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분쟁지역을 위한 선교방법론에 관한 연구 : 평화교육을 중심으로

        곽미나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지금까지 분쟁지역을 위한 선교교육 방법론을 위해 이론적 접근으로 세계의 분쟁상황과 평화의 개념, 그리고 평화교육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쟁지역에서 선교사역을 진행하고 있는 사단법인 “개척자들”(The Frontiers)의 선교방법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선교학적 방향과 신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제2장에서는 세계분쟁상황을 살펴보면서 충돌되고 대립되고 잠재되어 있거나 종료된 분쟁을 살펴보았다. 분쟁의 원인인 정치, 경제적 혼란, 민족주의, 종교적 대립, 국가형성 및 국경문제 등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분쟁의 유형은 크게 내분형과 국제형 그리고 혼합형을 살펴보았고 탈냉전이후의 특징적인 유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평화의 개념이해를 통해 일반적 이해로 사전적인 개념과 언어적 개념을 살펴보았고, 성서적 평화이해는 단순히 전쟁이나 폭력이 없는 상태와 인간과 공동체의 총체적 안녕과 행복,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이 자기 자신과, 하나님과, 이웃과, 사회와 그리고 모든 피조세계 전체와 총체적으로 맺게 되는 평화의 관계이며, 개인과 사회 정치적 영역, 피조세계 전체에 폭력이 없고 자유와 정의와 평안이 넘치는 것을 지칭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학적 평화이해로는 갈퉁, 존 요더, JPIC, 도르테 죌레, 한스 큉, 바이츠케커, 한국일의 평화개념을 살펴보면서 평화는 시 공간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전쟁의 중지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평화는 갈등을 해결하고, 정의의 기준을 존중하고, 기본적 욕구를 만족시키고, 인권을 존중하고, 자연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하여 인간이 서로 협력함을 함축과 평화를 위해 교회의 교회되는 분질과 사명을 지켜나가야 한다. 제4장에서는 분쟁지역을 위한 선교교육 방법론으로 평화교육은 우리 인간들이 직면하고 있는 평화 없는 세계와 또한 평화로울 수 없는 인간의 속성을 분명히 부각시키려고 했다. 인간의 본질에 대한 그리고 실존적 존재형식에 대한 포괄적 개관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것과 예수 그리스도께서 실천을 통해 보여준 빈곤과 갈등, 억압과 착취, 계층관의 소외와 문화적 차별, 분쟁과 전쟁이 있는 곳에서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것이 평화교육의 필요성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평화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평화문화가 정착되도록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 이라고 하였다. 교육은 그 특성상 그와 같은 목적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뿐인데, 학습자에게 ‘평화 능력’을 형성함으로서 그들을 통하여 세계를 변화시키는 일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평화교육의 목적을 통해 평화교육의 내용 평화에 관한(about) 교육만으로는 불충분하다. 평화를 위한(for) 교육과 함께 하나님의 평화에 의한(by)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선교방법으로서의 평화교육 사례를 사단법인 “개척자들”을 통해 설립목적과 국내․외 사역을 통해 선교학적 의미를 평가하고 평화를 위한 한국교회와의 협력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 音樂敎育의 認識度에 관한 調査硏究 : 中學生을 中心으로

