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미얀마 네피도 지역의 도시개발로 인한 토지피복변화 탐지 및 산림파편화 분석

        공인혜 ( In Hye Kong ),백경혜 ( Gyoung Hye Baek ),이동근 ( Dong Kun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3 환경영향평가 Vol.22 No.2

        Myanmar(Burma) has been preserved valuable environmental resources because of its politica isolation. But recently, Myanmar has moved a capital city(Naypyidaw) at central forest area and it has been urbanized radically since 2005. In this paper, we built multi-temporal land cover map from Landsat images of 1970s to 2012 with ENVI 4.5 software. For a broad approach, administrative district Yamethin which includes Naypyidaw is classified into 3 classes and with only Naypyidaw region is classified with 4-5 classes to analyse specific changes. And with forest cover extracted by Object Oriented Classification, we evaluated forest fragmentation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using Patch Analyst(FRAGSTATs 3.3) at Yamethin area. For Yamethin area, there were significant forest cover change, 51% in 1999 to 48% in 2012, and for Naypyidaw area, 67% in 1999 to 57% in 2012 respectively. Also landscape indices resulted from Patch Analyst concluded that the total edge, edge density and mean shaped index of forest patches increased and total core area is decreased. It is attributed from land cover change with urbanization and agricultural land expansion.

      • KCI등재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를 고려한 북부베트남의 우선보전산림 설정

        공인혜 ( In Hye Kong ),이동근 ( Dong Kun Lee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5

        최근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정량화하고, 경제적 보상을 통해 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서비스 직불제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PES를 정책에 반영시키는 것은 생태계 보전과 빈곤경감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지면서,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 중, 베트남은 선구적으로 PES를 범국가적인 법 제정을 통해 시행하고 있으나, 공간적 정량화를 통한 광범위한 생태계 서비스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부 베트남에서 수도 하노이를 흐르는 홍강(Red River)의 상류인 Da 강 유역을 중심으로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를 평가를 통해 우선보전산림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우선 평가를 위해 기본적인 최신의 토지피복지도를 구축하고자 Landsat영상을 통해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의 수자원공급 및 토사 유실량 방지의 수문학적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물수지이론 및 USLE 공식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서비스량을 산림지역에 한정하여 서비스공급 우위지역을 도출함으로써 우선보전 산림지역으로 설정하도록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림지역 내에서도 지형, 기후, 토지피복에 따라 생태계서비스공급량의 범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수문학적 생태계 서비스 공급우위지역은 푸롱산(Mt. Phu Luong), 판시판산(Mt.Fanxipan),호앙리엔 국립공원(Hoang Lien National Park)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Da 강 유역에서 생태계 서비스 보전을 위한 우선 지역을 확인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느 지역의 토지소유주가 더 보상받아야 하는지를 판별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보상공유(Benefit Sharing)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Ecosystem services provide various benefits to human beings, but are considered to be free of cost. To protect ecosystems in an economically sustainable way, several developing countries have adopted a policy known as the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that compensates upstream services with monetary incentives collected from service users. Vietnam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have enacted a nationwide PES policy. However, the policy in Vietnam requires further develop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spatial priority zones based on the quant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To obtain a recent and high-quality land cover map, we first classified the land cover in the Da River basin, in northern Vietnam, using Landsat dataset. We then applied a water balance theory and an USLE equation to assess hydrological ecosystem services concerning water supply and sediment retention. Following the assessment, we identified the priority areas for hydrological ecosystem services exclusively for forest environments. We found that the quantity and distribution of services from forests varied, due to the topography, climate, and land cover. According to a quantile distribution, Mt. Phu Luong, Mt. Fansipan, and Hoang Lien National Park were evaluated as high service areas in terms of both water yield and sediment retention. As a result, this assessment method can help construct spatial priority zones concerning ecosystem service distribution, and can also contribute to benefit sharing by indicating which forest and landowners require compensation.

