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익환의 예언시 연구

        공헌배(Hun-Bai K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브라함 요수아 헤셸(A. J. Heschel)의 관점으로 문익환의 시(詩)를 분석하는 데 있다. 문익환의 시인적 패턴에는 구약의 예언자들과의 동질성 및 차별성이 드러났다. 그중 가장 뚜렷한 차이는 신비적 요소에 있다. 그리고 역사의식에 있어서의 차이이다. 구약의 예레미야와 이사야는 그 당시 이스라엘의 여론을 거스르는듯했지만, 문익환은 민주, 자주, 통일, 민족 등 다수의 민중이 동의할만한 시대 순응적 패턴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문익환은 이와 같은 시대 순응적 패턴으로 그 시대의 정치 현실에 대해 저항한 사상가였지만, 민중에게 낯선 패턴의 주장을 한 것은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약 예언자들과 문익환과의 공통성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시로써 썼다는 데 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구약의 예언시들은 타율성(신의 의지)이 강한 데 비해 문익환은 자신의 역사의식이 강했던 것 같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Moon-Ik Whan’s poetry from A. J. Heschel’s point of view. His poetic features revealed the identities and discrimination Old Testament prophets showed. The most definite difference was mystical elements. The next one is historical awareness. Jeremiah and Isaiah in the Old Testament went against the general trend at that time. However, Moon Ik-Whan went with the tide. He adapted ideas such as democracy, independence, unity and nationality the majority of the people could agree. Although he was political thinker with like these ideas to resist the realities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at time, it seemed improbable that he insisted on idea which the public felt strange. Other than that, there was a common feature between Old Testament prophets and Moon Ik-Whan. That was they wrote poetry about hope for the future. If one was different, Moon Ik-Whan had a lot historical awareness, whereas for prophetic poetry from Old Testament it was heteronomy (that is the will of God).

      • KCI등재후보

        16세기 제네바의 목양방식을 통해 본 교역자의 위상: 교회의 규례들(1541)을 중심으로

        공헌배 ( Hun Bai Kong ) 한국조직신학회 2011 組織神學論叢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ministers` authority, by looking into their pastoral methods done in the era of Calvin at Geneva, through an article "Draft Ecclesiastical Ordinances (1541)." Today, one of the factors to conflicts in Churches of South Korea is often seen between pastors and elders. But thi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pastoral methods in the 16th century at Geneva, Switzerland. In the 16th century at Geneva, elders took one-year temporary job, and ministers were able to manage churches in cooperation with deacons, so was the structure formed. Thus, ministers and elders seemed to have little cause to frictions related to tasks in churches. At that time, elders at Geneva were appointed by the municipal assembly to be elected through indirect elections, not by church members through direct elections. Elders` duties were accomplished mainly from connections with the municipal assembly. According to Calvin`s intention, churches must submit to ministers` disciplines, and ministers` authority was predominant in their sermon proclamations. Ministers were teachers who teach layperson, they should not only have the authority as spiritual parents but also be ``the passage of blessing`` as ministers of God. In the 16th century, ministers at Geneva were both governors and judges. However, today, some in South Korea tend towards misunderstanding ``all people priests theory`` as ``all people ministers theory``, which weakens pastors` authority. But this is totally different from pastoral methods in the 16th century at Geneva, Switzerland. Calvin sufficiently acknowledged ministers` authority.

