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III를 이용한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례

        곽아람,박재홍,최성철,김광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반대교합은 교두간섭이나 유구치의 조기상설 등에 의해 하악이 기능적인 전방위로 위치된 기능성 반대교합과 하악골의 과성장,상악골의 열성장 또는 양자가 복합된 골격성 반대교합,구치부의 관계는 1급이나 전치부의 치축경사가 조화를 이루지 못해 발생되는 치성 반대교합으로 분류된다. 1970년 Rölf Fränkel에 의해 소개된 Functional regulator(FR)의 한 종류인 FR-III는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반대교협을 개선하기 위해 유치열기,혼합치열기,및 초기 영구치열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비정상적인 근육력을 차단하여 구강내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힘의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고,구강주위의 근육을 훈련시켜 새로 형성된 힘의 균형에 의해 이차적으로 악안면골의 크기와 형태를 변화시킨다. 본 증례는 상악 중절치가 맹출하기 전에 미약한 상악 열성장과 전치부의 깊은 교합을 동반한 전치부 반대교합을 FR-III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In childre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hether the etiology is functional, dental, skeletal. FR-III developed by Rölf Fränkel in 1970, has been used during deciduous, mixed, and early permanent dentition to correct class III malocclusion characterized by maxillary skeletal retrusion. According Frankel, the vestibular shields and upper labial pads act to counteract the forces of the sur rounding musculature that restrict forward maxillary development and cause a retrusion in maxillary tooth position. This can achieve favorable developments with the basal bone. teeth and alveolar bone. We report FR-III that can be applicated in cases of early mixed dentition with mild maxillary deficiency and deepbite before the eruption of permanent maxillary incisor.

      •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곽아람,이신영,허만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11

        본 연구는 지금까지 노인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통찰력 있는 분석(메타분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학술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점으로 총 7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고, CMA 2.0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40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예술치료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입 특성에 따른 개입횟수를 살펴보면 10-19회기, 프로그램의 개입기간은 두 달(5-8주)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특성에 따라 질병노인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또한 참여노인의 거주별 특성에 따라 시설노인,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거주지역별 특성에 따라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사용되었을 때 그 효과성을 보여주는 근거가 되며,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지표 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어문』(7~9학년)의 ‘어머니’ 제재 작품들을 통해 본 재중조선족의 이중정체성 연구

        곽아람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aspect of dual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in China through the sanctions of “mother” included in 'Joseoneomun'. The Korean-Chinese in China consider China as their homeland and have selected a number of contemporary Chinese works of literature to emphasize their “national identity”, these works require patriotism toward their country of residence and the feeling of unity. Additionally, work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included in this selection, emphasizing “national identity”. Furthermore, various works that utilize “mother” content for each region were recorded, revealing the dual identity in more detail. “Mother” was used as a content for homesickness in poet Seok- hwa's “Thinking of Mother”, and in Chinese author Mo Yan's “Mother,” it symbolized a strong China. Additionally, Korean writer Park Moon-ha's “The Healing Hand” and Shin Hye-Rim’s “The Forest Is the Mother's Heart” describe “mother” as a symbol of “guardian” In this way, “mother” is describ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but all of descriptions converge into a universal feeling of “longing” and “love” for the mother. Furthermore, in “Lovely China”, an essay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leader Fang Zhi-min, he wrote an appeal to love his motherland, symbolized by his mother, revealing the peculiarity of the Korean-Chinese in China that “mother = motherland = China”. This can be seen as a way for the Korean-Chinese writers of China’s textbooks to demand “patriotism” as Chinese citizens from subsequent generations. Additionally to the Korean-Chinese in China, “mother” clearly shows the dual identity of “China” in addition to the “hometown” that they miss. Therefore, despite being a national textbook, 'Joseoneomun' was able to be recognized as an official textbook without any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country of residence. Of course, it could be recognized as an official textbook according to China's ethnic minority policy, but it is thought that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contents of the book corresponded to the educational direction pursued by China. In this regard, the textbooks of the Korean-Chinese in China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extbooks that do not lose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while harmonizing with other Korean diaspora as citizens of the country of residence. Just as dual identity has been revealed in textbooks of the ethnic Korean-Chinese in China, rejection and heterogeneity are expected to be further reduced if the integrated textbooks contain work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ulture so as to not lose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In this respect, the study of textbooks by the Korean-Chinese in China seems to be of great significance. 이 연구는 『조선어문』에 수록된 ‘어머니’ 제재를 통해 재중조선족의 이중정체성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재중조선족은 중국을 조국으로 여기며 ‘국민정체성’을 강조하고자 다수의 중국 현대 문학 작품을 실었고, 거주국을 향한 애국심과 단결이 요구되는 작품을 선택하였다. 또한 한반도와 관련된 작품을 수록하여 ‘민족정체성’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권역별 ‘어머니’ 제재가 활용된 다양한 작품을 통해 이중정체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냈다. ‘어머니’는 재중조선족 시인 석화의 <어머님생각>에서 망향 의식을 드러내는 제재로 활용되었고, 중국 작가 막언의 <어머니>에서는 강인한 중국을 상징하였다. 또한 남한 작가 박문하의 <약손>과 신혜림의 <숲은 어머니 마음>은 ‘보호자’의 표상으로 ‘어머니’를 그려냈다. 이렇듯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 ‘어머니’는 다르게 묘사되었지만, 모두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이라는 보편적인 감정으로 수렴되는 특징이 발견된다. 이외에도 중국 공산당 지도자 방지민의 수필 <사랑스러운 중국>에서는 어머니로 상징되는 조국을 사랑하도록 호소하는 글을 실으며 ‘어머니=조국=중국’이라는 재중조선족만의 특수성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이것은 재중조선족의 교과서 집필자가 후속세대들에게 중국 공민으로서 ‘애국심’과 ‘결집’을 요구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재중조선족에게 ‘어머니’는 그리운 ‘고향’ 외에도 ‘중국’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존재한다는 이중정체성을 명확히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조선어문』은 민족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거주국으로부터 이질감 없이 공식 교과서로 인정을 받았다. 물론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에 따라 공식 교과서로 인정을 받을 수 있었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 중국이 추구하는 교육의 방향에 부합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보아 재중조선족의 교과서는 타 코리언 디아스포라에게 거주국의 국민으로서 이질감없이 융화되면서도 한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는 교과서의 대표 사례가 될 수 있다. 재중조선족의 교과서에 이중정체성이 드러난 것처럼 통합 교과서에 각 권역의 국민정체성을 담아내면서도 한민족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담긴 작품이 실린다면 서로 간의 거부감과 이질감은 한층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중조선족의 교과서 연구는 큰 의미가 있다고 보인다.