      • 지속가능한 물이용의 지표기반 평가 및 지역경제와의 상관관계 분석

        김익재,공인혜,김연주 한국수자원공사 2016 저널 물 정책·경제 Vol.27 No.-

        물이용 지속성은 국가 성장과 사회·환경의 지속성과 보전에 매우 주요한 정책 의제임과 동시에, 현재 이를 평가하는 법률적 제도적 기반의 부재는 매우 우려스러운 사안이다. 본 원고는 물이용 지속성의 포괄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자원 양적 관리의 제한된 틀을 넘어서 물이용 특성, 수질관리, 관리역량 등 4개 부문의 23개 지표로 구성하였으며 각 부문은 압력과 반응 지수로 구별하여 지속가능성 개념을 도입하였다. 부문별 압력 또는 반응 지수는, 이를 통합한 단일 지수, 즉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수(Sustainable Water Index, SWI)로 산정하였다. 이후 지역별 압력 및 반응 지수가 각 지역의 경제와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을지를 분석해보고자 지역경제력(GRDP)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물이용 달성을 위한 전략으로서 전국의 압력 및 반응을 진단하고 지역경제와의 상관성에 따른 의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물이용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한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체계의 필요성 및 신뢰성 있는 자료의 꾸준한 확보의 필요성을 시사함으로써 정책수립과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정보제공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국가 환경안보 체제 구축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 협동연구총서(연구역량국제화사업) 14-45-01 ;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1)

        김연주,김익재,안종호,한대호,공인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4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4 No.-

        물은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인 조건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원활한 물이용을 목적으로 수자원 가용성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수자원 인프라를 개발해 왔다. 하지만 이는 필연적으로 유역환경 및 생태계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였고 유역환경의 파괴는 유역의 수자원 재생능력을 저하시켰다. 게다가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이 어려운 기상환경과 맞닥뜨리면서, 지속적인 물이용 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이처럼 최근 물이용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위기를 경험하면서,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향한 정책적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지속가능한 물이용이란, 지금까지 물의 이용이나 물 환경에 대한 투자가 인간의 물이용을 위한 인프라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던 점에서, 인프라를 통한 수자원 가용량이나 수질 개선뿐 아니라 생태계를 포함한 유역환경의 자정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자연적 관리, 효율적인 물환경관리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달성 및 참여 증진 등을 수반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표를 개발하여, 우리나라 물이용 현황을 진단·평가하고 이의 미래 전망을 제시하며 지표 개발 결과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찾고자 한다. 총 2차년 연구로 올해 1차년도에는 지표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에 지속가능한 물이용의 개념 및 지표 연구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를 수행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물이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평가로서 수자원의 양질뿐 아니라 유역환경 및 경제·사회적 역량 현황을 포함하는 30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117개 중권역을 대상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표는 각각 지속가능한 수자원을 위협하는 압력(Pressure) 요인과 지속적인 수자원을 보장할 수 있는 반응(Response) 요인으로 양분되어 구성되었으며, 각 지표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정량화를 수행한 뒤 표준화(normalization)를 거쳐 일관된 범위를 통해 나타내었다. 이후 지표는 압력지수와 반응지수로 통합하는 관계식을 통해 최종 지속가능성 지수를 도출하였다. 이후 지표 및 지수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민감도 분석을 포함하는 시험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본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표의 보완 및 수정을 통해 지표 견고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중권역 및 대권역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표 및 지수 결과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각 유역 관리 측면의 정책적 제언을 위한 자료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각 중권역별 압력지수는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중권역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고, 고지대 등지에서 낮게 나타났다. 반응지수는 강의 상류지역의 유역 및 대도시가 위치한 유역을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합한 지속가능한 물이용 지수는 수자원 압력과 원활한 물이용을 위한 대처 역량 사이의 상호관계를 고려한 평가로서, 서해안 하류 유역 및 도서지역에서 낮은 지수값을, 강원도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지수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구축한 자료를 활용하여 세계은행(World Bank)과 공동으로 국제협동연구를 진행하였다. 전 지구 지속가능 물이용 지표 개발의 기초 결과물에 대해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는 전 지구 기반 지표 자료 및 지수를 우리나라 범위에서 구축한 고해상도 자료와 비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전 지구적 자료를 활용하는 지표 연구의 유용성 및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전 지구 지표 개발의 개선방안 및 향후 진행방향을 모색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increased concer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for human-beings to meet their needs to preserve their lives now and in the future. Though water is a circulative resource on earth that is constantly rechargeable, some regions are still suffering from lack of available water from time to time, due to the seasonal rainfall variances and inappropriat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projected that increasing human activities and climate change impact would reduce the availability of water resources in the future. To deal with impending water crisis, it is currently required to take a broad view of integrating additional water-related circumstances that affect human’s water use. In other words, it is getting more important to foster healthy ecological socio-economic environments as well as increasing the water availability by stabilizing the balance between water supply and demand. However, sustainable water use has not yet been thoroughly discussed in terms of the water management in Korea. Previous national water programs in Korea have been focusing on increasing the water availability and preventing flood disasters, and current water use policy is still focused on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water infrastructures. Therefore, it is needed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water use in Korea to achieve safe and continual water use.