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지체 유아의 수 개념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비교

        곽수경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Written by:soo kyong Kwak Department of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University Directed by Prof. Hyojin,Koo This thesis aims a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wareness about number concept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s betwe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in such as the importance, the necessity, the composition and level of education, some tools related with training, teaching method and hindrance factors. For this thesis I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he teachers teaching children with development delay and the children's parents in Seoul and Kyung-in district, Choongchung , Yungnam and Honam district. Jeju and Kangwon district. According to this survey,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about number concept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between their parents and their teachers. The teachers appreciate the impotance of the importance more highly but the parents appreciate the necessity more highly. However, both of them, the teachers and parents, regard the necessity about number concept education as the way related to one's daily life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y think one's daily lif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learning about number concept for the handicapped. Second, There are some gaps on awareness of the composition and the level of number concept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the parent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simple number counting and operation while, the teachers are more concerned with color classification and shapes according to a single condition. In the level of contents, the parent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operation experience using concrete materials but the teacher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figural synthesizing using one basic figure and the other figure. Third, There are some gaps on awareness of some tools related with training and teaching method. The parents put stress on 'using concrete materials intentionally', 'using audio-visual media', and 'using a fairy tale related with math. The teachers put stress on 'using real stuff','using audio-visual media' and 'using concrete materials intentionally'. In teaching method, the parents regard using home-school materials highly but the teachers regard play education highly. Lastly, in the awareness of hindrance factors, the parents claim their children' uninteresting in numbers. The teachers claim limited method for the handicapped. 국 문 초 록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곽수경 본 연구는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의 중요성, 필요성, 교육내용 구성 및 교육내용 수준, 교육관련 교재교구, 교수방법, 저해요인 등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에 관하여 교사와 부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인지역, 충청지역, 영남지역, 호남지역, 제주 및 강원지역에서 발달지체유아를 가르치고 있는 교사 252명, 부모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지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부모, 교사의 양 집단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 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 모두 교사가 부모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 모두 수 개념 필요성을 ‘일상생활 경험과의 연계적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는데 이는 발달지체유아에게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은 수 개념을 익히는데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내용 구성 및 교육내용 수준에 대한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내용 구성에서 부모는 ‘ 단순 수 세기 및 수 연산’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교사는 ‘단일 조건에 따른 모양, 색깔 분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교육내용 수준에 있어서도 부 모는 ‘구체물을 이용한 수 연산 경험’ 을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교 사는 ‘ 기본도형을 이용해 다른 도형을 조합’ 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 였다. 셋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 관련 교재 교구 및 교육방법에 대 한 인식 차이는 부모는 ‘의도적 구체물(교사제작)이용’ ‘시청각 매체이 용’ ‘수학관련 동화이용’을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교사는 ‘실물이용’ ‘시청 각 매체이용’ ‘의도적 구체물(교사제작)이용’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교육 방법은 부모는 ‘학습지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교사는 ‘놀이를 통한 교 육방법’을 중요하게 인식하여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보였다. 넷째, 발달지체유아의 수 개념 교육의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 모가 교사보다 높게 인식하였다. 부모는‘ 유아의 수에 대한 흥미부족’ 을 교사는 ‘제한 된 발달지체유아 수 개념 교수방법’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우울, 공격성 및 자아발달 단계에 대한 내담자 중심 모래놀이치료의 효과

        곽수경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내담자 중심 모래놀이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우울, 공격성 및 자아발달 단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2개소에서 아동 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 아동에 대한 ‘내담자 중심 모래놀이치료’는 주 2회, 1회당 4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되었다. 측정 도구로 ‘아동 우울 척도’와 ‘아동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문장 완성 검사와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양적 분석은 SPSS 24.0의 Mann-Whitney U-검증을 사용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Wilcoxon 부호순위 검증을 사용하여 처치 전, 후의 차이 검증을 실시였다. 질적 자료는 처치 전, 후의 문장 완성 검사와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에서 나타난 우울과 공격성의 변화 및 회기 중 아동의 진술과 사후 검사 종료 후 담당 사회복지사의 진술을 검토하고, 모래 상자에 나타난 Kalff의 자아발달 단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 중심 모래놀이치료’ 후의 우울의 정도가 처치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질적 분석에서도 우울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내담자 중심 모래놀이치료’ 후의 공격성의 정도가 처치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질적 분석에서도 공격성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모래 상자에 표현된 Kalff의 자아발달 단계를 분석한 결과, 아동들은 3단계 자아발달 단계를 순서대로 거치며, 각각의 아동마다 그 시작 단계와 진행 속도가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는 ‘내담자 중심 모래놀이치료’가 우울과 공격성을 가진 아동에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도자브랜드의 확장 경향에 관한 연구

