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계(西溪) 김담수(金聃壽)의 상주(尙州) 정착과 삶

        고혜령 ( Koh He-ry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상주에 의성김씨가 世居하게 된 것은 星州에 살던 西溪 金聃壽일가가 정유재란 이후 이곳에 정착하면서부터이다. 서계 김담수는 의성김씨의 상주 입향조로서 그의 학문과 삶을 통해 학문적 도의적 전통을 세워 의성 김씨 후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준 인물이다. 이 글은 의성 김씨의 世系와 김담수의 상주 입향과정, 그리고 서계 김담수의 삶과 사상, 그리고 교유관계를 논한 것이다. 서계 김담수는 영남지방의 유학자로서 처사적인 삶을 살아왔다. 그는 왜란을 겪으면서 피난과 가족의 보호, 그리고 전쟁을 지원하는 일에 참여하면서 국난을 극복하기 위한 우국 충정을 발휘하였다. 그의 행적에 대해서 한강 정구, 월사 이정구, 야로 이순 등은 학문에 밝고 실천에 힘썼으며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처사로서 살았던 지조있는 선비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는 이익보다는 의리를 중히 여기고 가족과 친족이웃과 화목했으며 실천을 중시하며 스스로를 수양하는 군자다운 사람이었다. 그는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의 학통을 모두 이어받아 이론적 경향과 실천적 측면을 동시에 흡수하였다. 서계와 그의 후계자들은 유교의 덕목과 선비정신을 실천하며 살아갔다. 그들의 은일적인 삶과 학문은 낙동강을 중심으로하는 강안학파의 주류를 이끌어가며 실천적 유학의 면모를 보여주므로서 이런 분위기에서 실학이 배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Euisung(義城) Kim Family is one of large families settled down in Sang-ju District. Seugye(서계) Kim Dam-su(김담수) is the root of Euisung Kim Family in Sang-ju. This essay is about family tree of Euisung Kim family in Sang-ju, the life and thinking of Kim Dam-su. Kim Dam-su is an intellectual person but he did't be in a government official. He passed the low-level civil service examination at the age of 30 years old. But he made a decision not to apply for a higher-level examination. And he strived for concentrating on Confucianism. Such scholars - Yi Moon-geun(李文楗), Oh Geun(吳健), Whang Jun-ryang(黃俊良) - are become his teachers for the study of Confucianism. He had been influenced by the Confucianism theory of Nammyung Cho Sik(南冥 曺植) as much as of Toekye Yi Whang(退溪 李滉). His life and learning on Confucianism gave a moral influence to his sons and other people. A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evacuated to Kaya mountain with his mother, who was very old(over 90 years old). He took care of his mother with devotion. During the 7 years war of Japanese invasion, he wrote many poems and letters to his sons. In the letters he had discribed his worriness on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refuge and his anxiety about his sons. And he discribed on his missing home and parted with family in his phrases. His first son Jeung-ryong(廷龍) was a civil service. Kim Jeung-ryong had passed the civil examination and he served the governer(縣監) of Ye-an(禮安) area at that time. Kim Dam-su avoid to stay in the district of Ye-an in order not to be implicated. Kim Dam-su has been appreciated to be a hermit Confucianist of faithful, fidelity. And he was dutiful son and a intellect fulfilled the Confucian virtue. Kim Dam-su was a sample of Confucian scholar(선비) in the Nakdong riverside area.

