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COVID-19) 전후 R&D투자가 기업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곽동철(Kwak, Dongchul),김재용(Kim, Jaeyong),김현철(Kim, HyunCheol) 한국기술혁신학회 2021 기술혁신학회지 Vol.24 No.6

        코로나19 이후 기업의 R&D투자는 생존을 위한 필수투자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국가 경제위기 시 R&D 투자가 기업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기업 재무회계데이터를 기초로 PCA를 통한 민감성 벡터요소의 상관관계, 이론부호, 평가지표 및 부문 비중 비교 등 4단계를 걸쳐 R&D스코어를 산출하였고, COVID-19가 R&D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 유럽재정위기(2012년) 상황 시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악화될 경우 전남, 광주, 세종, 인천, 경남, 충북지역이 충격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균보다 낮은 제조업 비중 때문이다. 다음으로 업종별로 보면 중소기업 비중이 높은 제조업, 경기민감업종인 임대서비스업, 여가서비스업 등의 하락폭은 매우 크게 나타났고, 이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주력업종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취약업종은 금리가 인상되거나 영업이익이 감소할 경우 한계기업 비중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어 구조조정 등의 적극적인 정책대응이 필요하다. After Covid-19, R&D investment in companies has been recognized as an essential investment for survival. This study examined the affects of R&D investment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during the national economic crisis such as COVID-19.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f the economy worsen, the most affected area would be Jeonnam, Gwangju, Sejong, Incheon, Gyeongnam, and Chungbuk area. It is because of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at are lower than average. Nextly if you see by industry, declin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at have high proportion of SMEs, rental service and lesiure service industries that are sensitive to the economy shows very highly. And this seem to be because of concentration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self-employed businesses. Vulnerable industries like this are expected to see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arginal companies when interest rates rise at the time operating profit decreases, so active policy responses such as restructuring are needed.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통상정책에 대한 연구 : 전자적 전송에 대한 무관세 모라토리움을 중심으로

        곽동철 ( Dongchul Kwak ) 한국국제통상학회 2022 국제통상연구 Vol.27 No.2

        일부 국가가 전자적으로 전송되는 해외 콘텐츠에 대해 관세를 부과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통상쟁점화되고 있다. 무관세 모라토리움(moratorium)이 세계무역기구(WTO)에서 합의된 바 있지만 이를 영구화하자는 선진국과 세수 손실을 우려하여 반대하는 개도국 사이의 논쟁이 재점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라토리움 논쟁의 경과와 찬반 논리를 살펴보고 모라토리움으로 인한 한국의 세수 손실을 추정한다. 한국은 모라토리움으로 인해 2019년 한 해 동안 약 139억 원의 관세수입이 손실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전체 재정수입에 비해 극히 적은 수준이다. 반면, 모라토리움이 국내 디지털 콘텐츠 수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재정 손실을 압도한다. 한국 정부는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해 모라토리움의 영구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디지털통상정책을 실시해야 한다. A number of countries attempt to impose customs duties on electronically delivered foreign media content, which brings about new trade conflicts. Although duty-free moratorium has been agreed several times at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fierce debates between advanced and developing countries have re-emerged. This study finds out that in 2019 as much as USD 11.9 million worth of customs revenues have been foregone in Korea due to the moratorium, which accounts for a minuscule share of the country’s total fiscal revenue. On the other hand, moratorium’s positive effects on Korean digital contents exports surpass revenue los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support the moratorium.

      • KCI등재후보

        아날로그 체제 하의 디지털무역 - 디지털무역 자유화와 무역협정의 역할

        곽동철(Dongchul Kwak),안덕근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16 통상법률 Vol.- No.131

        With advent of digital age, paradigm of international trade is undergoing fundamental changes. Ubiquity of internet and rapidly developing ICTs have altered how we exchange goods and services. Nevertheless, current WTO regime have failed to embrace disciplines on digital trade, raising concerns of lacuna. This study takes a closer look at the disciplines of digital trade liberalization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liberalization at the multilateral negotiation level’, ‘liberalization at the dispute settlement level’, and ‘liberalization at a regional trade agreement level.’ At the multilateral negotiation level, there has been no substantive progress other than (tentative) duty-free moratorium on electronic transmission. As far as liberalization at the dispute settlement level is concerned, several legal issues were raised in US-Gambling and China-Audiovisual Services such as ‘application of GATS disciplines on electronically delivered services’, ‘classification of delivery mode of electronically transmitted services’, ‘technological neutrality and likeness.’ Yet many other issues remain unresolved. As a consequence, number of WTO Member countries these days attempt to set a new regulatory system regarding digital trade through RTAs. The Korea-US FTA and TPP, in particular, deal with e-commerce in a separate chapter, setting forth specific rules on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igital products’, ‘permanent duty-free moratorium’, ‘non-discrimination on digital products’, ‘classification and scheduling of electronically transmitted services.’ Furthermore, TPP, often referred as the ‘21st century trade deal’, leads the discussion over digital trade liberalization by obligating contracting parties to permit cross-border transfer of information by electronic means, banning local presence of computing facilities, and prohibiting transfer of software source code. However, digital trade liberalization has become an urgent issue. In order not to lose economic benefits that digital trade may bring, WTO Member countries must not be trapped in an analogue regime and continue the WTO Work Programme on E-commerce under multilateral trade regime.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