 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정치효능감과 투표의도와의 관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252명의 대학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들 관계에 대한 가설검증이 이뤄졌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공동체 의식은 정치효능감과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의식이 높을수록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인식인 내적정치효능감과 정치체계의 반응성에 대한 신뢰를 의미하는 외적정치효능감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틀 속에서 정치효능감이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내적정치효능감은 투표의도와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진 반면, 외적정치효능감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내적정치효능감은 공동체 의식과 투표의도를 매개하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공동체 의식은 외적정치효능감을 매개하여 투표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효능감이 젊은이들의 정치활동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공동체 의식이 젊은이들의 정치 반응성에 대한 신뢰와 만족을 증대시키지만 투표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ense of community, political efficacy(internal and external), and voting intention by surveying 252 university students. The sense of community as a social factor influencing political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The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lso had strong impact on voting intention in a positive way. Even though the sense of commun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xternal political efficacy,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political efficacy and vot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xternal political efficacy was found to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voting intention. That is, the sense of community had a direct effect on voting through the external political efficacy. The results might imply that young voters’ satisfaction of political responsiveness could be a triggering factor for a low voting t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