      • 하정(夏亭) 류관(柳寬)의 생애와 정치사상

        고혜령 ( Koh He-ryung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하정 류관(1346~1433)은 조선의 대표적인 청백리의 한 사람이다. 언젠가 장마가 계속되자 그의 집은 비가새서 류관은 방안에서 우산을 쓰고 있어야 했다. 그런데도 그는 부인에게 ‘우산이 없는 집은 어찌할 것인가?’라고 걱정했다고 한다. 하정 류관은 고려 말기에 태어나서 관료가 되어 이성계의 조선 건국 이후에는 태종, 세종대까지 오랫동안 관료로 살았다. 26세때인 공민왕 20년에 문과 급제하여 관리가 된 후 55년간 비교적 순탄한 관직생활을 했다. 태조와 태종의 신임을 받고 세종의 지우(知遇)를 받아 순유(醇儒)로 지칭되었다. 이 논문은 그의 관료생애와 업적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태조 이성계 즉위시에 운검이 되었고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태조의 한양 정도(定都)를 지지하였고, 지방 행정체제에서의 주현 속현의 문제나 국가 기강의 확립을 위해 지나친 풍악과 과도한 연음(宴飮)을 금지 할 것 등을 건의를 하였다. 때로는 지방관으로 나가 민생의 어려움을 직접 체험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민생 안정을 위한 대책 즉 수령이 죄인을 다룰 때 강제로 자복(自服)하게 하는 폐해를 없앨 것, 가뭄이 심할 때는 쟁송(爭訟)을 연기하여 백성을 돌 볼 것, 조세징수에 있어서 실지 답험을 통해 공정한 세금 수취를 하도록 할 것, 베를 단위로 한 포폐(布幣)를 만들어 통용하게 하여 백성들에게 편리하게 할 것 등을 건의 하였다. 백성들의 생활을 여유롭게 하기 위해서 삼짇날과 중양절을 지킬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유학자로서 왕의 경연에 꾸준히 참여하였고 유교적인 전례의 정비를 위한 건의나 숭유 배불의 건의를 하고 역사 편찬에 참여 하는 등의 활동을 남겼으나, 지면관계상 이 논문에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류관이 단순히 청백리였을 뿐만 아니라 관료로서의 그의 활동과 업적에도 볼만한 것이 많았음을 밝혔다. Hajung Ryukwan (하정 류관) is the one of representative clean government employees of Joseon Dynasty. One day, Ryukwan had to wear an umbrella in his room because of a continuous rainy spell, roof was leaking. However, he just asked his wife to concern about ‘what people can do with the leaky roof without the umbrella’. Hajung Ryukwan was born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became a bureaucrat (government official bureaucracy). When he was 26 years old which is King Gongmin was in power for 20 years, he passed the examination and became a government official. He had relatively the smooth government office life for 55 years. Since Joseon was established by the king Yi Seong-gye, he worked as the bureaucrat until the era of King Taejong and King Sejong. This thesis is mainly focus on Ryukwan’s bureaucratic life and achievement. He supported King Taejo, Yi Seong-gye, when the king was trying to move Hanyang as the capital city of Joseon. Also, Ryukwan suggested several proposals for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discipline in the n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Ryukwan occasionally directed and governed the citizen as a local administration, and then he could see the people’s hardships in daily life. So, he was able to suggest a lot of measures to stabilize livelihoods of the public. He proposed such as to eliminate the bad custom that forced confession when the administrator dealing with sinners, to postpone trials and take care of the people’s living during the very bad drought, when collect land tax from people, to charge the proper tax after examining the harvest of the year, and to make and use currency based on cotton cloth for people's convenient life, etc,. This paper is described Ryukwan’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s an government official.

