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년군의 자극음 유형, 분리 각도, 배경 소음에 따른 청각장면분석과 청취노력 연구

        곽찬범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Objectives: In the daily listening situations, the target sound and background noise are presented simultaneously. In most cases, it is hard to selectively listen the target sound and mask the noise by the listeners. If the auditory system is deteriorated by either hearing loss or aging, they experience much difficulty. The term Auditory Scene Analysis (ASA) refers to the process of grouping and segregating sensory data into metal representations. Also, especially for the speech sounds, listening effort which regarded as the mental exertion required to attend to, and understand, an auditory message is necessary to conversation with others. Although factors such as aging, background noise, and degree of segregation are negatively affected to the ASA and listening effort of the listeners, there are little or a lack of studies related.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ype of stimuli, degree of segregation, and level of background nose on the ASA and to compare the listening effort required to the ASA while seeing aging effect. Methods: A total of 50 participants (25 old adults and 25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the experiments. To examine the frequency detection ability, tones of four frequencies consisted of two for low-frequency (i.e., 250 and 500 Hz) and two for high-frequency (i.e., 4000 and 8000 Hz) were presented in the Exp. Ⅰ. For the Exp. Ⅱ, the ability of sentence detection was measured using Korean Standard Sentence Lists for Adults (KS-SL-A). Both Exp. Ⅰ and Ⅱ was presented by eight spatially segregated speakers. On the other hand, Exp. III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ckground noise and spatial segregation while having two levels of background noise and nine degrees of spatial segregations. After completing each experiment, a subjective five-scale question was applied to measure the listening effort for each experiments. Finally, K-SSQ (Korean version of the Speech, Spatial, and Qualities of hearing Scale) which designated to measure and to assess the binaural hearing advantages was measured. Results: In Exp. Ⅰ, the ol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than the young group. Accuracy betwee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high-frequency, but not for low-frequency. While the right-side position (270°) was the highest difference of accuracy between two age groups, the back position (180°)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of accuracy than the other directions. The Exp. Ⅱ demonstrated that old group showed poorer accuracy than their young counterparts. In the directionality, the differences of accuracy between old and young group were the highest at 180° (back position) and the lowest at 45° (front-left side). With the background noise, accuracy of the sentence recognition was decreased in both old and young groups. However, the old group had significantly much decreased accuracy as the level of background noise increased, compared to the young group. The front-back confusion was dominant in the differences of accuracy as the aging effect. As expected, the amounts of listening effort required to all experiments for old group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young group.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ll experiments, the aging had negatively affected the ASA and listening effort. That is, aging deteriorate the individuals’ sensory, perceptual,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auditory system in both peripherally and centrally. In terms of the increased quality of life and better communication situation for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ging and its possible problems (i.e., poor localization ability and speech perception in the presence of background noise) and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rehabilitations for them. 목적: 일상생활에서의 청취 환경은 청자가 듣고자 하는 자극음과 소음이 동시에 제시되기 때문에 특정 자극음을 선택적으로 집중해서 듣고 이해하는 것은 무척 도전적이다. 이러한 청취 과정에서 요구되는 청자의 분석 기능 및 정신적 노력을 각각 청각장면분석, 청취노력이라 한다. 청각장면분석과 청취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노화, 배경 소음의 유무, 자극음의 분리 각도 등이 있으며 조건에 따른 정확도의 차이는 몇몇 보고되었으나, 자극음의 유형, 분리 각도, 배경 소음의 정도 및 이를 노화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린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과 성인을 대상으로 자극음 유형과 분리 각도, 그리고 배경 소음의 강도에 따른 청각장면분석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노화로 인한 청각장면분석에 요구되는 청취노력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상 청력을 가진 총 50명의 대상자 (노인 25명, 성인 25명)를 대상으로 총 1회의 설문 조사와 3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각장면분석의 방향성 환경을 위해 총 8개의 스피커가 대상자를 기준으로 1m 떨어진 위치에서 45°의 간격으로 위치하였다. <실험 1>은 방향성에 따른 주파수 별 정확도와 청각장면분석 측정을 위해 순음을 제시하고 제시되는 순음에 대한 위치분별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순음은 자극음 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250 Hz와 500 Hz의 저주파수 순음과 4000 Hz와 8000 Hz의 고주파수 순음으로 구분하여 총 4개의 순음을 적용하였다. <실험 2>는 문장을 사용하여 방향성에 따른 문장 탐지의 정확도를 통한 청각장면분석을 확인하였다. 문장은 한국표준어음청각검사 도구 중 문장표를 사용하였다. <실험 3>에서는 2 가지의 배경 소음 강도와 9 가지 분리 각도 시 소음과 분리 각도에 따른 청각장면분석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 별 청취노력은 7점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주관적으로 확인하였고, 대상자의 평소 양이청취 혜택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K-SSQ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결과: 방향성에 따른 주파수 별 정확도를 측정한 <실험 1>의 결과는 노년군이 청년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저주파수에 대한 노년군과 청년군 간 정확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고주파수에 대한 정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방향성에 따른 <실험 1>의 정확도 결과는 우측면인 270°에서 연령 그룹 간 차이가 가장 컸으며, 후면인 180°에서 정확도의 차이가 가장 작았다. <실험 2>의 방향성에 따른 문장 탐지의 정확도 분석 결과, 노년군은 청년군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방향성에 따른 <실험 2>의 정확도는 후면인 180°에서 가장 큰 연령 그룹 간 차이를 보였으며, 좌측면인 45°에서 연령 그룹 간 차이가 가장 작았다. <실험 3>의 0 dB 와 -6 dB의 신호대잡음비 조건과 0° ~ 360°의 방위각 조건에서 정확도는 모든 조건에서 노년군이 청년군에 비해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방위각에 대한 연령 그룹 간 정확도의 차이는 후면인 180°와 전면인 360°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별 청취노력에 대한 연령 그룹 간 결과는 노년군이 청년군에 비해 모든 실험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청취노력을 보였다. 