        곽미나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1855

        敎育의 궁극적 目的이 인류의 文化遺産을 계승하고 창조적인 能力을 개발하여 理想的인 삶을 누리도록 하는데 있다고 할 때 이러한 目的아래 이상적인 삶으로써의 人間性에 영향을 주는 情緖敎育의 가치는 重要하다. 정서교육 가운데서도 人間의 영혼에 직접 작용하는 音樂數育은 文化生活의 척도를 높이며 아울러 훌륭한 品性을 조성하는데 絶對的인 요소이다. 특히 현대적 의미에서 敎育의 役割이 全人的 敎育이라는 점을 강조할 때 音樂敎育은 단순히 정서적 발달이나 감정의 순화작용에 머무는 것이 아니고 보다 폭넓은 의미의 敎育的 意義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意味에서 음악교육은 學校敎育만으로써가 아닌 社會敎育으로 連結되어야 하겠다. 중등교육 내지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어떤 형태로든지 音樂的 成長을 해왔다. 즉 각각의 능력과 환경에 따라 音樂에 적응했고 그에 대한 認識을 지니고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音樂敎育은 여전히 學校敎育이 기본이 되어 家庭이나 社會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音樂敎育은 한 학생의 音樂的 生涯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認識度에도 영향을 줄 것이다. 本 硏究는 이러한 관점에서 中學生들을 中心으로 그들이 未來에까지도 관념적으로 지니게 될 音樂에 대한 認識度를 조사 분석하였다. 音樂敎科에 대한 認識의 정도등을 파악하므로 문제점을 찾아 改善의 방향을 마련함으로써 다소나마 音樂敎育에 寄與코자 하는데 本 硏究의 目的을 두고 中學生 400名( 男 200名, 女 200名 ) 과 成人 200名을 對象으로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과의 敎育的 必要性 및 관심도는 學生들의 情緖敎育을 위해서 꼭 필요하며 관심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音樂敎育 過程의 授業形態 및 運營에서는 統合學習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학교 施設의 不足과 傳統的인 敎育方法에 구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音樂敎科 興味度에서 가장 좋아하는 분야는 歌唱과 鑑賞 順이며 音樂理論은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학업성적이 부진한 학생도 음악공부를 잘 할 수 있다는 自信感을 보여, 敎師는 그들의 可能性을 중시, 고려하여 교육에 임해야 할 것이다. 세째, 有益한 音樂으로는 순수음악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냐 實生活에서는 대중음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여 思考의 矛盾性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교음악이 곧 ‘生活音樂’이 될 수 있도록 올바른 利用과 指導에 힘써 敎育的인 方向을 모색해야 한다. 네째, 成人의 音樂에 대한 認識度에서는 학창시절보다 現在에 더 큰 관심과 비중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주위環境과 敎育의 影響, 文化生活의 向上에 따른 변화라고 나타났다. 다섯째, 또한 음악의 敎育的 必要度에서는 꼭 필요하며 예나 지금이나 音樂을 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창시절에는 古典音樂을 선호했으나 성인이 된 후로는 고전음악 다음으로 대중음악이 浮上되었다. 그리고 절반이상의 家庭에서는 대부분 音樂生活을 하고있어 ‘音樂의 生活化’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후진에게 奬勵, 普及하기 원하는 음악은 古典音樂과 國樂으로 나타났다. 以上의 문제점들을 修正, 改善할때 더욱 效果的인 音樂敎育이 이루어질 수 있고 男女의 音樂的 興味의 差異를 認識, 特性에 맞는 교재를 제작하여 授業의 門題點들을 해결한다면 건전한 情緖敎育을 이끌어 가는데 크게 寄與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When the final aims of education are enjoying the ideal life developing creative abilities and succeeding cultures, the value of sentiment education telling on the humanity as an ideal life is very important. The education of music which is directly acted on the soul among sentiment educations, Is essential to making good characters and increasing the barometers of cultural life. Especially, if we emphasis that the role of education is to make the ideal human from an modern point of view, the education of music is not hesitate to make an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purification of emotion, but to have a large signification. In this way, the education of music is connected with not only the education of society but also the education of school. Some people who received the middle education and the higher education are growing musical in many forms. They adapted themselves to their abilities and environments and they have a right recognition of music. The education of music in our country is based on the school education and it is connected with home and society. So the education of music in school will colored extensively musical life of each student, and recognition rate of music will be decisively colored. This study shows that how much recognitions they have about music in this view point with middle students as the central figure. Grasping their level of recognition in music and finding the problems. It has contributed to the education of music. The results with the subjects of study are middle students in 400 persons (Boys 200 persons, girls 200 persons) and adults in 200 pers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necessity and interests in music is essential for student's emotional education and the rate of interests in very high. This caused questions in the unification of studying in the form and management of music lessons and this shows it is limitated by shortage of establishments and traditional lesson methods. Second, Student's most favorite part is singing and the second is listening to music. They tend to neglect musical theory some students who gave a bad mark are showed possibilities which they can do music subject well. And teachers will take a serious view of their possibilities. The third, people regard pure music as useful music, but in real life they tend to like pop music. It is an inconsistent idea. We have to find the educational aims in music which school music is one with the life music under the right use and guide. The fourth, the adult's recognition rate about music increase more than before, the reason is that the change of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culture life are happening. The fifth, the necessary rate about music is surely necessary. People like music now as in old times. At the student life, they like the classical music, but after growing-up, the pop music is followed by the classical music. More than halves hones enjoy the musical life and they are applying it in the reallife. The music that they want to encourage to their juniors was the classical music and Korean classical music. When the questions mentioned above is changed and improved, the more effective musical education can be made. If we solve the problems in music class and we make an appropriate educational materials suited to educational quality, it will be looking for forming the healthy emotional education.

