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김수영의 문학과 현대 영미시론의 관련양상 (1)

        곽명숙(Kwak, Myoung-suk)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본고에서는 김수영의 문학 세계와 현대 영미시론과의 관련양상을 뉴 크리티시즘(New Criticism)의 비평가 가운데 한 사람인 앨런 테이트에 대한 김수영의 번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60년대 김수영에게 있어서 번역은 세계문학의 지평에서 한국 사회와 문학의 후진성에 대해 반성하게 하는 매개이자 동력이었다. 4・19 혁명 무렵부터 번역하던 앨런 테이트에 대한 그의 관심은 앨런 테이트가 보여준 세속화된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과 문학의 지성주의 옹호에 대한 공감에서 이루어졌으며,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유주의 사상에 친근한 태도로 이어졌다. 좌파적인 사상가들과의 관련성에 치우친 김수영의 번역 연구에서 맹점처럼 놓인 이 부분에 대해 본고에서는 원전 텍스트와 번역 텍스트에 대한 비교, 미발표 시의 시작 노트에 나타난 언급, 그리고 앨런 테이트에 대한 인용과 참조를 통해 그의 문학적 의도와 앨런 테이트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김수영은 해방 이후 문화적 중심과 배급의 언어가 일본어에서 영어로 변경된 상황에 대해 강한 자의식을 드러내었는데, 이러한 문화적 위치의 극복을 위해 인용하고 참조하고 전유한 것이 앨런 테이트의 시론이었다. 김수영의 시론과 그 이후 변모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김수영 문학 세계의 지평에 깔린 영미 시론과의 상관성을 올바로 바라보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Kim Soo-young"s poetics and the contemporary English literature. In the 1960s Kim Soo-young developed his literary world of intellectualism being compacted with global perspectives and references through works of translations of modern English literature. Among them, it is Allan Tate, one of the critics of American New Criticism, whom Kim Soo-young showed a steady interest in. In spite of the conservatism of New Criticism, Kim agreed with Allan Tate"s critical attitudes toward secularized modern society and his intellectualism. So he translated and cited Tate"s articles several times. It seemed that Kim translated Tate"s works around the 4.19 Revolution in 1960. Compared to the Japanese translation, he tried to approach Tate"s literary theory with a whole perspective rather than a selective understanding and to be more faithful to the original texts. And in the note of the unpublished poem that Kim wrote, we can see that the experiment of satire was related to that of Tate. Finally, Kim tried to make a reference to Alan Tate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essay that strongly expressed his self-consciousness about the situation that the cultural center and the language of distribution changed from Japanese to English after liberatio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Kim"s poetics and its subsequent transformation process, it should be preceded by correctly looking at the correlation of Kim Soo-young"s literary world with Anglo-American poetics.

      • KCI등재

        해방기 한국 시의 미학과 윤리 : 오장환과 설정식을 중심으로

        곽명숙(Kwak Myoung-suk)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ethical issues of an author(and an intellectual) were revealed as esthetic aspects through Oh, Jang-hwan and Seol, Jeong-sik who worked in various fields of activity during Liberation Periods. We can see a new and alternative approach to understand the changes around of authors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of modernism and realism. The works of Oh, Jang-hwan and Seol, Jeong-sik after Liberation shows aesthetics different from realism which was professed by KAPF(Korea Proletariat Artist federation, 1925~1935). Both of them walked along the modernist paths before Liberation. But after Liberation they broke their past as conference member of Korea writer alliance(조선문학가동맹, 1946 ~1948) and went to North korea. This transition can be interpreted as gradual constitution of 'ethical subject' who pursues the truth in the face of Liberation. They embraced thought and ideology as issue of conscience and represent them aesthetically in their poems. I analyzed the style of confession in Oh, Jang-hwan's works and the rhetoric of rage in Seol, Jeong-sik's. 본고에서는 해방기의 대표적인 시인인 오장환과 설정식을 통해 해방이라는 사건을 맞아 시인이 고민하게 된 공동체적인 윤리의 문제가 해방기 시에서 어떠한 미학적인 양상으로 발현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과 이해를 통해 해방기 모더니즘 작가들의 변모에 대해 문예미학상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으로 양분하여 바라본 시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질 것을 기대하였다. 해방 이전 모더니즘 문학에 가까운 길을 걸어왔던 오장환과 설정식은해방 이후 조선문학가동맹원이 되고 월북을 선택하기에 이른다. 해방기 그들의 시에 등장하는 시적 주체는 해방이라는 사건을 맞아 과거의 자신과 결별하고 공동체와 진리에 충실하려는 용기를 보인다는 점에서 윤리적 주체로 구성되어 가는 양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해방기의 다른 시인에게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면모라 할 수도 있는데, 그러한 시적 주체의 윤리적 태도가 각기 다른 감성 내지 미학으로 발현되는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 주목해 보고자 하였다. 오장환은 자기비판의 정신과 인륜성에 바탕을 둔 자기 실천의 문제에 대한 고뇌를 드러내었다. 그의 미학은 고백의 어조를 통해 사적인 개인성의 차원에서 자신의 윤리적 결단과 공동체에 대한 충실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설정식의 경우 행위의 준칙으로 삼은 공동체의 진리를 다수의것으로 여겼으며, 그 다수의 절대성에 기반한 미학은 상징의 보편성과 분노의 어조를 통해 공적인 전체성의 차원에서 종교적 성격에 가까울 만큼 정의에 대한 신념과 이상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두 사람은 유사하게 '양심'의 문제로 사상과 이념을 받아들였고, 그것을 시적 주체와 개성적인 시의 미학을 통해 형상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근대시의 비극성 : 1930~1940년대를 중심으로