      • KCI등재

        전치부의 경미한 공간부조화 개선을 위한 가철성 장치의 적용 예

        곽아람,최영철,박재홍,최성철,김광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4

        골격성 부조화가 없는 I급 부정교합은 치아-악궁 간의 크기 차이에 의한 총생(crowding)이나 공극(spacing)이 주된 문제점이다. 이와 같은 경미한 공간 부조화를 개선시키고자 할 때,치열의 종류,치아-악궁크기 부조화의 양,환자의 협조도,또는 환자의 요구 등에 따라 치료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I급 구치부 관계를 지니면서 전치부의 치아-악궁크기 부조화의 양이 크지 않은 영구치열에서 상하 악 전치부의 경미한 총생이나 공극이 관찰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clear aligner와 spring aligner 장치의 이용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장치들의 임상 적용에는 몇 가지 제한적인 조건이 있기는 하지만,잘 선택된 증례에서는 매우 유용하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총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해소시킬 공간이 치열 내에서 확보되어야 하므로,확실한 분석과 진단으로 치아 인접면 삭제의 양을 정확히 결정하여 각 치아들의 근심면과 원심면에서의 삭제의 양이 균등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간에 공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배열 후 치열궁 둘레의 감소와 함께 상하악 전치부 간의 over-jet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대합치열과의 교합관계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Class I malocclusion without skeletal problem results from tooth size/arch-size discrepancies, either evidenced by crowding, or spacing problems. Treatment method can be chosen according to dentition, the amount of arch discrepancy, patient compliance, or patient demands. We report of clear aligner and spring aligner that can be applicated in cases of permanent dentition with minimal arch discrepancy in anterior segment. There are some limits of application, but these are very useful appliances in the selective case. When crowding exists, definitive analysis and diagnosis should be made before starting treatment because certain amount of space must be obtained somewhere in the dentition to resolve the crowding. Therefore, appliance should be applied when lacking space is small. Also, in cases with spacing arch circumference is reduced after alignment so no problem in intermaxilla occlusal relationship must be confirmed. In case with crowding, judicious removal of interproximal enamel is indicated.

