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 및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교육 내용 분석

        공경숙 부산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요 약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 및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인권교육 내용 분석 공 경 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전공 (지도교수 손 미) 이 논문은 학교현장의 인권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도덕 및 사회 교과서의 인권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인권, 인권교육, 학교인권교육에 대한 이론을 탐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분석준거를 설정하고 2015 개정 초등학교 도덕 및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고 개선되었으면 하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분석준거는 리스터의 인권교육의 세 가지 측면, 도덕과·사회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 구정화 외(2004)의 ‘인권교육 내용체계화 연구’의 내용체계를 차용하여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은 인권 관련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는 도덕 및 사회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 교과서는 2019년 발간예정인 점을 감안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초등 3~4학년 도덕 및 사회 교과서 6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4학년 도덕 및 사회 교과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개선방안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범주별 빈도는 비교적 균형적이었으나 영역별 빈도는 편향성을 보였다. 범주별 빈도를 살펴보면 ‘인권에 대한 교육’ 범주가 30.8%, ‘인권을 위한 교육’ 범주가 34.6%, ‘인권을 통한 교육’ 범주가 34.6%를 차지하여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반면 영역별 균형을 살펴보면 ‘인권에 대한 기본 개념’ 영역이 24.7%,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 영역이 6.1%, ‘인권존중의 가치와 태도’ 영역이 34.6%, ‘인권문제의 합리적 해결 및 참여’ 영역이 34.6%로 영역별로는 특정 영역에 편향되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인권교육 내용의 편향성으로도 이어졌다. 둘째, 인권에 대한 기본 개념의 내용 보완이 요구된다. 특히 사회권적 인권에 대한 내용의 제시가 부족하다. 서로 다른 권리들 간의 관계가 상호의존적이고 상호불가분한 것이 ‘인권의 특성’이므로 학교 인권교육에서도 자유권, 사회권, 연대권을 비슷한 비중으로 교과서에 담아야 할 것이다. 셋째. 당사자로서의 아동의 권리에 관한 조항을 교과서 내용으로 제시하는 등 인권에 관한 법과 제도의 내용 보완이 필요하다. 아동의 당사자성에 기초하여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내용 등은 여타 인권관련 문서와 법보다 우선적으로 소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자신의 권리에 대한 인식과 감수성에 관한 내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인권감수성이 자신의 권리에 대한 자각 및 감수성에서 시작하여 상대방으로, 공동체 전체로 확대되어 간다고 볼 때 학교 인권교육은 순차적으로 계열성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생의 활동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인권교육 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보완되어야 한다. 2015개정 초등교과서에서 인권 관련 지식이나 가치를 제시하고 나아가 활동으로 연결하려는 구성은 뚜렷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단순한 제안에 그치지 않고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활동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한계도 보인다. 본 연구에서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과 그에 따른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인권교육을 위해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이라도 교사가 그 내용을 축소하거나 외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교실에서 인권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과서의 내용 수록은 기본적인 노력이며 인권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사 대상의 인권교육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인권교육 연구시범학교를 지속적으로 운영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학교현장에서 인권교육 자료를 축적하여야 한다. 시범학교 운영을 통해 학교에서 인권 교육을 시행하면서 생기는 문제점과 대안을 찾아내고 이를 여러 학교로 확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인권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관련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교과서 분석 등의 연구는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 교사를 위한 교과서 관련 자료의 구성방식과 교육 방법 등에 대한 연구, 인권 교육의 효과분석에 대한 연구 등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인권교육 연구시범학교의 운영, 인권교육 관련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 학교인권교육이 확산되고 인권친화적인 학교문화 조성의 기초가 마련된다면 학교 현장에서 일어나는 차별과 인권침해 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 인권, 인권교육, 학교인권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도덕 및 사회 교과서. * 본 논문은 2018년 1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임. ABSTRACT Analysis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Moral and Social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ong Kyung-Sook Major in Educational Metho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Shon Mi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elementary moral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the situation that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in the school field is emphasized day by day.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we explored the theory of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and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this, we set the analysis criteria and suggested that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be analyzed and improved. The analytical criteria for conducting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three aspects of Rister's human rights education, the basic principles of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learning instruction and the contents system of 'Systematiz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contents' by Goo, Jung Hwa et al. (2004).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selected as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subjects, which are core subjects dealing with human rights in the existing curriculum and six books of moral and social textbook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ich was first publish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is analysis criteria, we analyzed the moral and social textbooks of the 3rd ~ 4th graders and found the following significant improvement measures. It is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each category was relatively balanced, but frequency of each region was biased. In terms of categories, 30.8% were categorized as 'education about human rights', 34.6% as 'education for human rights', and 34.6% as 'education through human rights', indicating a uniform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when we look at the balance by region, 24.7% of the basic concepts of human rights, 6.1% of the law and institutions on human rights, 34.6% of the values ​​and attitudes of human rights, and 34.6% of the areas of rational resolution and participation in human rights issues, it is biased to a specific area by region. This phenomenon has also led to bias in the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basic concept of human rights. Especially, it is not enough to present the contents about social human right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rights is interdependent and mutually inseparable is 'the characteristic of human rights', in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right of freedom, social rights, and solidarity rights should be included in textbooks with similar propor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laws and systems on human rights, such as presenting the clause on children's rights as a party in the textbook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should be introduced prior to other human rights documents and laws based on the child's party. Fourth, the contents about the awareness and sensitivity of their rights should be strengthened.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sequentially in a systematic way, considering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is expanded from awareness and sensitivity of one’s rights to the rights of other people and society as a whole. Fifth, human rights education methods based on student activities and experiences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supplemente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textbook reflects many attempts to link human rights-related knowledge and values into activities rather than merely presenting them.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lead to more specific and direct activities, not just sugges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for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accordingly. First, a field of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for teachers. Even if the textbook contains content, it is possible that the teacher may reduce or ignore the cont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to be conducted in the classroom,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re basic efforts and it is necessary that human rights education for teachers be conducted regularly to understand human rights. Second, the research pilot school on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continuously. And through this, on-site-oriented human rights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accumulated. It is necessary to find out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the oper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while operating the pilot school and transfer them to other schools. Third, various related studies on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should continue.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extbooks should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variou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including the method of compil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teachers and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education. If the school's human rights education is spread and the foundation for a human rights-friendly school culture i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ing human rights education for teachers, operation of a research pilot school for human rights education, and research on human rights education, it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school scene. * Keywords: Human rights, Human rights education, School human rights education, 2015 revision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moral and social textbook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