        곽명숙(Kwak Myoung-suk)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8

        This study aims to research on the tragedy of Korean modern poetry as conduits of the colonial reality.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poetry in the later of 1930's~1940's. In brief, the tragedy of Korean modern poetry is deeply associated with Japanese colonialism.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ese imperialism was executed with unprecendented ruthlessness and cruelty. The military violence was mobilized to restructure Korea into source of supply for Japanese imperialism and to suppress Korean who resist the oppression. At the same time various measures was taken to incorporate Korean economy into that of Japan. So they had brought unbearable hardness and poverty to Korean people. Korean poets also felt such pain and made works from such tragic situation and self-consciousness. Although the concept of tragedy was derived from a drama, generally we use it to imply not just suffering of violence, catastrophe, bereavement but also dignity and fortitude against them. It is a bit difficult to discern the word ‘tragic’ and ‘tragedy’. But we might fully appreciate the complex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great tragedies.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apt example of tragedy of Korean modern poetry in the aspects of the tragic situation, tragic consciousness, and the motif of scapegoat. At the first, the tragic situation means the colonial reality with barbarous imperial power and economic poverty. Park Se-young who was a member of KAPF and opposed to the disbandment of KAPF, showed the passion and ambition for the revolution with tragic heroism. And Lee Yong-ak described the miserable condition of drifting people and the migrants of the Northern region. At the second, the tragic consciousness means the consciousness of poetic subject who feel the disharmony between the idealism and the reality. Oh Jang-hwn negatively exposed the decline of history by contrasting with Bak Suk who positively looking for the transcendence in the world of hidden God. At the last Yon Dong-ju was interpreted as the scapegoat for the history and the Korean modern poetry. He revealed the will of sacrifice which resembles that of Christ in his poems.

      • KCI등재

        김기림의 시에 나타난 여행의 감각과 의미

        곽명숙(Kwak Myeong-Suk) 한국시학회 2008 한국시학연구 Vol.- No.21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the sense and meaning of 'travels' in Kim Girim's poetry. His 'travel poetry' have the various characteristics referred to as 'modem'. He made experiments on poems with cultural signs intellectually. On the other hand he took the romantic attitude dreaming of escaping from the modem daily life in his travel poetry. In the era of modernized transportation the space had been reduced abruptly. And the poet felt himself as a stranger and traveler in this new world. He took negative view of the capital culture and ordinary order. But he could not imagine any possible reality beyond modem system. So he could not escape from it. Travels in his poetry are conduits through which the poet can get to the world in different time and space. This kind of poetic attitude might be the representation of cosmopolitan desire or the institutionalized escape as like a leisure excited by cultural sign.