      • KCI등재

        遁邨 李集의 생애와 교유

        高惠玲(Koh He-Ryung)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遁村 李集(1327-1387)은 고려 말 공민왕시절부터 우왕대까지 활동하던 신진사대부의 한 사람이다. 李集의 가계는 고려 후기 광주지역의 향리 가문에서 중앙으로 진출하였고, 지방의 호족으로서 상당한 경제적 기반을 갖은 중소지주였으리라고 생각된다. 이집은 1355년(공민왕 4년)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신돈집권기에 중앙에서 벼슬하고 있었으나, 신돈의 전횡을 비판하다가 지방으로 피신하여 은둔생활을 하게 되었다. 신돈몰락후 다시 관직에 복귀하여 이색 정몽주 이숭인을 비롯한 관인 유자들과 교유하였다. 判典校寺事 직을 끝으로 환로에서는 크게 성공하지는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의 문집 둔촌유고의 분석을 통하여 이집의 교유관계와 이를 통한 이집의 사상을 엿보고자 하였다. 그와 시문을 가장 많이 주고받은 인물은 李崇仁 金九容 그리고 李穡 鄭夢周 등이다. 이를 보면 이집은 고려말 정국을 주도하던 사대부들과 같은 수준에서 교유하였던 인물이다. 시문의 내용은 주로 병마와 싸우며, 과거에 함께 즐기던 교우들에 대한 그리움과 현재 자신의 외롭고 쇠락한 처지에 대한 한탄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반면에 성리학적 사색의 모습이나, 특정한 종교에 심취하는 모습은 매우 적다. 다만, 현실 정세, 농민의 곤궁한 생활에 대한 연민, 왜구의 침략으로 노략질당하는 민생의 어려움과 나라에 대한 걱정 등이 일부 나타나기 있어 위민정치를 기본으로 하는 성리학자의 일반적인 입장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개혁의 필요성이나, 제도 개선의 대안을 보여 주거나 적극적인 의지를 찾아볼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이집은 고려말 성리학 수용기의 사대부인 이색 정몽주 이숭인등과 함께 위화도회군 이전까지 활동한 관리였다. 이집의 호가 둔촌이라는 의미는 여타 사대부들과는 타의에 의한 은둔이라는 경험을 지닌 관료로서 새로운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색 정몽주 정도전 등이 서로 엇갈리는 조선건국의 소용돌이에서 이집이 살아 있었다면 어느 편의 입장에 섰을지는 개인의 상상의 몫으로 남겨진다. 다만 자료의 부족으로 그의 학문과 사상을 충분히 밝히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한다. Dunchon(遁村) Yi Jip(李集, 1327-1387) was active from the reign of Gongminwang(恭愍王) to Uwang(禑王) as the one of Sinjin-sadaebu(新進士大夫, the newly risen literati class). His ancestries had been Hyangni(鄕吏, the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 of Gwangju(廣州)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entered into the central politics. His lineage seems to be small and medium landowners who had considerable economic foundation as Hojok(豪族, a powerful local family). After Yi Jip had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科擧) in 1355, he went through various positions and got employment in a central government service when Sin Don(辛旽) held the reins of power. But he fled to the country and lived in seclusion criticizing Sin Don's tyranny. After Sin Don had been ruined, Yi Jip cameback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associated with official Confucianists like Yi Saek(李穡), Jeong Mong-ju(鄭夢周), and Yi Sung-in(李崇仁). However, he couldn't succeed in a government post since withdrawing from his office as Panjeongyosisa(判典校寺事) at last. This paper tried to inspect the companionship of Yi Jip and his thought by analyzing a collection of his works, Dunchon-yugo(遁村遺稿). People who exchanged the most poetries and proses with him were Yi Sung-in, Kim Gu-yong, Yi Saek, Jeong Mong-ju and so on. Therefore, we can know that Yi Jip equally associated with Sadaebu(士大夫, scholar-officials) leading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end of Goryeo. The contents of poetries and proses are describing yearning toward the friends and lamentation over his lonely and debilitated circumstances while he was laboring under his disease. On the other hands, The contents included hardly that he thought deeply under Neo-Confucianism or infatuated with any religion. Only, he expressed the general standpoint as Neo-Confucian emphasizing the politics for the people, for example, he expressed the sympathy with the poor peasant's life and their difficulties due to the plunder of Waegu(倭寇, seaborne Japanese marauders) and anxiety about the nation. But we can't find his will that he want to reform the system or to make a counterproposal positively in his works. In conclusion, Yi Jip was a official who was active with Sadaebu during the time to accept Neo-Confucianism in the end of the Goryeo like Yi Saek, Jeong Mong-ju, Yi Sung-in and so on, within Wihwado hoegun(威化島回軍, marches back from Wihwa Island). What his pen name was Dunchon(遁村, evading to the country) means that he experienced withdrawal not of his own will unlike other Sadaebu. If he had been alive in the whirlpool to establish Joseon when Yi Saek and Jeong Mong-ju differed from Jeong Do-jeon(鄭道傳), we can't conclude easily whose side he was on. Still, I am inconvenient that his studies and thought aren't clarified thoroughly due to the lack of research material.

