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내담관의 해부학적 변이와 잔류담석의 분포 : Radiological Anatomy and Prevalence of Intrahepatic Stones

        곽병국,이화연,이종범,심형진,김영구,김선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1995 中央醫大誌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confluental anatomy of the intrahepatic biliary duct and the occurrence of the stone according to each segmental biliary duct in the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We classified 139 of T-tube cholangiography(AP and oblique view the confluence of intrahepatic biliary tracts. Prevalence, size and number of the ston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each hepatic segmental duct. The confluence of the right and left main hepatic ducts was the most popular type(57.6%). The right main hepatic duct was abscent in 38.8% and the left main hepatic duct was abscent in 2.9%. The occurence of the stones was high in left lateral segmental duct(50.4%) and then right posterior segmental duct(32.4%), right anterior segmental duct(23.0%) and left medial segmental duct(12.2%) in descending order. There were no stones in caudate lob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ize according to each segmental duct. he number of the stones was high in right posteior duct(17.5) and left lateral duct(17.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meaning in size and number. The incidence of the each confluental type was similar to other previous study. There was no stones in caudate lobe. The longer and wider of the duct, the more stasis of the bile, the more stones occured. There was no size difference. The number of the stones is high in right posterior and left lateral duc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meaning.

      • KCI등재
      • KCI등재

        가토에서 생검총을 이용한 간생검후 충전 물질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젤폼, 섬유소밀봉제(Fibrin Sealant) 및 NBCA의 비교

        곽병국,정걸호,최치훈,윤혜란,박용옥,이창준,김희곤,장희진,심형진 대한영상의학회 199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9 No.1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f plugging the biopsy tract in rabbit liver and the pathologic changes caused by plugging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two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eight rabbits in each)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y were labeled group A(control), B(gelfoam), C(fibrin sealant) or D(NBCA). The liver was exposed and biopsied with an 18G disposible biopsy gun. The inner Tru-cut needle was withdrawn and plugging was undertaken through the outer cannula of the biopsy gun. Bleeding times of each material were compared.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nd pathologically evaluated for 17 days. Results : Mean bleeding times were 46.7$\pm$34.5 sec in group A, 42.9$\pm$54.7 sec in group B, 12.6$\pm$15.0 sec in group C, and 0 sec in group D. In groups C and D,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Pathologically, fibrin sealant was lowest in foreign body reaction and fibrosis. NBCA was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hemorrhage. Conclusion : NBCA and fibrin sealant effectively plug the biopsy tract through the outer cannula of an18 G biopsy gun.

      • KCI등재

        크고 매복된 간내담석:초음파 쇄석술의 유용성

        곽병국 대한영상의학회 199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4 No.4

        Purpose :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ultrasonic lithotripsy for the fragmentation of large impacted intrahepatic duct(IHD) stones. Materials and Methods : Large impacted stones in five patients were fragmented with a 12.5F rigid ureterorenoscope and a 5.5F rigid ultrasonic oscillating burr via T-tube tract. Two to three days later, the fragmented stones were extracted via T-tube tract with basket. Results : Disintegration was complete in three patients and partial in two. The fragmented stones were completely removed in four patients and partially in one, due to that patient's refusal. Conclusion : Insertion of a rigid endoscope and ultrasound drill into the orifice of the IHD can be performed without problem. Ultrasonic lithotripsy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the fragmentation of large impacted intrahepatic stones located in the orifice of the IHD.

      • KCI등재

        폐암의 종격동임파절 전이양사의 CT소견

        곽병국 대한영상의학회 1989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5 No.6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is different from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in many respects such as its tendency toward earlier distant metastasis and principles of treatment. Although radiological findings of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are well known including CT and many articles are published about the bronchogenic carcinoma and criteria of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by its size. None of them deals with the possibilities of differentiating small cell carcinoma and non-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by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metastasized mediastinal lymph node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CT scans of 31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proven bron-chogenic carcinoma of the lung who had mediastinal lymph node metastasis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ossibilities of differentiating small cell carcinoma from non-small cell carcino-ma by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lymph nodes. 11 of the 31 patients were small cell carcinoma of the lung and 20 patients were non-small cell carcinoma including 17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1 cases of adenocarcinoma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 and bronchioloalveolar cell carcinoma respectively. Mediastinal lymph nodes in small cell carcinomas tends to be larger in size (over 2cm in two-thirds of patients) than non-small cell carcinoma. mean number of the involved lymph nodes in small cell carcinoma are twice as many as that of non-small cell carcinoma High incidence of central low density of involved lymph node was found in both small cell carcinoma(80.5%) and non-small cell carcinoma(77.5%) but homogeneous central low density is more frequent in small cell carcinoma(50%) than non-small cell carcinoma(23.6%) High incidence of peripheral rim enhancement of involved lumph nodes was found both in small cell carcinoma(79.0%) and non-small cell carcinoma(87.3%)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mall cell carcinoma and non-small cell carcinoma in respect to involved nodal groups.