      • KCI등재

        전남지역 주거지 출토 심발형토기 연구

        곽명숙 ( Myung Suk Kwak ) 호남고고학회 2014 湖南考古學報 Vol.47 No.-

        심발형토기는 삼국시대 주거지에서 가장 빈도가 높게 출토되는 취사용기로 편년을 설 정하는 데 좋은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단독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시기적·지역적으로도 많은 차이가 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형식변화와 구분에 치중하였고, 형 식설정 또한 2~4형식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필자는 전남지역 삼국시대 주거지 출토 타날문 심발형토기를 대상으로 형식분류하여 토기의 시·공간적 변화단계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연대와 지역적인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심발형토기는 각 속성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크게 5개 형식, 5개 군집, 4분기로 분류 되었다. 4세기를 기점으로 심발형토기는 경부가 형성되어 ‘C’자형 구연의 강조라는 토기제작의 기술적 요인과 백제문화의 유입이라는 사회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Ⅰ→Ⅴ형식이라는 형 식변화를 거친다. 그리고 취락 내 취사시설의 구조변화로 인해 기능과 용도를 달리하는 심 발형토기 A와 심발형토기 B라는 취사용기의 변화도 확인된다. 이러한 형식변화는 1기(2세 기 후엽), 2기(3세기 전엽~후엽), 3기(4세기 전엽~후엽), 4기(5세기 전엽~6세기 전엽 이 후)로 나눠지고, 시·공간적 발전과정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심발형토기는 시기적으로 일정한 변화양상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지역적으로도 형식 간의 차이를 보인다. 교통로 상의 거점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수계와 반도를 중심으로 14개 지역으로 구분되지만 공통된 기술체계를 기준으로 보면 6개 지역권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특히 영산강 상류의 광주와 남해안의 여수, 광양, 순천은 다양한 형식이 존재해 재지적 성격이 강한 지역임과 동시에 외래적인 요소도 일찍 수용하여 정착시킨 곳으로 판단된다. Although deep-bowl pottery is the most frequently excavated pottery type from dwelling sit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making it easy to identify them chronologically, there is almost no single study which deals with the with huge differences in terms of period or region. The existing studies mainly focus on changes in type (2~4 types) and classification. Thus, the researcher extracted attributes of deep-bowl pottery excavated from Jeonnam dwelling site, consisting of form, size, shape and guyeondan (rim edge) shape, in order to attempt type classificatio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this pottery type was also attempted by examining its relationship with Jangran type pottery and Siru, which are associated artifacts. As a resul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deep-bowl pottery was able to divide the pottery into deep-bowl pottery and bowl pottery with 5 greater types, and specifically 8 type and 4 phases. The phases are as follows: Phase 1 (late 2nd century), Phase 2 (early ~ late 3rd century), Phase 3 (early ~ late 4th century), and Phase 4 (early 5th century ~ 6th century). From the 4th century, the gyeongbu (neck area) was formed to stress “C” type guyeonbu (rim area). This is identified as the social correlation of the technical factors of pottery production and the introduction of Baekje cultur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ypes change from Type Ⅰ → Type Ⅴ, and temporal and spatial development in the Phase 4 were observed. And, regarding the change in cooking facilities, it seems that the change of cooking facilities brought about changein the deep-bowl and bowl. Together, it is surmised that significant social factor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external culture also played a prat. In addition, bowl pottery could be divided into 14 regional area in terms of water systems within the peninsula that might have played a hub role in the traffic route. But, if regional areas considered focusing on common technical systems, it can be divided into 6 areas. In particular, Gwangju at the upper reaches of the Youngsan River, Yeosu, Gwangyang and Suncheon in the southern coast showed different types. Thus, stro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rapid localization of foreign factors is demonstrated.

