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성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역할과 직업포부의 관계

        공윤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1 청소년상담연구 Vol.19 No.1

        This article examines (a) the overall development of youth'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b)the role of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x-roles in shaping occupational aspirations. Occupational aspirations are examined using two dimensions of occupations: prestige level and sex-type. Data were gathered from 177 6th graders, 182 8th graders, and 178 11th grad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ighth graders and 11th graders showed occupational aspirations with higher prestige level compared to that of 6th graders. There was no occupational sex-type differences found among occupational aspirations of three age groups. Male 11th graders aspired occupations with higher prestige level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found in other age groups. Regarding occupational sex-types, male 8th graders wanted to acquire more masculine occupations compared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The influences of academic performance, academic self-efficacy, sex-roles on prestig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s were investiga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xplained variance by 3 predictors were significant for 6th- and 8th- graders. In general,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ccupational aspirations, while sex-roles were not significant in predicting occupational aspirations. 이 연구에서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포부의 성유형의 변화를 탐색하였고, 직업포부가 성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역할과 관련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177명, 중 학생 182명, 고등학생 178명으로 총 537명이었다. 연구의 참여자들에게 직업포부 질문지, 성적, 학업적 자기 효능감검사, 성역할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직업포부에서 계산한 직업포부수준과 직업포부의 성유형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초등학생에 비해 직업포부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직업포부의 성 유형에서는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포부수준의 성별차이에서는 고등학생만 남자가 여자에 비해 직업포부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포부의 성유형 에서는 중학생 남자가 여자보다 남성적인 직업을 선호하였으며,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은 직업포부 성유형에 서 성별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성역할 중 여성성은 직업포부의 성유형과 관련되지 않았지만, 남성성은 초 등학생과 중학생 여자의 직업포부의 성유형과 관련되었다. 성적,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역할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직업포부수준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나, 고등학생 남녀의 직업포부수준은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 였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논의가 기술되었다.

      • KCI등재

        Holland 이론의 문화적 적합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공윤정 한국상담학회 2005 상담학연구 Vol.6 No.4

        There has been a question regarding the applicability of Holland's theory of career choice across different cultures, although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guiding career counseling for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reviews empirical studies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Holland's theory in Korean culture and highlights the empirically validated hypotheses of Holland's theory in Korea. Particulrarily, the validity of (a)the circular order model, (b) equidistant hexagonal structure of interests, (c)the relationship of congruence with job satisfaction is examin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enough evidence to support the importance of exploring one's interests and congruent work environment in career counseling. However, the evidence is limited supporting the circular order model, equidistant hexagonal structure of interests, a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consistency and differentiation with career behaviors. Holland의 진로 이론은 진로교육과 진로상담의 이론적 틀로써 광범위하게 이용되지만, 다양한 문화에서 Holland 이론의 적합성에 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Holland 이론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들을 중심으로 리뷰하고, 이 결과를 중심으로 Holland 이론을 진로상담에 적용할 때 주의할 점들이 기술되었다. 특히, 흥미의 순환순서모델과 정육각형 구조에 관한 가설, 일치성과 직업 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들의 검증 결과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진로 상담에서 개인의 흥미를 고려하는 것은 적절하며 이는 선택한 전공이나 직업에서의 만족과 관련되지만, 흥미 유형의 순환순서는 대상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정육각형 구조에 관해서는 충분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현재 밝혀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다면 일관성과 변별성 개념을 진로상담에 적용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 KCI등재

        집단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학교기반 개입전략 탐색

        공윤정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2

        이 연구에서는 집단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효과적인 학교기반 개입전략을 문헌연구를 통해탐색하였다. 집단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개입은 개인, 학급, 학교 수준 등 다차원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해자 개인에 대한 개입에서는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 및 정서적 지지, 관련 증상의 평가, 귀인 양식의 변화, 문제에 대한 대처방식의 변화, 사회적 기술의 증가 등이 포함되어 다루어졌다. 학급 대상의 개입에서는 피해자 방어행동의 증가와 도덕적 이탈에 대한 개입을 통한 학급 규준과 학급 역동의 변화가 다루어졌다. 괴롭힘 예방 프로그램의 소개 및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과제가 기술되었다.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ive school-bas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victims of bullying. Multi-level intervention strategies are desirable for victims of bullying, such as individual-, classroom-, and school-level. An individual-level interventions include providing empathy and emotional support, an assessment of relevant symptoms, an intervention to an attribution style, a change of coping strategies, and social-skills training. Effective classroom-level interventions include a change of bullying related classroom norms and a change of peer-dynamics, through an intervention to collective moraldisengagement and an increase of defending behaviors.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were introduced and tasks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bullying prevention programs were described.