      • 정소절제모델과 고장성 식염수주사 모델의 비교

        곽병국,이성호,유다경 한국발생생물학회 2011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0 No.-

        본 연구진 등은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고 정소 조직이 완전히 파괴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적 ‘거세’ 효과를 유발하는 생리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소절제모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생후 5개월 된 수컷 흰쥐(SD strain)를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절제군(orchidectomy), 그리고 식염수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나누어 식염수주사군에는 정소당 750 ㎕의 고장성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다. 정소제거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 후 30일 후 동물을 희생하여 혈액과 조직들을 채취하고, 조직 무게를 측정한 후 조직학적 조사를 위해 고정시켰다. 혈중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경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체중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식염수주사군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정소절제군에서는 감소 경향은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식염수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부정소,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정조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조직학적 조사에서 식염수주사군의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고, 세정관내 정자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백막 부근에서 단핵구들이 대량 관찰되었다. 부정소 두부와 미부에서는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공히 도관의 내강 내 정자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내강 측 상피세포층이 이상 증식으로 비대해짐이 관찰되었다. 한편, 저정낭의 경우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 내강 면적이 무처리군에 비해 크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전립선의 경우도 정소절제군과 식염수주사군 모두 상피세포의 세포질이 감소하여 세포층이 얇아짐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고장성 식염수의 정소내 직접 주사모델이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해부학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향후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은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과 정소절제모델의 비교

        곽병국,유다경,이성호 한국발생생물학회 2012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1 No.-

        최근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고 정소 조직이 완전히 파괴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적 ‘거세’ 효과를 유발하는 생리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식기관의 무게와 해부학적 변화, 그리고 생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발현을 정소절제모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생후 5개월된 수컷 흰쥐(S.D. strain)를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절제군(orchidectomy),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나누어 식염수 주사군에는 정소 당 750 ㎕의 멸균한 20%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고, 정소절제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 후 1, 2, 4주 및 3개월 경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생식조직들을 채취하였다. 체중의 경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소와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조사에서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으며, 세정관내 정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의 부정소,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 모두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내강이 수축하여 면적이 크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시상하부에서 Kisspeptin의 mRNA 수준은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뇌하수체 호르몬 발현(Common alpha, LH-beta 그리고 FSH-beta subunit)은 대조군 대비 식염수 주사군에서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소 내 고장성 식염수 직접 주사모델이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은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섭식패턴역전을 통한 일주기 교란이 미성숙한 수컷 생쥐 생식에 미치는 영향

        곽병국,고은혜,이성호 한국발생생물학회 2012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1 No.-

        야행성 설치류의 섭식행동은 주로 밤 시간대에 일어난다. 본 연구는 섭식행동을 매개로 하는 일주기 패턴과 생식계의 상관관계 유무를 조사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섭식패턴을 강제로 역전시킨 뒤 각 4, 8, 12주 후 생식조직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용한 생후 4주인 수컷 생쥐(ICV strain)는 light:dark cycle을 12시간:12시간으로 설정한 사육실에서 식수의 접근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사육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은 암기(19:00시부터 익일 08:00시)에만 먹이를 제공하고, 실험군은 명기(08:00시부터 19:00시)에만 먹이를 제공하였다. 4, 8, 12주 후 동물들을 희생시킨 후 생식조직과 장기들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섭식패턴역전을 시행한 결과, 체중은 4주 실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8주 실험군(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12주 실험군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생식기관인 정소와 부정소에서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저정낭은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4주차(p<0.01)에서 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립선은 4주, 8주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높은 양상을 보였지만 점차 감소하여 12주차에서는 유의하지는 않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뇌하수체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신장과 비장의 경우 4주차 실험군(각각 p<0.001, 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신의 경우 4주차(p<0.01)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8주, 12주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빛/어둠 조절이 아닌 섭식행동 패턴을 역전시키는 간접적인 일주기 교란에 의해 수컷 생쥐의 생식계에 나타나는 변화를 확인하였다. 체중과 전반적인 장기 무게가 4주차에서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도 12주차에는 상당 부분 정상으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새로운 생체 리듬과 항상성에 대한 적응으로 사료된다. 부속생식기관인 저정낭과 전립선에서 전반적인 무게 감소 효과는 일주기 교란이 수컷 생쥐의 생식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Ethane dimethane sulfonate (EDS)를 투여한 성체 흰쥐에서의 생식내분비 활성 변화