      • 아동을 위한 기독교 평화교육 연구

        곽미나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의 세계는 전에 없는 분쟁과 갈등, 충돌이 가득한 상황 속에 있으며, 이러한 분쟁과 갈등은 세계 상황뿐만 아니라 우리 개인의 상황 가운데서도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그 원인은 우리에게 평화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특별히 자라나는 아동들이 평화를 사랑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독교와 교회가 앞장서서 하나님과 이웃과 더불어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아동들이 어떻게 평화능력을 키울 수 있는지 함께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기에 평화가 무엇인지를 배우고 경험하여, 실천에 옮기기 위해 아동기 발달이론을 살펴보고, 아동기 평화교육의 이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평화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교회에서 실시할 수 있는 아동을 위한 하늘평화학교 프로그램을 통해 첫째, 아동들의 개인의 삶 속에서 평화롭게 살아가는 것이고 둘째, 하나님과 이웃과 더불어 자연과의 관계 속에서도 평화지킴이로 살아갈 수 있도록 제시해 보고자 한다.

      • 교회의 선교 교육론의 이해와 통전적 교육방법 연구

        곽미나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지금까지 본 논문에서는 현대 상황에 맞는 교육신학을 형성하고자하는 한 시도로서 양분된 복음주의 선교론과 에큐메니칼 선교론의 중심 내용들을 고찰, 비판함으로서 통전적 선교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으며, 그러한 통전적 선교론의 정립을 통한 실천의 형태 속에서 선교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교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서는 선교는 하나님의 사업이며, 교회의 사명이고 또 모든 그리스도인들의 사명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그리스도의 세계선교를 이해하고 동참하도록 하는 즉, 세계 복음화를 위한 복음전도훈련, 제자 훈련, 선교 훈련 등의 선교 교육의 의미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양대 선교 유형을 비교했을 때, 공통점으로 첫째로는, 둘 다 전통적인 학교식 교육 범례를 뛰오 넘어 보다 나은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전통적 학교 방식의 교회 교육은 바람직한 선교 교육이 될 수 없다고 하는데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셋째로는, 제도화된 교회관을 넘어서 성서에 기초한 교회인식을 보다 바람직하면서도 새롭게 하여야 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견해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강조하는 방법론적 대안들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첫째, 리챠즈는 교육 신학적 근거를 "교회론"에 두고 있는 반면에, 러셀은 교육 신학적 근거를 "하나님의 선교"에 두고 있다. 둘째, 리챠즈는 교육 목적을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형성과 "제자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반하여, 러셀은 교육 목적을 "증인 공동에"로서의 선교 교육과 "인간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셋째, 리챠즈는 교육의 구조를 "몸"의 사역 - "몸"의 형성으로 보고 있는 반면에 러셀은 교육구조를 교회 안팎을 포함해서 폭넓은 개념 구조로서 "대화"라고 하였다. 넷째, 교육 방법에 있어서 리챠즈는 사회화 이론으로 상호 작용하는 "모범의 방법"을 주장하고 있으며 러셀은 의식화 이론으로 "참여"를 통한 훈련을 주장한다. 이들의 문제점으로는 먼저 리챠즈 제자화 교육론의 경우는 소외된 종교 집단이 될 우려가 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교육의 범위를 교회와 기독교 가정에만 국한시키기 때문에 역사적 현실, 곧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창조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주도할 수 있는 선교의 역군을 훈련하는 근거를 찾기에는 많은 제한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러셀의 선교 교육론이 지닌 문제점은 1975년에 있은 WCC 나이로비회의 이전의 "하나님의 선교" 이론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죄와 악으로부터의 해방을 사회적, 정치적 차원으로 축소하므로 영혼구원의 절대적인 필요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리챠즈의 선교 교육론에 비하여, 개인의 차원에서 강조해야 할 죄의 심각성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고 생명력과 역동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보다 바람직한 선교 교육을 위해 양자의 문제점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하며, 보다 성서적이고 온전함을 향한 통합과 통전적 접근을 모색하여야 할 과제를 가졌음을 보았다. 그리하여 현대 교회의 통전적 선교 이해를 통하여, 성서에서 일관되게 증언되는 주제는 하나님의 선교임을 알 수 있었다. 인류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 곧 세상 속에서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로 나타났다.