        곽수경 숙명여자대학교 라이프스타일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도자브랜드에 대한 디자인 측면과 마케팅 측면을 분석함에 있어서, 확장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도자기와 브랜드 확장의 정의와 유형에 대하여 논하고 도자브랜드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디자인 측면은 장르 믹스, 소재 믹스, 스타일 믹스로, 마케팅 측면은 라인 확장, 카테고리 확장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자브랜드의 브랜드 확장 및 다각화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1장의 서론, 제2장, 제3장의 본론, 제4장 사례 분석 및 제5장 결론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에 관해 논한다. 또한 시대적 대상이 되는 도자 브랜드는 국내 백화점 본점에 입점해 있는 도자브랜드를 일차적으로 한정하며, 글로벌 브랜드이면서 역사가 40년 이상인 브랜드를 2차로 선정한다. <제2장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자브랜드의 기초가 되는 도자기의 정의와 유형, 스타일에 대하여 제1절에 논하고, 제 2절에서는 브랜드 확장의 정의와 유형, 브랜드 다각화에 관하여 고찰한다. <제3장 도자브랜드에 관한 확장 사례 조사>는 제 2장에 근거하여 연구의 전제로 제 1절에서는 도자브랜드의 연대별로 분류하여 도자브랜드를 고찰한다. 도자브랜드의 조사대상은 국내 백화점 본점에 모두 입점한 15업체의 도자브랜드로 선정하고 분석요소는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 ①장르 ②소재 ③스타일로 나누어 사례를 조사한다. 제 2절에서는 마케팅 측면에서 본 도자브랜드를 브랜드 확장 요소인 ①라인 확장 ②카테고리 확장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그리고 제 3절에서는 정리된 특성을 종합한다. <제4장 도자브랜드의 확장 사례의 분석 및 특성>은 제1절에서는 도자브랜드의 연출에 관한 비교로 장르 믹스, 소재 믹스, 스타일믹스의 확장 특성을 도출한다. 제2절에서는 장르 믹스에서 ①인물 확장 ②직능 확장 ③타브랜드 확장 ④캐릭터 확장, 소재 믹스에서는 ①소재 믹스 ②소재 변화 ③기타 소재, 스타일 믹스는 ①elegant 스타일 ②classic 스타일로 도자기에서 나타난 디자인 확장 사례의 선호하는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제3절에서는 도자브랜드에 대하여 제 2장의 이론을 근거로 하여 도자브랜드 확장이 국내외는 라인 확장이 일어나고 있었고, 국외는 카테고리 확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제 4절에서는 국내외 도자브랜드의 특성을 유사점과 차이점으로 구분하여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 결론>에서는 이하 3항목, 1. 도자브랜드의 디자인 2. 브랜드 확장의 비교 3. 도자브랜드의 발전 방향을 연구의 결과로 제시하여, 국내와 국외의 도자브랜드 확장 경향과 디자인의 비교를 통하여 앞으로 도자브랜드의 발전 방향에 대한 디자인 측면 및 마케팅 측면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통합지도에서 아동미술작품을 활용한 감상교육방법연구