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of water use and ensure human water security, locating the most vulnerable areas is a primary condition. Several previously conducted water availability researches tend to adopt indicator-based approaches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water uses, because it is easy for the public to understand and directly applicable to decision making for the policy mak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sustainable water use indicators in South Korea. To accommodate a sustainability term as a whole, we included 5 categories representing various aspects that have effects on water uses, including terrestrial watershed environments and social-economic status as well as water supply and demand. According to the categories, we built up 30 indicators in terms of both pressure and response on water use. Considering the relative weights in indicators and the categories deducted from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rom 45 water-related experts, we integrated sustainable water use index depicted upon 117 mid-basins in South Korea. Furthermore, we added a series of preliminary sensitivity tests on indicators and indices to assess the robustness of our results. They cover several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indicators, categories and final index as well as sensitivity tests on weight application in every indicator and index. According to the study, we could figure out some of the significant features with mid-basin scales. First, water use pressure was high in western low-land basins where large agricultural plain is located and several insular areas where available water is highly limited. Second, a response index was high in upstream basins where available water is plentiful and large cities where socio-economic capability is well-organized. In summary, sustainable water use index showed low sustainability in western low-land areas, the coastal and insular areas, and high sustainability on water use was exhibited in highland basins. Highly populated large cities showed fair index values due to the trade-off between pressure and response.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sensitivity test, we found that most indicators showed independency in correlation analysis. However, some case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pollution loading showed high correlation which was shown in the Vorosmarty et al.(2010) correlation result as well, because anthropogenic land use are meant to be a source of water pollution. Four out of five categories showed directional concordance with a finalized sustainable water use index. Equitable water management category was the only exception that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in sustainable water use index. But we consider it meaningful as a result of including socio-economic factor that might represent trade-offing driver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before. The differences due to adopting weights were barely recognized in both indicators and indices. Aside from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water use in Korea, we additionally conducted a collaborative project with the World Bank and City College of New York (CCNY) on applying water security indicator in South Korea. By adjusting our results with recent and high-resolution data and comparing them to the previously developed water security indicator by CCNY, we intended to analyze the temporal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and verify the availability of down-scaled indicator application in a global scale. The results from comparative water security index showed that newly developed index by KEI indicates improved water security values in western lowland areas and degraded values in highland areas, resulting in general water security degradation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previously assessed result. It implies that applying recent and detailed data to reflect more specific status in Korea has led to deteriorated results in this study. In the next year, we expect to validate indicators and index extensively to back up the limited preliminary sensitivity test from this year. In addition, we can extract some cardinal indicators representing each category and apply several future scenarios to them to assume the water sustainability in the future.