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 혼자서 일하시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들과의 동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의 선교에 부름 받았던 하나님의 백성, 곧 이스라엘 백성, 예수의 제자들과 초대교회 공동체, 그리고 오늘날 그리스도인 개개인에서부터 교회 공동체 전체에 이르는 것을 보았다. 따라서 선교는 곧 오늘날 하나님께서 선택받은 백성들, 그리스도인 개개인과 교회공동체로 하여금 감당토록 하시는 절대적인 사명인 것이다. 또한 우리는 선교의 신학적 이해를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가장 추구해야 하는 올바른 선교 신학적 이해는 통전적인 선교이해임을 알 수 있었다. 하나님의 선교는 곧 인류의 구원의 차원에서 시작하여 사회의 구원, 즉 사회봉사의 차원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통전적인 선교가 이루어질 때, 선교의 목적인 열방의 구원과 하나님 나라의 실현은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통전적 선교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의 장을 에클레시아 양육구조의 교회와 디아스포라 훈련 구조의 교회로 하면서 교육목적을 토마스 그룸이 제안한 기독교 교육의 목적을 채택하였다. 즉, 교육의 목적은 '사람들을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나라로 이끌어 내는 것'으로 시도하였다. 또한 새로운 통전적 교육의 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이며, 신·구약 전반을 통하여 나타났던 것처럼, 다른 민족 혹은 비그리스도인과의 일련의 관계측면에서 예배와 봉사의 선교적 존재로서 살아감의 방법이 중요하다. 또, 새로운 통전적 선교 교육방법의 실천적 의지하기 위해서는 선교지의 문화와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무조건적인 선교가 아닌 선교의 대상과 상황에 맞추어 영·육간에 적당한 필요들을 채워줌으로 선교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 중국인의 권역별 협상행동 및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연구 : 산서성(华北)과 상하이(华东) 직장인의 비교

        곽미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1992,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come increasingly close. With the increase in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 are more and more incidents of conflict. However, through research, the conflicts caused by the different behavioral habits and communication methods can be greatly reduced. Due to the vast territory of China, the language, customs and habits of people in different regions are quite different. The subject regions of this paper is Shanxi(North China region) and Shanghai(East China region). Though the academic literature, I concluded the general tendencies of the two regions’ businessmen in business negotiations in Chapter2. Though surveys I made model(Chapter3) and researched the value orientations, communication style, the way of conflict resolution of the two regions’ businessmen in Chapter4. Through the study, made some suggestions for partners who have trade relations with the two regions’ businessmen in Chapter5.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의 경제, 정치, 문화, 사회적 교류가 장족의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보자면 양국의 무역액이 전체적으로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한국과 중국 사이의 관계가 더욱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양국 사이의 긴밀한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국인과의 원활한 소통이 중요하다. 중국인과 원활한 소통이 실현하고 싶으면 그들의 가치지향,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및 갈등해결 방식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필요하다(곽노성외, 2017). 중국은 면적이 넓어서 각 지역 간 언어, 자연환경, 생활습관, 역사 등에서 큰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자 조건, 제도, 정책도 다르므로 중국 각 지역 사람들에 대한 다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최근 10년간 한국과 산서성 양자 간 수출입 무역액을 보면, 2008년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아서 2009년 무역액을 하락하였지만 근년에는 한·중 관계가 점점 긴밀하게 발전되면서 산서성 간의 교류도 상승 추세를 나타나고 있었다. 한국이 산서성과 사이 간 관계가 상승한 만큼 산서성인에 대해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산서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실현하기 위하여 중국 상업도시인 상하이 두 지역 사람들의 기치정향, 의사소통 방식, 갈등관리 스타일에 대한 비교 및 대조를 통해 가장 적합한 접근 방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 예배에서 오르가니스트의 역할과 기능 : 회중찬송반주를 중심으로