        곽수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ompilation of textbook almost standardized by 'appreciation-expression-appreciation' causes the 7th curriculum strengthen the appreciation. The appreciation helps the motive of expression the way of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way of expression. And the good expression followed by the appreciation again makes a screw shape. An effective appreciation makes the motive of expression and the way of thinking easy. It is applied at the expression too. Many ways of expression, the creative way of using the expression stuffs,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re created again reflecting their expression. The art works that are created that way put to practical use also. Some children appreciate their friends' art works and compare theirs to their friends' through their appreciation at the same time. And the children apply friends' to theirs. Like this, the 3 activities are connected so closely. The integrated education on this study, in the art comprehension class or art appreciation class goes so closely, and the expression goes through appreciation, the expression stuffs and theme. And it helps the expression. The figures on the textbook are so important in the art class that they are related to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real art class the aesthetic experience is in appreciation, and the appreciation art works are almost the figures on the textbook. It is not only just the figures but also being the model of the way of expression and using stuffs and helping the way of thinking for the expression. But the figures that are loca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unit are almost 'the art works that adults made in the past'. It is not effective on the motive of expression. To make the children interested and get motivation of the art, the art works that expressed their experience on their real life will be effective on their intellectual and spirit level. The art works that related their real life interest, and their own level will help them interested. Therefore, the study, to build up self confidence and help to make a point of view and to appreciate the children in interest of their own view, I made the teaching method for the appreciation with children art works based on integrated education. There are the process of my study. First, I analyzed the contents in the 7th art curriculum, and consider the contents of appreciation on integrated education that related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Second, I look into the meaning of teaching for appreciation with children art works, developing the lesson model with children art works. Third, I applicate the lesson model with children art works to each 3 activity(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based on integrated education and analyzed the result. Forth, I presented the meaning of the appreciation based on integrated education by the result of my lesson. After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was utilize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It became an art class that related 3 activity(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Second, It guided the way of thinking so effectively. Third, It came up the ability that appreciate their own view. Forth, Children can considered valuable for their art works. Sixth, Children can be impressed so real about the people and the situation and it came up the ability that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painters purpose on the art works. Seventh, Children can understand and tolerate the world culture well. But on this study, I just studied about only the unit that about the children's thinking and experience. So it need to make the program for the class that is method and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re the theme. And it need to develop the program about the plastic art not limiting only the plane art works. 감상이 보다 강화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교과서에서 ‘미적체험-표현-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상은 동기유발과 발상, 표현방법 등의 이해를 돕고, 표현은 감상학습으로 이어진다. 또한 감상활동으로 알게 된 여러 표현 방법이나 표현 재료의 독창적인 사용, 여러 조형 요소와 원리 등은 아이들의 표현에 반영되어 재창조된다. 이처럼 실제 미술 수업에서의 3가지 활동들은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의 통합지도란 미술수업에서 미술이해나 감상 수업이 표현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고, 표현재료와 표현방법과 표현주제를 감상하고 체험하면서 표현이 이루어지며, 표현활동이 다시 감상활동에 도움을 주도록 연계시켜 지도하는 것을 말한다.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각 활동영역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이루어지는 미술수업에서 교과서의 참고작품은 단지 참고작품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실제 교실 현장에서 미적체험 활동이 감상의 형태로 이루지고 있고, 감상의 제재가 되는 감상작품은 대부분 교과서의 참고작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미적체험 뿐만 아니라 표현활동과 감상활동 영역에 실린 참고작품은 단지 참고작품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표현활동에 있어서 표현방법이나 재료사용의 모델이 되기도 하고, 발상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단원의 도입 부분인 미적체험 활동의 참고 작품이 대부분 ‘과거 미술가들이 제작한 작품’이기에 아동들에게 동기 유발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고 동기 유발을 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지적, 정신적 수준에 맞는, 그들이 생활 속에서 경함한 것들이 표현된 작품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술 감상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고, 아동 스스로 감상 관점을 정립하며, 주체적인 시각으로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합지도에서 아동미술작품을 활용한 감상교육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과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7차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미적체험, 표현, 감상을 연계한 통합지도에서의 감상교육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아동미술작품을 활용한 감상지도의 의의를 살펴보고, 통합지도에서 아동미술작품을 활용한 수업모형을 구안, 개발하였다. 셋째, 통합지도 수업모형을 토대로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각 활동에 아동미술작품을 활용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미술작품을 활용한 통합지도에서의 감상교육방법의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실제 구안한 미술 감상교육방법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냈다. 첫째,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통합지도로 연계성 있는 미술수업이 되었다. 둘째, 아동작품감상은 발상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냈다. 셋째, 자신만의 주체적인 시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졌다. 넷째, 자신의 작품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가 길러졌다. 다섯째, 여섯째, 작품 속의 인물이나 상황을 더욱 생생하게 느끼게 되고, 작품의 분위기와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는 능력이 높아졌다. 여섯째, 상호 존중과 협력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일곱째, 세계 문화를 이해하고 포용하는 마음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이들의 생각과 경험이 중심이 되는 단원을 연구하였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현 방법이나 조형 요소를 탐색하는 활동을 위한 감상수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도 작품 선정에 있어서 평면 표현 뿐 아니라 입체 영역이 편중되지 않고 골고루 다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 방법을 구안해야 한다.