결론: 주파수 탐지 능력, 문장 탐지 능력, 소음 상황에서의 문장 인지 능력을 통해 확인한 청각장면분석과 이에 요구되는 청취노력은 노화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화는 말초 및 중추신경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감각기관과 인지적 능력의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원활한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노화로 인한 특성을 이해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방향성 탐지 능력의 저하와 배경 소음 상황에서의 어음 인지 능력 저하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인 중재와 재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 지식-태도-실행 모델을 통한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청각지식 분석 및 난청 노인을 위한 청각중재용 교육책자 개발

        곽찬범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전세계적인 노인 인구의 증가는 노화성 난청과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의 중요성과 더불어 질환 간 연관성의 파악과 중재 방안의 필요성을 야기하였다. 노화성 난청은 생애주기에 걸친 노화의 영향으로 인해 청각계의 기능이 저하되는 현상이며 생애주기 중 축적된 청각적 자극으로부터의 노출이 노화와 결합되어 발생한다. 치매 역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의 저하로 유발되는 의사소통의 문제와 신체적 능력의 저하로 인한 자기주도적 일상 생활의 제한을 보인다. 노인 코호트 연구를 통해 난청은 치매의 발생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된 위험 요인이며 모두 노화로부터 영향을 받는 질환임이 밝혀졌다. 난청과 치매는 사회적 고립, 우울감, 분노와 같은 삶의 질과 관련된 증상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같은 행동적 증상에서 유사성을 보이기 때문에 노인을 간병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종사자의 유심한 관찰과 난청에 대한 인식과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지식-태도-실행 (Knowledge, Attitude, Practice)이론에 근거했을 때,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전문가 집단의 지식의 향상은 태도와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노인요양시설 내 보건의료전문가는 노화성 난청을 동반하는 노인에 대한 청각 선별 검사 및 보청기와 같은 중재 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관련 교육 및 훈련을 통한 의료서비스 능력의 향상을 기대하지만, 실질적인 노인요양시설의 난청 관련 중재 방안 및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 태도, 실행 이론에 근거하여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태도와 실행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난청 노인에 대한 지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지식-태도-실행 모델에서 분석된 부족한 지식과 알고자 하는 지식에 근거하여 난청 관련 지식의 향상과 이를 통한 태도 및 실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난청이해지침서 (H-GUIDE, Hearing Guideline of Unified Information of Dementia Experts)를 개발하였으며 지침서의 학습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지식-태도-실행 모델을 통한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난청 노인에 대한 지식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 1>에서는 국내 286개소의 치매안심센터에 종사 중인 보건의료전문가 557명을 대상으로 보건의료전문가의 지식, 태도, 실행의 영역에 대한 측정을 목적으로 고안된 KAP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간병인 및 그 외 관련 의료종사자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직책과 역할 수행에 따라 시설관리자 (n = 104)와 의료종사자 (n = 453)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의 KAP 설문 결과는 측정 영역인 지식, 태도, 실행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 간 직/간접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2>에서 개발한 난청이해지침서는 1) 보청기 이해, 2) 보청기 사용, 3) 보청기 유지 및 보수의 3가지 주제 및 난청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를 위한 부록 (예를 들어, 난청과 치매, 청력검사)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1>과 동일하게 국내 286개소의 치매안심센터에 종사 중인 보건의료전문가 71명을 대상으로 지식, 태도, 실행의 영역을 측정하기 위한 KAP 설문지, 난청이해지침서에 대한 사용 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기술수용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설문지, 보청기 사용 및 관리 지식과 재인 기억을 평가하기 위한 Hearing Aid Knoweldge Inventory (HAKI) 설문지를 수행하였다.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은 2일 간 총 2 ~ 3시간 수행되었다. 교육 도구를 활용한 중재가 종료된 직후에는 교육 효과의 평가를 위해 사후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사후 평가의 항목은 사전 평가와 동일한 3개의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사후 평가 시점을 기준으로 2개월 후 추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시점에 따른 교육 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 검정을 위한 독립표본 t-검정과 교육 효과의 정량적 측정을 위한 효과 크기 (Cohen’s d)를 산출하였다. 결과: <연구 1>에서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의 지식-태도-실행 영역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한 구조방정직모델링의 구조 모형의 검증과 잠재 변수 간 직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경로 분석 결과, 시설관리자의 구조 모형의 경우, 지식 항목은 태도 항목과 실행 항목에 유의미하면서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 항목 역시 실행 항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설관리자의 구조 모형과 유사하게 의료종사자의 구조 모형에서 역시 지식 영역은 태도와 실행 영역에 대해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 모두 그들의 지식을 확장하게 되면 태도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그들의 환자에 대한 케어 또는 관리의 실행 의도와 직접적인 실행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난청이해지침서의 개발과 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 2>의 결과,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의 지식-태도-실행은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에 따라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시설관리자는 지식 영역에서 사전 평가 대비 유의미하게 향상된 사후 및 추적 평가 결과를 보였으며 의료종사자 역시 동일한 결과를 보이며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에 따른 유의미한 지식의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시설관리자와 의료종사자 모두 태도 영역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행 영역에서 시설관리자는 추적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의료종사자 역시 추적 평가에서 실행 영역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난청이해지침서의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용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한 TAM 설문 결과에서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사용 의도를 보였으며 사용 의도의 향상은 추적 평가에서도 유지되었다. 인지된 유용성 역시 사전 평가 대비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미성은 검정되지 않았다.