      • KCI등재

        2011학년도 경인교육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적응 실태

        공윤정,곽소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교육논총 Vol.32 No.1

        이 연구에서는 경인교육대학교의 2011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신입생의 대학생활, 개인생 활 및 가치관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실태조사의 참여자는 1학년 전체 대상자 의 85.5%인 577명이었다. 조사의 내용은 대학선택, 졸업 후 진로, 캠퍼스 이동에 관한 생 각, 대인관계, 가치관과 관련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신입생들은 입학 후 경인교대에 대 해서 매우 자랑스럽거나 자랑스러워하는 경우가 58.7%로 높게 나왔지만, 그저 그렇거나 불만인 경우도 41.3%로 나타나 입학 후 대학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과정 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와 관련해서는 88.5%는 교사가 되기를 희망했지 만, 11.5%는 졸업 후 다른 직업을 택하거나, 타대학 재입학을 고려하고 있다고 하였다. 특 히 1학년을 마친 후 캠퍼스 이동과 관련하여 응답자의 53.1%는 적응이 어렵거나 매우 어 려울 것으로 응답해 캠퍼스 이동전과 후 적응과정에 대한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실태조사결과에 대한 요약과 정책제언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 KCI등재

        거주형 치료 기관 실무자의 위기청소년 개입 경험 분석 -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를 중심으로

        공윤정,신학승,이은주,이혜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3

        Purpose: In Korea,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s are attempting to make a difference in lifestyle, career and school achievement and future plans of adolescents with various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in-depth the experiences of residential treatment intervention by youth workers at the National Youth Healing Center. Method: In this study, a focus-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eight staff members of the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the purpose of which was to explore staff perceptions of the intervention as well as change factors in the residency treatment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five males and three females between the age of 20 and 30 years. The FGI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its content was analyzed through the consensual qualitative method, from which 3 upper categories, 11 categories and 25 themes were deduced. Result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interventions for youth workers were setting intervention goals, individualized intervention, youth workers as a role model, letting them know the consequences and responsibilities of actions, and interventions by process based on understanding the change process. Therapeutic factors perceived by youth workers were cop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youth relationship patterns, enduring difficulties of youth and building receptive relationships, daily stability experience through continued basic life management, and the experiences of positive presence via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difficulties and copings experienced by youth workers included (a)frequent burn-outs and difficulties due to multiple roles and (b)cooperating and coping through trust and communications with other colleague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actual intervention experiences of youth workers at the Youth Healing Center, areas where they focus on for treatment, effective treatment factors, and difficulties and countermeasures of worke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최근 국내에서는 다양한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습관, 학업, 진로, 정서․행동문제 등의 변화를 위한 거주형 치료 프로그램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 치료기관인 청소년디딤센터 실무자들의 거주형 치료 개입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거주형 치료재활 프로그램의 실무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실무자들이 지각한 거주형 치료재활프로그램에서의 개입의 목표 및 변화의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자 5명, 여자 3명이었고, 나이는 20~30대였다. 포커스집단면접의 전 과정은 녹음한 후 전사하여 내용분석하여, 연구자들의 합의를 통하여 3개의 상위범주, 11개의 범주와 2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디딤센터 실무자들의 입교생들에 대한 중점적 개입영역은 변화를 위한 개입목표 설정, 입교생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개입, 도움을 주는 역할모델 되어주기, 합의한 규칙에 따라 행동의 결과와 책임을 알게 함, 입교생의 변화과정 이해에 기반한 과정별 개입이었다. 입교생의 변화에 효과적인 치료적 요인으로는 입교생 관계패턴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대처함, 입교생의 어려움을 버텨내며 수용적 관계 형성, 숨쉬는 듯이 하는 지속적인 생활관리로 안정감 경험, 성공경험을 통한 긍정적 존재감 경험의 범주가 나타났다. 거주형치료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대처에는 빈번한 소진과 교사의 다중역할로 인한 어려움, 동료들 간의 신뢰와 소통을 통해 협조하고 대처의 범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포커스집단에 참가한 실무자 1인, 질적연구 전문가 1인에게 검토를 받아 분석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거주형 치료기관인 청소년디딤센터 실무자들의 실제 개입 경험과 이들이 중점적으로 개입하는 영역 및 효과적 치료 요인, 실무자들의 어려움과 대처방안 등을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진로장벽 : 이론적 고찰 및 상담 실제에의 적용