      • 科學英才 敎育에 관한 硏究

        곽수경 檀國大學校 198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is aimed at making a contribution to sagaciously adapting ourselves to international competition with ever developing trend of modern scientific technology and conducting effectively gifted education in science in order to lea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national growth. A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gifted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was studied from all angles. Second, the general status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and confronted were investigated. Third, in order to solve the investigated task, some suggestions for systematic structure of gifted education are to be presented. To conduct this research successfully, the method covers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and findings, personal interviews, and field survey. To survey the educational systems of gifted education related to leading nations,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United States is a model case of the following statement; on the basis of general education, high levels of enrichment, acceleration courses are offered according to their talents and needs. Second, Western European nations perfer this type of gifted education; the traditional system of education to train elites and the class or grade formation by students' talents are preferable. Third, Eastern European nations with Russia belong to this type; they prefer establishing the school for the gifted with focus on specialized field to maintain their own socialistic systems. Korea has recently been conducted as a pilot case as follows; (1) The gifted class was established in Koomi High School under Kyeongbuk province board of education. (1981) (2) Special program in science opened general high school. (1981) (3) Saturday-Science Education Programs opened in the Student Science Hall under Kangweon province board of education. (1982 - 1983) (4) Science High School opened, (1983 - 1984) (5) Gifted education oriented research schools were selected. (1983 through 1985, 7schools)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tatus in Korea concerning gifted education in science, the following problems are to be extracted; (1) The curriculum of science is school is too uniformed with reference to entrance examination, high school leveling-off system, and the school grade system is also too stiff. (2) The standard screening system for the candidates is not fully developed. (3) Teaching programs are not fully developed and dissemination not adequate. (4) Teachers training system for the gifted is not established. (5) School facilities and financial investment are not adequate. (6) Early education for gifted in science is not started. (7)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for gifted education in science need opening. On the basis of the above-said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is made,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educational policy data for gifted education in science in Korea; 1. The pluralistic curriculum which allows both minimum and maximum levels of courses is preferable at the discretion of school principals. Enrichment program or acceleration program is desirable to be conducted, and special class formation by one's talent, non-grade system. school enrollment period shortening are in need of consideration. 2. To screen the qualified candidates, the highly confident organization for gifted education in science needs to open. 3. The course for gifted education in under-graduate, graduate school levels should be opened to train experts for gifted education. 4. The research foundation or gifted education in science should be established, doing the researches regarding gifted education, and as a link of legal basis, 'special law enactment' for gifted education needs to be made. 5. The management of science high school should be revised. 6. The autonomy of the experimentations of gifted education as a unit of schools or community should be secured and the idea of the 'Magnet School' to be introduced. 7.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order to intensify cognitive learning programs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for children at pre-school education level.

      • 벤젠이 미량 함유된 석유화학제품 취급자의 직업적 노출 추정

        곽수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 Benzene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human carcinogens. Under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Korea, a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must list a carcinogen (e.g., benzene) if the carcinogen’s concentration in the product is 0.1% wt/wt or greater. However, MSDSs are known to have serious deficiencies in terms of listing carcinogenic chemicals as ingred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level of benzene in petroleum-derived products (PDPs) and also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f exposure to benzene for workers handling PDPs contained trace level of benzene. Methods: We collected a total of 71 data on the benzene content in foreign PDPs by Pubmed using keywords such as ‘benzene’ and ‘benzene contain’. Information on the benzene content in domestic PDPs were collected using a academic information search engin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operated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Used keywords were ‘benzene’, ‘benzene containing’, ‘benzene including’, ‘benzene containing material’, ‘benzene & solvent’, ‘benzene & paint’, ‘benzene & gasoline’, and ‘benzene & thinner’. A total of 129 prior studies and reports were found, of which 12 were used in this study as they provided benzene content information. In addition, 43 out of 114 epidemiological surveys condu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KOSHA) from 1997 to 2012 were included. A total of 32 products of 7 reagents (n-hexane, n-heptane, cyclohexane, toluene, ethyl benzene, xylene and trichloroethylene) manufactured from 2004 to 2013 were analyzed for a benzene content using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Their MSDSs were compared with bulk analysis results. Results: In terms of foreign PDPs, major benzene-containing products were solvent(38.0% of reviewed data), naphtha (18.3%), hexane (15.5%) and jet fuel (5.6%) based on the 71 data from literature. Naphtha had the highest benzene content (9.3%). Major benzene-containing PDPs in Korea were thinner (43.3%), coating materials (13.3%), gasoline (12.5%), solvents (10.8%) and adhesives (3.3%) based on the 120 data from domestic literature. Thinner had the highest benzene content (56.7%). The amount of benzene in these PDPs remained relatively unchanged from 1980s to the present. Benzene was detected in 13 of 32 analyzed reagent products. Maximum benzene content was 0.166% in trichloroethylene, followed by 0.146% in ethyl benzene, 0.064% in toluene, 0.009% in xylene and 0.004% in n-hexane. Nevertheless, benzene was not listed in any of 32 MSDSs. Average benzene exposure of 1.53 ppm was reported for painters using thinner and coating materials containing benzene at 0.01%-0.1%.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use of a PDP containing benzene below 0.1% may result in an exposure exceeding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benzene should be listed in the MSDS for products with a benzene content less than 0.1%.

