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모듈화

        곽혜민(Hye Min Kwak),이식모(Suk Mo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7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공유수면의 매립으로 사라져 가고 있는 연안의 생물의 서식지를 대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체 서식지 조성 시 필요 인자들을 모듈화 하였다. 연안의 대체 서식지 조성의 모듈화를 위하여 연안의 대표생태계를 염습지, 갯벌, 해조장으로 분류하고 염습지는 토양의 염분농도, 해수의 침수정도, 토성에 따라 분류 하였고, 갯벌은 퇴적물의 조성에 따라 모래갯벌과 펄갯벌로 분류하였으며, 해조장은 생육기질에 따라 암초성 조장과 사니질 조장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대체서식지에 대한 무생물 환경과 그에 알맞은 식생을 분류, 대표종을 선택하여 대체서식지 조성시의 모듈을 작성하였다. This study have modulized the factors that are necessary to create alternative habitats for the coastal creatures which have been lost their habitats by Tidal land reclamation. To modulize, coastal ecosystem has been separated into salt marshes, tidal flats and seaweed beds, respectively. Salt marshes has been separated again by salinity of soil, flooding frequency and kinds of soil. Tidal flat has been separated into sand tidal flat and mud tidal flat by component of sediment. Seaweed beds has 머so been separated into rocky bed and sandy bed by kinds of substrate. Representitive creatures has been selected for each alternative habitats for Module.

      • SCIEKCI등재
      • KCI등재

        폐전이된 임신 융모막 종양에 대한 비디오 흉강경 수술

        김용석 ( Yong Seok Kim ),곽혜민 ( Hye Min Kwak ),김서희 ( Seo Hee Kim ),최철훈 ( Chel Hun Choi ),이정원 ( Jeong Won Lee ),배덕수 ( Duk Soo Ba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1

        Gestational trophoblastic neoplasm (GTN) is prone to pulmonary metastasis. Although most pulmonary metastatic lesions response with chemotherapy, some lesions do not resolve and persist on radiologic investigations. A 25-year-old women was referred for persistent pulmonary metastatic lesion of GTN. Here, we present a case of chemo-resistant choriocarcinoma metastatic to lung managed by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KCI등재

        임신성 당뇨 A1형과 A2형의 치료 후 임신 결과 및 신생아 예후 비교

        강효정 ( Hyo Jeong Kang ),곽혜민 ( Hye Min Kwak ),김용석 ( Yong Seok Kim ),박진선 ( Jin Sun Park ),윤건 ( Gun Yoon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김종화 ( Jong Hwa Kim ),노정래 ( Cheong Rae R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목적: 한국인 임신성당뇨 A1형과 A2형 산모에서 치료 후 모체 및 신생아의 주산기 예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관리 중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고 치료 후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하였다. 임신성 당뇨 A1군과 A2군으로 나누어 분만 이전의 당화혈색소 (hemoglobin A1c, HgbA1c) 수치, 임신 이전의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산과적 합병증을 포함한 임신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임신성당뇨 A1군은 57명이었고 A2군은 42명이었다. 두 군에서 나이, 분만력, BMI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진단 시 HgbA1c 수치가 임신성 당뇨 A1군에 비해 A2군에서 더 높았다. 두 군 간에 임신성 고혈압, 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 견갑난산 등 일부 임신 합병증은 차이가 없었으나 A2군에서 A1군에 비해 제왕절개 분만의 빈도가 더 많았다. 또한 분만 시 임신 주수, 신생아 출생 체중, 아프가 점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패혈증, 선천성 기형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빈도가 A2군에서 A1군에 비해 더 많았다. 그리고 BMI와 HgbA1c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BMI가 증가할수록 HgbA1c 수치가 증가하는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적절한 치료를 한 임신성당뇨 A2형은 임신성당뇨 A1형과 유사한 임신 예후를 보인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regnancy outcome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class A1 to those of GDM A2.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99 women who were diagnosed as GDM during prenatal care and managed until delivery from March 1996 to September 2007. Subjects were grouped into GDM class A1 and class A2. The obstetric and neo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57 cases of GDM class A1 and 42 cases of GDM class A2. Hemoglobin A1c level of GDM A2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DM A1 group.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obstetric (body mass index, hypertensive disorder, preterm delivery, preterm labo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and neonatal outcomes (gestational age at delivery, macrosomia, shoulder dystocia,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ransient tachypnea of neonate, sepsis, Apgar score, congenital anomaly) between the two groups other than increased frequency of cesarean delivery and admission to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GDM A2 group. Conclusion: After proper management, overall pregnancy outcomes of women with GDM class A2 are comparable to those with GDM class A1.