        곽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help the ministry of church music through studying the role and function of organist in worship. For 7 years, performing the organ in worship, as an organist, I have a dream for good role in assisting worship services. So I choose this theme to study. For the sake of this studying, I have visited many churches and participated in worship services as an organist and obtained playing methods and classified the methods to be appropriate of worship service or not. In worship, an organist should play the roles of three parts : first, the guidance of congregational hymns, second, the accompaniment with choir and solist, third, playing alone in worship like a prelude, an interlude, a postlude in worship. In chapter 2, I deal with the whole order in worship to be related with an organist. In chapter 3, I study the guide for congregational hymn for an organist in detail. Especially, as the best important works is to lead congregation the mood and motivation for God through singing congregational hymns. In effective methods of playing alone by organ, there are Descant, Modulation, Transposition, Free accompaniment, Improvisation and so on. The organ has a plenty of characteristic of various expressions than other musical instruments. So if organists use this characteristics in their playing the organ, they should help congregation to concentrate God with all their hearts. although we sing the same hymn, according to the situations of the worship and the words of song, the meanings of hymn are differently builded up. I try to suggest the various forms of improvisational technical skills. As Improvisation is the best effective method to express congregational hymns, I introduce and explain examples of Improvisation. It is important that church music itself does not have the power to convert for God. Only church music serves to seek living God for participants in worship as tools of worship. The tasks of church music is to help participants in worship concentrate on God and communicate with God, and Church music and worship, both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As a important component in worship church music has the purpose of glorifying only God. Organists give the best thing for God in worship, and so they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play their roles in worship to exercise persistently on the christian piety and the organic skills. By doing this, they have an important influence and leading role on worship music to meet God.

      •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곽미 서울한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23

        어린이집 보육교사에 대한 낮은 사회적 지위와 보수, 과한 업무부담, 과도한 근무시간 등과 같은 열악한 직무환경이 어린이집 보육교사로서의 자긍심과 교직수행과정에서 만족감을 얻지 못하는 현실에서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박삼섭, 2006).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이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 지를 규명함으로서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방안이 요구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 인천, 경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했고, 회수된 설문지를 코딩하여 확보된 데이터를 PASW(SPSS), AMOS, Ver. 22.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 후,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인에 미치는 총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실시하였고 그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의 모든 하위요인인 교직업무수행, 교직 소명감,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근로조건이 높을수록 교직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교직업무수행과 교사의 전문성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교직업무수행과 교사의 전문성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육헌신의 매개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의 모든 하위요인인 교직업무수행, 교직 소명감,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근로조건이 보육헌신을 매개로 교직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영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의 하위요인인 교직업무수행,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근로조건에서만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직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은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이었으며,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육기관인 어린이집은 보육교사의 효과적인 직무환경을 교직수행에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개선과 지원이 필요하며, 보육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전문기관을 통한 보육교원연수와 훈련 등의 활성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ay-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on their commitment,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reby finding out what measures are needed to boost the teaching satisfaction. In this study,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teachers in the nursery school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Collected and cod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PASW(SPSS), AMOS Ver. 22.0. As analysis method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The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followed by the Sobel tes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path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total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on teaching satisfaction, all subfactors of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job performance, vocation, professionalism, working condi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satisfaction. Second, in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on day-care commitment, only two subfactors –job performance, professionalism–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in the influence of day-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on teacher efficacy, only two subfactors –job performance, professionalism– had a positive effect. Fourth, in the mediating effect of day-care commitment in the process the day-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ffects the teaching satisfaction, all subfactors of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job performance, vocation, professionalism, working condi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ing satisfaction, through a mediation of the day-care commitment. I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ly three subfactors –job performance,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through a mediation of the teacher efficacy. In this study, working environment of the teachers was the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teaching satisfaction and the teachers’ commitment, and efficacy had mediating effects in this influence. Therefore, the day-care centers or nursery schools need to support teachers to improve their working environment to make it appropriate to carry out their tasks. Furthermore, we have to consider expanding the workshops or training programs for the day-care teachers with proper policies and specialized organizations.