      • 압전 센서용 고무 복합체의 제조 및 전기적 특성

        곽수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Although the rubbers have been well known as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s, they can show an electrical response with the addition of conductive fillers, such as carbon black and cabon nanotubes(CNT). These types of composites are useful in many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al shielding, electrical heating and anti-static devices. At very low volume factions of conducting filler content,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se composites is very close to that of insulating matrix. However, the volume resistivity decreases gradually with increasing fraction of conductive filler content and finally drops sharply by many orders of magnitude at some critical threshold. The sharply fall in resistivity of the composites at certain concentration, so called "percolation theory". In this study, the volume resistivity and morphology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both CNT content and degree of compression.

      • 魯迅小說與電影

        곽수경 북경사범대학 1997 해외박사

        RANK : 248639

        현대사회는 매체의 홍수시대라고 할 수 있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새로 운 전파매체가 부단히 출현하여 신구매체간에 상호 보완되고 함께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의 일환으로 오늘날 문학과 영화의 결합과 교류는 이미 하나의 커다란 추세가 되었고 이들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은 새로운 연구과제로 떠올랐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필요성에 입각하여 노신의 소설과 그것을 각색하 여 만든 4편의 영화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문학과 영화의 관계를 살폈다. 노신은 중국 현대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소설가이자 사상가로 문학작품을 통해 국민성의 약점을 끊임없이 폭로함으로써 국민성 개조에 힘썼다. 그리하여노신의 소설에는 심금을 울리는 스토리나 소시민의 취미에 영합하는 파란만장한 사랑이야기도 없을 뿐 아니라 노신의 소설은 몇 개의 독립된 단락으로 전 체를 이루는 이야기 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스토리텔링이 빈약하고 1인칭 서술자 시점을 즐겨 쓰며 함축적이고 간결한 풍격을 지니는 등의 특징으로 인하여영화로 각색하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노신의 명성은 각색자들에게 커다란 부담을 안겨주어 실패를 초래하는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그렇다고는 하나 노신 소설에 대한 중국 독자들의 관심과 이해라는 측면과 아울러 노신 소설의 의미가 오늘날에도 중국사회에서 유효하며 노신정신을 새로이 되새겨볼 필요가 있고 영화는 소설에 비해 보다 많은 관중을 가지며 그들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는 면에서 볼 때 적극적 의 의를 지닌다. 본 논문은 이상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연구방법론에 있어서는 구조주의 기호학을 채택하여 소설과 영화의 텍스트에 상세하고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논문은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고 모두 5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주로 노신과 중국 영화의 관계를 서술하였는데 우선 중국 현대 문학사에 있어서 영화문학의 지위를 살핀 후 중국 영화의 발전 상황과 노 신 소설의 각색 문제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영화에 관한 노신의 견해와 노신과 소련 영화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비록 노신이 직접 영화비평을 한 적은 없지만 노신은 일본유학시절 영화가 매개가 되어 문학에 종사하게 되었고 이 후에는 영화를 수업에 사용한다면 단순한 강의를 하는 것보다 훨씬 큰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는 주장을 하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이며 안목있는 식견이었다고 하겠다. 논문의 2, 3, 4, 5장에서는 각각 <약>, <아큐정전>, <축복>, <상서>의 각색문제를 고찰하였다. 각 장의 1절에서는 원작의 텍스트에 대해 롤랑 바르트의서사작품 구조 분석 이론을 채용하여 기능층, 행동층, 서술층의 3개의 묘사층으로 나누었는데 그 중에서 서술층에 대해서는 즈네트의 서사담론 이론을 차 용함으로써 바르트 이론틀의 결함을 보충하였다. 원작의 분석에 있어서는 1, 서술단위와 그 상호관계 2, 인물의 분류 3, 서사담론의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상술한 노신 소설의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각 장의 2절은 주로 소설을 각색해서 만든 영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전체 적으로는 1절의 분석틀을 유지하고 이에 상승하는 메쯔와 로스트의 영화기호 학 이론을 채용함으로써 원작과 영화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영화에 대한 분석은 1, Shot의 분석 2, 인물분류 3, 영화언어의 부분으로 나 누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과 영화 사이에는 쟝르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화가 원작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단지 문학의 도해에 지나지 않게 되거나 지나치게 많은 내용을 담다보니 주제의식이 흐려지는 등의 실패를 가 져왔으며 성공적인 각색은 무엇보다 영화의 특성을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장의 3절은 소설과 영화의 인물형상, 서사시간, 인칭 및 그들의 전체 풍격으로부터 원작과 각색된 영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함으로써 1절과 2절에서 문학과 영화에 대해 독립적으로 분석한 것을 종합 비교하여 문학과 영화의 異同에 대하여 결론을 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