      • 기후변화에 대응 환경안보 역량 강화 :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지표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2)

        김익재,안종호,김연주,공인혜,한대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5 No.-

        지속가능한 물이용은 인간과 자연의 질서 있는 성장과 아름다운 공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적정한 물이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높은 상하수도 보급률과 같은 목표 달성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양질의 수자원, 안정적 재정 투자, 친환경적 토지관리, 수질개선 등 다양한정책 수립과 이행이 요구된다. 또한 물이용의 수급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인구변화와 경제성장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여건 분석이 병행되어야 한다. 유엔이 2015년 12월에 발표한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일관된 목적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목표 수치와 함께 하위 세부 목표들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각 국가별 취약점과 문제점을 해결을 위한 중점 분야가 상이하기 때문에 전 지구적 목표수치와는 별개로 각 국가별 이행 목표를 설정하는 계획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의 심화로 지속가능한 물이용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물이용의 각 분야의 특징과 지역적특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통합적이고 포괄적 체계와 명확한 평가가 절대적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물이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범용성 있는 통합지표체계를 구축하고자 구상되었다. 2014년에 수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수량, 수질, 유역환경, 사회경제 등을 아우르는 물이용 평가의 통합체계를 제안하고 적용한 뒤 국제적 물안보 평가와 비교·검증하는 내용으로 진행되었으며, 올해 2차년도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 가능성 및 의의를 반영하여 지표체계를 개선한 뒤 2000년과 2010년에 대한 개별 자료를 수집하여 평가하였다. 이후이 결과를 주제별 또는 지역별 다각적 접근법을 통해 지속가능한 물이용 현황을 평가하였고 또 과거 현황과 비교해 향후 주기적인 물이용 평가체계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최근 정책 및 연구 동향과 함께 간략히 서술하고, 제2장에서는 물이용 평가에 활용한 지표 선행 연구를 면밀히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1차년도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수행한 뒤 평가체계를 수정·보완하고 핵심 지표 선정을 위한 시범평가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제4장에서는 물의가용성, 이용성, 수질오염 및 관리능력을 포함한 새로운 지표체계를 이용하여 각 지표, 주제, 물이용 지수(Sustainable Water Index, SWI)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고, 이를 특징에 따라 중권역 유역별 원인 지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뒤 대권역 본류 수계별 결과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이후 핵심 지표 선정을 통한 설명력을 검토하였고, 추가적으로 지역별 경제수준과 지수평가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경제력과 물이용 특성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전국적으로 우리나라의 물이용을 분석한 결과, 물이용 압력지수(Pressure Index)는 서해안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대도시를 포함한 중권역에서는 물이용 반응지수(Response Index) 또한 높게 나타남으로써 위 지역에서는 높은 물이용압력이 높은 반응역량으로 상쇄될 수 있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서해안 유역 및 일부 지역에서는 물이용압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반응역량이 낮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낮은 SWI를 나타냈다. 이후 위 결과와 지역총생산량(GRDP)을 이용하여 각 지역별 경제수준과 물이용압력, 반응, SWI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경우에서도 지역총생산량이 높을수록 물이용압력과 반응이 모두 크게 나타나는 결과를 도출할수 있었다. 즉, 경제력 수준과 물이용 압력지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경제활동이 높은 지역에서 물이용압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물이용 반응지수도 압력지수와 유사하게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대도시의 물이용 분석과 유사하게, 경제활동이 활발한 지역에서는 물이용압력 및 반응이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보여지나 오히려 압력이 크게 낮지 않은 수준이더라도 지역 경제력이 낮은 경우 반응역량이 낮아 지속가능성이 낮게 나타날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물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력 수준 외 사회경제적 인자가 있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물이용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별 취약점 및 특성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것이며, 이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물이용 분야의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시범적으로 수행한 핵심지표 선정과 올해 도입한 연차별 평가 결과는 향후 지속적이고 주기적인 물이용 지속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여 물안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토대 마련을 염두에 두고 수행되었다. With increasing concern about limited water resources, many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launched to assess water sustainability in domestic and global sco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stainable Water Index (SWI) to support objectives in achieving sustainability goals in water use. Prior to selecting pertinent indicators, we carefully reviewed a wide-range of literature to build up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prioritizes key indicators. By applying a set of 23 indicators that is incorporated with the four themes (availability, access, pollution, and management capacity) and Pressure-Response structure, we developed a set of SWI structure to estimate water use sustainability. Specifically, four thematic indices and P-R index were incorporated to SWI using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and equal weighting, for 109 of watersheds and 5 of the major basins in Korea. As a result, the alleviation (Response) is very crucial to mitigate the threat (Pressure) since the Pressure Index throughout the study region were relatively indistinctive than the Response Index. Consequently, highly populated watersheds showed relatively moderate SWI than remoted or upstream watersheds due to the higher Responsive in spite of the high Pressure. Supplementary analysis comparing P, R, index and SWI to economic income buttressed this result: regions with high income showed high Response while the Pressure was indistinctive to region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nvironmental areas (forested and wetland), runoff, groundwater, effective upstream storage, water leakage, and water intake were found in sensitive indicators to assess water sustainability, satisfying with the correlation, R > 0.80. Overall,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ncompass various drivers which affect sustainable water use in multi-structural approach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conditions in water use. We expect that this results were be supportive to understand regional features and to target specific goals to achieve water use sustainabiltiy.