      • KCI등재

        초기 한국 장로교회에서의 임기제 실행 가능성에 관한 연구

        공헌배 ( Hun Bai Kong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한국장로교회에서 교회직원의 임기제가 실행되었을 가능성을 찾는 데 있다. 유럽이나 미국의 칼빈파 교회들에서는 거의가 장로와 집사의 임기제를 실행한다. 그러나 유독 한국에서는 임기제만큼은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여겨왔다. 하지만 초기 내한(來韓)선교사 곽안련에 의해 번역되고 소개된 핫지(J. A. Hodge)의『교회정치문답조례』에서는 장로의‘윤번시무제(輪番視務制)’를 주장함으로써 사실 상 교회직원의 임기제를 명시하고 있다. 그래서‘한국의 장로파 교회가 임기제에 있어서만큼은 예외’였다는 주장이 그다지 타당하지 않다. 물론 그 당시의 실지 사태가 어떠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연구를 해보아야 하겠지만 원칙에 있어서는 교회직원(장로)의 임기제가 가능하였음을『교회정치문답조례』는 밝히고 있다. 한국의 장로파 교회는 서구의 개혁교회에 비교할 때 온전하지 못한 형태의 교회정치를 실행할 수밖에 없었는데, 그 이유는 초기 한국 장로파 교회의 선교적 상황 때문이었다. 이로 인한 제도적 미숙함이 광복이후에는 오용(誤用)적 사태를 낳기도 했는데, 교회정치에 있어서 그 대표적인 예는‘임시목사 제도’이다. 초기의 조례를 따르면 목사와 장로와는 분명하게 구분하였다. 초기 한국 장로파 교회에서는 목사들의 권위가 장로들의 권위보다 높았다. 하지만 광복 이후 교파가 갈라지면서 소위 진보 진영을 중심으로 한 통합 측이나 기장 측에서는 장로들의 권리가 강화된 듯하고, 보수진영에서는 목사들의 권위가 보다 더 강한 듯했다. 이는 보수적 교파들이 일제 강점기의 한국장로파 교회의 정치행태를 관습적으로는 유지할 수 있었다는 반증일지도 모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possibility of ‘Term of Office(term of validity)’ of churches` officers(spiritual rulers) in Korean Presbyterian Church. Almost Reformed Churches in Europe or the United States have been executed the Term of Office of Elders and Deacons. In contrast, Korean Churches have been not taking Term of Office of churches` officers. But according to ordinances(What is Presbyterian Law, 1917), which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by C. A. Clark, missionary in early Korean Church, on ‘Term of Office(term of validity)’ of church` officers in Early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ey explicitly set forth the bases for “Elders` term of validity by rotation(a reasonable space).” Therefore it is unconvincing to claim that ‘Korean Presbyterian Church was an exception to term system.’ More research is needed, however, to determine how circumstances were of the time, but the possibilities of term of office of churches` officers(Elders) showed in What is Presbyterian law(1917) in principle.

      • KCI등재

        예수, 옛 계약의 완성자인가 새 계약의 창시자인가?

        공헌배(Hun-Bai K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4

        현대 서양의 기독론들은 그 시대의 행태를 따라서 볼 때에는 괄목할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의 기독론들은 고대 1세기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느꼈을 실존상 (象) 보다는 서구인들의 경험에 기초한 신학의 주제로 역사적 예수를 이해했다고 볼 수 있다. 설령 오스카 쿨만이나 위르겐 몰트만이 ‘유대적 기독론’을 인식했다고 할지라도 구약을 충분하게 고려하지 못한 약점들이 발견될 것이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일어난 ‘제3시대의 역사적 예수 연구 (third quest) ’는 분명 괄목할 만한 시도였다. 그러나 이 시도의 경우에도 예레미아스의 주장 중, 한 가지를 염두에 두어야 하는데, 그것은 바로 ‘예수의 육성’ (Ipsissima vox Jesu ) 에서 드러나는 ‘아바’ (ABBA)였다. 예수가 유대교적이거나 구약과의 연속성이 인정되려면 그가 불렀던 ‘아바’ (ABBA)의 정체를 찾아야 한다. The aim of study is to show the modern christology—christology that opposes traditional Christology—is still deficient of Jewish theism. It is true that modern western Christology is unique to the era. Despite the fact, Christology in the twentieth century mostly provides the understanding of Jesus in a way that reflects western experiences, not of Jesus in a more genuine way that reveals how first century Palestinians might have felt or perceived him. Although Oscar Cullmann and Jürgen Moltmann recognized Jewish Christology, they seemed not to consider the Old Testament deeply. In this vein, the third quest was a great attempt that occurred after the 1970s. However, the movement should have taken into account one of Jeremias’ arguments about ABBA which was uncovered in Jesus’ true voice (Ipsissima vox Jesu) . We should discover ‘ABBA’ as used by Jesus in order to either characterize him in Judaism or connect him to the Old Testament.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을 통해 본 신정론 비판