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보청기 사용 및 관리를 포함하는 보청기 관련 지식을 측정하고 이해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한 HAKI 설문 결과는 사전 평가 대비 사후 평가 및 추적 평가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사후-추적 평가 간 비교를 통해 학습 효과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치매관리 보건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KAP 이론의 적용을 통해 지식의 확장이 난청 노인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확립된 개념적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과 이를 통한 지식의 확장은 건강 행동 촉진의 역할을 함으로써 지식의 습득과 확장이 긍정적인 태도와 적극적인 실행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청이해지침서의 학습은 높은 인지된 유용성과 사용 의도로 나타났으며 보청기 사용 및 관리의 지식과 이해도 역시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관리 보건의료종사자를 대상으로 청각적 지식을 분석하고 난청 노인의 청각적 중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첫 걸음이며 향후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반복 학습을 통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일정과 학습 기간 등 방법론적 확립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Wtih the global issue of aging and increased number of the older adults, the age-related diseases such as age-related hearing loss (ARHL) and dementia were highlighted. The various studies with cohort study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vealed that the ARHL was major risk factor of prevalence of dementia. The ARHL and dementia had common symptoms such as communication disorder, social isolation, depression, and rage. On the other hand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model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affected to the positive attitude and active practice. Applying the main concept of KAP model, the contemporary researchers demontrated that although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dementia had lack of knowledge, they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audiological intervention (i.e., hearing screening test and hearing aid) and clinical guideline. Nonetheless of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udiological knowledge and intervention, the guideline for hearing-related knowledge and intervention was abse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crutinize the hearing-related knowledg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dementia and its impact on attitude and practic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nd/or practice, the education booklet for audiological intervention, namely, Hearing Guideline of Unified Information of Dementia Experts (H-GUIDE)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its effect on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with dementia. Methods: Of the 286 long-term care (LTC) facilities, 557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104 facility manager and 453 allied healthcare proefssionals) wer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Ⅰ. The KAP survey was conducted to quantify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for their older adults.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was applied to identify the direct and/or indirect effects between the latent variables. The development and efficacy of H-GUIDE was confirmed in Research Ⅱ. The contents of H-GUIDE were 1) Introduction of Hearing Aids, 2) Use of Hearing Aids, 3) Maintenance of Hearing Aids and the Appendix (i.e., Hearing Loss and Dementia, Hearing Test). Identical methodology of Research Ⅰ was applied in Research Ⅱ. A total of 71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in 286 LTC facilities were participated. They conducted three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ch as KAP survey for quantify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urvey for identify the intention to use of H-GUIDE, and HAKI questionnaire for measure the knowledge of hearing aid usage and maintenance.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were compared while being tested at pre-test (before education), post-test (after education), and follow-up test (2 months after post-test). The independent t-test and effect size using Cohen’s d index were used to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Research Ⅰ using SEM technique demontrated that the knowledge significantly and directly affected attitude and practice.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enhancement of knowledge led to the positive attitude and active practice in both facility manager and allied healthcare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Research Ⅱ revealed that the H-GUIDE led to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hearing-related knowledge and practice. Althoug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partially identified, the improvements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were observed using effect size. The intention to us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ost-test and this increament was sustained in follow-up test. The percent correct of HAKI questionnaire also significantly enhanced in post-test when compared to the pre-test and maintained in follow-up tes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KAP survey in Research Ⅰ,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identified. That is, the sufficient knowledge can improve the attitude and practice of healthcare professionals in dementia. Moreover, the efficacy of H-GUIDE which the education booklet for audi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hearing loss was confirmed to various aspects (i.e., hearing-related knowledge, perceived usefulness, intention to use, and knowledge of hearing aid) of questionnai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further step, such as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new contents and methodological evidence for effective period and session of H-GU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