      • KCI등재후보

        倭寇의 침략과 鄭夢周의 日本 使行

        高惠玲(Koh, He-ryung) 포은학회 2011 포은학연구 Vol.8 No.-

        고려에 왜구 침략이 극심해진 것은 1350년(충정왕 2) 경인년부터이다. 왜구의 침략은 해안지방 뿐 아니라 내륙 깊숙이 침구해 들어와 민가를 약탈하고 漕運船의 안전을 위협하는 등 피해가 커서 정부의 재정을 궁핍하게 하는 요소의 하나가 되었다. 왜구의 침구는 1년에 가장 많은 경우 1377년에 29회나 되었다. 왜구가 극성하던 당시 일본의 사정을 보면, 일본은 남북조의 내란기에 해당하여 일본 정부에서도 왜구의 침구활동에 미쳐 손을 쓸 수가 없는 상황이었고, 특히 남조의 규슈를 장악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왜구 금압의 뜻은 있었으나, 적극적인 진압이 어려웠다. 포은 정몽주가 사신으로 파견된 해는 바로 이렇게 왜구 침구가 가장 극렬하던 시기였다. 이 무렵 규슈 남조를 평정하기 위한 규슈 탄다이[九州探題]로 이마가와 료순[今川了俊, 源了俊]이 임명된 것은 한일 우호와 문화 교류에 큰 의미를 차지한다. 포은 정몽주 역시 당시 대표적인 성리학자의 일인으로서, 정몽주의 일본 사신 파견은 일본에서 당대 대표적인 歌人 이마가 와료순과의 만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포은 정몽주 이후 2~3차례 사신 파견이 더 있었으나, 곧 일본으로부터의 우호적인 왜구 금압의 노력이 이루어졌고, 포로 쇄환의 문제도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런 현상은 정몽주가 일본에 가서 9개월 동안 체류하면서 이룬 노력이 헛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몽주의 일본 체류기간의 생활을 보여주는 사료는 현재 남아있는 13수의 시 뿐이다. 이를 근거로 정몽주의 생각과 행적을 미루어 볼 수 있지만, 실제로 그의 활동을 보여주는 모습은 매우 미약하다. 그러나, 포은의 13수의 시에서 그의 감회와 사명감, 국가에 대한 충성 등의 회포를 엿볼 수 있다. The Japanese pirates’ incursions upon the Goryeo soil became more frequent and not to mention extremely violent after the year of 1350, which was the second year of King Chungjeong-wang’s reign. They not only violated the coastal areas, but also came deeply into the inland, raided civilian households and threatened the safety of supply ships(漕運船) transporting goods from local areas to governmental depots. Their plundering of the Goryeo people’s properties not only severely disrupted the civilian economy, but also ultimately damaged the Goryeo government’s financial status. In 1377 alone, there were total of 29 incursions that inflicted heavy damages upon the Goryeo population. Yet at the time, the Japanese Islands was going through a Civil war period between the ‘North dynasty’ and the ‘South dynasty’, so the Japanese government was not able to control or subdue the pirates’ activities on the sea. The Kyushu area in the South was also out of control, so even if the Japanese government wanted to detain the Japanese pirates somehow, it was simply not able to. Po’eun(pen name) Jeong Mong-ju was dispatched to Japan as an emissary, in a year which was witnessing more pirates’ incursions than any other year. At the time, a Japanese official named Imagawa Ryosun[今川了俊, 源了俊] was appointed as the new commander of the Kyushu Tandai[九州探題] Defense Post, under orders to destroy the Southern dynasty on Kyushu. Yet his appointment unexpectedly produced an entirely different kind of experience for both Korea and Japan. Po’eun Jeong Mong-ju, being one of the most renowned Neo-Confucian scholars in Goryeo at the time, upon his arrival at Japan finally came to meet this Imagawa Ryosun, who was other than being a military figure also one of the most noteworthy singers(歌人) in Japan at the time. Imagawa’s presence and his encounter with Jeong turned out to be a meaningful occasion, in the light of establishing an amicabl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lthough two or three other envoys continued to visit Japan after Po’eun Jeong Mong-ju completed his mission and returned to Goryeo, the efforts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stop the pirates began actually immediately after Jeong’s departure, and the Goryeo people who were captured by the pirates were also sent back to Korea not before long. This means that the efforts of Jeong Mong-ju, which he continued during his nine-month stay in Japa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resolution of the Japanese pirate problem for Goryeo. The only text that lets us know what his life was like during his stay in Japan, are 13 poems which he wrote at the time and now remain with us today. We can reconstruct Jeong Mong-ju’s thoughts and actions of the time based upon the contents of those poems, but the end result would only be part of what Jeong Mong-ju really thought and did at the time. We can only understand how he sometimes felt, how determined he was to succeed in his mission, and how much he was loyal to his country and his government.