        곽병국,이성호 한국발생생물학회 2010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9 No.-

        Ethane dimethane sulfonate (EDS) 주사 흰쥐모델은 단 1회의 복강주사 (75 ㎎/㎏ BW)로 3일 이내에 성체형으로 분화된 Leydig cell들의 특이적인 사멸을 초래한다. 그 결과, 주사 후 3주까지 혈중 androgen 수준이 급감하지만, 이 기간 중 정소 안에 미리 존재하는 전구세포들로 부터의 분화와 증식이 일어나 주사 3주 후부터 androgen 분비가 재개되어 주사 6~7주 후에는 주사 전 수준으로 회복된다. 생식생리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소절제 후 안드로겐 보충모델 (Orchidectomy and androgen supplement model)에 비해 EDS 주사모델은 정상에 가까운 조건으로 가역적인 생식내분비 변화를 야기하므로 독특한 가치를 갖는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 모델을 사용한 hypothalamus-pituitary-testis (HPT) hormone axis 전반의 활성조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HPT hormone axis의 활성, androgen의 주요 표적인 부정소에서의 유전자 발현 패턴과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EDS 주사후 3주 이내에 시상하부 KiSS-1, GPR54, GnRH mRNA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뇌하수체 common α, LHβ, FSHβ subunit mTNA 수준이 주사 후 2~4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정소에서의 3β-HSD, StAR, LH 수용체 mRNA 수준은 주사 후 1~3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소에서 estrogen 수용체인 ERα와 ERβ mRNA 수준은 주사 1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는데, 이후 ER α는 변화가 없었고 ERβ는 주사 후 2~3주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ndrogen 수용체 mRNA는 주사 2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aromatase mRNA 수준은 주사 1~3주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조직학적 연구를 통해 EDS 주사 후 정소와 부정소의 조직 구조에 뚜렷한 변화가 초래되었다가 점차 정상으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EDS 주사 후 HPT 축에서 androgen에 의한 전형적인 음성되먹임의 소실과 회복을 보여주고 있지만, 일부 유전자 발현의 경우는 되먹임 이론으로 잘 설명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EDS 주사 흰쥐 모델이 HPT 축 상의 생식내분비 활성 변화와 안드로겐 의존성 조직들의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함에 있어서 유용함을 보여준다.

      • 사춘기 전후 암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활성 변화에 대한 연구

        곽병국,변혜림,이성호 한국발생생물학회 2013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3 No.8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은 생리적, 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신경 내분비 축이다. 이전의 보고에 따르면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HPA 축반응이 사춘기 발달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암컷 흰쥐의 사춘기 전후 시기에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합성 유전자들의 활성 변화를 날짜별로 조사한 것이다. 생후 29일의 암컷 흰쥐를 사춘기 개시 이후 시기인 43일까지 2일 간격으로 희생하였다. HPA 축에서 스테로이드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semi-quantitative RT-PCR을 실행하였으며, 방사면역측정법(RIA)를 통해 혈청 내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수준을 측정하였다. 시상하부에서 CRH를 발현을 조사한 결과 생후 35일까지는 다소 증가하다가 37일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후 생후 43일(p<0.05)에 다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R 발현은 유의한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뇌하수체에서 ACTH mRNA 수준은 생후 33일까지 다소 증가하다가 35일부터 43일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부신에서 StAR mRNA 수준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다가 생후 35일(p<0.05), 37일(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생후 39일에 다소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여 43일(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P11A1의 발현 역시 StAR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생후 35일(p<0.05), 37일(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3β-HSD의 발현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생후 35일(p<0.05)에서 39일(p<0.01)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생후 41일에 다소 증가한 후 43일(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P11B1과 CYP21A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CYP11B1은 생후 31일(p<0.01)부터 35일(p<0.01)까지 크게 감소하고, 37일에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여 생후 39일(p<0.05), 43일(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P21A 발현은 생후 37일(p<0.01)까지 크게 감소하고 39일 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경우 생후 31일(p<0.01)부터 35일(p<0.01)까지 유의하게 증가하고 37일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춘기 개시 전후 시기에 HPA 축에서 스테로이드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이 동적으로 변화하며, 부신에서 효소들이 생후 35일경에 대체로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춘기 개시에 관여하는 HPG 축과 부신 축인 HPA 축간의 상호 조절 시스템이 존재하며 사춘기 개시 시점에 부신에서의 스테로이드합성이 어떠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