      •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사회적 관계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곽미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23

        Smartphone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due to their convenience and the range of information they offer. Their side effects, however, merit our attention. Life revolving around a smartphone leads to over-reliance on and obsession over it. Such lifestyle also prompts habitual and routine use. Life dependent on a smartphone brings psychologically anxious state, creates pressure to use and even dominates his mind. Those who lack self-control, such as adolescents, can easily fall into the trap of smartphone dependenc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seeks to look into adolescents’ smartphone usage and prove the hypothesis that personal protective factor of self-esteem and environmental protective factor of social support would show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risk factor of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relationship anxie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n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The ten schools consist of one special purpose middle school, one special purpose high school, four co-ed middle schools, two boys’ high schools and two girls’ high schools. Out of 1,6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1,483 were retrieved, upon which 41 were excluded because of their insincere responses, resulting in 1,442 to be used as the data. Win SPSS 25.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25.0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alyses of the data are as follows. First, among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difficulties in daily life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Self-esteem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and among social relationship anxiety, performance anxiety showed high turnouts. In terms of social support, parents’ support was higher than teachers’ support. Second, in terms of adolescents’ smartphone usage, boys tended to use their smartphones for games or entertainment. The apps they frequently access were mostly game, entertainment and media. On the other hand, girls tended to use messenger or social media apps to communicate with others.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and in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Social relationship anxiety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whereas self-esteem was higher in boys than girls. Social support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However, no significant inter-grade difference was found in social relationship anxiety,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ird,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relationship anxiety, but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ocial relationship anxiety form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our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perated as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relationship anxiety. Furthermore, the same mediating effects were found in boys and girls alike. The following are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limited to freshmen and sophomore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Taking into consideration social trend where the average age of smartphone users is decreasing, futures studies should focus on elementary students to verify whether the same results may be drawn. 스마트폰이 사용성의 편리함과 다양한 정보의 제공으로 인하여 급속도로 보급되었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생겨났다. 스마트폰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생활환경은 과도한 의존과 집착을 유도하였고, 습관적이고 의례적인 이용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에 의존한 생활환경은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이용에 압박감을 주거나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기도 하였으며, 청소년과 같이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계층은 스마트폰 의존으로 빠져들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실태를 알아보고 개인적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환경적 보호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의존이라는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과 사회적 관계 불안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일 것이라는 추론을 가지고 이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10곳의 중·고등학교(특목 중·고등학교 각각 1곳, 남녀공학 중학교 4곳, 남·여 고등학교 각각 2곳) 학생들을 대상으로 1,600부 설문지 중 1,483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 내용 중 부실한 41부를 제외한 1,442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Win SPSS 2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관계 불안에서는 수행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교사 지지에 비해 부모 지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는 남학생들은 게임이나 오락의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애플리케이션 역시 게임,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의 비율이 높았다. 반면 여학생들은 사람들과의 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메신저, SNS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여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남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비해 더 높았으며,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 불안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관계 불안,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회적 관계 불안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 불안은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는 변인 간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회적 관계 불안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과 여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사회적 관계 불안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재학 중인 중, 고등학교 1,2학년들에 국한되었다. 