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부종과 두개내압 조절을 위한 고삼투압 치료

        곽동석,고상배 대한의사협회 2023 대한의사협회지 Vol.66 No.5

        Background: Hyperosmolar therapy is an essential treatment method for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nd cerebral edema. Mannitol and hypertonic saline are frequ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more helpful recommendations are needed for the optimal management of cerebral edema in terms of the choice, dosage, and timing of these medications.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strengths of two agents, i.e., mannitol and hypertonic saline, and review clinical data supporting their use in various diseases. Current Concepts: Hyperosmolar therapy reduces intracranial pressure by removing water from the brain tissue and transferring it to the vascular space by creating an osmotic gradient. Mannitol improves cerebral blood flow by reducing the hematocrit, decreasing blood viscosity, and increasing deformability of red blood cells. Hypertonic saline increases intravascular volume, transiently increases cardiac output, and improves tissue oxygen partial pressure in the brain. Hypertonic saline has several advantages over mannitol, including quicker onset and longer-lasting reduction in intracranial pressu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noted in clinical, functional outcomes, or mortality between the two treatment agents. Discussion and Conclusion: Both mannitol and hypertonic saline are effective in reducing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Clinicians should be 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agent in different clinical situations based on available evidence and patients’ individual medical conditions.

      • 갑상설관낭의 임상적 분석

        곽동석,이영학,김정균,배선근,최정일,이재태,이규보,이영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4 慶北醫大誌 Vol.35 No.3

        목적 : 갑상설관낭을 수술하여 조직학적 소견을 얻은 예들에서 임상적 소견, 갑상선 스캔 및 조직학적 소견 등을 조사하여 이 질환의 임상상을 정립하고자 이 분석을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41예의 갑상설관낭 환자들로서 후향성 분석을 하였는데, 갑상선 스캔은 Tc-99m pertechnetate를 정맥주사한 후에 실시하였다. 결과 : 갑상설관낭 환자 41예 중에서 38예(93%)는 목의 정중부에 위치한 결절을 주소로 하였고, 일부에서는 누공을 형성하거나 감염된 경우도 있었다. 갑상선 기능검사 소견은 모두 정상이었고, 초음파소견은 주위와 경계가 분명한 저에코 낭종양상을 나타내었고, 갑상선 스캔에서는 결절부위에 방사능 섭취의 증가는 없었다. 갑상설관낭병소의 조직학적 소견에서는 17예(41%)에서 갑상선 여포세포가 발견되었고, 34예(83%)에서는 상피세포조직이 발견되었다. 결론 : 갑상설관낭은 93%에서 목의 전면 중앙 부위에 결절을 주소로하며, 갑상선 기능검사 소견과 Tc-99m 스캔 소견은 정상이며, 초음파에서는 저에코 낭종으로 나타나며, 조직학적 소견에서는 41%에서 갑상선 조직이 포함되어 있었고, 83%에서 상피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A clinical analysis was done in forty one patients with surgically proven thyroglossal duct cyst. The most common symptom was palpable mass at the midline of neck(93%), but there were also fistulae formations and infection. Thyroid function tests revealed euthyroidism in all cases, and ultrasonogram showed hypoechoic cysts with well defined margines. Thyroid scan with Tc-99m pertechnetate showed no radioisotopic uptake on thyroglossal duct cysts. There noted thyroid follicles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in 17 cases(41%) and epithelial cell lining in 34 cases(83%). The reason for nonvisualization of the thyroglossal duct cysts on scan might be that the amount of thyroid tissue is too small for the thyroid tissue to take the radiopharmaceuticals as doing of normal thyroid gland. There noted two cases of recurrence after Sistrunk's ope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Biodistribution and Hepatic Metabolism of Galactosylated $^{111}In-Antibody-Chelator$ Conjugates: Comparison with $^{111}In-Antibody-Chelator$ Conjugates

        곽동석,정규식,하정희,안병철,이규보,백창흠,이재태,Kwak, Dong-Suk,Jeong, Kyu-Sik,Ha, Jeoung-Hee,Ahn, Byeong-Cheol,Lee, Kyu-Bo,Paik, Chang-H.,Lee, Jae-Tae The Korea Society of Nuclear Medicine 2003 핵의학 분자영상 Vol.37 No.5