      • KCI등재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곽아람(Kwak, A Ram),허만세(Hoe, Maanse),이신영(Lee, Shin Yo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esent meta-analytic reviews of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by systematicall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finding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research articles and theses conducted from 1990 to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MA 2.0.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rogram effect size was very high.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Third,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number of a program session, showing that the highest effect size was presented in the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with 10-19 session. However, the length of program implementation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Last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agnitude of effect size was not found i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participants(general elders, dementia elders, sick elders/ facility elders, home-stay elders/urban, rural, others).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and could be used in implementing and developing a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보다 면밀하고 통찰력 있는 지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0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학술논문과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점으로 총 76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논문에 제시한 통계치들을 분석자료로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전체평균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프로그램의 개입특성 중 개입횟수의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10-19회기의 프로그램 진행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프로그램의 개입기간의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특성(일반노인, 치매노인, 질병노인 / 시설노인, 재가노인 / 도시, 농촌, 기타)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의 유의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경험적 근거가 될 것이며, 노인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하였다.

      •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곽아람(Kwak, A-Ram),박정원(Park, Jeong-Won),박진희(Park, Jin-Hee)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통합 및 분석하여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요인에 대해 보다 통찰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1990년부터 2018년 6월까지 국내에 수행된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총 171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에 제시된 상관계수를 통해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았고 노인의 거주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개인체계 관련 요인은 31개, 가족체계 관련 요인은 5개, 지역사회체계 관련 요인은 16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각 체계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낸 요인은 살펴보면 개인체계 요인에서는 죽음불안도,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가족지지, 지역사회체계 요인에서는 사회적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지지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변수를 노인의 거주특성(시설/재가)으로 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거주특성에 따라 가족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요인이 영향력이 있으며, 우선적으로 개입되어야 할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게 해줄 수 있을 것이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본 연구결과에 나타난 요인을 고려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한다면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and research trends of the elderly through systematic considerations, and to provide more insightful information on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of the elderly by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1990 to June, 2018, a total of 171 studies were focusing o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the average effect size was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coefficients presented in the study. The regulation effect by residential character of the elderly was also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related to self-esteem of the elderly were examined through an ecological perspective. 31 factors related to the personal system, 5 factors related to the family system, and 16 factors related to the community system were derived. Second, the factors that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each system were death anxiety scale in the individual system factors, family support in the family system factors, and family support, which is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in the community system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rol effect using the control variable as the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facilities/home),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self-esteem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 was found. These findings will be able to identify which factors are influential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what should be the first interventions. If you take into account the factor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develop a self-esteem improvement program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you can provide basic data on this.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살펴본 북(北)과 관련한 공포 감정과 분단 트라우마

        곽아람 ( Ahram Kwack ),정갑주 ( Karpjoo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집단감정을 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살펴봄으로써 사람과 사람의 통합과 평화를 저해하는 근원을 파악하고 인문학적인 관점으로 해결방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분단적대성을 대표하는 감정유형인 ‘공포’를 중심으로 그 수치가 가장 낮은 시기에는 북에 대한 공포가 줄어든 것이 아니라 공포의 대상이 다른 사회적 문제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장 높은 시기에서는 강도에 따라 ‘분단체제 속 남북한 정부에 대한 불신을 포함한 공포’, ‘북한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보는 공포’, ‘무조건적인 적대의 대상으로 보는 공포’로 양상을 파악하였다. 이중 극단적 공포의 단계는 ‘분노’의 감정과 결합하여 북에 대한 적대감으로 심화되는데, 이것은 우리 사회의 분열을 고착화시키며 반복·재생산되고 있는 분단 트라우마의 단면이다. 향후 분단적대성의 감정 연구는 치유, 통합의 문제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대안연구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lective sentiment of Korean society with a Big Data Analysis technique, to identify the roots that hinder human-to-people integration and peace, and to devise a solution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From 2017 to 2020, focusing on ‘fear’, an emotional type representing Inter-Korean Antagonism, when the number was lowest, it was found that the fear of North Korea did not decrease, but the object of fear moved to other social problems. And in the highest period, according to the intensity, the patterns were identified as ‘fear, including distrust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governments under a division system’, ‘fear seen as a means of achieving North Korea’s purpose’, and ‘fear seen as an object of unconditional hostility.’ Among them, the stage of extreme fear is deepened into hostility toward the North, combined with feelings of “anger”, which is a cross-section of the Trauma of Division, which is being repeated and reproduced by intensifying the division of our society.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emotions of divisional hostility, healing, and practical alternatives related to the problem of integration.