      • KCI등재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에 따라 산전 부신피질호르몬 치료가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조은주 ( Eun Ju Jo ),곽혜민 ( Hye Min Kwak ),지현영 ( Hyun Young Ji ),차현화 ( Hyun Hwa Cha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Jong Hwa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목적 임산부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에 따라 산전 부신피질호르몬의 투여가 조산아의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임신 24주-34주에 조산한 715명의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신피질호르몬 투여 유무 및 횟수에 따라 부신피질 비사용군(244명), 일회 사용군(377명), 다회 사용군(94명)으로 각각 분류하고 입원 시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에 따라 1군(BMI < 23.0 kg/m2, 234명), 2군(BMI 23.0-24.9 kg/m2, 166명), 3군(BMI ≥ 25.0 kg/m2, 315명)으로 재분류하였다. 결과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 빈도는 비사용군에 비해 사용군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다회 사용군에서 가장 낮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44.3% vs. 41.1% vs. 11.7%, P < 0.001). 그러나 임산부의 체질량지수군에 따른 세 군 간에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중로짓 회귀분석 결과 산전 부신피질호르몬 투여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위험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다. 그러나 임산부의 체질량지수는 각 부신피질호르몬 투여군에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 빈도와 상관이 없었다(P for interaction = 0.690). 결론 산전 부신피질호르몬 투여, 특히 다회 요법은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켰으나 임산부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enatal corticosteroid (ACS) on incidence of neonatal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ccording to maternal body mass index (BMI).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715 singleton pregnant women who delivered between 24+0 and 34+0 weeks of gestation,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6.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ACS exposure a nonuser group (n = 244), a single-course group (n = 377) and a multiple-course group (n = 94). Subjects were re-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maternal BMI at admission group 1 (BMI < 23.0 kg/m2, n = 234), group 2 (BMI 23.0-24.9 kg/m2, n = 166) and group 3 (BMI ≥ 25.0 kg/m2, n = 315). Univariat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verall, the incidence of RDS was significantly lower in ACS-user groups than the non-user group, with lowest incidence in the multiple-course group (non-user vs. single-course vs. multiple-course 44.3% vs. 41.1% vs. 11.7%, P < 0.001). The incidence of RDS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BMI group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ingle- and multiple-course of AC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duced incidence of RDS single-course, odds ratio (OR) 0.593, 95% confidence interval (CI) 0.373, 0.942; multiple-course, OR 0.085, 95% CI 0.034, 0.213. However, maternal BMI was not associated with reduced incidence of RDS with different ACS-courses ( P for interaction = 0.690). Conclusion ACS therapy, especially when multiple-course was use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duced incidence of RDS, but maternal BMI did not influence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천연 미세화 프로게스테론 질정 치료의 조산 재발 예방 효과

        성지현 ( Lindsay Ji Hyun Seong ),김민지 ( Min Ji Kim ),이예리 ( Yeri Lee ),윤소연 ( So Yeon Yoon ),차현화 ( Hyun Hwa Cha ),곽혜민 ( Hye Min Kwak ),최석주 ( Suk Joo Choi ),오수영 ( Soo Young Oh ),노정래 ( Cheong Rae Roh ),김종화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0

        목적 이전 자연발생적 조산의 병력이 있는 임산부에서 프로게스테론 질정 치료가 조산의 재발예방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 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분만한 임산부 중 이전에 37주 미만의 조산 병력이 있는 임산부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이전 또는 현 임신이 쌍태임신인 경우, 이전 조산의 원인이 조기진통이나 조기 양막파열이 아닌 의도적 조산인 경우, 자궁경부봉축술을 시행한 경우를 제외한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게스테론 사용군은 천연 미세화 프로게스테론 질정 100 mg 또는 200 mg을 매일 투여하였다. 프로게스테론 사용군(73명)과 비사용군(158명) 사이에 조산의 재발빈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프로게스테론 사용군의 조산 재발률은 16/73 (21.9%)로 비사용군의 68/158 (43.0%)에 비해 낮았다(P=0.002). 다변량 분석에서 프로게스테론 사용은 이전 조산의 횟수, 이전 조산의 임신주수, 이전 조산의 적응증, 자궁목 길이를 보정한 이후에도 조산 재발률의 유의한 감소와 관계 있었다(오즈비, 0.341; 95% 신뢰구간, 0.175-0.666; P=0.002). 결론 본 연구 결과 이전에 자연발생적 조산의 병력이 있는 임산부에서 천연 미세화 프로게스테론 질정 치료는 조산 재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the administration of vaginal natural micronized progesterone is associated with reduction of recurrent preterm birth (PTB) in women with prior history of spontaneous PTB.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obstetric and neonatal outcomes of all women with history of spontaneous PTB that delivered from January 2008 through April 2012. Spontaneous PTB was defined as PTB before 37 weeks of gestation due to spontaneous preterm labor or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regnancies with multiple gestation and those who received cerclage operation during previous or current pregnancy were excluded. Patients in the progesterone group were instructed to selfadminister 100 or 200 mg vaginal micronized natural progesterone capsule. We evaluated the difference in recurrent PTB rate between the progesterone group (n=73) and the non-user group (n=158). Results The incidence of recurrent spontaneous PTB before 37 weeks` gest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ogesterone group than the non-user group (21.9% vs. 43.0%, P=0.002).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progesterone 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recurrent PTB before 37 weeks` gestation (odds ratio, 0.382; 95% confidence interval, 0.169-0.863; P=0.021) independent of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Micronized vaginal progesterone supplement 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reduction of recurrent PTB risk in women with previous spontaneous PTB history.

      • 서낙동강 지역의 농업용수 염해피해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김진만(Jin Man KIM),김영윤(Young Ryun KIM),곽혜민(Hye Min KWAK) 한국생태공학회 2010 한국생태공학회지 Vol.1 No.1

        West Nakdong River area raises salinity of underground water of rivers according to seawater inflow. Using limited agricultural water without other water resources can often cause growth disorder. Korean water quality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agricultural water uses were originally derived based on management of public water resource. They were not prepared to protect crop plants from salinity, therefore standard of salinity management is required for agricultural uses. In this research, through comparison with foreign agricultural water quality standard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electrical conductivity(EC) proposed by suitable agricultural water salinity standard in West Nakdong River area. The advantage of Electrical conductivity(EC) is that field automatic measurement can receive convenient and stable data by real time. EC standard established by the corelation of EC concentration and crop production, range from stable(below 1 dS/m) to moderate (1~5 dS/m), severe(above 5 dS/m). Also proposed a salinity management guidelines for user and administrator’s which applies agricultural water salinity standard. Therefore, using this standard and guidelines can help reducing salt damage of crops and contribute in efficient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West Nakdong River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