        공헌배 ( Hun Bai Kong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를 중심으로 기독교에서 사용해 왔던 신정론(神正論: theodicy)의 언어들을 비판하는 데 있다.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으로 할 때 기독교의 신정론식 주장은 엉터리였거나 헛소리였음이 드러났다. 그 이유는 신정론이 ‘론(論)’으로 불리는 이성적(理性的) 질문으로부터 출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의 견해에 의하면 세계 내의 현(現) 사태들에 대해서는 원인을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연에는 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비트겐슈타인은 자연과학적 정합성으로 설명되어왔던 소위 ‘자연의 법칙’조차도 법칙이 아니며, 자연의 법칙 같은 것들은 오직운 좋은 우연들의 반복일 뿐만 아니라 인간들이 간신히 이끌어 낸 단순한 몇 가지의 법칙 내지 인간들의 논리일 뿐이다. 인류는 환원 가능성 공리나 확률 및 통계적 사고를 신뢰해 왔다. 하지만 환원 가능성의 공리나 통계는 논리가 아니다. 소위 실험이나 경험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귀납의 방법도 심리적 정초(定礎)일 뿐이다. 그래서 세계 내의 현(現) 사태들에 대한 원인이나 특성들이 논리철학에서는 말해질 수 없는 헛소리이다. 신정론이 성립되려면, 세계 내의 현 사태들의 원인이 신의 의지(意志)에 있을 때 타당하다. 하지만기독교의 신정론은 이와 같은 것들의 논리적 증명 없이, 신이 창조하셨고, 섭리하신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이는 근본 전제에 대한 증명 없이 선언적으로 주장해왔기 때문에 비(非) 논리이다. 그래서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에서는 이와 같은 기독교 신학자들의 신정론들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래서 신정론은 그림언어의 밖에 있다. 결국 이것은 말해질 수 없는 영역에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ize the languages of theodicy, which have been used on Christianity focusing on Ludwig Wittgenstein``s logic philosophy. Based on Ludwig Wittgenstein``s Logic Philosophy, Christian theodicy turned out gibberish or nonsense. The reason is because theodicy starts from intellectual question called ‘argu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views of Wittgenstein, we wouldn``t know about the reason for the present situation in world. Besides, there are no rules in nature. In other words, Wittgenstein deemed that even the so-called ‘a law of nature’ explained as scientific coherence is not a rule. Things like a law of nature repeat not only just coincidences fortunately, but also simple law drawn by human or human logic. Mankind has placed his trust in axiom of reducibility, probability or statistical evidence. But either axiom of reducibility or statistics are not logic. And we regard the procedure of induction as the simplest law that can be reconciled with our experiences. This procedure is not at logic basis but psychological one. Therefore, the causes or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orld are nonsense or gibberish in logic philosophy. To formulate theodicy, it would appear quite reasonable when we find the cause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orld in God``s will. But the Christian theodicy premised a remark that ‘God created and made providence’ without logical proof about these matters. This is illogical because it was asserted declaratively without proof of the fundamental premises. For this reason, such Christian theodicy cannot be accepted in Wittgenstein``s logical philosophy. As a result, theodicy is out of picture language. It should exist in the realm which it cannot be said.

      • KCI등재

        한국 개신교회의 기복신앙 연구 - 루터와 칼빈의 교리문답을 중심으로 -

        공헌배(Kong, Hun Ba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종교 개혁가들의 교리문답에 나타난 주기도문의 주해 중 “일용할 양식을 우리에게 주시옵고”라는 구절에 대한 해석들을 살핌으로써, 한국 개신교회의 기복신앙적 요소를 비판하는 데 있다. 한국 개신교회의 교인들이 자주 말하거나 간증해 왔던 주장들 가운데 한 가지는 “예수 믿으면 복 받는다” 또는 “예수 믿으면 부자가 된다”라는 것들이었다. 한국 개신교회 안에서는 실지로 예수를 믿은 뒤 놀라울 정도로 복을 받은 사례들이 소개되었다. 그래서 급기야 한국 개신교회는 기독교로서의 모습보다도 ‘기복신앙(祈福信仰)’이라는 인상을 주게 되기도 한다. 한국의 개신교회들 안에는 ‘삼박자 축복론’이나 새벽기도를 통한 기도응답의 간증들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십일조’헌금조차도 기복적 요소로 말해진다. 사실 기독교의 전통대로 한다면 십일조는 기복적 요소라기보다는 구제나 선행의 요소로 활용된 점이 있다. 하지만 한국의 개신교회에서는 그 십일조조차도 기복적으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의 신앙행태는 종교개혁의 교리와는 다르다는 점들이 드러났다. 그래서 한국 기독교인들의 상당수는 하나님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지만 그 신앙생활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자국의 문화에 적지 않게 영향 받았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의 개신교회가 바람직한 형태의 신앙생활을 하려면 문화나 관습의 힘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 서양과 같은 요구를 다 할 수 없기 때문에 문화 상대주의를 인정한다면 기복신앙도 긍정할 수 있을 듯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elements of Faith of Blessing within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focusing on “Give us this day our daily bread”, a phrase of the exegesis of the Lord"s Prayer based on Catechism written by Reformers. There are the claims of Korean Protestant Church"s believer: “You are blessed, when you believe in Jesus” or “You become rich, when you believe in Jesus.” There are many cases that people who believed in Jesus received indescribable blessing after he believed in Jesus within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Therefore,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was looked upon as Faith of Blessing rather than Christianity. There are some examples of ‘three blessing(soul, body, everything)’ or answer to one"s prayer through dawn prayer within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Further, even ‘tithe’ is considered as the elements of Faith of Blessing. In fact, based on the Christian tradition, tithe is considered as the elements of relief or good deed rather than Faith of Blessing. However,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has been understood the tithe as Faith of Blessing. Such a way of faith is different from Catechism of Reformation. So, we can figure ou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Christians in Korea believe in God as the target of their faith but they can be affected by Korean culture over the way to lead a religious life. Therefore, Protestant Churches of Korea should be able to overcome Korean culture and customs to lead a desirable religious life.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을 통해 본 부활