        공윤정 한국상담학회 2005 상담학연구 Vol.6 No.3

        진로장벽 연구자들은 최근 사회인지 진로이론(Lent, Brwon, & Hackett, 1994; 2000)에 포함된 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요인에 주목하고, 전통적인 진로장벽 개념을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틀 안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진로장벽 개념은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개념들 중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대처효능감, 맥락적 요인 모두와 관련되므로, 진로장벽을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맥락적 요인 중 외적 장벽과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사회인지 진로이론에서는 진로장벽의 대처와 관련한 심리내적 요인인 자기효능감, 특정 진로에 진입한 이후 얻게 되는 결과기대, 특정 진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기대하는 사회적인 지지와 외적 장벽을 구분하고, 이 중 진로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경험하는 외적 장벽만을 진로장벽으로 구분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진로장벽 연구에서의 진로장벽의 개념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관련 개념들과의 차이를 탐색하고, 진로장벽을 과정결과 중 외적 장벽으로 한정할 때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한 가정과 이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결과들을 요약하였다. 전통적인 진로장벽의 개념을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틀 내에서 자기효능감, 대처효능감, 결과기대와 외적 장벽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때 이러한 개념적 구분이 진로상담의 실제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describes the concept of career barriers studied in traditional atheoretical career barriers studies, and compares it with career barriers explained i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Brown, & Hackett, 1994; 2000). Particularly, the concept of career barriers in the SCCT is described as compared with the concepts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and coping efficacy. The assumptions of the SCCT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ies are summarized as regards to (a)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goals, and (b)the path through which career barriers influence career goals. Applicable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discussed in applying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ies of career barriers to the counseling practice.

      • KCI등재
      • KCI등재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진로적응과정

        공윤정,이은주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5

        Career adjustment after college entrance is an important process for college students who chose their majors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such as employability and job stability. In this study, the career adjustment process is investigated with ten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current majors primarily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Participants were eight college students(4males and 4 females) with high vocational identity and two female students (as a comparison) with relatively low vocational identity. Twenty-two categories were formed as the result of open coding on the interview data; the relationship among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rough axial cod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mbiguity’ after the college entrance, and tried to adjust to their majors through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ctions/interactions include ‘endurance of ambiguity’, ‘increase of self-awareness’, ‘recognition of the usefulness of their majors’, ‘setting career goals’, ‘increase of competence through successful experiences’, and ‘increase of active coping strategies’ etc. As they adjust to their majors, they reported to experience intrinsic motivation, an increase of autonomy, a positive cycle of an experience- assurance-confidence-efforts, and an increase of satisfaction in their majors. The process of career adjustment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confusion and exploration’, ‘the beginning of an adjustment’ and ‘the acceleration of an adjustment’. The core category of career adjustment was identified as 'accepting the self and the major based on both the extended knowledge and the successful experiences, while persisting to the end with being well- disposed toward the major.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escribed. 취업가능성이나 직업의 안정성과 같은 외적 동기를 우선 고려해 대학전공을 결정했다면, 진로적응은 대학입학 후 중요한 적응과제가 된다. 이 연구에서는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들의 진로적응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진로적응 과정에 대한 개인면접을 실시하고, 면접결과를 근거이론의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 중 진로정체성 수준이 높은 대학생 8명(남4, 여4)과 진로정체성 수준이 낮은 여자 대학생 2명이었다. 면접자료에 대한 개방코딩 결과 전체 22개의 상위범주가 나타났으며, 상위범주에 대한 초점코딩을 진행하여 범주들 간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초점코딩 결과 도출된 진로적응 패러다임 모형에서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들의 중심현상은 ‘막연함과 답답함을 경험함’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막연한 호감을 가지고 버팀’, ‘자기이해의 증가’, ‘전공의 유용성 인식’, ‘현실인식에 기반한 진로목표의 수립’, ‘성공경험을 통한 유능감의 형성’, ‘문제해결 중심의 적극적 대처 증가’ 등이 포함되었다. 이들의 진로적응 결과는 ‘전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김’, ‘자율성, 적극성 등 심리내적 변화로 적응의 가속화’, ‘경험-확신-자신감-노력의 선순환’, ‘만족감, 안정감 증가를 통한 적응의 유지’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진로적응과정은 혼란과 탐색, 적응의 시작, 적응의 가속화의 단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적응의 핵심범주는 ‘호감을 가지고 버티면서 성공경험을 기반으로 자신과 전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받아들이기’로 나타났다.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