      • KCI등재

        해방기 문학장에서 시문학의 자기 비판과 민족 문학론

        곽명숙(Kwak, Myoung-Suk) 한국시학회 2015 한국시학연구 Vol.- No.44

        해방기 정국에서 ‘조선문학가동맹’과 ‘중앙문화협회’는 이 시기의 문학 운동을 대표하는 문인단체였고 문학과 정치의 조응이 이루어진 장소였다. 중간파라고 부를 수 있는 문인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본고에서는 이 두 단체를 중심으로 해방기 문학장을 조망하되, 자아비판의 시적 형상화와 민족문학이라는 목표에 따른 민족의 전유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공간 속에서 정치나 종교, 학문, 예술의 장 등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장은 고유한 투쟁목표와 이해관심들로 구성된다. 해방기 문학장은 정치적인 장에 강하게 종속되는 특수한 면을 가지고 있으나 정치 장으로 환원될 수 없는 이 시기 문학장의 고유한 목표와 관심을 살펴보는 관점이 중요할 것이다. 해방기 문학장에서 조선문학가동맹은 ‘인민성’에 기초를 둔 인민민주주의 문학을 내세우고 민족문학 건설을 목표로 적극적인 투쟁하였던 문학장의 행위자로서 역할을 하였다. 조선문학가동맹은 임화, 오장환 등의 기성 시인의 자기 고백과 더불어 전위시인으로 불리는 새로운 세대의 시인들의 반성적 언술을 통해 과거 청산과 새로운 미래에 대한 출발이라는 위치를 차지하려 하였다. 이는 시인의 자기 반성과 자아비판의 시적 형태로서 오류를 지울 뿐 아니라, 오류의 이윤에 공적 고백의 이윤을 더하는 언술행위라 할 수 있다. 해방기 문학장에서 부각된 중요한 주제는 민족문학론이었다. 민족국가의 건설이라는 지상과제와 연결된 이 문학론을 두고 각각의 입장들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민족이라는 상징 권력을 어떻게 전유하려 하였는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조선문학가동맹의 계급성 혹은 인민성에 입각한 민족문학론과 중앙문화협회의 민족문학론에서 상징 권력의 전유 양상을 살펴보면 해방 직후 ‘민족’이라는 개념은 변모해 가며 반외세 및 민족 자주의 성격이 강화되어 간다. 민족 개념을 선점한 것은 조선문학가동맹 측의 비평가들의 선도 비평이었지만 중앙문인협회의 작가들은 작품과 작품론에서 민족이라는 상징 권력을 적극적으로 포획해 나갈 수 있었다. 고전주의와 전통에 대한 전유는 예술과 학문의 장과 더불어 민족문화와 민족문학 건설이 요청되었던 해방기 문학장에서 순수문학의 기반이 되었던 것이다. In the Liberation Period, ‘Chosun munhakga dongmaeng[조선문학가동맹(Korea Writers Alliance)]’ and ‘Joongang munhwa hyeophweo[중앙문화협회(Central Culture Association)]’ were representative writer’s organization where literature and politics were intervened. Even though there were writers who can be called moderate w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selfcriticism and national consciousness transformed into poetic embodiment by focusing on those two organizations. In a society, some areas like politics, academics, art can be analyzed independently. And each individual area has its own purposes and interes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literature field was subordinated to political field. But we should focus on the intrinsic purpose or interest of literature field which cannot be attributed to political field. In this period Korea Writers Alliance putting basis on the people strived to establish national literature. This organization tried to be pathfinder of new era through self-critical statement of young poets as well as that of Im, Hwa[임화], Oh, Jang-Hwan[오장환]. They attempted to correct mistakes by poetic activity and believed that poetic activity can be paralleled with public statement. The key theme of literature field in the Liberation Period is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is theory was connected to supreme task of national states. So every player struggled to be a representative of nation which functioned as most valuable symbolic power. Korea Writers Alliance preoccupied this capital by virtue of a progressive criticism. But the concept of nation or nationalism transformed into diverse directions. So Central Culture Association could achieve another aspect of nation by focusing on traditionalism or classicism putting foundation for pure literature movement of the Liberation Period.