      • 圃隱 硏究의 成果와 圃隱學의 課題

        高惠鈴(Koh,He Ryung) 포은학회 2008 포은학연구 Vol.2 No.2

        圃隱 鄭夢周는 초등학생 수준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인물로서, 우리 역사에서 충절의 표상이요 동방 성리학의 시조이다. 그는 고려말 기울어가는 국가를 扶持하며 학자로서 정치가로서 외교가로서 다양한 방면에 공적을 남겼다. 포은의 역사적 의미는 첫째로 고려말 新進士大夫의 일원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신진사대부는 고려 후기 지방의 鄕吏 출신으로서 科擧를 통해 중앙으로 진출하는 새로운 관료 세력이며 性理學에 입각하여 개혁정치를 모색하는 사람들이라 할 수 있다. 정몽주는 개혁 세력의 선두에 서 있었던 인물이다. 둘째로 포은은 文臣으로서 직접 전투를 지휘하고 경험한 문무를 겸비한 관료였다. 당시 학자로서 문신으로서 포은만큼 군사 현장의 경험을 갖은 사람들도 드물었다. 셋째로는 탁월한 외교가로서의 능력을 들 수 있다. 당시 사람들이 死地로 인식하고 서로 피하려던 明이나 일본 사신의 임무가 주어지자 주저 없이 가서 성공적으로 그 업무를 수행하고 돌아옴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치가로서의 포은은 李成桂와 같은 정치적 입장을 취하면서 고려 사회의 모순을 개혁하려 하였다. 그러나 개혁의 목표가 고려 왕조 붕괴로 치닫게 되자 이성계와 대적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볼 때 포은 정몽주에 대한 연구는 한 두 가지 측면이 아니라, 당시의 정치 사회 현실적 조건하에서 다양한 연구 분야를 제공하고 있다. 포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정치가로서 그의 활동이 조명을 받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포은은 신진사대부로서 가문 배경이나 座主의 지원도 받지 못한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의 뛰어난 능력으로 정치의 중심에 진출하였으며, 현실 사회의 개혁을 통해 국가 안위를 지키려하는 관료 정치가의 모습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그의 성리학이 許衡을 중심으로 하는 元의 학풍보다는 江南 성리학의 영향이 컸음도 밝혀지고 있다. 앞으로 圃隱學은 포은 정몽주의 사상과 학문, 그의 정치관과 대외관, 그리고 그의 활동, 그와 교유관계를 가졌던 학자들, 더 나아가서 그의 학문을 계승한 제자들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포은의 정신을 오늘에 되살려 예의와 충효개념이 희박한 젊은 세대에 대한 정신의 교육의 역할도 함께 펼쳐 나가야 할 것이다. Poeun, Chung Mong-Ju is renowned as a scholar, a politician and a diplomatic official in the late Koryu Dynasty. In terms of the historic meaning, first, Poeun was the leader of New Literati, revolution group. Second, Poeun was a faithful scholar, accepted Neo-Confucianism of Koryu. Third, Poeun had abilities for both literary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even though he was a civil minister. Forth, Poeun’s diplomat was outstanding. Last, politician Poeun tried to reform contradictions of Koryu society with the political perspective of Yi Sung-Kye. The Poeun study is still insufficient, so needed to develop more including his history, scholarship, political perspective, related scholars and his apprentices. Also the education based on Poeun’s sprit is needed for young generation being lack of politeness, loyalty and filial piety