      • KCI등재

        남과 북 재일조선인 중등 교과서의 〈흥부전〉 수록 양상 및 특징 비교

        곽아람(Kwack, Ah Ra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7 No.-

        본 연구는 남과 북, 재일조선인 중등 교과서의 〈흥부전〉 수록 양상과 특징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한의 〈흥부전〉은 교과서 집필자가 경제적 가치의 성장이 혈연관계를 침해한다고 보아 형제 갈등 극복을 위해 행복한 결말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흥부전〉은 착취계급에 대한 증오와 적대감 형성을 위해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는 결말의 원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말 부분을 교과서에 싣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재일조선인의〈흥부와 놀부〉는 북한과 유사하게 교육적 차원에서 악인 징벌의 서사를 선택하였다. 교과서에서는 인물 비평 활동을 통해 각 사회의 교육 목표이자 보편적인 교육 목표(올바른 가치관 확립과 선한 인간 양성)를 실현코자 하였다. 이러한 보편적인 교육 목표는 ‘도덕성’ 구축을 근간으로 하고 있기에 통일의 과정에서 통합 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이견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남한의 교육관이 다양성을 중시하고 있는 만큼 각 권역의 〈흥부전〉은 원전 텍스트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용 가능하며, 통일 이후 국어 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소통지점의 좋은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Heungbujeon〉 in South and North Korean, Korean Residents in Japan middle school textbooks. South Korea"s 〈Heungbujeon〉 seems to have adopted a happy ending to overcome sibling conflicts because textbook writers believe that the growth of economic values violates blood ties. Despite the fact that there is an original text that emphasizes brotherhood to form hatred and hostility toward the exploitation class, North Korea"s 〈Heungbujeon〉 did not include an ending in the textbook. The 〈Heungbuje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chose the story of punishment for evil people similar to North Korea. Textbooks tried to realiz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each society and universal educational objectives (establishing correct values and nurturing good human beings) through character criticism activities. Since this universal educational goal is based on building "morality", there seems to be no disagreement in writing an integrated textbook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Because Korean education values diversity, 〈Heungbujeon〉 in each region can be accepted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violate the original text. It will be a good example of communication when writing Korean textbooks after reunification.

      • KCI등재

        통일문학사에서 「정읍사」의 시대 귀속 문제

        곽아람 ( Kwack Ah Ra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정읍사」는 남북이 분단 이전부터 함께 공유한 문학으로, 남과 북 모두 문학사에서 항상 다루는 중요한 작품이다. 하지만 분단 후에는 남북이 각자의 시각 차이로 인해 「정읍사」의 발생 시기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남한에서는 「정읍사」의 시대 귀속을 실증주의적 관점에 따라 백제 혹은 고려로 대립하고 있지만, 백제민이 남편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망부가적 성격으로 원문을 해석하며 대체적으로 백제의 노래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정읍사」를 분단 초기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분류하다가 사회의 압박과 불행 속에서 탄생한 사회비판적 성격을 띠고 있는 백제민의 창작품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고구려 중심주의를 표방하며 「동동」을 고구려의 노래로 소급하는 과정에서 이와 후렴구가 유사한 「정읍사」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백제의 노래로 규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시각 속에서 남북을 비교해 보았을 때, 남한은 「정읍사」를 망부가적 성격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북한은 남한의 시각에 사회비판적 성격을 더하여 분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문학사에서는 북한의 지나친 주체문학론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러한 부분을 경계하고 소거한다면 「정읍사」에 대한 남과 북의 시대 귀속은 접점을 찾아 통일문학사를 서술하는 데 있어서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Jeongeupsa is a valuable literary work to shared in South and North Korea`s literary and to handle in South and North Korea`s all literary before South and North Korea are divided. However, after the division,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different time periods of Jeongeupsa due to their visual differences. In the South korea, the opinions for division into periods of Jeongeupsa are sharply divided as Baekjae period or the Goryeo period according to the positivism. But the dominant view is Baekjae`s song to pray for the safe return of one`s husband by people of Baekje. And interpreted the feature of the late lamented husband. North Korea analyzed that Jeongeupsa is unified Silla period`s literary work at first, but now, Jeongeupsa is people of Baekje`s creative work as social critical thinking in the pressures of society and unfortunate. This claim to Goguryeo centricism and Jeongeupsa is similar to dong-dong`s chorus as Goguryeo`s song. Ultimately they need to define the Baekjae`s song to be influenced by Goguryeo. When we compare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is literary perspective, South Korea interprets Jeongeupsa as a network personality, and North Korea analyzes South Korea`s viewpoint by adding social criticism. For this reason, in the history of unification literature,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North Korea`s excessive Juche literary theory, if we observe and erase these parts, it would be a good example to describe the history of unification literature by searching the contact points 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