      • 물이용 지속성의 평가와 미래 전망

        김익재 ( Ikjae Kim ),조재필 ( Jinhee Lee ),이진희 ( Sunhee Jung ),정선희 ( Inhye Kong ),공인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6 No.-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은 물이용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표 기반의 평가체계를 분석·수립하고 현재 및 미래의 성과를 진단·전망하는 것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물이용 지속성 확보를 필요한 정책 도구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물이용 지속성 확보·평가를 위한 통합적 평가체계의 제도 마련: 현재 우리나라의 물이용 관리상의 문제점은 관리체계 및 주체가 다원화(多元化) 혹은 분산화(分散化)되어 있다는 것이다. 관리 주체가 다양하다는 것은 전문화된 분야에 대한 업무 추진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유기적으로 흐르면서 연결되는 수자원의 특징을 반영하기 어렵고 통합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책임자가 불분명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연계성이 떨어지는 분산화는 중요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국민생활과 매우 밀접한 물이용의 성과는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물이용 관련 국가계획들의 수립 과정에서도 부처 간 협의가 쉽지 않다는 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상하수도 보급률과 같은 단일 지표 관리로는 물이용 정책의 종합적이고 온전한 평가를 시행하기에는 분명히 한계가 있으므로, 다수의 지표를 활용한 통합적이고 포괄적 평가체계 구축이 절대적이라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물이용 관련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는 환경부의 상수도 하수도 통계 자료가 있으나 강수량 또는 댐 저수율과 같은 통계와는 분리되어 발간되고 있고, 물이용 관련 타 통계자료와 마찬가지로, 사전(事典)식 정보수집·수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통계자료는 매년 집계되지만 정책적 함의 도출이나 효과분석 산출 및 물이용의 장애를 해결할 수 있는 사전적 예방과 중장기 재정투입계획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경제발전과 환경보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물이용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물이용 평가체계 제도를 마련하여 주기적으로 평가를 실시하는 제도적 기반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이용 관련 정책부처와 국가계획을 아우르는 통합적 지표체계 수립을 통해 우리나라의 물이용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우선 외부 요인으로 기후 주제를 구성하고, 정책을 통해 변화하는 성과 기반 평가 조건으로 수량(인프라), 수질(수질), 사회경제적 요인(서비스역량)을 선정한 뒤 하위 지표를 구성하였다. ○ 지표별 과거 평가 및 미래 전망: 위 과정에서 구성한 통합지표체계의 지표평가는 과거의 경우 통계상의 자료를 통해 2000년과 2010년을 직접 평가하였고, 미래의 평가는 과거 15년(2000~2014년)의 통계자료를 활용한 로그추세와 사회변화 시나리오의 조합을 통해 2030년과 2050년의 미래를 전망하였다. 인프라, 수질, 서비스역량 항목의 하위 지표들은 성과 중심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과거의 성과 추세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 지역 및 향후 인구급감 등 급격한 사회적 변화가 전망된 지역에서는 지표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기후변화를 고려한 물이용 지속성 평가: 인프라, 수질, 서비스역량으로 구성된 성과지수를 도출하고, 이에 추가적으로 기후변화조건을 반영한 물이용 지속성지수를 도출함으로 써 기후변화라는 외적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의 성과지수를 도출하였다. 향후 우리나라는 기후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해 물이용의 가용성 및 수질, 시설운영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기후조건을 성과지수에 대치되도록 설정하였다. 그 결과, 전국적인 분포의 성과지수는 기후조건을 반영했을 때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소 폭의 지역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 ○ 물이용 지속성 평가 결과에 따른 전략적 정책 도입: 과거 평가 및 미래 전망을 통해 공간적으로 도출된 물이용 지속성 결과를 토대로 각 지자체는, 비록 자료와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추가 해석이 요구되지만, 과거의 성과평가 결과를 리뷰하고 향후 전망된 취약점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을 선별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우리나라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인 특·광역시 등의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중·소규모의 도시가 겪는 물이용 지속성 이슈는 지역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적 종합계획에 따른 일괄적 또는 획일적 정책보다는 각 지역의 지속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개선하는 정책을 수립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물이용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occurred failures in water supply system derived from lacking rainfall in Korea has raised severe concerns about limited water resources exacerbated by anthropogenic drivers as well as climatic change. Since Korea is under unprecedented changes in both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t is required to integ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climate factors in order to consider underlying problems and their upcoming impacts on sustainable water us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ramework to assess multilateral sustainability of water use in support of performance-based monitoring. The framework is consisted of four thematic indices(climate, infrastructure, pollution, and management capacity) and subordinate indicators. Second, in order to project future circumstances, climate variability, demographic, and land cover scenarios to 2050 were applied after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is identifying correlations between indicators within the framework since water crisis are caused by numerous interrelated factors. Assessment was conducted throughout 161 administrative boundaries in Korea at the time of 2010, 2030, and 2050. Third, current and future vulnerability in water use were illustrated using GIS-based methodology and statistical clustering to elucidate spatially explicit maps and to categorize administrative regions showing similar risks in the future. Based on conspicuous results shown in spatial analysis and clustering method, we suggested policy implementations to navigate local communities to decide which countermeasures should be supplemented or adopted to increase resiliency to upcoming changes in water use environments.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demographic and climatic changes played imperative roles in supply-demand balance and water quality. Furthermore, demographic decline ultimately affected financial stability in terms of management capacity. Statistical clustering result showed that for some regions the vulnerable aspect was mainly the infrastructures while in other areas management capacity compromised the ability of the community to react to changing circum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