        목적: 종양의 진단과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단클론항체를 수용체에 결합하는 수송체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간의 asialoglycoprotein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갈락토즈접합 단클론항체를 $^{111}In$로 표지하여 체내에서의 분포와 간을 중심으로 한 체내대사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갈락토즈를 접합하지 않은 $^{111}In$ 표지 항체와 비교하였다. 재료 및 방법: 인체 림프 구성백혈병 세포에 대한 T101 단일클론항체를 cyclic DTPA dianhydrate(DTPA) 나 2-p-isothiocy-anatobenzyl-6-methyl-DTPA(IB4M) 로 접합하고 갈락토즈를 붙인후 $^{111}In$으로 표지하였다. 생쥐와 흰쥐에서 갈락토즈를 접합한 화합물과 접합하지 않은 화합물의 체내분포와 간대사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111}In$ 표지 T101항체와 갈락토즈 접합체는 투여량의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간에 섭취되었다. DTPA 접합자를 사용한 경우 IB4M 접합자를 사용한 경우보다 간에 오랫동안 저류되어 주사 후 44시간 간 섭취율이 각각 55%와 20% 였다. 이 기간동안의 DTPA화합물의 방사성 대사산물은 24%가 소변으로 17%가 대변으로 배설되어 유사하였으나 IB4M 화합물은 68%가 대변으로 8%가 소변으로 배설되어 배설경로에 차이가 있었다. 1B4M화합물을 주사후 3시간의 담즙과 간 현탁액을 HPLC로 분석한 결과 IgG와 저류시간(Rt)이 같은 첫 절정에 35%,유리 $^{111}In$과 유사한 절정의 Rt에 65%가 관찰되어 대사산물이 빠르게 답즙으로 배출됨을 알 수 있었고, DTPA 화합물 주사후 3시간 대사산물은 90%가 $^{111}In-DTPA$와 유사한 Rt의 절정을 보였다. 그러나 대변의 $^{111}In$ 의 축적량은 낮아 DTPA 접합화합물은 담도를 통한 빠른 배설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단일클론항체에 갈락토즈를 접합한 경우보통의 항체에 비하여 간 섭취가 많고, 간에서의 대사가 촉진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접합자의 선택에 따라서 대사산물의 성분이 달라지고 간에서의 제거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대사의 차이점은 향후 종양세포나 조직의 탐색에 이용할 방사능 표지 항체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use of monoclonal antibody (MoAb) as a carrier of the receptor-binding ligand the receptor mediated uptake into liver and subsequent metabolism of $^{111}In-labeled$ galactosylated MoAb-chelator conjugat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111}In$ labeled MoAb. Materials and Methods : T101 MoAb, $IgG_2$ against human lymphocytic leukemic cell, conjugated with cyclic DTPA dianhydride (DTPA) or 2-p-isothiocyanatobenzyl-6-methyl-DTPA (1B4M) was galactosylated with 2-imino-2-methoxyethyl-1-thio-${\beta}$-D-galactose and then radiolabeled with $^{111}In$. Biodistribution and metabolism study was peformed with two $^{111}In-conjugates$ in mice and rats. Results: $^{111}In-labeled$ T101 and its galactosylated conjugates were taken to the liver by the time, mostly within 10 min. However DTPA conjugate was retained longer in the liver than the 1B4M conjugate (55% vs 20% of injected dose at 44 hr). During this time, the radiornetabolite of DTPA conjugate was excreted similarly into urine (24%) and feces (17%). The radiometabolite of 1B4M was excreted primarily into feces (68%) rather than urine (8%). Size exclusion HPLC analysis of the bile and supernatant of liver homogenate showed two peaks the first (35%) with the retention time (Rt) identical to IgG and the second (65%) with Rt similar to free $^{111}In$ at 3 hr post-injection for the 1B4M conjugate, indicating that the metabolite is rapidly excreted through the biliary system. in contrast to DTPA conjugate, the small $^{111}In-DTPA-like$ metabolite was the major radioindium component (90%) in the liver homogenate as early as 3 hour post-injection, but the cumulative radioindium activity in feces was only 17% at 44 hour, indicating that the metabolite from DTPA conjugate does not clear readily through the biliary tract. Conclusion: The galactosylation of the MoAb conjugates resulted in higher hepatocyte uptake and enhanced metabolism, compared to those without galactosylation. Metabolism of the MoAb-conjugates is different between compounds radiolabled with different chelators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adiometabolites generated in the liv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