스마트폰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동일한 결과가 얻어지는 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한국어 학습자의 불평화행 양상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곽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aims to create basic materials for education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by examining the effec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on actualization phase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of learners and by comparing those Chinese leaners (CK)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those Chinese leaners (CC)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China with those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K). The ultimate goal of person who learns foreign language is to communicate well with native speakers of target languag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peech ac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were already emphasized through a lot of studies 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of speech activit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studies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that most threats prestige of listeners are very insufficient and previous studies of speech act have concentrated on mother tongue of learners. However, as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pproximately 50 years, the need to give differentiated education according to increa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has increased. Hereup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helping those who have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 by examining the effect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on actualization phase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that needs high suitability in relations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and by comparing those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those Chinese learners who learn Korea language in China with those mother tongue is Korean. Detailed procedure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2, various theor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escribed systematically to create to theoretical basis. Framework for analyzing experimental result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minus politeness expression process model (Mizushima Hiroko, 2003) and complaint strategy of various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information on experiment in this study was mentioned.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and situation awareness questionnaire (SAQ) were used as experimental tool. !80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aged twentie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 36 situations of complaint that were constructed by well compounding situational variables, intimacy and social status based on 6 types of Homes(1990)'s offense were used for 'preliminary examination for extracting situation of complaint' to enhance the quality of questionnaire and through it, 12 situations of complaint were extracted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by applying DCT that was supplement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 In chapter 4, experimental result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social variable and situation. In analysis by variable according to intimacy and social status for actualization phase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 CK was placed between K and CC in frequency of complaint, degree of complaint, expression method of complaint and burden of expression. In analysis about sentence that was used for actual expression of complaint, CK was placed between K and CC. In analysis situational analysis about 6 offenses of Homes(1990), CK was placed between K and CC in actualization phase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This result mean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s a great influence on leaners. In chapter 5, process and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nd study limitation was mentioned. Through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China in actualization phase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 and it was found that CK was closer to discourse aspect of Koreans than CC. Despite limitation this study ha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data for speech act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onsidering that this study was research on speech act that concentrated on learning environment that was not mother tongue of learners and subject of this study was Chinese to whom the number of research on speech act of complaining was very small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현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CK)와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CC)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을 한국어 모어 화자(K)와 비교해봄으로써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불평 화행 교육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는 데 있다. 외국어를 배우는 모든 학습자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목표어의 모어 화자와 제대로 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외국어 학습에서 화행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바 있으며, 한국어 교육에서도 현재까지 여러 개별 화행들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개별 화행들 중에서 특히 청자의 체면을 가장 높은 강도로 위협하는 불평 화행에 대한 연구는 지극히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또한 지금까지의 화행 연구가 주로 학습자의 여러 변이중에서 학습자의 모국어에만 집중되어 연구되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의 역사가 50년을 헤아림에 따라 학습 환경으로서 한국이 아닌 학습자들의 본국, 즉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의 양적인 증가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적 측면에서 고도의 적절성이 요구되는 불평 화행의 실현 양상에 대해서 각각 한국과 중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과 한국인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불평 화행 실현 양상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실험을 분석한 결과로 학습 환경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여러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으며 마이너스 공손표현 과정 모델(미즈시마 히로코, 2003)과 여러 선행 연구의 불평 전략을 기초로 해서 실험 결과 분석을 위한 틀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실험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해 언급하였다. 실험도구로는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와 상황 인지도 검사(SAQ) 두 가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별 20대의 대학생과 대학원생 60명씩, 총 180명을 실험대상으로 정하였다. Homes(1990)의 위반행위의 6가지 유형에 기초한 상황별 변인과 친밀도와 사회적 지위의 두 가지 사회적 변인을 잘 조합해 구성한 36개의 불평 상황을 ‘불평 상황 추출을 위한 예비 조사’에 사용함으로써 설문의 질을 높이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12개의 불평 상황을 추출하여 예비실험을 거쳐 수정하고 보완한 DCT를 본실험에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사회적 변인별, 상황별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친밀도와 사회적 지위에 따른 변인별 분석에서는 세 집단의 불평 화행 실현 양상이 불만의 빈도, 불만의 정도, 불만 표현 방법, 표현의 부담 정도에 있어서 CK가 K와 CC의 중간 단계를 보였으며 실제 불평 표현에 사용된 문장과 관련된 분석에 있어서도 CK는 같은 양상을 보였다. 또한 Homes(1990)의 6가지 위반행위에 대한 상황별 분석에서도 역시 CK는 불평 화행 실현 양상에 있어서 K와 CC의 중간 단계를 보임으로써, 한국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연구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한계점도 살펴보았다. ‘불평 화행’의 실현 양상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CK가 CC보다 한국인의 담화 양상에 많이 근접해 있음도 알았으며, 이에 기초한 구체적인 교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지닌 몇 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학습자 변인 중에서 학습자의 모국어가 아닌 학습 환경에 집중한 화행 연구라는 점과, 개별 화행 중에서 그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불평 화행에 대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어 화행 교육의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