        공헌배 ( Kong Hun-bai )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언어놀이 이론을 담고 있는 『철학적 탐구』를 통하여 기독교의 진술인 부활을 어떻게 여겨야 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언어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개념의 공유다. 하지만 표준 예의 적용으로 말미암아 신학자들은 그 어떤 사태를 해석함에 있어서 영향을 받았다. 이와 같은 신학은 언어의 혼란을 가중화함으로써 사고(思考)에도 혼란을 가중화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주장한 “문법으로서의 신학”에 따르면, 신학의 언어에도 개념의 공유가 필요하다. 그래야 언어놀이를 정상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학자들은 부활에 대한 증언을 이성적 판단에 의해 판별함으로써 언어의 혼란을 가중 화 했다.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 철학 논고』대로 하면 부활은 체험될 수도 없고, 말해질 수도 없다. 그리고 신학자들의 표준 예(paradigm) 적용은 현대인들의 인식에 적합한 자연과학적 사고나 환원가능성의 공리 그리고 통계적 사고, 역사적 해석 등을 고려함으로써 성경에 나타난 `부활`이라는 말을 혼란하게 했다. 그래서 언어의 혼란을 가중화한 신학적 진술들은 사고의 혼란을 가져온다. 그래서 이는 비트겐슈타인이 말한 문법으로서의 신학을 훼손한다. 기독교의 진술인 육의 부활은 경험자들의 진술에 의한 증언들로써 그 유형은 심리적이거나 사적(私的)인 말들이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에 의하면, 그와 같은 주장들은 이해될 수도 없고, 언어로 표현될 수도 없다. 결국 그것은 심리적 발성(發聲), 즉 소리이다. 그래서 이는 언어가 아니다. 따라서 육의 부활이라든가, 영의 몸으로의 부활은 언어의 영역이 아니라 신비(神秘)의 세계이며, 신앙(信仰)의 세계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we think of the resurrection, the Christian statement, through Philosophishe Untersucbungen that includes L. Wittgenstein`s language game theory. The important thing in a language is the sharing of concept. But in consequence of on application of paradigm, theologists are influenced in interpreting the a situation. The theology was weighted the confusion of thinking through weighting the confusion of the language. With regard to `theology as grammar` L. Wittgenstein asserted, theological language is also in need of concept share. And then we can play language game ordinarily. But theologists weighted the confusion of the language as judging the resurrection in the Bible by rational judgment. According to L.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 Philosophicus, the resurrection can`t be experienced, nor to be said. As theologists applying paradigm, it leads to confusion on the meaning of resurrection in the Bible, because of the perception of modern human being: scientific thinking or axiom of reducibility and statistical thinking and historical thinking, and so on. Therefore theological writings bring upon the confusion of thinking caused by the confusion of language. It is also damage `theology as the grammar` spoken by L. Wittgenstein. The Christian Doctrine a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s private words on the testimony through the statement by the experienced. The typology is psychological or personal words. According to L. Wittgenstein`s Philosophishe Untersucbungen, the allegations can`t be understood nor expressed in language. In conclusion, it is psychological vocalization, namely voice. It is not language. In other words,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or the soul is not the territory of the language but world of religious faith as well as myst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