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 동향분석: 2003년~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곽희연,김숙향,이병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3

        Purpose: In this study, a total of 282 articles from 2003 to 2021 were analyzed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searching for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the text mining method,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The main method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word clou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increased sharply in 2008, and then steadily research continued. And there were analysis 16 places that were published by a total of 61 institutions and published 5 or more papers, 9 sites with 3 or 4 papers, and 36 sites with 2 or less papers. The most frequent keywords were mothers, intervention, parents, disability, infant,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conduct research related to the subject of family. The four topics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are “Education of toddler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The needs of families with infants and toddlers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for families of infants and toddlers targeted for special education” and “Status of raising infants and toddler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summarized research trends o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domestic and foreign comparative analysis related to research o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search that expands subjects such as infants, fathers, grandparents, and siblings can be expected. Considering the trend in which extended big data research methods are being activated, research using more diverse research methods can also be expected.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의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에 관련된 연구 동향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탐색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방법은 빈도 분석, 워드클라우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관련 논문 편수는 2008년에 급격히 증가한 후 꾸준히 연구가 지속되었으며, 총 61개의 전문 학술지에서 발간되고 있었고 관련 논문을 5편 이상 발간하는 곳이 16곳, 3∼4편은 9곳, 2편 이하는 36곳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빈도 키워드는 ‘어머니’, ‘중재’, ‘부모’, ‘장애’, ‘유아’, ‘자폐스펙트럼장애’, ‘가족’ 등의 주제 관련 연구로 조사되었다. 셋째, 토픽 모델링을 통해 도출된 4개의 토픽은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의 요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지원”,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양육현황”이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과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양육현황”은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의 요구”와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지원”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점차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으며, 향후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가족 관련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 연구 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일반어린이집 교직원의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우선순위 인식 분석: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중심으로

        곽희연,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경기도의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 요구의 우선순위를 제시함으로써 담당 교직원의 전문적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어린이집 교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를 개발하여 설문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와 LFF모델 분석의 결과를 고려하여 Borich 요구도가 10위권 이내로 요구도가 높았으며, LFF모델의 좌표 역시 제1사분면에 위치한 총 6개의 최우선 순위 항목과 제2사분면에 위치한 4개의 차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 담당 교직원들은 보육업무 외에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어, 이에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모색과 문서의 간소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둘째, 교직원들은 스스로 자신의 역량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역량 강화의 요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직원 연수 등을 통해 이러한 우선 지원 요구 내용이 지식과 기술적 측면에서 제공된다면, 일반어린이집 교직원들의 지원 요구가 충족되고 업무의 만족도와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지원 측면의 성과까지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im support measures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apabilities of staff members in charge by presenting priorities for support needs to support of at-risk young children in general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surveyed, and analyzed to measur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pport for at-risk young childeren targeting 300 staff members at general childcare centers. Considering the results of Borich needs and LFF model analysis, Borich needs was high in the top 10, and the coordinates of the LFF model also derived a total of 6 highest priority items located in the first quadrant and 4 second priority items located in the second quadr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ff members in charge of at-risk young children at general childcare centers were feeling the burden of performing various tasks in addition to childcare dutie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find institutional support and ways to simplify docum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staff members felt that their capabilities were lacking and had a desire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If these priority support needs are provided in terms of knowledge and technology through staff training, etc, the support needs of general daycare staff members will be met and work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terms of support for at-risk young children will be achieved.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바깥놀이 운영의 장애요인과 교사의 역할 및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 분석

        곽희연(Kwak Hee-Yeon),전유영(Jeon Yoo-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바깥놀이의 장애요인과 바깥놀이 운영 시 교사의 역할 및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바깥놀이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 276부를 유효자료로 통계처리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의 교육적 가치와 효과에 대해 다양한 감각적 경험과 대소근육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바깥놀이운영의 장애요인에 대해 교사 측면에서는 연령에 따라 실시 가능한 바깥놀이 프로그램을 충분히 알고있지 않은 점, 학부모 측면에서는 날씨에 대한 학부모들의 우려, 환경적 측면에서는 미세먼지, 황사 등의 불가피한 환경을 장애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계획 및 실시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생활주제와의 연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바깥놀이를 중요한 일과로 생각한다는 수준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 운영 시 교사의 역할은 어느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감독자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가자의 역할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바깥놀이 운영 시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은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주변 산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목공놀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outdoor play implement by analyzing obstacles of outdoor play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roles, and the level of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300 kindergarten and day care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27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valid data using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educational value and effects of outdoor play, which helped children develop various sensory experiences and gross and fine motor development. In terms of the obstacles of outdoor play, teachers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outdoor play programs that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age. And they also recognized parents’ concerns about weather, and inevitable environment mat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s and yellow dust as obstacle factors in the aspect of parents and environment. Second, the level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outdoor play b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normal level.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life theme appeared to be the highest, a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outdoor play as an important routine was the lowest. Third, teachers’ role in outdoor play was relatively high, supervisor’s role was the highest, and the role of evaluator was the lowest. Fourth, the level of activities by area was normal, the highest in the outdoor walking and the lowest in the woodworking play.

      • KCI등재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유효재(Yoo Hyo-Jae),곽희연(Kwak Hee-Yeon),정선경(Jeong Sun-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는 컴퓨팅 사고(CT) 교육에 대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중⋅고등학생에 재학 중인 학생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10월 1일부터 약 1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 검정, F 검정,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중⋅고등학생들은 컴퓨팅 사고(CT) 교육에 대한 기본 인식 및 환경에 대해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컴퓨팅 사고(CT) 교육에 관한 관심이나 인지에 대해서는 부족한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력, 지역에 따른 컴퓨팅 사고(CT) 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고등학생들은 컴퓨팅 사고(CT) 교육에 대한 기본 인식은 높게 가지고 있으나, 교육방식에 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등학생들은 컴퓨팅 사고(CT) 교육에 대한 기본 인식은 높게 가지고 있으나, 교육방식에 관한 인식은 낮았다. 향후 교육 대상의 눈높이에 맞는 교육 콘텐츠나 교수법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and demand analysis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non-capital area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non-capital areas, and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one month from October 1,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o analyze frequency, technical statistics, t-test, F-test, and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low awareness of basic and environmental computing thinking (CT), and lack awareness of computing thinking (CT).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computing thinking (CT) by gender, academic background, and region. Thir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 basic awareness of computing thinking (CT), but low awareness of education methods. Conclusion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high awareness of computing thinking (CT), but low awareness of education method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research educational contents or teaching methods that meet the level of education targ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