      • 『성주이씨(星州李氏) 만력보(萬曆譜)』의 제작과 의의

        고혜령 ( Koh He-ryung ) 한국계보연구회 2010 한국계보연구 Vol.1 No.-

        『萬曆癸丑譜 星州李氏族譜』(『만력보』)를 중심으로 족보의 제작 경위와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17세기 초기에 제작된 족보의 제작 과정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첫째 만력보는 17세기 초기에 제작된 것으로서『안동권씨 성화 보』등 15세기이후 조선 전기에 제작된 족보의 형식을 따르고 있는 족보의 하나이다. 둘째『만력보』는 17세기 후반기에 합동가족보로서 의 족보 제작 이 활발해 지기 전 개인의 관심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撰者인 이욱은 名門意識을 갖은 관료로서 같은 조상에서 갈라진 씨족원들이 특별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이를 대대로 계승해 나갈 수 있도록 족보를 만들었다. 성주이씨는 시조 李長庚을 비롯하여 가문의 현달한 사람들의 肯像을 함께 보존하는 특별한 집안이었다. 셋째, 조선 전기의 족보에서 자녀 출생순의 기재가 17세기 초에 이미 성리학적 관념에 의해서 先男後女의 방식으로 별에 다른 기재 의 방식으로 바뀌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로 족보 기재 방식에서 외손의 비중이 많음은 아직도 조선 사회가 부계뿐만 아니라 모계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실상 외형상으로는 유교적 성리학적 세계관에 의해 부계중 심ㆍ장자 중심이었이만, 실제 모계ㆍ외가의 사회적 배경과 존재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만력보』는 또한 변화해가는 사회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성리학적 가족 질서를 바로 세우기 위해 養子[繼子]가 시작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7세기 전기에 제작된『만력보』는 후대 족보에서 이루어진 투탁 가탁의 내용들이 밝혀질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며, 이를 통해 17 세기초 사회적 현상의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Man’ryeok/萬曆 Era’s Gyechul/癸丑譜 Year Seongju Yi House Genealogy(星州李氏族譜)』 (『"Man’ryeok- bo"』from now on) was compiled, and how the contents of it were arranged. Based upon such examination, the overall nature and meaning of the Genealogy publications that continue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17th century will be determined and assessed here. First, 『"Man’ryeok-bo"』was compiled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shared the same format with other genealogies that had been created since the 15th century(and during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Such genealogies included the『Andong Gweon House Seong, hwa-bo Genealogy』 Second, the person who was responsible for compiling this genealogy, a man named Yi Uk(李稶), was a governmental official who was also armed with a certain pride in his own illustrious house(名門意識). He created this genealogy in order for all the members of his house, descendants of the same ancestor, to maintain their close and special relationship and relay those relationships to the next generation. Seongju Yi house had a special practice of creating portraits of certain house members who had been very successful in their careers, and such individuals who were honored with a portrait included the originator of the house, whose name was Yi Jang Gyeong. Third, during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period, the genealogy tables used to record a person’s offsprings in the order of their respective birth dates, yet in the early days of the 17th century, they came to record the male children first and female children later. This seems like a reflection of Neo-Confucian influences. Fourth, this 『"Man’tyeok-bo"』 genealogy also included many descendants on the maternal side(外孫) inside it. This shows that not only the paternal line but also the maternal line was still maintaining a strong influence throughout the Joseon society. In appearance, a Neo-Confucian point of view was forcing people to maintain a patrilineal, eldest-centric order inside a family, yet influences from the mother’s line seems to have been still strong at the time nonetheless. Fifth, 『"Man’ryeok-bo"』shows us the changing nature of the Joseon society at the time. People started to adopt people, in an effort to establish Neo-Confucian orders inside their families. So, this 17th century’s 『"Man’ryeok-bo”』Genealogy shall be regarded as an important historical resource that could show us the social changes of the early 17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원 간섭기 성리학 수용의 일 단면 -최문도(崔文度)를 중심으로-

        고혜령 ( He Ryung Koh ) 한국중세사학회 2005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18

        This paper examines a scholar during the days when Neo-Confucianism from the Yuan Dynasty was first adopted late in the Goryeo Dynasty. People say that Neo-Confucianism was generally relevant to newly rising officials from the countryside, small and medium-sized landowners or Kwago(科擧), the highest 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different groups of people who studied Neo-Confucianism, however, we can see that classe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lso studied Neo-Confucianism The people who accepted Neo-Confucianism in the last Goryeo Dynasty were from not only the rising class but also from existing powerful families or scholars who did not apply for Kwago.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Choi Moon-doh (1292-1345) to consider one aspect of Neo-Confucianism. He served as Soogwi(宿衛), an official rank in the Yuan dynasty. Choi Moon-doh`s family was a powerful family who had served as high officials, carrying on the family line. His father, Choi Sung-ji, who passed Kwago, raised up to Chansungsa(贊成事) supporting the King C uingsun(忠宣王)and also played a great role in introducing the calendar of Yuan Dynasty. Choi Moon-doh was sent to Yuan to serve as Soogwi, but had been interested in Neo-Confucianism through studying the works of Ju Don-i(주돈신), Jung Ho(程顥), Jung Ei(정신) and Joo Hee(朱熹). After coming back to Goryeo, he was recognized a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through interchange with Lee Jae-hyun(李齊腎), Choi Hae(崔瀣) and Lee Kok(李穀) who were prominent at that time. Also Uwi Moon-doh, who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stood at the head of popularizing the exercises of Neo-Confucianism by setting up the family shrine(家廟), and promoting the spread of Too-ho(投壺). The family shrine and Too-ho were continuously kept, even in the Chosun Dynasty, as a fundamental formality and amusement of the literati. In this paper, we may glance at the diversity of people who accepted Neo-Confucianism late in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activity of Choi Moon-doh and other scholar`s consciousness on his view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Neo-Confucianism was not an exclusive possession of the new literati class but it was spread to a wide-range of classes in the process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Goryeo and Yuan. It is unfortunate however that it was not easy to reveal the level of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owing to the lack of concrete historical materia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