      • KCI등재

        「鄕愁」의 ‘석근’과 ‘서리 까마귀’에 대한 의미 고찰

        곽명숙(Kwak, Myoungsuk),이상신(Lee, Sangsin) 한국현대문학회 201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정지용의 시 「향수」에 나오는 일부 시어들을 충청 방언으로 보아야 할 타당성을 인정하면서, ‘석근’에 대한 추가적인 용례의 분석을 통해 시어의 의미에 접근하고자 하였고 또 ‘서리 까마귀’를 다른 시인들이 수용한 사례의 분석을 통해 방언적인 해석에 관용적인 의미가 덧붙여질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표준적인 한글 표기법이 정립되기 이전에 창작된 작품이 표준어의 질서에 따라 수정되고 또 이에 힘입어 보편적으로 향유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미를 함축할 가능성이 발생함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정지용의 시 「향수」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방언뿐만 아니라 방언 외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해석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시어의 형태를 확정하고 그것의 의미를 추정하기 위해, 발표지(1927년), 제1시집인 『정지용 시집』(1935년), 자선시집인 『지용시선』(1946년)에 수록된 판본들의 개작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논의의 출발로 삼았다. 개작과정과 관련하여 각 판본 간의 시기적 간격이 10여 년을 전후하면서 그 사이에 표준어 표기를 반영한 수정도 있었으나 대체로 정지용의 창조적인 시어 사용이 보이는 방언이나 변형어의 사용은 유지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석근’의 경우, 이것이 『지용시선』 판본에서 ‘성근’으로 바뀐 것은 표준어를 의식한 시어의 교체이기 때문에 ‘석근’과 ‘성근’이 동일한 어의를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보았고, 또 이 ‘석근’이 중세국어의 ‘섯긔-’의 후대형 ‘석그-’와 관련된 형태일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실제 사례를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1920년대 신문 사설에서 기본형 ‘석그다’와 그것의 관형형 ‘석근’의 용례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 용례에서 ‘석근’이 ‘疎’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 ‘疎’는 ‘물리적인 거리의 멂’이 아니라 ‘관계의 소원함’의 뜻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에서 ‘석근’을 하늘의 별들 사이가 벌어지거나 듬성듬성한 모양 정도로 보았던 것과 달리 필자는 시적 화자와 별과의 거리나 관계가 ‘멀거나 아득하다’는 의미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물리적인 거리가 친소의 감정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언어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였다. ‘서리 까마귀’에 대해서도 기존 연구 가운데 타당성이 높은 ‘무리를 지은 까마귀’라는 의미가 ‘서리가 내릴 때의 까마귀’라는 의미와 양립가능하다고 보았다. 즉 방언 자료에서 ‘서리’라는 말이 ‘무리, 떼’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명백하지만, ‘서리’라는 표현을 통해 강화되는 이미지가 계절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서리 까마귀’는 자체에 군집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한시 등에 자주 등장하는 겨울 철새인 갈까마귀와도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고독과 근심을 드러내는 관용적 표현을 변용시켜 사용함으로써 시 전체에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시적 화자의 정서를 탁월하게 그려낼 수 있었던 것이다. Poetic dictions in “향수([Hyangsu], “Nostalgia”) that is an outstanding poem of Jiyong Jeong have been interpreted as dialectics in previous studies. Acknowledging validity of such interpretations, this study attempts an interpretation of ‘석근[seokgeun]’ and ‘서리 까마귀[seorikkamagwi]’ by analyzing examples of the time. This attempt suggests new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of “향수” without dialetic-oriented study. At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evisions of three editons; the first printed edition of a magazine(1927), 정지용 시집(Collection of Jiyong Jeong’ Poem)(1935), 지용시선(Anthology of Jiyong Jeong)(1946). Even though some corrections were made, it can be said that the creative usage of words(such as transformation of dialectics) of Jiyong Jeong was not altered. By this examination we found that the original word ‘석근’ was corrected into ‘성근[seonggeun]’ in print of 지용시선. Assuming that ‘석근’ was corrected into ‘성근’ as a adoption of modern orthography, we searched diverse examples of expressions of the time and found the basic form ‘석그다[seokgeuda]’ and its adjective form ‘석근’ in article of newspaper of 1920s. In that article ‘석근’ means not only spatial distance but also emotional alienation. On the basis of these mean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석근’ can be interpreted not as the spatial distance but as the emotional distance between the poetic narrator and stars in the sk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서리 까마귀’ can be interpreted not only as ‘flocked crows’ but also ‘crows of frost’. In dialectic-oriented study‘서리[seori]’ surely means ‘flock’ but the word ‘seori(frost)’ reinforces the seasonal image in emotional logic of the poem. So ‘서리 까마귀’ has implication of ‘flock’ itself and then can be referred to winter visitor ‘jackdaw’ which appears frequently in Chinese poem. By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idiom of solitude, Jiyong Jeong’s “향수” expresses brilliantly nostalgic yearning of the poetic narrator.

      • KCI등재

        설정식의 생애와 문학 연구

        곽명숙(Kwak Myeungsuk)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3

        This paper reconstructs some aspects of Sul Chungsik by correcting wrongly reputed facts over his life with verifiable references and analyzes his poetry with some clues which show his own vision. As a son of Enlightmented Confusian and a brother of upright journalist, he naturally became familiar with ideas of critical intellects and had diverse experience in china, japan, USA. Even though he participated with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Joseon-Munhakga-Dongmaeng) and chose to defect to North Korea, His literature shows somewhat different aspects from that of KAPF. It can be assumed that his participation is expression of his anger against his times or aspiration for salvation of Korean people. He served both a official of US military government and a journalist. This peculiar position makes his remarks or behaviors as a kind of spokesman of the organization noticeable. But we should consider that those were done after defection of key members of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 and Joseon Communist party. He exposed unparalleled critical attitude and poetic appearance in three books which were publicized during 3 years of Liberation periods. It is known that at the bottom of the unusual character of his poem lies refined knowledge of English Literature. This paper confirms this and suggests that his peculiar ‘Prophetic voice’ is related with Afro-American Literature which it is assumed to be translated by him. After he could not continue left-wing literature movement for establishments of separated governments, he has to consume literature desire by writing books under a false name or absorbing himself with translating. This failure of the intellect writer with critical power and literary ability by turbulence of the War and Separation also shows the misfortun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is paper the focus was put on historical facts of his life. Discussion over the character of his text will be taken in next pap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